text
stringlengths
127
204k
워싱턴 D.C. ((District of Columbia)는 미국의 수도이다. 정식 명칭은 컬럼비아 특별구 (이다. 조지 워싱턴과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로부터 이름을 지었다. 미국의 어느 50개 주에도 속하지 않는 독립된 행정 구역이다. 좁지만, 국제적으로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이 있는 세계 도시이며 금융 센터로서도 높은 중요성을 가진다. 수도로서의 기능을 완수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계획도시이다. 워싱턴 D.C.는 포토맥 강 북쪽 유역에 자리 잡고 있으며, 남서쪽으로 버지니아주와 다른 쪽으로는 메릴랜드주와 경계를 맞대고 있다. 1790년에 조지 워싱턴 대통령이 이곳을 수도로 정하고, 프랑스의 피에르 샤를 랑팡을 초청하여 새 수도의 설계를 의뢰하였다. 현재의 도로는 잘 정비되어 시원한 거리는 피에르 랑팡의 설계를 골격으로 하여 이어받은 것이다. 이 구역의 인구는 693,972명인데, 주변 교외 지역에서 드나드는 통근자를 고려하면 주중 인구는 백만이 넘는다. 컬럼비아 구역을 포괄하는 워싱턴 대도시권의 인구는 613만 명으로, 미국의 대도시권 가운데 6번째로 큰 규모이다. 미합중국 헌법 제1조에서 주와 다른 연방 구역을 규정하여 이곳을 영속적인 국가 수도로 삼고 있다. 수많은 국가 기념물과 박물관과 더불어 미국 연방 정부의 3부의 중심 관청이 모두 이 곳에 있다. 워싱턴 D.C에는 174개 대사관이 자리 잡고 있으며, 세계은행, 국제 통화 기금, 미주 기구, 아메리카간 개발 은행, 범아메리카 의료 기구의 본부가 있다. 무역 협회, 로비 단체, 직능 단체 등 여러 기관의 본부도 이곳에 있다. 워싱턴 D.C는 원래 컬럼비아 영역의 개별 지자체였는데 1871년 의회법으로 도시와 이 영토를 컬럼비아 구역이라는 하나의 단위로 합병하였다. 이 도시의 법적 명칭이 컬럼비아 구역 인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그 이전의 수도는 뉴욕이었다. 도시의 이름은 미국 독립 전쟁의 지도자이자 초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워싱턴 기념탑(555피트, 약 169.3m)의 높이 이상으로 건축물을 건설하지 못하도록 하여, 뉴욕와 달리 초고층 건물이 드물다. 백악관, 펜타곤, 연방 의사당 등 미국의 주요 정부 기관이 있다. 정식 연방주가 아니므로 상원 의석은 없으나, 표결권이 없는 미국 하원 파견대표 1명 (2019년 현재 민주당의 Eleanor Holmes Norton의원)과 대통령선거인단 3표를 확보하고 있다. 최초의 유럽인들이 17세기에 도착했을 때, 알곤킨 족이 현재 워싱턴에 흐르는 애너코스티어 강 주변 지역에 거주 하고 있었다. Enfant plan.jpg|오른쪽|섬네일|피에르 샤를 랑팡의 워싱턴 D.C 도시 계획. 그림은 앤드루 엘리컷이 개정한 것이다.(1792년) 워싱턴 D.C.는 계획 도시이다. 워싱턴 도시 계획은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라파예트 장군의 군사 공학자로 식민지에 최초로 도착한 프랑스 태생의 건축가, 공학자, 도시 계획가 피에르 샤를 랑팡이 주로 맡았다. 1791년 워싱턴 대통령은 랑팡에게 새 수도 배치 설계를 의뢰한다. 랑팡의 계획은 바로크식 도시 계획을 본보기로 삼아 사각형과 원형을 중심으로 넓은 가로 뻗어나가 개방 공간과 탁트인 경관을 보이는 방식이었다. 랑팡은 도시 계획에 세세한 일까지 고집스레 간섭하여 수도 건설을 감독하기 위해 워싱턴이 임명한 세 위원 사이에 갈등이 생기자 1792년 3월 워싱턴 대통령은 랑팡을 해임하였다. 그리하여 랑팡과 함께 도시 측량 작업을 함께 하던 앤드루 엘리컷이 도시 계획을 완성하였다. 엘리컷은 가로 형태 등 당초 계획에 수정을 가하기는 하였지만, 랑팡은 워싱턴 시의 전체 설계를 맡은 사람으로 인정받고 있다. 워싱턴 시는 오늘날 북쪽 플로리다 가와 서쪽 록 크릭(Rock Creek), 동쪽 애너코스티아 강(Anacostia River)을 경계로 하고 있었다. 20세기 초에 들어 랑팡이 의도한 수도의 탁트인 공원과 장대한 국가 기념물의 경관은 빈민가나 아무렇게나 들어선 건물, 내셔널 몰(National Mall)의 기차역 때문에 어지러워졌다. 1900년 의회는 상원의원 제임스 맥밀런이 이끄는 합동 위원회를 꾸려 워싱턴의 국가 의식 핵심부를 꾸미는 일에 착수하였다. 이 맥밀런 계획은 1901년에 완성되었다. 이 계획에는 의사당 마당과 내셔널 몰의 경관을 새로이 바꾸고, 새로운 연방 관청 건물과 기념물을 건설하며, 빈민가를 철거하고 새로운 공원 체제를 세우는 것 등이 있었다. 위원회의 건축가들은 도시의 원래 배치를 보존하였고, 이들의 작업은 랑팡이 의도한 설계를 장대하게 완성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워싱턴 D.C.는 4 지구로 구획되어 있다. 1899년 12층짜리 카이로 아파트 건물(Cairo Apartment Building)이 들어서자 의회는 건물 고도 제한법(Heights of Buildings Act)을 통과하여 어느 건물도 의사당보다 높게 짓지 못하도록 규정하였다. 이 법은 1910년에 개정되어 건물 고도를 인접 가로의 폭에서 6.1m를 더한 높이 이상으로 건설하지 못하도록 제한하였다. 오늘날 워싱턴 시의 건물 윤곽선(skyline)은 낮고 넓게 퍼진 모양새를 갖추어, 워싱턴 시가 "복잡하지 않고 바람이 잘 통하는" 거리에 "낮고 편리한" 건물들이 있는 "미국의 파리"가 되길 바라던 토머스 제퍼슨의 뜻을 따르고 있다. 그러하여 워싱턴 기념비(Washington Monument)는 구역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이다. 그러나 도시의 확산 현상으로 교통 및 주택 문제를 이유로 워싱턴의 고도 제한은 비난을 받았다. 구역의 고도 제한 규정을 피하기 위해 시내와 가까운 곳의 높은 건물은 포토맥 강에서 버지니아주의 로슬린쪽에 건설되곤 한다. 컬럼비아 구역은 넓이가 제각각인 4개의 지구(quadrant)로 나뉘는데, 북서 지구(Northwest), 북동 지구(Northeast), 남동 지구(Southeast), 남서 지구(Southwest)가 바로 그것이다. 네 지구의 경계선은 미국 의회 의사당이 기준이다. 모든 도로 이름에는 지구 이름의 약자가 붙어 그 도로가 속한 지구를 표시한다. 워싱턴 시에서는 대부분 모든 거리가 격자 모양으로 뻗어있으며, 동서 방향 거리 이름에는 글자가 붙고, (가령 C Street SW) 남북 방향 거리 이름에는 숫자가 붙는다. (가령 4th Street NW)). 또 원형 교차점에서 대각선으로 뻗어나가는 도로 이름은 우선 미국의 주 이름을 따서 붙이는데, 미국의 50개 주 모든 이름으로 도로명이 있으며, 푸에르토 리코와 컬럼비아 구역의 이름을 지닌 대로도 있다. 워싱턴의 어떤 가로는 특히 눈에 띄는데, 가령 펜실베이니아 거리(Pennsylvania Avenue)는 백악관과 미국 의회의사당을 이어주며, K 거리(K Street)는 여러 로비 단체의 건물을 잇고 있다. 워싱턴에는 174개국 외국 대사관이 있으며, 이 가운데 59개는 매사추세츠 거리(Massachusetts Avenue)에 있는데 이 거리는 비공식적으로 대사관길(Embassy Row)이라 부르기도 한다. 시가지는 포토맥강에 접하여 대서양과 수상 유통이 편리하나 주요 교통은 철도와 비행기를 이용한다. 이 도시는 전형적인 정치도시로서, 취업인구의 태반은 정부기관 또는 그 관련 분야에서 일하고 있으며, 3차산업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이 때문에 인종차별이 없는 연방정부 기관에서 일하는 흑인이 증가하여, 시민의 과반수는 흑인이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일반 자치제와는 달리, 연방직할이기 때문에 시장(市長)이 없었고, 시민은 종래 국회의원이나 대통령 선거에서도 선거권이 없었으나, 1962년부터 대통령 선거권을 얻게 되었으며(실제로 1964년부터 행사), 또한 1967년부터 정부가 임명하는 시장을 갖게 되었다.제2차 세계대전 후 연방정부의 역할이 늘어남에 따라 워싱턴도 확대되어, 20세기 초에는 30만 명 정도였던 것이 1975년에는 72만이 되었다. 미국 건축학회가 선정한 미국인이 좋아하는 건축에서 2위로 뽑혔다. 워싱턴의 건축은 대단히 다양하다. 2007년 미국 건축학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가 선정한 "미국인이 좋아하는 건축" 순위에서 상위 10위 건물 가운데 여섯 곳이 컬럼비아 구역에 있다.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다. 백악관 (The White House) 워싱턴 기념탑 (The Washington Monument) 토머스 제퍼슨 기념관 (The Jefferson Memorial) 미국 의회 의사당 (The Capitol) 링컨 기념관 (The Lincoln Memorial) 베트남 참전용사 기념관 (The Vietnam Veterans Memorial) 이 여섯 건물과 워싱턴의 여러 유명한 건물들은 신고전주의, 조지 왕 시대 풍(Georgian Architecture), 고딕, 현대 양식을 모두 반영하고 있다. 프랑스 제2제국 양식의 옛 행정부 청사나 미국 의회 도서관과 같은 예외적인 건물도 있다. 워싱턴 시내에서 바깥으로 가면 건축 양식은 더욱 다양해진다. 오래된 건물에는 앤 여왕 시대 건축 양식, 샤토 양식, 리차드슨식 로마네스크, 조지 왕 시대 재현 양식, 보자르, 또 여러 가지 빅토리아 양식 등이 나타난다. 줄지어 선 미국식 집합 주택(Rowhouse)도 이 지역에서 특히 눈에 띄는데, 이런 건물은 미국 남북 전쟁 이후 발달하여 전형적으로 연방 건축 양식과 후기 빅토리아풍을 따른 것이다. 조지타운은 워싱턴 시를 건설하기 전에 생긴 곳으로, 컬럼비아 구역의 가장 오래된 건축을 보인다. 조지타운의 옛 석조 주택(Old Stone House)는 1765년에 건설되어 이 도시에 현존하는 건물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근처의 가옥 대부분은 1870년대 이후에 건설된 것으로, 당대 후기 빅토리아 풍의 영향을 찾을 수 있다. 1789년에 개교한 조지타운 대학교는 주변 건축보다 더욱 특별하며, 로마네스크풍과 고딕 재현 양식이 섞인 특징을 보인다. 로널드 레이건 건물은 컬럼비아 구역에서 가장 큰 건물로, 총면적이 약 288,000 제곱미터에 이른다.워싱턴 DC는 뉴욕보다 건물들이 낮은데 그 이유는 워싱턴 기념탑보다 더 높은 탑을 세우지 못하도록 미국법으로 지정되었기 때문이다 이 지역은 대통령 선거에서 단 한 번도 공화당이 승리하지 못한 유일한 지역이다. 2016년 대선에서는 힐러리 클린턴 후보가 이 지역에서 92.8%의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1789년에 창립한 예수회 사립 대학인 조지타운 대학교와 1821년에 창립한 사립대학 조지워싱턴 대학교의 소재지이다. 워싱턴 대학이 워싱턴 DC에 있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지만 워싱턴 주와 다른 특별 자치구이다. 워싱턴 D.C. 를 연고로 하는 프로스포츠팀은 메이저 리그 야구의 워싱턴 내셔널스, NBA 농구의 워싱턴 위저즈, NFL 풋볼의 워싱턴 레드스킨스, NHL 아이스하키의 워싱턴 캐피털스, 메이저 리그 사커의 D.C. 유나이티드, WNBA 여자농구의 워싱턴 미스틱스가 있다. 워싱턴 D.C.에는 12개의 자매 도시가 있다. 파리는 코뮌의 자매 도시 정책에 따라 파트너 도시로 인정된다. 가나 아크라 그리스 아테네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리토리아 대한민국 서울 벨기에 브뤼셀 세네갈 다카르 세이셸 빅토리아 가봉 리브르빌 영국 런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중화인민공화국 충칭 콩고 공화국 브라자빌 태국 방콕 프랑스 파리 카보베르데 프라이아 니제르 니아메 내용주 공식 홈페이지 분류:북아메리카에 위치한 수도 분류:계획도시 분류:미국 남부
공연 중인 배우들 연극 (演劇) 또는 극 (劇)은 배우가 무대 장치조명음악 등의 도움을 받아, 연출자의 지도 아래 각본에 의해서 연기를 하여 관객에게 보이는 종합예술이다. 연기의 내용은 액션(인물에 의해서 연기되는 사건)으로서 통일되며, 액션은 몇 개의 막(幕)으로 구분되고, 막은 다시 몇 개의 장(場)으로 세분되어 하나의 극을 형성하고 있다. 구성으로서는 발단상승부정점하강부종결(또는 파국)의 5부로 이루는 것이 일반적인데, 옛날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삼일치의 설이 취해져서 시간장소플롯의 통일이 필수조건으로 되어 있었다. 극은 비극희극으로 대별되고, 이와는 달리 비희극(悲喜劇)사극(史劇)시극(詩劇)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비극은 후에 표현형식은 변했으나 항상 영원적인 것, 즉 생사자유필연죄신 등을 테마로 하고 있다. 희극은 비극의 영원적근원적인 것에 대해서 일시적현세(現世)적인 것, 즉 인간의 성정(性情)이나 행위의 모순약점 또는 사회의 병폐 등을 테마로 하고, 전체적으로 명랑 경쾌한 기분이 충만하고 있다. 희극 중 단순한 것은 보드빌(대중연극)이나 파르스(笑劇)라 불린다. 연극은 인류역사와 더불어 태어나서 인류멸망과 함께 죽어갈 공동운명을 지니고 있다. 연극이란 인간이 인간의 행위를 모방하는 예술이기 때문이다. 인간이 숨쉬고 있는 동안 연극은 밤낮에 따라 죽음과 부활을 반복할 것이다. 자정에 죽은 연극은 솟아오르는 태양과 함께 다시 태어난다 함은 인류역사가 계속되는 동안 연극도 계속된다는 뜻 이외에, 일단 끝난 공연은 그것으로 끝나는 것이되 다시 상연된다는 것을 뜻한다. 다시 태어난 연극은 전날 자정에 죽은 연극과 동일한 것은 아니며, 다만 내용이 같을 따름이다. 연극은 육안으로 보는 순간에만 존재한다고 함은 연극의 특징을 단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시나 소설이 활자화되어 그 원형을 유지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연극은 공연이 끝나는 동시에 사라져 버리고 오직 상연대본과 프로그램, 무대사진, 평론 그리고 그 공연을 본 관객들의 기억 속에 살아 있을 뿐이다. 그러나 연극이 순간적인 시간예술임에도 강렬한 힘을 지니고 있음은 살아 있는 인간, 즉 배우가 인간의 체험을 바로 그 순간에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생생하게 모방하기 때문이다. 연극은 어떠한 과거의 사건이라 할지라도 현재 시간에서 진행되게 마련이며, 관객은 과거를 현재에서 체험하기 때문에 다른 어떤 예술보다도 강한 힘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현재 에서 하나의 생명체가 다른 생명체(들)의 행위를 모방하여 말하고 행동하는 것처럼 직접적이고 감동적인 것은 없다. 햄릿의 이 말은 연극이 인간의 행위를 모방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 이후의 많은 석학들의 이론을 뒷받침해 준다. 물론 모방에 대한 해석은 사람에 따라, 시대에 따라 다르고, 또 다를 수밖에 없으나, 모든 예술에 있어서 그렇듯이 고전적 해석은 타당한 바탕을 이룬다고 하겠다. 키케로는 이렇게 말한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결국 연극이란 인생을 거울에 비추어 본 것임이 분명하다. 그것은 곧 있는 그대로, 사실대로 모방한다는 뜻이다. 원래 드라마는 희랍어의 행위·행동에 해당하는 말로서, 행동한다는 것이기 때문에, 배우가 인간의 행위를 그대로 모방한다는 것이 바로 연극의 이념이다. 이와 같은 모방론은 19세기 사실주의자들의 예술관과 일치된다고 할 수 있다. 역시 프랑스의 보마르셰도 졸라와 같은 견해를 가지고 있다. 그들에 의하면 연극이란 한낱 인생의 축도(縮圖)에 불과하다. 이들은 미러 오브 네이처(Mirror of nature) 를 잘못 이해하고 있다. 무릇 예술가는 많은 소재 가운데서 어떤 특수한 부분을 선택한다. 따라서 선택은 기계적이 아닌, 작가의 예술적 창조력을 필요로 한다. 선택은 기교로서의 아트(art) 와 예술가로서의 아트 가 합쳐진 곳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연극은 소재의 선택에서 끝나는 것은 아니다. 더 중요한 것은 인물대사 속에 무한한 의미를 암시할 수 있는 전달력을 작가가 지닐 일이다. 극작가는 아티스트(artist)여야 한다. 한 걸음 나아가 모방론에 대한 좀더 광범위한 해석이 있어야겠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기본원칙은, 예술은 모방이라는 데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모방설에 대한 해석은 사람에 따라 시대에 따라 다르다. 가령 의 서문에서 말한 위고의 견해로는, 거울이 편편한 것이어서는 안 되며, 집중적으로 초점을 맞출 수가 있는 포커싱 미러(focusing mirror)여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야만 약한 빛이 강해지고 불꽃이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는 연극이란 그럴 때에 비로소 예술 구실을 하게 된다고 결론짓는다. 사르세이(Sarcey)나 에델린(Hedelin)의 이론 역시 위고(Hugo)의 이론을 뒷받침하는 발전적인 견해이다. 에델린의 "연극이란 있었던 사건 그대로를 상연하는 것이 아니라 있어야 할 것을 상연해야 한다"는 이론은 극작가의 사상과 철학에까지 언급한 것이 된다. 사실 고전적 이론으로, 과거를 다루는 것이 역사라면 문학은 당위의 세계를 그리는 것이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전제는 모방설에 대한 졸라나 보마르셰의 해석에 대해서 수정을 가하게 만든다. 당위의 세계를 그려야 한다는 이론을 부연하는 또 하나의 이론을 브륀티에르의 연극론에서도 볼 수 있으니, 연극은 어떤 목표를 향해 애쓰는 인간의 의지를 그려야 된다고 그는 말한다. 그 의지란 당위의 세계를 이룩하려고 노력하는 의지임을 말한다. 이와 같은 고전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세계연극은 제 나름의 길을 걸어오고, 또 걸어갈 것이지만, 그들의 연극이 형식이나 내용에 있어서 어떻게 다르건 간에 인류역사가 변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연극 역시 많은 변화 속에서 영원히 존재할 것이라는 진리를 우리는 의심하지 않는다. 이 순간에 막이 내려, 죽어버린 연극이 내일 다시 되살아날 것을 우리는 의심하지 않는다. 연극은 인간의 기다림 속에서 영원히 생명을 이어갈 것이다. 보통 연극의 3요소를 희곡, 배우, 관객, 그리고 연극의 4요소라 할 때는 무대, 배우, 관객, 희곡이라고 정의한다. 하지만 연극의 요소를 이런 식으로 구분짓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연극은 배우, 관객, 희곡 이외에도 수많은 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할 때 비로소 완성되는 종합 예술이기 때문이다. 1. 희곡 연기(演技)를 위하여 쓰인 작품. 2. 배우 희곡에 나오는 인물의 역을 맡아 무대에서 표정 몸짓 등의 동작과 대사로 극적 행위를 해 보이는 사람. 3. 관객 흥행물을 구경하는 사람. 드라마에는 보충 설명이 있을 수 없으므로 드라마의 대사는 간결, 명료하면서도 그 대사 중에 시간, 장소, 상황, 인물 들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다 모아야하는 부담이 있다. 드라마의 대사는 자연스럽게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등장인물들의 태도, 견해, 성격을 드러내 보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극작가는 토론, 논쟁, 물음 등의 대사형식을 통해 앞으로 일어날 행동을 추측하고 예견케 하며 그에 대한 복선을 까는 역할도 해야 한다. 소설작가는 소설 속의 내러이터를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지만 극작가는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없고 다만 서로 맞물려 짜여진 대사를 통해 이야기의 결이 드러나도록 해야 한다. 행동이란 등장인물들이 취하는 액션(상단 참조)들의 그 실체라 할 수 있다. 작가가 특정행동을 명시하기도 하나 많은 부분은 연출자와 배우에게 담당되어있다. 희곡을 읽을 때 에는 관객(독자)가 스스로 연출자가 되어 상상의 무대 위에서 배우를 움직이고 그들에게 대사에 맞는 제스쳐를 부여해야 하지만, 배우들이 직접 연기를 하는 극 중에서는 대사와 행동에 유의하며 눈에 보이는 것을 기반으로 극을 올바르게 즐기면 된다. 소설의 기법이 드라마에 차용되기 이전인 19세기 전반 이전에 쓰여진 희곡의 경우 희곡에 무대지시사항이 최소화되어 있기 때문에 독자는 대사 속에 암시되어있는 행동에 유념하며 작품을 읽어야 한다. 사람들이 연극을 보러가는 주요한 이유는 즐기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관중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아름다운 대사나 고상한 도덕적 교훈이 아니라 이야기 자체가 주는 재미 이다. 드라마에도 간혹 회상의 장면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드라마는 근본적으로 시간적으로 전개되는 이야기를 축으로 한다. 극적 행동은 시간적 순서에 따라 전개되지만 그저 발생하는 사건이 아니라 극작가에 의해 미리 치밀하게 계산된 순서에 따라 진행되는 것이다. ‘무슨 일이 일어날까’하는 관객의 기대감을 충족시키는 외에 플롯의 역동적 구성을 위해서는 ‘왜 어떤 일이 일어날까’하는 점이 필수적이다. 많은 경우에 우리가 문학에서 느끼는 흥미는 그 속에 나오는 인물들에 관한 것이다. 드라마는 살아있는 배우들에 의해 작품 속의 인물들이 표현되는 점에서 인물들은 관객들의 주요한 관심과 흥미의 대상이다. 등장인물에는 주인공과 주인공과 맞서는 인물이 있다. 주요인물과 그렇지 않은 인물을 구별하는 손쉬운 방법은 대사의 길이이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차이는 주인공의 경우 복잡한 동기와 과거를 지닌, 충분히 개성화된 인물임에 반해 그렇지 않은 인물들은 이렇다할 개성이 부여되지 있지 않다. 그러나 주인공의 성격이 간단명료하게 정의될 수 있을 정도로 단순한 예는 거의 없다. 주인공에게 성격을 부여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은, 비록 믿을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이름과 외모이다. 예컨대 「오셀로」에서 이야고를 부르거나 그에 대해 언급할 때면 ‘정직한’이라는 수식어가 자주 붙는다. 성격부여의 또 다른 방법은 한 개인의 행동양식이다. 어떤 인물이 자신의 성격과 행동동기를 방백이나 독백을 통하여 밝혀 보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대사 중에 사투리, 어휘의 선택, 문법 등 모든 것이 합해져서 한 인물의 과거와 지성이 드러난다. 뿐만 아니라 어떤 인물이 다른 인물들에게 보이는 반응이나 다른 인물들이 그 인물에 대해서 하는 이야기에서도 성격이 드러난다. 우리의 경험이 증명하듯 지나칠 정도로 일관성 있는 인물은 일반적으로 사실성이 희박해 보인다. 아마도 문학 작품 속에서 훌륭한 성격설정이라 함은 수긍은 가되 우리를 놀라게 하는 인물들일 것이다. 그들의 동기는 복잡 미묘하고 일견 모순되는 듯이 보이기조차 한다. 연극을 쉬는 것을 휴극 이라고 한다. 휴극일은 연극에 따라서는 다른 요일에 휴극하는 것도 있지만, 보통 연극은 월요일에 쉰다. 인간의 유희 본능과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써의 몸짓, 손짓(원시적 언어, 율동) 고대 사회의 종교적 의식(그리스의 연극, 디오니소스를 찬미) 서울연극센터 사랑티켓 OTR-연극전문웹진 연극인 한국연극협회
제우스 제우 일명:돌아이 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주신(主神)이다. 크로노스와 레아의 막내아들이며 포세이돈, 하데스 등과는 형제지간이다. 올림포스의 12신의 첫 번째 세대에 속한다. 번개와 독수리가 대표적인 상징물이다. 긴 수염이 나 있는 강인하고 위엄있는 남성의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상체는 나신이며, 한쪽 손에는 번개 혹은 홀(笏)을 들고 있다. 제우스는 번개나 비 같은 기상 현상을 주재할 뿐만 아니라 세계의 질서와 정의를 유지하며, 왕권 및 사회적 위계질서를 보장하기도 한다. 또한 호색한이기도 한 그는 헤라의 질투에도 불구하고 여신이나 인간 여성 그리고 님프들과 차례대로 어울리는데 그 수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제우스의 이러한 호색한적 측면은 우주 만물은 주신(主神)의 힘과 질서와 정의를 바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우주에 주신(主神)의 힘과 질서와 정의가 미치지 않는 영역이 없다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신화에 나오는 이름난 영웅들은 대부분 제우스의 후손들(또는 사생아들)이다. 특기할 만한 점은 제우스와 헤라 사이의 적자들보다 제우스의 사생아들이 그 능력이 훨씬 뛰어났다는 것이다. 한 예로 제우스와 헤라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들인 헤파이스토스는 손재주는 모든 신들 중 가장 뛰어나며 착하였던 반면 못생긴데다가 절름발이였으며, 아레스는 전쟁의 신임에도 불구하고 성급하였다. 이에 비해 헤라클레스는 모든 신들 중 가장 힘에 세었으며, 아폴론은 멋지고 지혜가 많았던 데다가 예술과 예언에 능하였으며, 아프로디테는 미모가 뛰어났으며, 헤르메스와 아테나는 지혜가 있었다. 제우스가 태어나기 전에 그의 아버지 크로노스는 불길한 예언을 들었다. 아버지 우라노스처럼 크로노스 자신도 아들에 의해 쫓겨난다는 것이었다. 이 운명을 피하기 위해 크로노스는 아내인 레아에게서 자식들이 태어나자마자 족족 삼켜버렸다. 자식을 잃을 때마다 고통스러웠던 레아는 한 명이라도 구하고자 여섯 번째 아이를 출산할 때 아이 대신 돌덩이를 강보에 싸서 남편에게 건넸다. 그 돌덩이의 이름이 바로 옴팔로스이다. 그리고 진짜 제우스는 아말테이아에게 맡겼다. 그렇게 제우스는 남매 중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레아는 제우스를 숨기기 위해 가이아의 조언에 따라 아무도 찾을 수 없는 아이가이온산의 깊은 숲 속으로 데리고 갔다. 그리고 쿠레테스라 불리는 정령들이 아기를 안전하게 지키게 했다. 정령들은 칼을 부딪치고 청동 방패들을 요란하게 두드리면서 아기의 울음소리를 감추었다. 이런 식으로 레아는 제우스가 성장해 어른이 될 때까지 무사히 지켜낼 수 있었다. 그리고 제우스는 아말테이아라는 암염소의 젖을 먹고 자랐는데, 나중에 제우스는 아말테이아가 죽자 고마움을 표하기 위해 그녀를 하늘로 올려보내 염소자리로 만들어 주었다. 어른이 된 제우스는 신탁의 예언대로 아버지 크로노스를 폐위하고 신들의 왕이 되기로 결심했다. 우선 동료를 모으기 위해 아버지가 삼킨 형제들과 누이들을 되찾고자 그는 오케아노스의 딸 메티스로부터 구토제를 구해 어머니 레아에게 건네주었다. 레아는 제우스로부터 구토제를 받고 남편인 크로노스에게 자신이 직접 담근 술이라며 속이고, 레아에게서 받은 구토제를 마신 크로노스는 예전에 삼킨 모든 자식과 돌을 토해냈다. 헤스티아, 데메테르, 헤라, 하데스, 포세이돈이 그들이었다. 구출된 그들은 제우스와 힘을 합쳐 크로노스를 포함한 티탄 신들과 전쟁을 벌였다. 가이아와 우라노스의 자식들인 퀴클로페스 형제와 헤카톤케이르 형제의 도움까지 받고 막판에 자신의 아들인 헤파이스토스가 자신의 삼촌들인 퀴클로페스들과 같이 벼락을 발명하여 이 벼락이라는 무기까지 얻게 된 올림포스 신들은 마침내 승리를 거머쥐어 티탄 신들을 대지의 가장 깊은 곳인 타르타로스에 가두었다. 가이아 - 제우스의 할머니이자 신화속에 항상 중심이였다. * 마네스 - 프리기아의 전설적인 왕. 헤라 - 결혼과 가정, 여성의 여신으로 제우스의 7번째 부인이자 정실부인이다. * 헤파이스토스 - 신들 중 최고의 손재주를 지녔다. 대장간과 불, 세공기술의 신이다. 렘노스에서 가장 크게 추앙받았다. * 아레스 - 전쟁의 신이며 잔인하다. 살육과 광기, 야만의 신이다. * 에일레이튀이아 - 출산의 여신이다. 호메로스에서는 여러 여신을 일컫는 명사로 나온다. * 헤베 - 청춘의 여신이다. 후일 신이 된 헤라클레스의 아내가 된다. 메티스 - 오케아노스의 딸로 지혜가 뛰어났다. 제우스의 첫 번째 아내로, 제우스가 가이아에게서 그녀가 밴 제우스의 자식이 새로운 권력자가 된다는 예언을 듣고, 그녀를 삼켜버린다. **아테네 - 지혜와 전쟁의 여신이다. 기술(특히 직조기술)과 학문의 여신이기도 하다. 제우스가 가장 사랑한 딸로 제우스의 머리에서 태어났다. 도시국가 아테나의 수호신이었다. 제우스의 방패(또는 흉갑) 아이기스를 지니고 완전무장한 채로 다녔다. 아레스가 무조건적이고 대책없는 전쟁신인데 비해 아테네는 전략적인 전쟁의 전쟁신이었다. 데메테르 - 대지와 곡물의 여신이다. * 페르세포네 - 하데스에 의해 납치되어 하데스의 아내가 되었다. 겨울 한철 동안 하데스와 동거하다가 봄이오면 지상으로 돌아와 어머니 데메테르와 함께 지냈다. 디오네 - 오케아노스의 딸로, 도도네에서 제우스와 함께 그의 아내로 숭배받았다. * 아프로디테 - 사랑과 아름다움, 풍요의 여신이다. 제우스와 디오네 사이에서 태어났다고도 하고, 바다에 떨어진 우라노스의 잘린 남근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 레토 - 제우스의 6번째 아내로 헤라 다음 가는 여신이었다. * 아폴론 - 광명과 신탁, 궁술과 음악, 문학과 목축, 운동과 청소년의 신이다. 그리스 신화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미남 신이었다. 아버지인 제우스 못지않은 바람둥이 신이었다. 델포이와 델로스가 그의 성지였다. * 아르테미스 - 사냥과 동물, 임신과 출산, 달과 처녀의 여신이다. 사냥을 즐기고 결혼을 거부하는 처녀신이었다. 에페소스와 델로스가 그녀의 성지였다. 마이아 - 아틀라스와 플레이오네 사이에서 태어난 플레이아데스 여신들 중 하나였다. * 헤르메스 - 신들의 사자로, 전령, 여행, 나그네, 장사, 사기, 도둑질, 지혜, 과학, 목축, 운동의 신이었다. 제우스의 전령이었고 행운을 가져다주는 신이었다. 테미스 - 법과 질서, 율법의 여신으로 티타니데스 중 하나이다. * 아스트라이아 - 정의의 여신. 항상 저울을 들고 다녔다. * 네메시스 - 복수(애정의 복수)의 여신이다. 하데스의 수하이다. * 호라이 - 계절과 시간, 때(時)의 여신으로 에이레네, 디케, 에우노미아를 말한다. * 모이라이 - 운명의 여신들로, 제우스조차 이들의 권한을 침범하지 못했다. 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를 말한다. 므네모쉬네 - 기억력의 여신으로 티타니데스 중 하나이다. * 무사이 - 단수는 무사로, 문학과 예술, 음악의 여신들이었다. 칼리오페(서사시), 클레오(역사, 역사시), 에라토(서정시, 연가), 탈리아(희극), 멜포메네(비극), 우라니아(천문학), 폴륌니아(신화, 무언극), 에우테르페(합창), 테릅시코레(춤, 합창)을 말한다. 에우뤼노메 - 오케아노스의 딸로 제우스의 3번째 아내이다. * 카리테스 - 우아함과 미의 여신들로 아글라이아와 에우프로쉬네, 탈리아를 말한다. 다나에 * 페르세우스 - 훗날 아테네의 신탁에 의하여 메두사를 참수한다. 아이기나 * 아이아코스 알크메네 * 헤라클레스 - 힘이 가장 셌으며, 올륌포스로 쳐들어 온 거인 기가스들과의 전쟁인 기간토마키아에서 큰 공을 세운다. 12과업을 세우고 올륌포스로 올라가 신이 되었다. 에우로페 * 미노스 - 크레테 섬의 왕이었으나, 다이달로스의 꾐에 빠져 화상을 입어 죽는다. * 라다만튀스 * 사르페돈 라오다미아 * 사르페돈 - 트로이아 전쟁에 참전했으나, 아킬레우스의 친구인 파트로클로스에게 일격에 사살되었다. 이오 * 에파푸스 라미아 레다 * 폴뤼데우케스 * 헬레네 - 트로이아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세멜레 * 디오뉘소스 - 술과 축제, 연극과 광기, 과일과 포도주, 풍요와 다산의 신이다. 자그레우스라고도 불리며, 제우스의 허벅지에서 태어났다. 동방에서 사튀로스와 마이나데스를 이끌고 신들의 대열에 가장 늦게 합류한 신이다. 담쟁이 덩굴 관을 쓰고 튀르소스라는 솔방울이 달린 지팡이를 가지고 다닌다. 니오베 * 아르고스 * 펠라스고스 올림피아스 * 알렉산드로스 대왕 칼리스토 * 아르카스 인드라 — 벼락을 무기로 쓰는 힌두교의 신. 그리스 신들의 가계도 Greek Mythology Link, Zeus Theoi Project, Zeus Theoi Project, Cult Of Zeus Pictures of the Altar of Zeus and its meaning in Scripture Photo Pagans Honor Zeus at Ancient Athens Temple 분류:그리스 신화의 남신 분류:천둥신 분류:천공신 분류:정의의 신 분류:올림포스 12신 분류:목성의 신 분류:최고신 분류:가이아의 배우자 분류:신화의 강간범
독일의 국기 ()는 독일의 국가색인 흑색, 적색, 금색()이 가로 세 줄, 같은 비율로 배치된 삼색기이다. 이 기는 1919년 바이마르 공화국 당시 처음 국기로 지정되었다. 별칭은 연방기 ()라 한다. 흑-적-금의 삼색기는 19세기 초 처음 나타나 1848년 독일 혁명 당시 유명해졌다. 1848년 ~ 1850년 2년간 단명한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에서 이 삼색기를 민주적 통일 독일 국가의 기로 제안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의 성립과 함께, 연방기는 독일의 국기로 지정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방기는 서독과 동독 쌍방의 국기로 지정되었다. 양측의 국기는 1959년까지 동일하였으나, 1959년에 동독에서 국기에 문장을 추가하여 달라졌다. 1990년 10월 3일 독일이 재통일됨으로써 흑적금 삼색 연방기는 재통일된 독일의 국기가 되었다. 독일의 국기가 항상 흑적금 삼색을 사용한 것은 아니다. 1866년의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이후에 프로이센이 맹주였던 북독일 연방은 흑색, 백색, 적색 삼색기를 사용했다. 이 기는 나중에 1871년 독일의 통일로 성립된 독일 제국의 국기가 되었으며, 1918년까지 사용되었다. 흑백적 삼색은 1933년 나치 독일이 성립되면서 다시 국가색으로 지정되었으며, 즉슨 공화독일의 삼색을 제국독일의 삼색이 대체한 꼴이 되었다. 이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유지되었다. 흑적금과 흑백적 삼색 도식은 독일의 역사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현재 사용되는 흑적금 삼색기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성립된 민주공화제과 관련이 있으며 독일의 단결과 자유를 상징한다. 이 자유란 독일이라는 국가의 자유 뿐 아니라 독일 국민의 개인적 자유를 의미하는 것이다. 바이마르 공화국 당시 흑적금 삼색은 극우와 극좌에 대하여 민주주의, 중도주의, 공화주의를 표방한 정당의 색깔이었다. 사민당, 중앙당, 민주당의 당원들이 좌익과 우익의 극단분자들로부터 공화국을 보위하기 위해 결성한 준군사조직 흑적금 국기단(Reichsbanner Schwarz-Rot-Gold)은 그 이름에서부터 드러나듯 사람들에게 공화국과 그 국기, 그리고 헌법에 대한 경의를 가르치려 했다. berlin.jpg|섬네일|흑적금 삼색기의 기원 1848년 독일 혁명(1848년 3월 19일 베를린). 독일과 흑적금 삼색의 관계는 본질적으로 184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흑적금 삼색기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몰락 이후 성립된 반동적 질서에 대항하는 운동의 상징이었다.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는 흑적금 삼색을 독일 연방의 공식 색으로 선언했다. 아마도 적색은 한자 동맹을, 금색과 흑색은 당시 남부 독일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던 오스트리아 제국(당시까지만 해도 "독일"의 일부로 간주됨)을 상징한 것으로 생각된다. 1848년 제정된 기의 색깔 도식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가설들이 난무하고 있다. 일설에는 카를스바트 결의에서 메테르니히에 의해 추방된 급진 대학생 단체인 부르셴샤프트의 색이라고도 하고, 또다른 주장으로는 나폴레옹 정복군에게 맞서 저항한 대학생 단체 뤼트초프 자유군단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도 한다. 이 해석들 중 무엇이 진실이든 간에, 흑적금 삼색은 이 짧은 기간 동안 독일의 국가색으로 받아들여졌고, 바이마르 공화국 성립 당시 재도입되어 대체로 사회적 자유주의를 의미하게 되었다. reichstag CP.jpg|섬네일|"독일 통일기"는 독일 재통일의 국가기념물로, 1990년 10월 3일에 게양되었다. 이 기는 베를린 국회의사당 앞에서 나부끼고 있다. 독일의 국기인 연방기는 흑색, 적색, 금색의 삼색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은 1949년 서독 헌정 당시 제정된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에서 지정되었다. 이후 지방정부의 기와 군기가 새로 생기면서, 민짜 삼색기는 현재 독일의 민간기와 상선기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비연방 당국이 연방정부와의 연결을 과시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예컨대 독일의 주들은 국기와 주기를 함께 사용한다. flag of Germany.jpg|섬네일|왼쪽|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 주재 독일 대사관에 게양된 연방직무기. 국장을 추가한 형태의 독일의 비공식 국기 독일의 정부기는 연방당국 직무기 () 또는 줄여서 연방직무기 ()라 한다. 1950년대에 도입된 정부기는 민간기에 연방방패()가 추가된 변형이다. 정부기의 연방방패는 흑색과 금색의 5분의 1 너비를 차지하고 있다. 연방방패은 독일의 국장과 비슷하지만 완전히 같지는 않다. 국장과 비교하여 차이점은 그림에 그려진 독수리와 방패의 모양이 다르다. 연방방패는 가장자리가 둥글둥글하지만, 국장의 방패는 가장자리가 뾰족하다. 연방직무기는 연방 정부 당국에 의해서만 사용될 수 있으며, 그외의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것은 불법으로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하지만 연방직무기와 비슷하게만 생긴 기(연방방패 대신 국장을 사용한다거나 하는 것)의 개인적 사용은 눈감아 주고 있다. 그러한 기는 국제 스포츠 경기와 같은 때 종종 볼 수 있다. 세로 민간기 세로 정부기 일반적인 가로기에 더하여, 독일의 많은 공공건물들은 세로기를 사용하고 있다. 많은 소도시 공회당에서 도시의 기(독일의 소도시들 대부분은 세로기만 도시기로 갖고 있다)와 함께 국기를 세로로 게양하고 있다. 이러한 세로기의 비율은 명확하지 않다. 1996년, 정부기의 세로게양 형태 배치가 제정되었다. 정부기를 세로게양 할 때는 연방문이 기의 중앙에 위치하고, 흑색과 금색 띠의 너비의 5분의 1 가량을 덮는다. 현수막처럼 걸 때는 우측 그림에 보이는 것처럼 흑색 띠가 왼쪽으로 오게 걸어야 한다. 세로깃대에 게양할 때는 흑색 띠가 깃대와 접해야 한다. 독일 연방군()은 연방정부 측 조직인 고로, 육전에서는 연방직무기가 사용된다. 1956년, 해군 함미기인 연방군 해군력 직무기 ()가 도입되었다. 이 기는 연방직무기의 오른쪽 끝이 제비꼬리 모양으로 갈라진 형태이다. 이 함미기는 함수기로도 사용된다. 독일의 국기의 상세 시방서. 독일의 헌법인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제22조에 따르면, :“연방의 기는 흑색, 적색, 금색이다” Die Bundesflagge ist schwarz-rot-gold. 1950년 서독 정부의 설명에 따르면, 연방기는 너비가 동일한 막대 세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적인 세로-가로 비율은 3:5이다. 바이마르 공화국 때 사용된 삼색기의 비율은 2:3이었다. 독일의 국기에 사용되는 색깔이 색체계상 정확히 어떤 색인지는 국기 제정 당시에는 공식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 1999년 6월 2일, 연방내각은 다음의 색깔을 사용한다는 공식 디자인을 내놓았고, 이는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색체계 흑색() 적색() 금색() RAL 9005흑옥색( Jet black ) 3020적신호색( Traffic red ) 1021유채씨 황색( Rapeseed yellow ) HKS 0, 0, 0 5.0PB 3.0/12 6.0R 4.5/14 CMYK 0.0.0.100 0.100.100.0 0.12.100.5 팬톤 Black 485 7405 웹 색상 #000000 #FF0000 #FFCC00 RGB 0,0,0 255,0,0 255,204,0 금색 띠를 금속성 금색으로 바꾸어 본 독일의 국기. 1999년에 공식 색배합이 발표되기 이전까지는 이 버전이 공식석상에서 사용되기도 했다. 적색 띠도 현재의 공식 색배합보다 더 밝다는 것에도 주목. 기학에서는 금색과 황색을 거의 구분하지 않는다. 문장학에서도 둘을 싸잡아 오르(Or, 프랑스어로 "금"이라는 뜻)라 한다. 하지만 독일의 국기에서는 금색과 황색의 구분이 이루어져 있다. 독일의 국기에 사용되는 색은 금색이지, 황색이 아니다.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흑적금 삼색기를 국기로 사용하기로 했을때, 보수파, 왕당파, 극우파들은 이 색깔을 "흑색-적색-누렁색"()라거나 "흑색-적색-겨자색"()이라거나 "흑색-적색-똥색"()이라고 부르면서 공격했다. 1933년 나치가 정권을 잡자 1918년 이전 제국 시절의 흑백적 삼색이 재도입되었고, 나치는 과거 왕당파들이 했던 레토릭을 그대로 사용하여 흑적금 삼색을 비하하였다. 1959년 11월 16일, 독일 연방사법재판소()가 국기의 색깔을 "흑색-적색-황색"이라고 부르는 것이 나치 시절 이루어진 민주주의의 상징에 대한 악의적 비방과 상당하는 것이라고 명시함으로써, 금색이 아닌 황색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불법이 되었다. 1968년 문장학자 아르놀트 라보우(Arnold Rabbow)는 "독일의 국가색은 흑색-적색-황색이지만 독일인들은 흑색-적색-금색이라고 부른다"고 썼다. 2005년 3월 22일 독일 연방령에 따라, 다음과 같은 날짜에 공공 건물에서 반드시 기를 계양해야 한다. 이날 모두가 공휴일인 것은 아니다. 전 독일 대통령인 요하네스 라우의 사망 이후 애도를 위해 기를 계양한 뮌스터의 한 교회() 기 끝에 검은 리본이 달려 있다. 날짜 명칭 등제 이유 1월 27일 국가사회주의 피해자를 위한 추모의 날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의 해방일이자, 국제 연합 국제 홀로코스트 희생자 추모의 날로 지정되었다(반기). 5월 1일 노동절 노동자 복지 증진을 보여주기 위해 독일 노동조합이 확립했다. 5월 9일 유럽의 날 후에 유럽 연합으로 이어지는 슈만 선언이 발표된 날이다(1950년). 5월 23일 제헌절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이 제정된 날이다(1949년). 6월 17일 1953년 6월 17일 기념일 1953년 동독 폭동 사태의 기념일이다. 7월 20일 1944년 7월 20일 기념일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가 아돌프 히틀러의 암살을 기도한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의 기념일이다. 10월 3일 독일 통일의 날 독일의 재통일 기념일이다. 대림절 2주 전 일요일 볼크스트라에르테크 모든 전시 동안 사망한 사람들을 추모하는 기념일이다(반기). 출처 독일 연방정부 안내 다른 주별 기념일 뿐 아니라 독일 연방하원 및 유럽 의회 선거일에는 일부 지역에서 기를 계양하기도 한다. 독일의 대통령이나 다른 유명 정치인이 사망한 날 같은 경우에도 공공장소에서 반기 형태로 기를 계양하며, 이는 독일 연방내무부의 재량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반기를 계양해야 할 때는 수직 길이를 낮추지 않는다. 대신, 기 꼭대기나(기둥에 걸려 있는 경우) 기가 교차하는 양 끝(배너처럼 걸려 있는 경우)에 검은 리본을 달아서 애도를 표한다. of the Holy Roman Empire (1200-1350).svg|섬네일| 신성로마제국의 군기(13세기 ~ 14세기) 신성 로마 제국은 국기가 없었지만 흑색과 금색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의 색깔로 사용되었으며 황제기에도 금색 배경과 검은색 수리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13세기 말기 ~ 14세기 초기 이후 수리의 발톱과 부리가 적색으로 칠해졌다. 15세기 초부터는 쌍두 수리가 사용되었다. 1804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프랑스 제1제국의 수립을 선언했다. 이에 대응하여 합스부르크 왕조의 신성 로마 황제 프란츠 2세는 자신의 사유영지(합스부르크 군주국)를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선포하고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1세가 되었으며, 오스트리아 제국의 국기는 신성 로마 황제의 기에서 색깔을 따와 흑색과 금색 줄무늬를 칠했다. 나폴레옹이 1806년에 신성 로마 제국을 해체시킴으로써 프란츠 2세는 최후의 신성 로마 황제가 되었다. 그 뒤로도 흑색과 금색은 1918년까지 오스트리아의 국기에 사용되었다. 이 시기 적색과 백색 역시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신성로마제국이 십자군에 참여했을 당시, 흑색-금색의 황제기와 함께 군기가 사용되었다. 이 군기는 "성 조지 기"(saint george flag)라고 하며, 적색 바탕에 백색 십자가가 그려진 기였다. 성 조지 기의 색깔은 덴마크의 국기와 유사하며, 이 색깔을 뒤집은 것이 잉글랜드의 국기이다. 적색과 백색은 한자 동맹(13세기 ~ 17세기)의 색깔이기도 하다. 한자 동맹의 교역선들은 적백 삼각기를 달아 구분했으며, 한자 동맹 가맹 도시국가들은 적색과 백색을 도시 색상으로 선택했다(한자 동맹의 기 참조). 과거 한자 동맹 가맹도시였던 함부르크나 브레멘은 오늘날의 시기에도 적색과 백색을 사용하고 있다. 구엘프와 기벨린의 분쟁이 일어나던 12세기 ~ 14세기 북부 이탈리아에서, 기벨린(신성로마황제 지지파)의 군대는 신성 로마 황제의 군기(적색 바탕에 백색 십자)를 채택하였으며, 구엘프(황제 반대파)는 색깔을 뒤집은 기(백색 바탕에 적색 십자)를 사용했다. 이 두가지 도식은 현대의 이탈리아 북부 도시들의 문장에 남아 그 과거 파벌 성향을 짐작케 한다. 대표적인 기벨린 도시였던 파비아, 노바라, 코모, 아스티는 지금까지 문장에 기벨린 십자를 사용하고 있다. 구엘프 십자는 제노바, 밀라노, 베르첼리, 알레산드리아, 레지오, 볼로냐 등에서 찾을 수 있다. Hodler 001 .jpg|섬네일|뤼트초프 자유군단의 대학생들. 페르디난트 호들러 작(1909년). 신성로마제국이 1806년에 붕괴하고, 그 예하 공국들과 대공국들은 나폴레옹의 괴뢰국들의 연합체인 라인 동맹에 가맹했다. 라인 동맹에 가맹한 여러 제후국들은 자기들 각자 깃발을 쓰기를 선호했고, 동맹은 자체 깃발은 없었다. 대신 프랑스의 청백적 삼색기와 보호자인 황제 나폴레옹의 황제기를 사용했다. 나폴레옹 전쟁 당시 프랑스 침략군에 대한 독일의 저항은 흑색, 적색, 금색의 삼색으로 상징되었다. 이것은 대개 프로이센 육군의 의용군인 뤼트초프 자유군단의 제복 색깔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이 부대의 제복은 흑색에 그 끝동은 적색이었고 단추는 금색이었다. 흑적금 삼색은 신성로마제국 시절에도 사용되긴 했지만, 군복에 이 색깔을 차용한 것은 다분히 실용적인 이유였다. 자유군단의 구성원들은 자기 옷을 각자 조달해야 했는데, 이것을 하나의 통일된 복식으로 맞추자니 몽땅 시커멓게 물들여 버리는 것이 가장 편했던 것이다. 금색 단추들은 널리 사용되고 있었고, 부대의 창기병들이 사용한 깃이 적색과 흑색이었다. 이때 이 삼색이 상징하는 것은 다음과 같았다. 피투성이 (적색)의 싸움을 통해 암흑 (흑색)의 노예 상태를 벗어나 자유의 광명 (금색)을 찾으리라. 독일 전역에서 모인 뤼트초프 자유군단 구성원들은 주로 대학생들과 식자들이었고, 뤼트초프 자유군단과 그 삼색은 독일 국민들 사이에 상당한 인지도를 얻게 되었다. 1815년에서 1816년에 걸쳐 열린 빈 회의의 결과 나폴레옹 전쟁 이후 잔존한 모든 독일계 국가들의 느슨한 연합체인 독일 연방이 탄생했다. 연방은 이제는 사라지고 없는 신성 로마 제국을 대체하는 의미에서 만들어졌으며, 최후의 신성 로마 황제였던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2세가 연방 의장이 되었다. 연방은 자체적인 기는 없었는데, 종종 흑적금 삼색기가 독일 연방의 기로 혼동되기도 한다. Fest 1832.jpg|섬네일|왼쪽|1832년 5월 함바흐 축제. 전쟁이 끝나고 돌아온 뤼트초프 자유군단의 재향군인들은 1815년 6월에 예나에서 우어부르셴샤프트(; "원조 학우회") 조합을 결성했다. 예나 우어부르셴샤프트는 자유군단의 제복 색깔을 그대로 따서 적색, 흑색, 적색 가로줄무늬에 금색 테두리를 친 기를 사용했다. 검은색 띠 위에는 금색 나무가지가 그려졌다. 뤼트초프 자유군단에 복무했던 대학생들이 여러 독일계 국가에서 모였었기 때문에, 우어부르셴사프트를 비롯하여 이와 유사한 부르셴샤프트(; "학우회")들 사이에서 통일 독일 국가에 대한 구상이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1817년 10월 18일, 라이프치히 전투 4회 기념일 당시, 연방국가들 전역에서 모인 학우회 조합원들과 대학생들이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현재의 튀링겐 자유주)의 바르트부르크에 모여 자유롭고 통일된 독일 국가를 요구하였다. 이 바르트부르크 축제 당시 예나 우어부르셴샤프트의 금-적-흑 삼색기가 특히 눈에 띄었고, 이후 흑색, 적색, 금색 조합은 통일 독일 국가에 대한 열망의 상징이 되었다. 하지만 현상유지를 원했던 오스트리아 제국은, 1819년 카를스바트 결의를 통해 모든 학생조직을 금지시켰고, 부르셴사프트들의 시대는 끝이 났다. 1832년 5월, 약 30,000 명의 사람들이 함바흐 축제에서 자유, 통일, 공민권을 요구하며 데모를 벌였다. 바르트부르크 축제 이후 흑색, 적색, 금색 색조합은 자유주의, 민주주의, 공화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정착해 있었고, 함바흐 축제에서 이 색깔의 깃발들이 일제히 휘날렸다. 축제를 묘사한 현대의 그림들은 주로 금-적-흑 삼색기(현대 독일의 국기가 뒤집힌 형태)를 묘사하곤 하지만, 현재까지 남아있는 깃발들은 흑-적-금 삼색기들이다. 당시 함바흐 성에 내걸렸던 깃발을 "최초의 깃발"()이라 하여 현재 함바흐 성에 영구보존되어 있는데, 이 깃발은 흑-적-금 삼색기에 적색 띠 부분에는 "독일의 재탄생"()이라는 글자가 수놓아져 있다. 1848년 3월 베를린 혁명 현장. of the German Confederation (war).svg|섬네일| 독일 제국함대의 군기(1848년 ~ 1852년) 1848년 독일 혁명이 일어나고, 거리 곳곳의 민중들은 삼색기를 휘날렸다. 자유주의자들이 권력을 잡았고, 오랜 숙고 끝에 국가 의회가 형성되었다. 이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는 흑색-적색-금색을 독일의 공식 색상으로 선언하고, 흑적금 삼색기가 독일의 상선기라는 법을 통과시켰다. 또한 해군기 역시 동일한 색상을 사용했다.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는 1850년에 붕괴하고, 오스트리아가 의장국 노릇을 하는 독일 연방이 복고되었다. 오스트리아는 삼색기를 포함하여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의 움직임들을 억압하였다. 이후 다민족 제국이었던 오스트리아를 미래의 독일 국가에 포함시킬 수 있느냐의 문제가 쟁점이 되었다. 오스트리아를 맹주로 하여 거대제국을 만들자는 대독일주의()와 오스트리아를 제외하고 게르만 민족이 살고 있는 땅끼리만 통합하자는 소독일주의()가 대립하였다. 독일 연방 내의 양강인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의 이원대립구도는 결국 1866년 보오전쟁으로 폭발했다. 보오전쟁 와중 오스트리아 편에 붙은 남독일 국가들은 흑적금 삼색기를 사용하였다. 전쟁 결과 프로이센 왕국이 맹주가 된 북독일 연합이 오스트리아를 격파하고, 몇년 뒤 소독일주의에 따른 독일 통일이 진행되기 시작했다. of the German Empire.svg|섬네일|2:3 북독일 연방(1866년 ~ 1871년)과 독일 제국(1871년 ~ 1918년)의 기. 바이마르 공화국 초기(1918년 ~ 1919년)에도 사용되었으며, 1922년 ~ 1933년에는 외무용으로 사용되었다. 나치 정권 치하에서는 1933년부터 1935년까지 비율이 다르고 색상은 같은 기가 사용되었다. 독일 연방이 해산됨에 따라, 프로이센은 1866년 8월에 북독일 연방 조약을 맺고 1867년에 북독일 연방 헌법을 추인함으로써 독일 연방의 비공식적인 계승자인 북독일 연방을 성립시켰다. 이 연립체는 맹주 프로이센을 비롯하여 21개의 북독일 국가로 이루어져 있었다. 국제적인 인식표를 갖고 싶었던 해운업계에서 새로운 연방의 기가 무엇이 되어야 하는 의문을 가장 먼저 제기하였다. 북독일 연방의 국제 해운 활동은 프로이센과 과거 한자 도시국가였던 브레멘, 함부르크, 뤼베크가 사실상 전담하고 있었다. 함부르크 상공회의소 서기였던 아돌프 쇠트비어(Adolf Soetbeer)가 이 점에 착안하여 1866년에 프로이센의 색상인 흑색과 백색에 한자 동맹의 색상인 적색과 백색을 더한 기를 제안했다. 이듬해 북독일 연방 헌법은 흑백적 가로 삼색기를 상선기와 해군기로 채택하였다. 빌헬름 1세는 이 색상 선택을 매우 마음에 들어 했다. 적색과 백색은 프로이센 왕국의 전신인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의 상징색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금색이 사라진 것 역시 이 새로운 독일 국가가 흑색과 금색을 상징색으로 하는 오스트리아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냈다. 보불전쟁 이후 남독일 국가들이 북독일 연방에 합쳐져 독일의 통일이 이루어졌고, 프로이센의 호엔촐레른 왕가가 1871년 독일 황제의 위에 올랐다. 독일 제국 헌법은 흑색, 백색, 적색을 국가색으로 정했으며, 북독일 연방에서 사용하던 삼색기가 1892년에 정식으로 제국 국기로 지정되었다. 흑백적 삼색기는 독일 제국이 붕괴한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마지막 날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of Germany (3-2 aspect ratio).svg|섬네일|2:3 바이마르 공화국의 기(1919년 ~ 1933년). 1918년 독일 공화국의 선언과 뒤이은 혁명기를 거쳐 1919년 8월 소위 바이마르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19세기의 반독재 운동과 신생 민주공화국 사이의 연결점을 만들기 위해, 옛날의 흑적금 삼색기가 1919년 바이마르 헌법에 따라 국기로 지정되었다. 로이스그라이츠 후국, 로이스게라 후국, 발데크 후국 등 자그마한 독일계 제후국들과, 발데크 후국을 계승한 공화국인 발데크 자유주 역시 국기 비율과 색 배치 순서는 달라도 흑적금의 삼색을 유지한 바 있다. 상선기에는 제국 시절 국기인 흑백적 삼색기가 유지되었으나, 왼쪽 구석에 새로운 흑적금 삼색기가 칸톤으로 추가되었다. Lasst die alten Fahnen wehn 1932.jpg|섬네일|왼쪽|“옛날 깃발을 나부끼게 하자” 왕당파 국가인민당의 선거 포스터. 1932년. 그러나 국기의 변화는 많은 독일인들에게 환영받지 못했다. 그들은 국기의 변화를 1차대전에서 패배한 결과에 따른, 수치의 상징이라고 생각하였다. 독일 국가방위군()은 예전 삼색기를 계속 사용했으며, 보수주의자들은 예전 색상으로 회귀할 것을 요구했다. 왕당파와 극우분자들은 새로운 국기를 갖은 멸칭(전술한 #금색? 황색? 참조)으로 비하하면서 더욱 강경하게 반발했다. 결국 타협안으로서 1922년, 해외 외교관 공관용으로 흑백적 삼색기가 재도입되었다. 제정 독일의 상징은 곧 왕당파와 국가주의자들의 상징이 되었으며, 전선병사동맹 철모단 따위 왕당파 국가주의자 단체에서 사용되었다. 독일 제국 시절의 군기인 독일 제국전쟁기() 역시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국가인민당(좌측 포스터를 볼 것)과 국가사회주의 독일노동자당(나치당) 등 바이마르 시기 활동한 많은 국가주의 정당들은 제국 색상을 상징색으로 사용했으며, 이것은 현대 독일의 극우민족주의 정당인 독일 민족민주당까지 이어지고 있다. 1924년 2월 24일, 바이마르 대연정을 구성한 3개 정당(중앙당, 민주당, 사민당)의 당원들과 노동조합원들이 마그데부르크에 모여 흑적금 국기단()이라는 조직을 결성했다. 이 조직의 목적은 극좌와 극우 양쪽에서 끊임없는 압박을 받는 바이마르 공화국의 취약한 민주주의를 보위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단체를 통하여 흑적금 삼색기는 독일 민주주의의 상징일 뿐 아니라, 정치적 극단주의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거듭났다. 이것은 국기단의 초대 주석인 오토 회슬링의 말로 대표된다. 그는 국기단의 임무를 “스바스티카와 소비에트의 별에 대한 투쟁”이라 묘사하였다. 공산주의자들과 국가사회주의자들 사이의 분쟁의 폭력성이 날이 갈수록 더해갔고, 극심한 경제 불황과 무지막지한 하이퍼인플레이션, 공화국의 부패로 독일인들 사이의 양극화는 계속하여 심화되었다. 결국 바이마르 공화국은 1933년에 붕괴하였고, 나치가 권력을 장악()했으며, 아돌프 히틀러가 독일의 제국총리()가 되었다. 3:5 독일의 국기(1933년 ~ 1935년). 제국 시절 국기와 배색은 같고 비율이 다르다. 3:5 독일의 국기(1933년 ~ 1945년). 1933년 1월 30일, 나치 정권이 수립되었고, 흑적금 삼색기는 걸레짝이 되었다. 동년 3월 12일, 법으로 두 가지 기를 국기로 정했는데, 하나는 제국 시절 삼색기를 재도입한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나치당 당기였다. 독일 제국대통령() 파울 폰 힌덴부르크가 죽고 1년 뒤인 1935년 9월 15일, 히틀러는 대통령과 총리를 합친 총통()이 되었다. 이후 국기를 두 개 쓰던 것은 끝났고, 나치 당기만이 독일의 유일한 국기로 사용되게 되었다. 그 이유 중 하나로 1935년 7월 25일에 발생한 "브레멘 사건"이 거론되고 있다. 이때 한 무리의 시위자들이 뉴욕에 정박중이던 독일 배 SS 브레멘( SS Bremen )에 난입하여 이물 깃대에 걸려 있던 나치 당기를 내려서 찢어버린 뒤 허드슨 강에다 처박아 버렸다. 독일 대사관이 항의하자 미국 공무원들은 독일 국기는 손상을 입지 않았으며 손상된 것은 일개 정당의 상징일 뿐이라고 대꾸했다. 새로운 국기법이 뉘른베르크에서 열린 연례 당대회에서 발표되었고, 이 자리에서 헤르만 괴링은 흑백적 삼색기는 지나간 시절의 상징이며 "반동분자들"이 사용할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 나치 기의 디자인은 1920년대 중반에 히틀러가 제안했으며, 처음에 당기로 사용되었다. 적색 배경에 백색 원반과 흑색 하켄크로이츠가 중앙에 위치한 모양이다. 《나의 투쟁》에서 히틀러는 나치 기가 만들어진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우선 제국 시절의 깃발과 같은 색상을 사용해야 한다. 히틀러의 의견에 따르면 그 색상들은 "영광스러운 과거와 독일 민족의 영광에 대한 존경을 나타내는 존경받는 색상"이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점은 "새로운 기는 … 거대한 포스터와 같은 효율성을 지녀야 한다.” 왜냐하면 “수백 수천 가지 경우에서 매우 눈에 띄는 엠블렘이야말로 운동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제1요인”이기 때문이다. 나치 프로파간다는 기가 상징하는 바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적색은 사회를, 백색은 운동의 국가적 사고를, 하켄크로이츠는 유대인에 대한 아리안 민족의 승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러 사람들에 의해 여러 가지의 디자인이 제안되었지만, 최종적으로 결정된 것은 히틀러가 직접 만든 디자인이었다. 백색 원반이 중앙에서 벗어난 하켄크로이츠 기는 독일 선적의 민간 선박의 상선기로 사용되다가, 독일 전쟁해군() 군함의 해군기로 사용되었다. 해상에서 사용된 하켄크로이츠 기는 "왼쪽을 바라보는" 것과 "오른쪽을 바라보는" 것이 따로 있어 좌현과 우현에 각각 게양되었다. 한편 국기로 사용된 것은 어느 쪽에 게양되든 모두 오른쪽을 바라보는 기가 사용되었다. 1933년부터 일러도 1938년까지, 나치는 하켄크로이츠 기들을 피의 기()로 건드림으로써 기를 "정화"하였다. 피의 기란 나치 패거리가 1923년 맥주홀 폭동을 일으켰을 때 사용한 하켄크로이츠 기이다. 이 행사는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때마다 행해졌다. 1938년 최후의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이후에도 이 짓을 계속했는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난 후 금기시되면서 하켄크로이츠가 나치즘을 선전하거나 광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금지되었다. 2:3 독일의 국기 (1946년 ~ 1949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이후, 점령된 독일 지역은 연합군이 분할 통치하게 되었다. 이 당시 독일 정부 및 독일 국기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국제법 상 독일 함선은 국기를 달아야 할 필요가 있었다. 결국 연합국 점령위원회는 국제 신호기에서 스왈로테일 끝에 C를 상징하는 C-삼각기()로 알려진 기를 지정했다. 위원회는 "이 기에 대해 모든 국적의 군함이나 상선에 대한 경례를 표하기 위해 기를 올렸다가 내리는 식을 할 수 없다"라고 정했다. 마찬가지로, 점령된 일본 지역에서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스왈로테일 끝에 E를 상징하는 신호기를 사용했다. 오데르-나이세 선 서부의 독일 주들은 점령 지역을 따라 재편되었으며 새로운 주 정부가 수립되었다. 미국 점령 지역 내에서 옛 뷔르템베르크 자유주 및 바덴 공화국의 북부 절반이 1946년 뷔르템베르크바덴 주로 통합되었다. 이 주의 주기는 검정-빨강-황금색 삼색기로 선정했다. 이러한 색상 선색은 삼색기의 역사적 사용 방식에 근거하진 않았지만, 빨강-검정으로 이루어진 뷔르템베르크 주기에 황금색을 추가한 간단한 방식이었다. 공교롭게도 바덴 주의 주기는 빨강-노랑으로 색상 선택이 두 주기의 조합으로 오해받을 수 있었다. 1952년 뷔르텐베르크바덴 주는 현대의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일부가 되었으며, 주기는 검정-황금으로 선정했다. 전후 만들어진 2개의 다른 주인 라인란트팔츠주(프랑스 점령 지역) 및 니더작센주(영국 점령 지역)은 주기에 휘장을 덧붙인 검정-빨강-황금색의 삼색기를 공통으로 이용하기로 결정했다. 이 두 주는 다른 주의 일부분에서 떼어져서 새롭게 만들어진 주였으며, 이전 주에서 가져올 색상 조합이 없었기 때문에 이렇게 새로운 주기를 받아들였다. 다음과 같은 두가지 이유로 검정-빨강-황금색의 삼색기를 이용했다. 이 색상은 이전 주의 어느 하나와 특별하게 관련이 있지 않았으며, 이전의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사용한 국기로 민주주의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3:5 독일연방공화국의 국기 (1949년~현재)독일민주공화국의 국기 (1949~1959년) 3:5 독일민주공화국의 국기 (1959~1990년) of German Olympic Team 1960-1968.svg|섬네일|200px|왼쪽|1960년부터 1968년 올림픽까지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에서 사용한 깃발. 1955년 복싱 인터네셔널 당시 독일민주공화국 국기를 든 모습. 소련과 미국의 관계가 점점 악화되면서 1948년 3월 영국, 프랑스, 미국 3개 연합국은 회담을 가져 3개 연합국 점령지역을 하나로 합치고 흔히 서독으로 알려진 독일연방공화국 창설을 승인했다. 한편 동쪽의 소련 점령 지역도 흔히 동독으로 알려진 독일민주공화국이 되었다. 서독이 새 헌법을 만들 준비를 하는 동안, 1948년 8월 헤렌킴제에서 국가 상징을 무엇으로 할지에 대한 회의를 열었다. 동독과 재통일 하기 전까지는 국기를 만들지 말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결국에는 국기를 정하기로 결정했다. 이 움직임은 1946년 11월 동독의 독일 통일사회당(SED, 통사당)이 헌법을 제안하면서 가속화되었으며, 여기서 흑적금의 독일 공화국을 나타내는 색상을 국기로 하기로 결정했다. 새로운 서독 국기에 대해 많은 제안이 올라왔지만, 최종 경선에는 둘 다 흑적금 색을 사용한 다른 형태의 국기 2개로 좁혀졌다. 독일 사회민주당(SPD, 사민당)은 기존 바이마르 공화국의 국기를 재도입하자고 주장했고, 반대로 독일 기독교민주연합/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CDU, 기민련/CSU, 기사련) 및 독일당 등 보수정당은 의회 위원회(Parlamentarischer Rat)의 위원이자 독일의 총리 콘라트 아데나워의 미래 고문이었던 어니스트 비르머가 제안한 디자인을 지지했다. 비르머는 그의 형제이자 7월 20일 음모에 관여했던 조시프 비르머가 만들었던, 흑적금 색깔에 스칸디나비아 십자가 그려진 1944년 "저항기" 디자인을 변형한 형태였다. 바이마르 공화국과 새로운 서독 정부 사이의 연속성을 주창하기 위해 최종적으로는 삼색기가 결정되었다. 1949년 5월 23일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을 제정하면서 흑적금 삼색기가 서독의 공식적인 국기가 되었다. 1955년에는 프랑스가 장악했던 자르 보호령이 서독에 합병할지에 대한 투표를 열었다. 1947년 프랑스의 보호령으로 분리되어 독립한 이래, 자르 보호령은 청적 배경의 스칸디나비아 십자가 그려진 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자르가 서독의 한 주로 병합되면서 1956년 7월 9일 자를란트에 흑적금 국기에 이날 새로 만들어진 자를란트의 문장이 그려진 기를 주기로 채택했다. 이 기는 1957년 1월 1일 서독의 자를란트주로 편입되면서 공식적인 주기가 되었다. 1946년, 소련 점령 지역에서 흑적금 국기의 사용을 제안했으나 1948년 2차 인민 대표 회의에서는 동독의 국기로 구 독일 제국의 흑백적 국기를 사용하기로 했다. 이 국기는 전쟁 말기 2년간 소련 측에서 운영했던 독일의 반나치즘 조직인 자유 독일을 위한 국가위원회가 사용했던 색을 기반으로 선택한 것이었다. 1949년에는 동베를린의 시장인 프리드리히 에베르트가 1949년 10월 7일 개국한 독일 민주 공화국의 국기로 흑적금 국기를 제안했으며 이를 채택했다. 1949년부터 1959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국기는 동일했다. 1959년 10월 1일 동독 정부는 흑적금 국기 가운데에 동독의 국장을 더한 국기로 바꾸었다. 서독에서는 이러한 국기 변화를 두 독일 국가를 분리시킬려는 의도로 보았다. 서독과 서베를린에 이 바뀐 동독 국기를 보이는 것은 "국기분리"()라고 하여 헌법 위반으로 간주하였고, 1960년대 말까지 이러한 행위를 금지했다.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은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이라는 단일팀으로 동계 올림픽과 하계 올림픽에 참여했다. 1959년 동독의 국기가 바뀐 이후 어느 쪽도 상대방 국가의 국기를 사용하려고 하지 않았다. 이에 타협하여 1960년부터 1964년까지 흑적금 국기에, 빨강 줄에 흰색 올림픽 상징을 덧댄 새로운 기를 사용했다. 1968년 독일 국가 선수단은 서독과 동독으로 갈라져 출전했으나 두 팀 모두 같은 올림픽 깃발을 사용했다. 1972년부터 1988년까지는 서독과 동독이 서로 각각의 국기를 사용하였다. Cup 2006 German fans at Bochum.jpg|섬네일|왼쪽|2006년 FIFA 월드컵에서 독일의 국기를 흔들고 있는 독일의 축구 팬들 1989년 11월에 있었던 베를린 장벽의 붕괴 이후에 동독 국민들은 1956년 헝가리 혁명에 가담한 헝가리 국민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처형 당시의 루마니아 국민들과 마찬가지로 국기에 그려져 있던 국장을 제거했다. 국장을 제거한 형태의 검정-빨강-노랑의 순수한 삼색기는 통일되고 민주적인 독일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1990년 10월 3일을 기해 동독이 서독에 흡수되면서 소멸되었고 검정-빨강-노랑 삼색기는 재통일된 독일의 국기가 되었다. 1998년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독재의 재평가를 위한 재단이 설립되었다. 이 단체는 옛 동독 체제의 결과를 조사하는 것에 대한 연방 정부의 직접적인 책임을 목적으로 했다. 이 단체의 로고는 동독의 국기에서 국장을 제거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 독일 제국 시대에 쓰인 옛 검정-하양-빨강 삼색기는 독일이 평화적인 방식으로 민주적인 군주제 국가로 복귀하기를 원하는 군주주의자, 독일 귀족 출신 인사들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다. 옛 국기는 일반적으로 극우주의 진영에서 널리 사용되어 완전히 퇴색되었다. 독일에서는 만자문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나치당이 1935년에 금지시켰던 옛 삼색기를 대신 사용하고 있다. 나치와 관련된 상징은 독일과 그 외의 국가에서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독일에서 출시되는 제2차 세계 대전과 관련된 컴퓨터 게임에서는 나치와 관련된 깃발이 1933년 이전의 바이마르 시대에 사용된 국기 또는 현재의 삼색기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나치당과 나치의 민족주의적 성향으로 인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독일에서는 국기나 그 외의 국가 상징이 사용되는 경우가 적은 편이다. 국기는 국제적인 스포츠 행사에 참가하는 시민, 특별한 행사를 주최하는 공식 당국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바이에른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와 같은 일부 주 또는 바덴, 프랑켄과 같은 역사적 지역에 사는 주민들은 국기 대신 지역의 기를 널리 사용한다. 독일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에서는 국기를 공개적으로 사용하는 현상이 급격히 증가했다. 국기가 인기를 끌었을 때에 독일 국민들은 처음에는 놀라움과 불안의 혼합물, 수십년 전의 공포로 여겼지만 대회가 끝난 이후에는 독일의 국기를 흔드는 행동이 국가의 자긍심으로 여겨졌다. of Bavaria-Landshut.svg|바이에른 공국의 국기555년 경-1623년 Flag 1657-1701 (new).svg|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의 국기1157년-1806년 of Electoral Saxony.svg|작센 선제후국의 국기1356년-1806년 of the Electorate of Bavaria.svg|바이에른 선제후국의 국기1623년-1806년 Meiningen.png|작센마이닝겐 공국의 국기1675년-1918년 of Hanover (1692).svg|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선제후국의 국기1692년-1807년 of Bavaria (striped).svg|바이에른 왕국의 국기1806년-1918년 Herzogtum Nassau (1806-1866).svg|나사우 공국의 국기1806년-1866년 of the Kingdom of Westphalia.svg|베스트팔렌 왕국의 국기1807년-1813년 of Hanover 1837-1866.svg|하노버 왕국의 국기1814년-1866년 of the German Confederation (war).svg|독일 연방의 국기1815년-1866년 Herzogtum Sachsen-Coburg-Gotha (1911-1920).svg|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의 국기1826년-1918년 of the German Empire.svg|북독일 연방의 국기1867년-1871년 of North Rhine-Westphalia.svg|라인 공화국의 국기1923년-1924년 독일의 국장 한자 동맹의 기 프로이센의 국기 독일 제국전쟁기 자를란트 주의 기 G. Anrich, A. u. G. Cronford Das Flaggenbuch . Otto Maier, Ravensburg 1983, . Jörg-M. Hormann, Dominik Plaschke Deutsche Flaggen. Geschichte, Tradition, Verwendung . Edition Maritim, Hamburg 2006. . Ottfried Neubecker Heraldik . Wolfgang Krüger Verlag, Frankfurt am Main 1977. . Peter Reichel Schwarz-Rot-Gold. Kleine Geschichte der deutschen Nationalsymbole . Beck, München 2005. . W. Smith, O. Neubecker Die Zeichen der Menschen und Völker. Unsere Welt in Fahnen und Flaggen . Reich Verlag AG, Luzern 1975. . Veit Valentin, Ottfried Neubecker Die deutschen Farben . Leipzig 1929. Paul Wentzcke Die deutschen Farben, ihre Entwicklung und Deutung sowie ihre Stellung in der deutschen Geschichte. (Quellen und Darstellungen zur Geschichte der Burschenschaft und der deutschen Einheitsbewegung, 9), Heidelberg 1927, 2. Aufl. 1955. Flags of the World의 독일 국기 All medieval flags of Germany Imperial German Empire Army Colours Verordnung über die deutschen Flaggen vom 11. April 1921 Anordnung über die deutschen Flaggen vom 13. November 1996 Beflaggungserlass der Bundesregierung vom 22. März 2005 Corporate Design der Bundesregierung „Schwarz-Rot-Gold“ – Symbol der Einheit Informationen zu den deutschen Flaggen mit weiterführenden Links und Literaturhinweisen Beschreibung der Reichsflagge des Heiligen Römischen Reiches Entstehung und Ursprung der schwarz-rot-goldenen Flagge Erardo Cristoforo Rautenberg Schwarz-Rot-Gold Das Symbol für die nationale Identität der Deutschen! . (PDF; 2,31 MB) 분류:국기 국기
슬로베니아 ()는 중앙유럽과 남유럽에 있는 나라로 알프스 산맥 끝부분과 지중해와 접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이탈리아, 서남쪽으로는 아드리아 해, 남동쪽으로는 크로아티아, 북동쪽으로는 헝가리, 북쪽으로는 오스트리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수도는 류블랴나이다. 슬로베니아는 게르만, 라틴, 슬라브 문화가 만나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어서 천년 가까이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크로아티아 등 주변 나라의 영향을 받았다. 슬로베니아 영토의 40% 가량은 산지나 고원 등 고지대로 국토 내륙 지방에 자리 잡고 있다. 슬로베니아에서 가장 높은 산은 트리글라브 산이다. 인구 대다수는 공용어인 슬로베니아어를 쓰며, 그 밖 지역 공용어로 헝가리어와 이탈리아어가 있다. 슬로베니아는 유럽 연합, 유로존, 솅겐 조약, 유럽 안보 협력 기구, 유럽 평의회, 북대서양 조약기구, 유네스코, 세계 무역 기구, 경제 협력 개발 기구, 유엔 가입국이다. 슬로베니아는 크로아티아 등 주변 국가들과 함께 발칸반도라는 삼각형 모양의 반도에 속해있다. 발칸반도를 여행할 때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 나라들을 투어로 함께 여행할 수 있다. 서기 1000년경부터 아드리아 해 연안을 통제해온 베네치아 공화국에 저항하기 위해 주변의 크로아티아·달마티아와 함께 1102년 헝가리 왕을 군주로 받아들였다. 18세기 말, 오스트리아는 슬로베니아를 계속 영유하였고 1919년, 슬로베니아는 오스트리아로부터 독립하였다. 예전에는 유고슬라비아의 영토였으나 1992년에 독립했다. 2004년 3월 29일에는 NATO에 가입했으며 2004년 5월 1일에는 유럽 연합에 가입했다. 2007년 1월 1일에는 유로를 공식 통화로 지정했다. 현재는 정치가 안정되어 있다. 2008년 9월 22일에 슬로베니아는 총선에서 중도좌파 야당인 사회민주당이 승리했다. 슬로베니아는 알프스 산맥, 판노니아 평원이 있으며, 가장 높은 산은 트리글라브 산으로 높이는 2,864m이다. 일부 지역이 아드리아 해에 접해 있으나, 이 지역을 제외하면 내륙국이나 다름없다. 국토 전체의 보통 해발 고도는 해발 557m 이상이다. 거의 국가 절반 이상이 숲이다. 이 때문에 슬로베니아는 유럽 대륙에서 핀란드, 스웨덴에 이어 세 번째로 가장 많은 숲을 보유한 국가이다. 해안가는 지중해성기후가 어느 정도 나타나고 대륙 내부와 알프스 인근 지역에서는 여름에는 무덥고 겨울에는 추운 양상을 보인다. 평균 기온은 1월에 -2도, 7월에 영상 21도이다. 해안가의 평균 강수량은 1,000mm이고 알프스 인근에는 3,500mm 이상의 비가 내린다. 수도는 류블랴나이다. 슬로베니아는 193개의 시(자치체)가 있다. 그중에서 특히 인구가 많은 11개의 시는, 특별시에 속해있다. 주민은 슬로베니아인이 89%, 남슬라브계(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보스니아인, 몬테네그로인, 마케도니아인 등)이 10%, 기타(헝가리인이나 이탈리아인, 체코인, 알바니아인, 독일인, 기타)는 0.5%이다. 여성 1인당 합계출산율은 2004년 현재 (Eurostat 추정) 1.22명으로 유럽연합 내에서 가장 적다. 2005년 현재 천명당출산율은 8.8명, 천명당사망율은 9.2명이다. 언어는 슬로베니아어가 공용어이다. 제 2 언어로 영어가 보급되어 있다.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헝가리어도 쓰인다. 한편, 슬로베니아는 프랑스어사용국기구(프랑코포니)의 참관국이다. 종교는 로마 가톨릭교회가 거의 대부분이다. 약간의 개신교, 세르비아 정교회, 이슬람교, 유대교, 불교, 조로아스터교, 도교, 힌두교 등도 있다. 가톨릭의 비율은 2002년 센서스에 따르면 57.8%이다. 가장 최근의 2005년 Eurobarometer Poll에 따르면 37%의 슬로베니아인이 "신이 있다고 믿는다"고 답했으며, 46%는 "일종의 영혼이나 생명력이 있다고 믿는다"고 답했다. 그리고 16%는 "영혼이나 신, 생명력과 같은 것이 있다고 믿지 않는다"고 답했다. 대 한국 관계 대한민국은 1992년 슬로베니아를 승인했으며 동년 11월에 수교하였다. 대한민국은 주오스트리아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으며 슬로베니아는 대한민국 공관을 주일본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다. 수도인 류블라냐에 코트라사무소가 상주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92년에 수교하였다. 2002년 FIFA 월드컵 때 슬로베니아는 B조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대표팀을 대한민국으로 파견하였다. (A, B, C, D조는 대한민국, E, F, G, H조는 일본) 이 나라는 아직 한국과의 직항편을 개설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제 3국을 경유해서 슬로베니아에 가야 한다. 대 헝가리 관계 1102년에 슬로베니아는 크로아티아, 달마티아와 함께 헝가리의 왕을 자신들의 군주로 받아들였다. 대 오스트리아 관계 예전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안좋은 관계도 있지만, 우호적인 관계도 유지하고 있다. 대 세르비아 관계 슬로베니아는 예전엔 유고슬라비아를 구성하던 공화국의 하나였지만, 1991년에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뒤에 10일 전쟁이 일어났다. 유고슬라비아 분쟁과 10일 전쟁의 영향으로 세르비아와는 안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대 러시아 관계 슬로베니아는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에 러시아와 수교를 했다. 미국과 유럽 연합과의 관계가 강하지만, 러시아와의 우호적인 관계도 유지하고 있다. 그 밖의 대외 관계 슬로베니아는 미국, 유럽 연합과의 관계가 매우 강하며, 2004년에 유럽 연합에 가입했다. 그리고 공식 통화도 이후 유로로 바꿨다. 슬로베니아의 국기는 슬로바키아의 국기와 매우 유사하지만, 전혀 다른 형태를 지니고 있다. Slovenia.si. Your gateway to information on Slovenia.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Slovenia 슬로베니아 공식 여행 가이드 슬로베니아의 산맥 주오스트리아 대사관의 슬로베니아 설명 슬로베니아 해외여행(슬로베니아편) 슬로베니아 개요 슬로베니아에 대하여 론리플래닛의 정보(슬로베니아편) CIA의 세계정보(슬로베니아편) 분류:슬라브어권 분류:슬로베니아어권 분류:세르비아어권 분류:크로아티아어권 분류:독일어권 분류:이탈리아어권 분류:유엔 회원국 분류:유럽 연합 회원국 분류:유럽 평의회 회원국 분류: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 분류:경제 협력 개발 기구 회원국
RSS ()는 뉴스나 블로그 사이트에서 주로 사용하는 콘텐츠 표현 방식이다. 웹 사이트 관리자는 RSS 형식으로 웹 사이트 내용을 보여 준다. 이 정보를 받는 사람은 다른 형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RSS 리더에는 웹기반형과 설치형이 있다. 웹기반형 리더는 간단한 계정등록으로 어디에서든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RSS가 등장하기 전에는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해당 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여야 했으나, RSS 관련 프로그램(혹은 서비스)을 이용하여 자동 수집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사용자는 각각의 사이트 방문 없이 최신 정보들만 골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다. 또한 RSS는 팟캐스팅과 같은 미디어 배포의 용도로도 사용된다. RSS 2.0 의 〈enclosure〉태그 내에 MP3 나 MOV 등의 미디어 파일을 첨부하여 배포하면, 팟캐스팅 클라이언트를 이용해 파일을 내려 받아 감상할 수 있다. RSS 2.0은 공식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선언되었으며, 하버드 대학교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다. RSS는 XML 기반의 표준이며, 여러 표준들이 존재한다. 표준들은 크게 RDF (또는 RSS 1.*)과 RSS 2. 로 나뉜다. RDF (RSS 1.*) * RSS 0.90 * RSS 1.0 * RSS 1.1 RSS 2.0 * RSS 0.91 * RSS 0.92 * RSS 2.01 제목 주소/ 설명 (짤막하게) 제목 주소/글 주소 글 내용 전체(또는 일부) 시간 주소/글 주소 제목 주소/글 주소 글 내용 시간과 날짜 주소/글 주소 RSS와 아톰 모두 모든 주요 피드리더들에게 널리 지원된다. 아톰보다 더 일찍 피드리더 기능이 도입되면서 RSS가 널리 이용되어 인기를 끌게 되었다. 그러나 아톰은 라이선스가 덜 제한적이고 IANA 등록 MIME 타입, XML 이름공간, 상대 URI 지원, RELAX NG 지원과 같이 RSS에 비해 몇 가지 이점이 있다. 기술적으로 아톰은 이 둘 사이에서 더 진보화된 신디케이션으로 간주된다. 아래의 표는 아톰과 동일한 RSS 요소를 요약해 놓은 것이다. RSS 2.0 아톰 1.0 author author category category channel feed copyright rights description subtitle description summary 또는 content generator generator guid id image logo item entry lastBuildDate (channel에서) updated link link managingEditor author 또는 contributor pubDate published (entry의 하부요소) title title ttl 규격 * RSS 0.91 규격, 3판 * RSS 1.0 규격 * RSS 1.1 규격 * RSS 2.0 규격 모듈 * (제안) RSS를 위한 Simple Sharing Extensions (마이크로소프트) * rss-extensions.org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 기업들이 제출한 RSS 확장 제안 목록 * RSS 2.0 규격 번역문 유효성 검사기 * W3C Feed Validation Service, for Atom and RSS * Feed Validator for Atom and RSS 디렉토리 * Blauer Bote Korea Newsfeeds Article * RSS 2.0 피드(Feed) 작성 방법, 문법 기초 분류:XML 기반 표준 분류:오픈 포맷
21세기 (21世紀는 2001년 1월 1일부터 2100년 12월 31일까지를 말하며, 제3천년기의 첫 번째 세기이기도 하다. 21세기 초에는 세계경제와 제3세계 소비주의, 정부에 대한 불신, 테러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 등이 부상하는 시기로 대표된다. 2010년대 초 아랍의 봄으로 대표되는 민주화 운동의 물결로 아랍 세계에는 희비가 엇갈리는 결과를 빚었기도 하였다. 또한 지난 세기말에 비롯된 디지털 혁명 은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 이 시기 언저리에 태어난 세대인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자라면서 세기초의 주역으로 거듭나고 있다. 반면 종교의 경우 2010년 기준으로 무종교 인구가 11억 명에 도달하면서 쇠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대사적인 관점에서 21세기의 근본적인 시작점을 1991년으로 보기도 한다. 이 해는 단기 20세기의 끝으로, 소련이 붕괴하고 미국이 초강대국에 등극하는 한편, 중국이 성장기에 돌입하고, 브릭스 국가들이 국제정치와 경제스펙트럼에서 균형 확대를 목표로 하던 해였다. 디지털 통신기술이 전세계로 확대되면서 휴대전화와 인터넷의 과다사용을 비롯한 우려도 확산되었다. 2013년 기준으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인구 비중은 전세계 인구의 80%에 달하며, 2010년에는 개인용 컴퓨터를 소지한 사람이 33%, 2016년에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이 46%로 추산됐다. 2001년 * 9월 11일 - 미국 9.11 테러 발생 * 10월 7일 - 아프가니스탄 전쟁 발발 *2002년 **2002년 한일 월드컵 개최 **6월 29일- 제 2차 연평해전 발발, 북한이 NLL을 침범하여 무력 충돌 시도, 대한민국은 6명의 전사자와 18명의 부상자가 나옴 2003년 * 2월 1일 -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 폭발 * 2월 11일 - 중증급성호흡기중후군 유행 * 2월 14일 - 복제양 돌리 사망 *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발생 * 3월 19일 - 이라크 전쟁 발발 2004년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개최 2006년 * 8월 24일 - 명왕성 행성 자격 박탈(이유 행성이 너무 왜소하고 다른 행성들과 달리 공전 길이가 다르기 때문.)-> 왜소성으로 전락. 2007년 * 12월 7일 - 태안 기름 유출 사고 발생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2009년 신종 플루 유행 *2010년 **3월 26일 - 천안함이 백령도 남쪽바다에서 북한의 어뢰정 공격으로 침몰하였다. 2011년 * 3월 11일 - 일본 도호쿠 대지진(동일본대지진) 발생에 이어 후쿠시마 원전사고도 설상가상으로 연이어 발생. * 5월 2일 - 알카에다 오사마 빈라덴 사살 *2012년 * 2012년 런던 올림픽 개최 * 10월 12일 - 유럽 연합이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 * 12월 21일 - 태양계 행성 정렬(이 현상은 13000년에 한 번 일어난다. 기원전 11,000년에 일어난 후 2012년에 일어났다.) *2013년 **2월 11일 -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28일을 기해 사임한다고 발표했다. **3월 19일 - 아르헨티나 출신의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 추기경이 후임 교황으로 선출되어 프란치스코로 명명하였다. **12월 5일 - 남아프리카공화국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 타계 *2014년 **4월 16일 - 세월호 침몰 사고 발생으로 당시 안산 단원고등학교 2학년 절반 이상 가까이 사망. **7월 14일 - 명왕성 탐사선 뉴 허라이즌스가 명왕성에 도착 **7월 18일 - 말레이시아항공 17편이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상공에서 격추당했다. *2015년 **4월 25일 - 네팔에서 진도 7.8의 대지진이 발생하였다. *2016년 **2016년 리우 올림픽 개최 *2017년 **3월 10일 -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인용 판결 **5월 10일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에 문재인 후보 취임 * *2018년 **2월 9일 - 대한민국 평창에서 제23회 동계 올림픽 개최 **4월 27일 - 남북정상회담이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렸다. *2019년 2018년 일본 천황 아키히토(明仁)의 생전 퇴위 20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 2020년 2020년 하계 올림픽 개최 2021년 9.11 테러 20주기 2022년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 2024년 동계 올림픽 100주년 2027년 ITER D-T 핵융합 가동 시작 2030년 FIFA 월드컵 100주년, 우루과이 독립 200주년 2045년 광복 100주년 20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100주년 2050년 한국전쟁 100주년 2061년 핼리 혜성 접근 2065년까지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해체 2074년 서울 지하철 개통 100주년 아시아의 세기 분류:21세기
대한민국의 철도역 목록 은 대한민국의 철도역 및 도시철도역을 정리한 목록이다. 4.19민주묘지역 가능역 가락시장역 가산디지털단지역 가수원역 가야역 (도시철도) 가야역 (한국철도공사) 가야대역 가양역 가오리역 가정역 가정중앙시장역 가재울역 가좌역 가천역 가천대역 가평역 각계역 각산역 간석역 간석오거리역 간치역 갈마역 (대전) 갈매역 갈산역 감곡역 감삼역 감전역 갑천역 갑현역 강경역 강구역 (영덕) 강남역 강남구청역 강남대역 강동역 강동구청역 강릉역 강매역 강변역 강서구청역 강창역 강촌역 개금역 개롱역 개봉역 개운역 개정역 개태사역 개포역 개포동역 개화역 개화산역 거여역 거제역 거제해맞이역 거촌역 검단사거리역 검단오류역 검바위역 건대입구역 건들바위역 건천역 검암역 경기광주역 경기도청북부청사역 경대병원역 경마공원역 경복궁역 경산역 경성대·부경대역 경인교대입구역 경전철의정부역 경주역 경찰병원역 경화역 계룡역 계명대역 계산역 계양역 고덕역 고려대역 고막원역 고명역 고모역 고사리역 고산역 고속터미널역 고잔역 고진역 고촌역 (부산) 고한역 괘법르네시떼역 곡산역 곡성역 곤제역 곤지암역 공단역 공덕역 공릉역 공전역 공주역 공항시장역 공항역 (광주) 공항역 (부산) 공항화물청사역 과천역 관악역 관촌역 광교역 광교중앙역 광곡역 광나루역 광명역 광명사거리역 광안역 광양역 광양항역 광운대역 광주역 광주송정역 광주송정역 (도시철도) 광천역 광화문역 광흥창역 괴동역 괴목역 괴정역 교대역 (대구) 교대역 (부산) 교대역 (서울) 구남역 구례구역 구로역 구로디지털단지역 구룡역 (서울) 구룡역 (순천) 구리역 구명역 구미역 구반포역 구산역 구서역 구성역 (용인) 구암역 (대구) 구암역 (대전) 구의역 구일역 구절리역 구파발역 구포역 (도시철도) 구포역 (한국철도공사) 구학역 국수역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국제업무지구역 국회의사당역 군북역 군산역 군산화물역 군자역 군포역 굴봉산역 굴포천역 굽은다리역 귤현역 극락강역 금강역 금곡역 (남양주) 금곡역 (부산) 금교역 금남로4가역 금남로5가역 금련산역 금릉역 금사역 금정역 금지역 금천구청역 금촌역 금호역 (서울) 금호역 (영천) 기장역 기흥역 길동역 길음역 김대중컨벤션센터역 김량장역 김유정역 김제역 김천역 김포공항역 김해대학역 김해시청역 까치산역 까치울역 나원역 나전역 나주역 낙동강역 낙민역 낙성대역 남광주역 남구로역 남동구청역 남동인더스파크역 남부터미널역 남산역 (부산) 남산역 (대구) 남산정역 남성역 남성현역 남양산역 남영역 남원역 남창역 남창원역 남천역 남철송장역 남춘천역 남태령역 남평역 남포역 (보령) 남포역 (부산) 남한산성입구역 낫개역 내당역 내방역 내수역 내판역 냉정역 노들역 노량진역 노령역 노안역 노원역 노은역 노포역 녹동역 (광주) 녹동역 (봉화) 녹번역 녹사평역 녹양역 녹천역 논산역 논현역 농성역 능곡역 능주역 다대포항역 다대포해수욕장역 다사역 다산역 다시역 단대오거리역 단성역 단양역 단촌역 달미역 달성공원역 달월역 달천역 담티역 답십리역 당고개역 당리역 당산역 당정역 대곡역 (고양) 대곡역 (대구) 대공원역 (과천) 대공원역 (대구) 대광리역 대구역 대구역 (도시철도) 대구은행역 대동역 대림역 대명역 대모산입구역 대방역 대봉교역 대불역 대사역 대성리역 대신역 대실역 대야역 대야미역 대연역 대저역 대전역 대전역 (도시철도) 대전조차장역 대정역 대천역 대청역 대치역 대티역 대화역 대흥역 덕계역 덕두역 덕산역 덕소역 덕양역 덕정역 덕천역 (부산) 덕포역 덕하역 도경리역 도계역 도고온천역 도곡역 도농역 도담역 도라산역 도림천역 도봉역 도봉산역 도산역 도심역 도안역 (증평) 도원역 도화역 독립문역 독바위역 독산역 독정역 돌고개역 돌곶이역 동구청역 동대구역 동대구역 (도시철도) 동대문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동대신역 동대입구역 동두천역 동두천중앙역 동래역 (도시철도) 동래역 (한국철도공사) 동량역 동막역 동매역 동묘앞역 동방역 동백역 (부산) 동백역 (용인) 동백산역 동부산대학역 동산역 동송정역 동수역 동암역 동오역 동운역 동원역 동의대역 동인천역 동작역 동점역 동천역 (대구) 동천역 (용인) 동촌역 동춘역 동탄역 동해역 동화역 두류역 두실역 두정역 둔내역 둔전역 (용인) 둔촌동역 둔촌오륜역 득량역 등구역 등촌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뚝섬역 뚝섬유원지역 마곡역 마곡나루역 마두역 마들역 마사역 마산역 마석역 마장역 마전역 (인천) 마차리역 마천역 마포구청역 마포역 만덕역 만성역 만수역 (인천) 만종역 만촌역 만평역 망미역 망상역 망상해수욕장역 망우역 망원역 망월사역 망포역 매곡역 매교역 매봉역 매천역 매천시장역 매탄권선역 매포역 먹골역 면목역 명덕역 명동역 명륜역 명봉역 명일역 명장역 명지대역 명학역 모덕역 모라역 모란역 모래내시장역 모량역 모화역 목동역 목포역 목행역 못골역 몽촌토성역 몽탄역 무릉역 무악재역 무안역 묵호역 묵호항역 문경역 문곡역 문단역 문래역 문산역 문수역 문양역 문정역 문학경기장역 문현역 문화전당역 물금역 물만골역 미금역 미남역 미로역 미아사거리역 미아역 미전역 미평역 민둥산역 민락역 밀양역 박물관역 박촌역 반고개역 반곡역 반석역 반성역 반야월역 반여농산물시장역 반월역 반월당역 반포역 발곡역 발산역 방배역 방이역 방촌역 방학역 방화역 배방역 배산역 백마역 백산역 백석역 백양리역 백양사역 백운역 백원역 버티고개역 벌교역 범골역 범계역 범내골역 범물역 범어역 범어사역 범일역 (한국철도공사) 범일역 (도시철도) 법전역 벡스코역 벽제역 별어곡역 병점역 보라매역 보문역 보산역 보성역 보정역 보천역 보평역 복정역 봉덕역 봉림역 봉명역 봉성역 봉양역 봉은사역 봉정역 봉천역 봉천역 (임실) 봉화산역 봉화역 (봉화) 봉황역 부강역 부강화물역 부개역 부발역 부산역 부산대역 부산대양산캠퍼스역 부산신항역 부산역 (도시철도) 부산진역 (도시철도) 부산진역 (한국철도공사) 부암역 부용역 부원역 부전역 (도시철도) 부전역 (한국철도공사) 부조역 부천역 부천시청역 부천종합운동장역 부평역 부평구청역 부평삼거리역 부평시장역 부황역 북구청역 북송정역 북영주역 북영천역 북전주역 북천역 북철송장역 북한산보국문역 북한산우이역 분천역 불광역 불암역 불국사역 비봉역 사가정역 사곡역 사당역 사릉역 사방역 사북역 사상역 (도시철도) 사상역 (한국철도공사) 사월역 사직역 사평역 사하역 산본역 산성역 산성역 (남원) 삼가역 삼각지역 삼곡역 삼동역 삼랑진역 삼례역 삼릉역 삼산역 (양평) 삼산체육관역 삼성역 삼성역 (경산) 삼성중앙역 삼송역 삼양역 삼양사거리역 삼전역 삼척역 삼척해변역 삼탄역 삼화역 삽교역 상갈역 상계역 상도역 상동역 (밀양) 상동역 (부천) 상록수역 상무역 상봉역 상수역 상왕십리역 상월곡역 상인역 상일동역 상정역 상주역 상천역 상현역 새말역 새절역 샛강역 서강대역 서경주역 서광주역 서구청역 서대문역 서대신역 서대전역 서대전네거리역 서도역 서동역 서동탄역 서면역 서문시장역 서부산유통지구역 서부여성회관역 서부정류장역 서빙고역 서생역 서울역 서울대입구역 서울숲역 서울역 서원주역 서정리역 서지역 서창역 서천역 서초역 서현역 석계역 석남역 석대역 석바위시장역 석불역 석수역 석촌역 석촌고분역 석포역 석항역 선릉역 선바위역 선부역 선암역 선유도역 선정릉역 선평역 선학역 설화명곡역 성균관대역 성산역 성서산업단지역 성수역 성신여대입구역 성주사역 성환역 세류역 세마역 세천역 센텀역 센텀시티역 센트럴파크역 소래포구역 소사역 소새울역 소요산역 소이역 소정리역 소태역 솔밭공원역 솔샘역 솔안역 송내역 송도역 송산역 (의정부) 송정공원역 송정역 (부산) 송정역 (서울) 송천역 송추역 송탄역 송파역 송파나루역 송포역 송학역 (제천) 송현역 수내역 수락산역 수로왕릉역 수리산역 수색역 수서역 수성구청역 수성구민운동장역 수성못역 수성시장역 수영역 수원역 수원시청역 수유역 수안역 수정역 수지구청역 수진역 숙대입구역 숙등역 순천역 숭실대입구역 숭의역 승문역 승부역 시민공원역 시청역 (대전) 시청역 (부산) 시청역 (서울) 시청·용인대역 시흥능곡역 시흥대야역 시흥시청역 신갈역 신거역 신경주역 신광양항역 신금호역 신기역 (대구) 신기역 (삼척) 신길역 신길온천역 신내역 신녕역 신논현역 신답역 신당역 신대방역 신대방삼거리역 신도림역 신동역 신동화물역 신둔도예촌역 신례원역 신리역 신림역 (서울) 신림역 (원주) 신망리역 신매역 신목동역 신반포역 신방화역 신사역 신선대역 신설동역 신성역 신암역 신연수역 신용산역 신원역 신이문역 신장림역 신정역 신정네거리역 신중동역 신창역 신창원역 신천역 (대구) 신천역 (시흥) 신촌역 (경의선) 신촌역 (지하) 신탄리역 신탄진역 신태인역 신평역 신포역 (인천) 신풍역 신해운대역 신현역 신흥역 (대전) 신흥역 (성남) 심천역 쌍룡역 쌍문역 쌍용역 쌍촌역 아산역 아시아드경기장역 아신역 아양교역 아우라지역 아중역 아차산역 아포역 아현역 아화역 안강역 안국역 안동역 안락역 안산역 안심역 안암역 안양역 안인역 안정역 안지랑역 안평역 (부산) 안평역 (장성) 암사역 압구정역 압구정로데오역 압록역 애오개역 야당역 야탑역 약목역 약수역 양동역 양동시장역 양산역 양산화물역 양수역 양원역 (봉화) 양원역 (서울) 양자동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 양정역 (남양주) 양정역 (부산) 양주역 양천구청역 양천향교역 양평역 (서울) 양평역 (양평) 양학동역 어등역 어룡역 (의정부) 어린이대공원역 어린이회관역 어정역 언주역 업동역 여수엑스포역 여의나루역 여의도역 여주역 여천역 역곡역 역삼역 역촌역 연교역 연당역 연무대역 연산역 (논산) 연산역 (부산) 연수역 연신내역 연지공원역 연천역 연하역 연호역 연화역 염창역 영남대역 영대병원역 영덕역 영동역 영등포역 영등포구청역 영등포시장역 영산대역 영월역 영종역 영주역 영천역 영통역 예당역 예미역 예술회관역 예천역 오가역 오근장역 오금역 오룡역 오류동역 오리역 오목교역 오봉역 오산역 오산대역 오산리역 오송역 오수역 오시리아역 오이도역 옥계역 옥구역 옥산역 옥수역 옥천역 온릉역 온산역 온수역 온양온천역 온천장역 올림픽공원역 옹정역 옹천역 와룡역 완사역 완정역 왕길역 왕십리역 왜관역 외대앞역 용계역 용궁역 용답역 용동역 용두역 용마산역 용문역 (대전) 용문역 (양평) 용산역 용산역 (대구) 용유역 용지역 우보역 우암역 우장산역 운길산역 운산역 운서역 운동장·송담대역 운연역 운정역 운천역 (광주) 운천역 (파주) 울산역 울산항역 웅천역 워터파크역 원곡역 원당역 원대역 원덕역 원동역 원릉역 원시역 원인재역 원주역 원죽역 원창역 원흥역 월계역 월곡역 월곶역 월내역 월드컵경기장역 (대전) 월드컵경기장역 (서울) 월롱역 월배역 월촌역 월평역 월포역 유교역 유성온천역 율동역 율리역 율촌역 율하역 을지로3가역 을지로4가역 을지로입구역 음성역 응봉역 응암역 의성역 의왕역 의정부역 의정부시청역 의정부중앙역 이곡역 이대역 이매역 이수역 이양역 이원역 이천역 이촌역 이태원역 이하역 익산역 인덕원역 인제대역 인하대역 인천역 인천가좌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역 인천논현역 인천대공원역 인천대입구역 인천시청역 인천터미널역 일광역 일로역 일산역 일신역 (양평) 일영역 일원역 임곡역 임기역 임당역 임성리역 임실역 임진강역 임포역 임피역 임학역 입석리역 입실역 자갈치역 자미원역 작전역 잠실역 잠실나루역 잠실새내역 잠원역 장기주차장역 장락역 장림역 장사역 장산역 장생포역 장성역 장성화물역 장승배기역 장신대역 장암역 장유역 장전역 장지역 장한평역 장항역 장항화물역 장흥역 (양주) 재송역 적량역 전곡역 전대·에버랜드역 전동역 전의역 전주역 전포역 점촌역 정동진역 정릉역 정발산역 정부과천청사역 정부청사역 정선역 정왕역 정읍역 정자역 정평역 (경산) 제기동역 제물포역 제천역 제천조차장역 조동역 조성역 조치원역 종각역 종로3가역 종로5가역 종합운동장역 (부산) 종합운동장역 (서울) 좌천역 (도시철도) 좌천역 (한국철도공사) 주덕역 주례역 주례역 (한국철도공사) 주산역 주생역 주안역 주안국가산단역 주엽역 주평역 주포역 죽동역 죽령역 죽림온천역 죽전역 (대구) 죽전역 (용인) 중계역 중곡역 중구청역 중동역 (부산) 중동역 (부천) 중랑역 중리역 중앙로역 (대구) 중앙로역 (대전) 중앙역 (부산) 중앙역 (안산) 중앙보훈병원역 중화역 (서울) 증미역 증산역 (서울) 증산역 (양산) 증평역 지게골역 지내역 지식정보단지역 지제역 지산역 지석역 지족역 지천역 지축역 지탄역 지평역 지행역 직산역 직지사역 진남역 진부역 진상역 진영역 진위역 진주역 진천역 진해역 창교역 창내역 창동역 창신역 창원역 채운역 천마산역 천안역 천안아산역 천왕역 천원역 천호역 철산역 철암역 청계산입구역 청구역 청담역 청도역 청라국제도시역 청라언덕역 청량리역 청령역 청령포역 청리역 청명역 청소역 청주역 청주공항역 청천역 청평역 체육공원역 초강역 초당역 초남역 초량역 초성리역 초월역 초지역 추암역 추전역 추풍령역 춘양역 춘의역 춘천역 춘포역 충렬사역 충무로역 충정로역 충주역 치악역 칠곡경대병원역 칠곡운암역 칠성시장역 캠퍼스타운역 탄방역 탄부역 탄현역 탑리역 탑석역 태금역 태릉입구역 태백역 태전역 태평역 태화강역 테크노파크역 토성역 통해역 퇴계원역 파라다이스시티역 파주역 판교역 (서천) 판교역 (성남) 판암역 팔거역 팔달역 팔달시장역 팔당역 평강역 (부산) 평내호평역 평동역 평은역 평창역 평촌역 평택역 평화역 포항역 풍기역 풍산역 (고양) 하계역 하고사리역 하남역 하단역 (부산) 하동역 하양역 학동역 학동·증심사입구역 학여울역 학정역 한강진역 한남역 한대앞역 한림정역 한성대입구역 한성백제역 한양대역 한탄강역 한티역 함백역 함안역 함열역 함창역 함평역 합동청사역 합정역 해안역 해운대역 행당역 행신역 현동역 현충로역 현충원역 혜화역 호계역 호구포역 호포역 홍대입구역 홍성역 홍제역 화계역 화곡역 화랑대역 화명역 (도시철도) 화명역 (한국철도공사) 화본역 화산역 화서역 화순역 화양역 화전역 화정역 (고양) 화정역 (광주) 화정역 (김해) 화원역 황간역 황길역 황금역 황등역 회기역 회덕역 회룡역 회현역 횡성역 횡천역 효문역 효자역 (의정부) 효자역 (포항) 효창공원앞역 효천역 흑석역 흑석리역 흥국사역 흥선역 희방사역 분류:철도역 목록 철도역
오봉역 (五峯驛)은 경기도 의왕시 이동에 있는 남부화물기지선의 철도역이다. 근처에 있는 오봉산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1983년 6월 15일 컨테이너 화물기지 준공 1984년 7월 20일 오봉역 으로 영업 개시 1992년 3월 2일 의왕역 으로 역명 변경 1992년 5월 14일 화물 취급 제한 지정 해제 1993년 7월 1일 의왕 컨테이너 내륙통관기지(ICD) 개장 1995년 5월 12일 부곡 복합화물터미널 기공 2004년 6월 25일 오봉역 으로 역명 환원 2면 20선의 구조로, 역사로부터 9개의 측선, 2개의 상부본선, 상본선, 하본선, 2개의 하부본선, 5개의 측선이 있으며 상본선과 하본선의 양쪽으로 쌍섬식 승강장이 있다. 그 외에 제1컨테이너기지에 8개선, 제2컨테이너기지에 3개선, 양회기지에 12개선, 2개의 인상선(역 구내에서 환차를 위해 쓰이는 선로), 2개의 수차선(수리 대상 열차용 선로) 등이 있다. 당초에는 남부순환선과 직결 운행하여 여객 취급을 할 계획에 대비하여 승강장, 지하 횡단 통로, 기타 여객 취급 관련 시설을 일부 만들어 놓았으나, 계획이 무산되어 현재 여객 취급 관련 시설은 여타 시설로 전용되고 있다. 의왕 기점 3.0km 위치에 있으나, 운임 계산시에는 4.4km가 적용된다. 분류:경기도의 철도역 분류:1984년 개업한 철도역
트랙백 ()은 블로그에서 사용하는 주요 기능 중 한 가지로서, 간단히 역방향 연결 고리를 자동적으로 생성해 주는 기능을 말한다. 즉, 이 기능을 사용하며 A포스트에서 B포스트로 정보를 보내면 B포스트에 A포스트로 연결되는 고리가 자동으로 생기는데, 이런 과정을 트랙백이라고 부른다. 트랙백 기능은 블로그 이외에 위키위키나 뉴스 사이트에서 제공하기도 한다. 트랙백은 철저한 1인 미디어를 지향하는 블로그들 사이의 연결 고리를 만들어 주어 네트워크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한다. 누군가의 블로그를 읽고 그에 대한 의견을 자신의 블로그에 써 넣은 후 트랙백을 주고 받으면 원래의 글 아래 자신의 블로그에 쓴 해당 글로 가는 연결 고리가 붙게 된다. 트랙백 표준은 2002년 Movable Type 블로깅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식스 어파트(Six Apart)에 의해 작성되었다. 그 후 대부분의 다른 블로깅 도구들도 이를 구현해 왔다. 식스 어파트는 2006년 2월에 트랙백 프로토콜을 향상시키기 위해 워킹 그룹을 출범하였으며, IETF는 이를 표준으로 등록하였다. 일부 개인이나 회사들은 트랙백을 사용하여 스팸 링크를 넣을 수 있는 특성에 대해 지적해 왔다. 댓글 스팸과는 달리 트랙백 스팸 필터의 개발이 상대적으로 늦었다. 현재의 블로그 도구들은 트랙백 스팸도 처리할 수 있지만 일부 블로거들은 트랙백 스팸 때문에 트랙백 기능을 막아 두기도 한다. 트랙백 통신 규약 블로그 용어 김중태 IT 문화원 1기 사전 by in2web 트랙백이란 무엇인가요? by Bloney 분류:블로그 분류:영어계 외래어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은 동남아시아 국가이다. 약칭은 베트남 이다. 주요 도시로는 하노이, 호찌민시, 다낭, 하이퐁, 호이안, 후에 등이 있다. 북쪽으로는 중국, 서쪽으로는 라오스 및 캄보디아와 국경을 접하고, 동쪽과 남쪽으로는 동해에 면해 있다. 면적은 약33만 341km²이다.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로 최근 인구 통계에서는 9649만 명으로 조사되어, 세계에서 13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이다. 나라의 명칭인 비엣남 ()은 1945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오늘날 베트남 북부와 중국 남부를 지배하였던 옛 베트남 왕조인 남월()의 명칭을 거꾸로 쓴 것이다. 수도는 하노이이며, 최대 도시는 호찌민시이다. 공산주의 국가이지만, 중화인민공화국과 같은 시장경제체제를 가진 명목상 공산주의 국가다. 고대 베트남은 중국의 지배를 받았으나 938년 박당 전투에서 응오 왕조의 시조인 응오꾸옌()이 오대 십국의 하나인 남한과 싸워 이겨 독립하였다. 독립 이후 베트남의 왕조들은 지속적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인도차이나 반도의 동안을 따라 남쪽으로 국경을 넓혀갔으며, 이러한 영토 확장은 청나라와의 청불 전쟁에서 승리한 프랑스의 식민 지배가 시작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는 동안 베트남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베트남은 프랑스 식민 지배 기간 동안 계속하여 독립 운동을 벌였고, 제2차 세계대전 기간에는 일본의 지배를 받기도 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1945년 9월 2일 호치민은 하노이의 바딘 광장에서 베트남의 독립을 선언하고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프랑스는 베트남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고, 프랑스와 베트남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 1954년 3월 13일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베트남군이 대승을 거두고 프랑스군이 철수를 하면서 베트남은 독립을 맞게 되었다. 그러나 서구 열강은 제네바 협정을 통해 베트남을 다시 북위 17도를 기준으로 남북으로 분단시켰고, 약속하였던 전국 선거를 거부한 채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를 왕으로 내세워 베트남국을 수립하였다. 베트남은 얼마 지나지 않아 응오딘지엠의 쿠데타로 붕괴하고 베트남 공화국이 세워져 남북의 대결이 시작되었다. 미국은 도미노 이론을 내세워 베트남에 개입하였으며 통킹만 사건을 빌미로 베트남 전쟁이 벌어지게 되었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사용한 것보다 훨씬 많은 폭탄을 북베트남 지역에 투하하였고 막강한 화력과 인력을 동원하였으나, 베트남의 끈질긴 저항과 전쟁을 계속하는 동안 일어난 전 세계와 미국 내의 반전 여론에 밀려 결국 1973년 파리 협정을 맺고 철군하였다. 1975년 북베트남은 사이공을 점령하였고, 1976년 7월 2일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전쟁 후 베트남은 전후 복구와 공산주의 경제체제를 통한 발전을 도모하였으나, 1979년 크메르 루주와 전쟁을 치렀고, 중화인민공화국과도 국경분쟁으로 중국-베트남 전쟁을 치르는 등 순탄하지 않았다. 1986년 베트남 공산당은 도이 머이를 시작하여 혼합 경제를 도입하였고, 2000년에는 거의 대부분의 국가와 수교를 맺었다. 베트남의 국명 비엣남(Việt Nam 越南, 월남)은 베트남 북부에서 중국 남부에 이르렀던 기원전 2세기의 고대 국가 남비엣에서 유래하였다. 비엣(Việt, 越)은 백월(Bách Việt, 百越)족을 뜻하는 말이다. 비엣남이란 낱말이 처음 등장한 것은 16세기 베트남의 시인 응우옌 빈 키엠의 시 삼짱찐(Sấm Trạng Trình, 讖狀程, 섬상정)이다. 이후 비엣남은 점차 베트남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명칭이 되어, 1905년 베트남의 판보이쩌우(Phan Bội Châu, 潘佩珠)와 중국의 량치차오(梁啓超)가 일본의 요코하마에서 월남의 식민지화에 대해 나눈 대담은 《월남망국사》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비엣남은 1945년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베트남 민주 공화국 이후 공식적인 국명이 되었다. 비엣남이 맞는 명칭이지만, 한국에서는 일본식 발음인 "베트남"을 국명으로 표기하고 있다. 문화의 송다 청동북 territorial expansion (900–1760 AD).gif|섬네일| 베트남의 영토 확장 중세 이후 베트남은 이웃한 라오스, 캄보디아를 대상으로 정복 전쟁을 벌여 계속하여 남쪽으로 영토를 확장하였다. 900년 1100년 1475년 1650년 1760년 베트남에는 구석기 시대 이래 인류가 살아왔으며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인도네시아 제도에 이르는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석기 문화 유적이 많이 발굴되고 있다. 베트남의 건국신화인 락롱꿘, 어우꺼 신화는 약 4,000년 전 락롱꾸언()과 어우꺼()가 결혼하여 많은 베트남 부족들의 선조가 태어났다고 말하고 있다. 베트남에 세워진 최초의 문명은 동손 문화이다. 동손 문화는 기원전 300년 경 청동기 문명으로 동남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발생하였으며 베트남 북부를 비롯한 인도차이나 반도 여러 곳을 지배하였다. 마강()과 홍강 유역에서 기원전 1200년 경의 습식 벼농사와 정교하게 만든 북과 같은 청동 주물들이 발견되었다. 동손 문화의 청동 무기, 도구, 북과 같은 유물들을 만든 청동 주물 기술은 동남아시아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것이다. 동손 문화는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를 이루었고, 홍방 왕조는 베트남 최초의 국가인 반랑(문랑, , 文郎)을 세웠다. 기원전 257년 홍방 왕조가 무너지고 툭판 왕조가 세워졌으며, 툭판 왕조는 다시 기원전 208년 남비엣에게 멸망당하였다. 기원전 111년 중국의 한나라의 무제는 남비엣을 정복하였다. 기원전 111년부터 10세기 초까지 대부분의 시기 동안 베트남은 중국 왕조들에 의해 지배되었다. 쯩 자매와 바찌에우(Bà Triệu)와 같은 산발적인 독립운동은 짧은 기간 성공하기도 하였으나 중국의 무력에 곧 진압되었다. 938년 박당 전투에서 응오 왕조의 시조인 응오꾸옌(, 吳權)이 오대 십국의 하나인 남한과 싸워 이겨 독립하였다. 그러나 응오 왕조는 오래 가지못하였고, 딘 왕조가 그 뒤를 이었다. 이후, 베트남에서는 전 레 왕조, 리 왕조, 쩐 왕조, 호 왕조와 같은 왕조들이 그 뒤를 이었다. 호 왕조는 1406년부터 1407년까지 이어진 명나라의 침공을 막지 못하였고, 베트남은 역사상 네 번째 중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418년 농민들을 규합하여 독립 전쟁을 벌인 레러이는 명나라를 축출하고 1428년 다이비엣(Đại Việt)의 황제가 되었다. 이렇게 세워진 후 레 왕조는 잠시 막 왕조에게 멸망하기도 하였으나 부흥 운동에 성공하여 1778년까지 베트남을 지배하였다. 그러나, 부흥 운동 이후의 후 레 왕조는 사실상 독립적인 정부를 구성하는 두 가문인 찐 주와 응우옌 주의 남북조로 분리되어 있었다. 1777년 격화되는 농민 항쟁을 막지 못한 후 레 왕조는 결국 멸망하고 떠이선 왕조가 세워졌다. 후 레 왕조가 멸망한 후 남부 실권자였던 응우옌 주는 떠이선 왕조를 격파하고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인 응우옌 왕조를 세우게 되었다. 응우옌 왕조의 2대 황제 민망제가 로마 가톨릭 선교사 박해사건을 일으키자, 영국과 경쟁하여 일찍부터 인도차이나로의 진출을 꾀하고 있었던 프랑스의 나폴레옹 3세는 로마 가톨릭 탄압을 구실로 삼아, 1858년 다낭을 공격하고 이듬해에는 사이공을 점령하였다. 그 후 프랑스는 베트남의 북부 및 중부를 공략하여 1884년에는 베트남의 전국토가 프랑스의 식민지로 되었다. 청나라와의 청불 전쟁에서 승리한 프랑스는 베트남을 제2차 세계 대전 때까지 통치하였다. 프랑스군의 정찰, 1952년 마을을 수색하는 미군을 바라보는 노인과 아이, 1966년 1882년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면서 민족의 독립을 표방하는 반(反)프랑스운동이 맹렬히 추진되었고 프랑스 세력에 대항하기 위한 베트남인의 독립운동은 20세기에 들어와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는데, 중화민국·일본 등지에 그들의 독립운동 단체가 만들어졌다. 이 과정에서 호찌민이 주도하는 베트남 공산당이 결성되었다. 공산당은 그 후 각파의 정치세력을 규합하여 비엣민을 설립하고 2차대전의 종결을 맞이했다. 제1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민족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아 1927년에는 베트남 국민당이, 1930년에는 인도차이나 공산당이 조직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여 일본이 베트남에 침입하자, 많은 민족주의 세력 중 가장 조직력이 뛰어났던 공산주의 계열은 베트남 독립연맹(비엣민)을 결성하였다. 1945년 8월 전쟁이 끝나자 비엣민을 중심으로 베트남민주공화국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전쟁 전의 지배권을 되찾고자 다시 군대를 파견하였고 이는 호찌민이 지도하는 민족 세력인 비엣민(월맹)과 남북으로 대립하게 된다. 이로 인해 1946년 말부터 양국 사이에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일어났다. 1954년 3월 13일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베트남군이 대승을 거두고 프랑스군이 철수를 하면서 베트남은 독립을 맞게 되었다. 그러나, 서구 열강은 제네바 협정을 통해 베트남을 다시 북위 17도를 기준으로 남북으로 분단시켰고, 약속하였던 전국 선거를 거부한 채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를 왕으로 내세워 베트남국을 수립하였다. 베트남국은 얼마 지나지 않아 응오딘지엠의 쿠데타로 붕괴하고 베트남 공화국이 세워져 남북의 대결이 시작되었다. 배트남 전쟁 당시 베트콩의 시체에 스페이드 에이스 카드를 넣어서 문제가 된 영상이다. 베트남은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으로 분단되었고 1964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은 미국에 맞서서 베트남 전쟁(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치러야 했다. 미국은 도미노 이론을 내세워 베트남에 개입하였으며 통킹만 사건을 빌미로 베트남 전쟁이 벌어지게 되었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사용한 것보다 훨씬 많은 폭탄을 북베트남 지역에 투하하였고 막강한 화력과 인력을 동원하였으나, 베트남의 끈질긴 저항과 전쟁을 계속하는 동안 일어난 전 세계와 미국 내의 반전 여론에 밀려 결국 1973년 파리 협정을 맺고 철군하였다. 1975년 북베트남은 사이공을 점령하였고, 1975년 베트남의 전 지역을 점령하므로써 베트남은 공산주의 체제인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전쟁 후 베트남은 전후 복구와 계획 경제체제를 통한 발전을 도모하였으나, 1979년 크메르 루주와 전쟁을 치렀고, 중화인민공화국과도 국경분쟁으로 중국-베트남 전쟁을 치르는 등 순탄하지 않았다. 1986년 베트남 공산당은 도이 머이를 시작하여 시장 경제를 도입하였고, 2000년에는 거의 대부분의 국가와 수교를 맺었다. Long Bay with boats.jpg|섬네일|200px|세계유산, 하롱베이 Bản Giốc.jpg|섬네일|200px|right|북베트남의 반지옥 폭포 베트남은 인도차이나 반도에 동단에 남북으로 약 1,600km에 걸쳐 길게 뻗어 있다. 동해에 연해 있으며 최대 너비는 약 650km로 이 길이는 라오스와 맞닿은 북부 국경에서 통킹 만에 이르는 거리이다. 국토는 크게 북부 고원 지대, 홍강 삼각주, 안남산맥, 해안 저지대, 메콩강 삼각주의 다섯 지역으로 이루어진다. 북부 고원 지대 ::북서부에 있는 산악 지대로 중국과 라오스 영토 안까지 뻗어 있다. 이 지역의 산들은 대부분 숲이나 밀림으로 덮여 있어 인적이 드믈거나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다. 베트남에서 가장 높은 산인 판시판산(3,143m)도 이 지역에 있으며, 몽족 등 소수민족이 경작하는 계단식 논과 판시판산으로 운행하는 케이블카가 있는 사빠 등이 위치한 라오까이성도 있다. 홍 강 삼각주 (송코이 강 삼각주) ::북부 고원 지대에서 통킹 만까지 뻗어 있으며 거의 전역이 해발 3m 이하의 저지대이다. 홍강 삼각주는 베트남 북부에서 주요한 농경 지대로 옛부터 베트남 민족의 활동 무대였다. 안남산맥(쯔엉썬 산맥) ::북부 고원 지대에서 서부 지역을 가로질러 호찌민시에서 북쪽으로 약 80km 떨어진 지점까지 뻗어 있다. 중부 지역은 대부분이 안남 산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야는 해안에 접해서 대상(帶狀)으로 좁게 달리고 있을 뿐이다. 게다가 산맥이 해안으로 바싹 다가서 있으므로 좋은 항만이 없다. 이 산맥의 고지에는 타이족 이외에 먀오족·모이족·몬타냐족 등 많은 부족이 살고 있다. 해안 저지대 ::베트남의 중동부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산지에서 남중국해 쪽으로 비스듬히 비탈져 있고 송코이강 삼각주에서 메콩강 삼각주까지 펼쳐져 있다. 해안 저지대 거의 전역에서 쌀을 생산한다. 해안에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어업에 종사한다. 메콩강 삼각주 ::베트남의 남부 지역을 모두 차지하고 있는 메콩강 삼각주는 해발 3m 이하의 저지대이다. 베트남 주민의 절반 이상이 이곳에 살고 있는 주요 농업 지대이다. 베트남 민족은 17세기에 들어와서 선주민인 크메르족을 쫓아내고 이 미래의 곡창 지대를 지배하게 되었다. 열대 계절풍으로 5월부터 10월까지는 많은 비를 몰고 오며, 11월부터 4월까지는 동북 건조기간이 된다. 북부 일부 지역은 사계절이 나타나고 습도가 90%의 비중을 차지한다. 남부 지방은 일년 내내 건조하고 여름에 비가 집중적으로 내린다. 중부 지방에는 베트남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과 가장 습한 지역이 자리잡고 있다. 산악 지방은 삼각주나 해안 저지대보다 대체로 기온이 낮고 비가 더 많이 온다. 베트남 국립 컨벤션 센터 옛 월맹은 1969년 호찌민이 세상을 떠난 뒤 쯔엉찐 국민의회 상임위 주석, 레주언 베트남 공산당 제1서기, 팜반동 총리 등 3인을 중심으로 집단지도 체제를 채택했다. 구 월맹은 월남이 공산주의 국가가 된 후 월남 임시혁명정부와 함께 1여 년간의 남북통일 준비작업을 끝내고 1976년 4월 25일 30년 만에 처음으로 국가최고 권력기구인 492석의 남북단일 국민의회를 구성하기 위한 총선거를 실시했다. 이 선거로 인구 10만 명당 1석을 기준으로 하는 배분원칙에 따라 북베트남에서 249석, 남베트남에서 243석을 선출했다. 남북 베트남의 18세 이상의 유권자들이 참가한 총선은 남북 베트남의 공산주의 정권이 전국의 노동자·농민·여성·산악부족 및 그 밖의 소수인종에서 선정한 후보자 중에서 국민의회 대표들을 선출했으며 야당후보는 없었다. 총선거를 통해 구성된 남북 베트남 단일 국민의회는 1976년 7월 역사적인 통일 베트남 수립을 선포하고 국호를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 으로 하였다. 수도는 하노이로 정하는 한편 초대 주석으로 구 월맹의 마지막 주석 똔득탕을, 그리고 2명의 부주석으로는 응우옌르엉방 및 응우옌흐우토를 선출하였다. 또한 옛 월남 수도 사이공을 호찌민시로 개칭하고 국기는 종래의 월맹기였던 〈금성홍기〉(金星紅旗)를 그대로 쓰기로 하였다. 국민의회는 통일 베트남의 새 헌법을 마련할 36명의 헌법기초위원회를 구성하는 동시 새 헌법이 공포될 때까지 1959년도 월맹 헌법을 계속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입법기관으로 국민의회가 있고 각 성(省)에 각급 인민회의가 있다. 단원제이며 임기는 5년, 매년 2회 소집된다. 주석, 부주석과 간부의원 15명으로 구성되는 상임위원회가 실질적인 입법기능을 행사한다. 1991년 6월 제7차 당대회에서 도이모이 추진에 중심 역할을 해온 도므어이가 총서기로 선출됐으며, 동 8월의 내각개편에서 개혁파인 보반끼엣 총리로 선출됐다. 1996년 6월의 공산당 전당대회에서도 ‘도이모이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재확인 했다. 2001년 4월 농득마잉 서기장이 취임했다. 베트남의 행정구역 구분 베트남의 행정 구역은 63개 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도인 하노이를 포함하여 껀터, 다낭, 하이퐁, 호치민은 성과 같은 급의 직할시이다. 베트남 정부는 가끔씩 지방을 8개의 지역으로 구분짓는다. 이러한 지방 구분은 항상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대체 분류로 가능하다. 베트남 사법부의 최정점에는 상소심과 사법심사를 담당하는 최고인민법원 ()이 있다. 최고인민법원은 베트남 의회에 보고를 하는데, 의회는 사법부의 예산을 통제하고 대통령이 제안한 최고인민법원 판사 후보와 대검찰청 검사 후보를 확정한다. 대검찰청은 체포영장을 발부하는데, 때로는 소급적용을 하기도 한다. 최고인민법원 산하에, 지방법원과 군사법원, 행정, 경제, 노동법원이 있다. 지방법원은 제1심을 관할하는 법원이다. 국방부는 군사법원을 관할하는데, 일반법원과 같은 절차를 적용한다. 군 판사와 담당 직원들은 국방부와 최고인민법원이 선출하는데 감독책임은 최고인민법원에게만 있다. 헌법에는 판사와 담당 직원(행정 능력이 떨어짐)들의 독립성을 규정하고 있으나, 미국 국무부는 베트남의 사법부의 독립성이 부족하며 이것은 부분적으로, 베트남 공산당이 판사를 선택하고 그들에게 정치적 책임을 묻기 때문이라고 한다. 더욱이, 공산당은 국가나 당의 지배적인 지위를 위협할 만한 판결의 결과에 영향을 주기 위해 모색한다. 사법부의 독립성을 향상할 목적으로, 정부는 지방법원을 법무부에서 최고인민법원으로 2002년 9월에 이관하였다. 그러나, 미국 국무부는 앞서 말한 목적이 실제로 이행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증거가 없다고 밝히고 있다. 베트남 사법부는 또한 법조인의 부족과 초보적인 재판절차로 인하여 방해받고 있다. 사형 집행은 부패 또는 마약밀매 사건의 경우 자주 집행되고 있다. 베트남의 형법은 전통적인 유교 사상, 나폴레옹 법전 그리고 호치민 사상이 영향을 끼친 결과이다. 일본이 베트남과 협력하여 베트남의 법제를 정비하고 법률가 양성시스템을 선진국형으로 구축하여 지원한 사업은 현재까지 대단히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2007년 12월 기준, 베트남은 172개 국가와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1992년 중화인민공화국과 스프래틀리 군도 영유권을 놓고 분쟁이 있었다. 미국과는 1975년 이후 계속되어 왔던 대 베트남 금수조치가 1994년 2월 해제되고, 1995년 1월 양국간에 상호연락사무소가 개설된 데 이어 동 7월 11일에 국교정상화가 이루어졌다. 또 1995년 1월 독일과 정치·경제 협정을 체결하였으며, 동 4월에는 오스트리아와 4개 경제협정을 체결했다. 대한민국과는 1992년 수교했다. 수단과는 1969년 8월 26일에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한편 유엔 등 국제기구들에 대한 외교도 활발히하여 1976년 9월 국제통화기금(IMF) 및 세계은행(IBRD)에 가입했으며 1995년 7월에는 아세안(ASEAN)의 7번째 회원국이 되었다. 베트남의 군사조직은 육군, 해군, 공군, 그리고 국경 수비대로 구성되어 있다. 1950년 이후 인도차이나 전쟁을 통해 프랑스, 미국, 중국 등 열강에 승리를 거두었고, 캄보디아와의 전쟁에서 모두 승리함으로써 군사력을 증명하였다. 군사력을 증강하고 있지만 국방비가 없어서 힘든 상황이다. 베트남 해군은 킬로급 잠수함 등을 운용 중이다. UAV 연구제작 프로젝트에서 5종의 UAV를 개발하였고 대량 양산에 들어갈 것이다. 베트남은 정부개발원조와 외국투자가 경제를 견인하고 있다. 공산화 이후 경제 기반이 무너져 가난한 생활을 하다가, 1986년 "도이 머이"라는 슬로건 하에 실용주의적 경제 정책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말부터, 외국인의 재산 투자를 보호하는 여러 법이 개정되었고, 1990년대에는 ASEAN 등 국제 사회에 편입되기 시작하였다. 이 개혁 기간동안 10%에 가까운 경제 성장률을 거듭하다가 2000년대 중반 이후 침체기가 되었다. 세계금융위기로 일시적으로 추락하였던 GDP의 성장율은 2009년 5.3%, 2010년 6%(예상)로 안정적인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 베트남의 GDP는 1446억 달러이며 1인당 GDP는 1700달러이다. 중국의 인건비가 상승기조에 있는 점 때문에, 새로운 투자대상국으로서 근년에 주목되고 있다. 이리하여, WTO가입이 정부에 의하여 중요한 목표가 되어 2007년 1월에, 마침내 WTO에 가입하였다. NEXT11과 VISTA의 일원으로서도 손꼽히고 지금 이후부터 한층 경제의 발전이 예상되고 있다. 노동인구의 66%가 농업 등 제1차산업에 종사하고 있으나, 근년에는 제2차, 제3차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관광업의 신장세가 특히 현저하여, 중요한 외화획득원이 되고 있다. 베트남은 쌀, 후추, 커피의 세계 3대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다. 대한민국과의 무역도 활발하다. 베트남은 중화인민공화국, 태국 등과 더불어 미래에 매우 유망한 나라 중 하나이다. 다낭 항 1975년에 공산화 통일된 베트남은 오랜 전쟁 탓에 국토는 황폐하고 공산주의 이식 실패에 따라 경제 기반이 무너져 베트남 국민들의 가난한 생활이 계속되었다. 북부 베트남의 주요 수출품은 석탄·목재·해산물·차 등이었고, 석탄·철광석·인회석·크롬·주석 등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남부 베트남의 주요 수출품은 쌀·고무·새우·차 등이었다. 1980년에는 태풍으로 역사상 최대의 인명 피해가 발생해 베트남 경제가 타격을 받았다. 이후 1980년대부터 베트남 정부는 국민들의 먹을거리를 해결해 주기 위하여 계획경제 작업을 중지하고, 새로운 경제 정책, 《도이 머이》 를 채택하여 실시하였다. 1986년 12월 베트남 공산당 제6회 전당대회에서, 부분적인 혼합경제제도를 도입하는 실용주의 경제정책 《도이 머이》 를 채택하여 중국과 마찬가지로 개혁, 개방노선으로 전환하였다. 제4차 5개년 계획 (1986년~1990년) 의 골간으로 1990년까지 2,300만 톤의 식량 생산, 5년간 70%의 수출증대를 선정하는 등 경제의 개방화를 적극 추진했다. 1987년 12월 《외국인 투자법》 이 공표되었고, 1993년에는 《토지법》이 개정되어 토지상속권과 담보권, 사용권이 인정되었다. 다만 토지의 소유권은 공적인 의미에서 계속 국가가 보유하는 것으로 하였다. 1994년에는 《파산법》 이 발효되었고, 2000년 1월에는 기업법이 발효되었다. 1996년의 베트남 공산당 제8회 대회에서는 2020년까지는 공업국으로 진입한다는 목표로, "공업화와 현대화"를 2대 전략으로 하는 정치보고를 채택하였다. 또한 1995년 ASEAN 및 AFTA 가입을 시작으로, 1998년에는 APEC에 가입하였고, 2000년 7월에는 베트남-미국 무역협정에 서명하였다. 2000년 7월에는 호치민시에 최초로 〈증권거래센터〉가 개설되었으며, 2005년에 하노이로 확대 개설되었다. 2007년 1월에는 WTO에 정식으로 가입되었고, 2008년 12월에는 베트남-일본 경제연대협정(EPA)에 공식 서명을 하였다. 《도이 머이 정책》 이후 베트남 경제는 1989년 이래 연평균 8%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달성했으며 1995년, 1996년에도 9% 이상의 고속성장을 지속했다. 2008년의 GDP 성장률은 6.23%로 최저 성장을 기록하였고, 2009년은 5%로 하향조정하였으나, 세계 경제의 침체로 인해 더욱 낮아질 전망이다. 현재는 옛날의 가난에서 크게 벗어났으며 빠르게 경제 발전을 하고 있지만 빠른 경제 발전의 후유증도 같이 겪고 있다. 2004년부터 빠르게 물가가 상승하여, 2008년에는 22.97%로 최고의 물가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더욱이 국제 원자재 가격의 급등과 베트남 동화의 평가절하 등으로 인플레이션율이 2008년 25%를 초과할 정도로 상승하면서 위기의 상황이 오기도 하였다. 토지의 사유화 및 농지의 전용이 가능해 진 이후 골프장 건설과 같은 개발 사업이 크게 늘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2010년 기준 베트남의 골프장 개발 허가 수는 140여 곳에 달한다. 경작지 감소와 그에 따른 고용 감소를 우려한 베트남 정부는 2008년 이후 농지 전용 억제 정책을 펴고 있다. 베트남의 주요 산업은 2008년 GDP 기준으로 39.91%를 차지하는 제조, 건설업 즉, 2차 산업이며, 농림, 수산업의 1차 산업은 21.99%에 이른다. 3차 산업인 서비스업은 38.10%로 높은 성장률을 이루어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 노동인구의 53.9%가 농림, 수산업에 종사를 하며 이들은 쌀, 고무, 사탕수수, 커피, 열대 과일 등과 새우 등의 수산물 등을 생산하고 있다. 메콩 삼각주에서 생산되는 쌀이 국민의 주식인 동시에 수출품목의 대종을 이루었다. 1989년 자급을 달성한 이래, 중화인민공화국과 미국을 이어 3대 쌀 생산국이다. 남부에서는 2년7모작이 이뤄지며, 세계 2위 쌀 수출국이기도 하다. 그 외에 커피와 차, 향신료도 유명하다. 커피는 현재 브라질에 이어 세계 제2위의 생산량(99만톤, 2003년)에 달하고 있다. 대부분이 인스탄트 커피, 캔과 펫트병에 들어가는 청량음료, 제과 용도로 사용되는 값이 싼 로브스타 종(카네포라 종)인데, 레귤러 커피에 사용되는 고급품인 아라비카 종의 재배도 시작되고 있다. 또한 현지에서는 기본적으로 식민지 지배를 받아 프랑스의 방식을 따른 베트남 커피가 음용되고 있다. 베트남은 석탄, 석유를 중심으로 한 동력자원, 주석을 중심으로 한 광물자원의 혜택을 입고 있다. 북부 하롱(홍게이)에서 산출되는 석탄은 상질의 무연탄으로, 19세기말부터 홍게이탄으로서 채굴이 시작되었다. 2003년 시점의 채굴량은 1670만톤이다. 베트남은 중국과 서방 세계와의 합작으로 이루어진 석유개발을 통해 산유국이 되어 1660만톤의 원유를 생산한다. 천연가스의 채취량은 126천조 줄이다. 광물자원은, 북부 삼각주 주위의 구릉지대를 중심으로 생산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세계 제4위의 주석(4000톤, 세계 점유율 1.5%, 2005년)이다. 아연, 금, 크롬, 철, 납, 인도 산출된다. 무역 주요한 수출품목은 원유, 의류, 농수산물이다. 수출품목의 제1위는 석유로서, 2002년 시점에는 수출총액의 19.6%를 차지하였다. 쌀은 450만톤(2008년)을 수출함으로써 타이에 이어 세계 제2위의 수출국이었으나, 현재는 수출제한조치를 하고 있다. 커피는 2008년 20억 달러 이상을 수출한 세계 제2위의 수출국이며, 후추는 2008년을 기준으로 115만톤을 수출하여 세계 1위의 수출국이기도 하다. 베트남 유통업태는 특히 도시지역에서 과거 몇 년 동안 전통적인 재래시장으로부터 현대화된 수퍼마켓과 쇼핑센터로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수입상품의 취급확대를 촉진하고 있다. 1999년 2개의 대형수퍼마켓에서 2004년에는 전국적으로 85개가 넘는 현대화된 수퍼마켓이 운영되고 있다. 베트남의 입장에서 한국은 2008년을 기준으로 9위의 수출국이며, 5위의 수입국이자, 6위의 교역국이기도 하다. 2008년을 기준으로 투자국 순위로는 4대 투자국이며, 베트남에 투자건수는 총 9,494건이며, 총 등록액은 1,320억 달러였다. 2009년말 현재 베트남의 전화 가입자수는 모두 1억3천40만여명으로 이 가운데 85%가 휴대전화 서비스 가입자로 집계됐으며, 비엣텔 등 일부 선도 회사들은 매년 30% 이상의 높은 신장세를 보여왔다. 정보통신부는 2009년 8월, 8번째 서비스업체로 인도차이나 텔레콤에 대해 사업허가를 승인했고, 2010년 6월에는 VTC가 정부로부터 이통 서비스 허가를 받았다. 이에 따라, 베트남 이동통신 시장은 비나폰, 모비폰, 비엣텔, S-Fone 등 선발 4개업체들과 EVN텔레콤, 베트남모빌, 비라인, 인도차이나텔레콤, VTC 등 후발 5개사들 간에 치열한 고객확보 경쟁이 벌어질 전망이다. 베트남의 현대적 교통 체계는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수확한 농산물울 운송할 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하였고, 베트남 전쟁의 결과 파괴된 교통 체계를 재건하고 현대화하였다. 가장 일반적인 교통 수단은 도로 운송이며, 도시 간 이동에 일반 시외버스와 오픈 투어 버스(Open tour bus)를 이용할 수 있다. 2,654km의 단선 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연결이 되며 하노이와 호찌민시 간을 연결하는 철로가 중요하다. 베트남의 차량은 우측통행을 하며 2륜차가 매우 많다. 베트남은 2006년 5대 부정부패 사건으로 큰 혼란을 겪었다. 교통부 고위 관리들이 외국의 자금을 지원받아 도로를 건설하는 프로젝트(PMU18)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700만달러를 사적으로 유용해 파장을 일으켰다. 이 때문에 교통부 장관이 책임을 지고 물러나기도 했다. 베트남 교통경찰과 토지 등록 사무소, 세관 및 세무서에서도 흔히 뇌물을 요구하거나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몽족 여인 베트남의 인구는 약 8,162만(2003년)으로, 그 90%가 베트남인이다. 그 밖에 타이인·중국인·크메르인 등이 있으며 산악지대에는 미오·랭이·몬타냐 등 많은 부족이 살고 있다. 베트남은 다민족 국가로서 베트남 정부가 공인하는 민족의 수가 54개에 이른다. 최대 민족은 킨족(京族) 또는 비엣족(越族)으로 보통 베트남인이라고 할 때 다수종족인 이 킨족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킨족은 베트남 전체의 86.2%를 차지한다. 므엉족과 같은 대부분의 소수 민족은 킨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국토의 2/3를 덮고 있는 산악지대에서 발견된다. 킨족 내부에서도 서로 다른 역사적 배경과 정체(政體)를 거친 북부인과 남부인은 여러가지 면에서 대조적인 신체적 특징과 정치, 경제적 대립의식을 갖고 있다. 각각의 소수민족은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참족과 같이 역사상 독립국가였다가 베트남에 흡수된 민족도 있고, 민족국가를 이루지 못한 채 산간지역에서 생활을 하는 민족도 있다. 호아족과 크메르 크롬은 저지대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킨족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소수 민족은 몽족, 다오족, 따이족, 그리고 눙족이 있다. 1978년에서 1979년에 45만명의 중국계 소수 민족이 베트남을 떠났다. 아울러, 근래 대한민국의 베트남에 대한 투자가 급증함에 따라서 한인동포의 수도 비례적으로 급증하여 베트남 정부가 2012년 기준으로 추산한 자료에 따르면 13만명의 한국인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베트남의 공식 언어는 베트남어이며 로마자로 적는다. 베트남어는 단철어(單綴語)로 성조에 6성이 있다. 중국의 영향으로 한자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19세기부터 프랑스의 식민통치를 받으면서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가 추진되어 현재 한자는 별로 쓰이지 않는다. 꾸옥 응으()로 불리는 이 로마자 표기는 16세기부터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이 현지어를 로마자로 옮겨 적으려는 작업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예수회의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포르투갈어 철자법을 바탕으로 최초의 안남어 사전을 만들어냈다. 베트남어는 민난어처럼 동아시아의 언어들 중에서 중국어와 유사한 문자 체계에서 로마자로 변경한 흔치 않은 언어 중 하나이다. 이 로마자 표기법은 현지인들의 교육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1945년 이후 베트남이 독립한 뒤 공식 표기법이 되었다. 베트남에서는 15세기 말에 한자와 비슷한 문자인 쯔놈이 발생하였지만, 그 사용은 한문에 익숙한 일부 지식인층에 국한되었고, 널리 보급되지 않았으며 20세기 이후에는 사용이 끊어졌다. 이는 프랑스의 식민 정책과 관련이 있다. 프랑스 식민통치자들은 베트남을 지배할 때 베트남의 전통적인 유교 사상을 말살하기 위해서 베트남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꾸옥 응으를 사용하게 하였다. 그러나 처음에 프랑스 식민지배에 대한 반감으로 로마자에 거부감을 표시하던 베트남의 독립운동가들은 베트남 민중들에게 새로운 지식과 근대사상을 보급하기 위해서는 어려운 한문이나 쯔놈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절감하여 로마자의 편의성을 인정하고, 이후 로마자를 베트남어의 새 문자로 적극 받아들여 오늘날에는 전통적인 한자문화를 완전히 대체하였다. 베트남은 55종에 달하는 언어의 다양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다시 6, 7개 정도의 언어 집단으로 나뉜다. 외국어로는 영어를 가장 많이 선호하며, 일부 엘리트 층들은 프랑스어, 러시아어 등을 구사한다. 현재 프랑스어는 식민 지배에 대한 반감 및 프랑스어의 쇠퇴 등으로 인해 거의 감소 추세에 있지만, 베트남은 이미 프랑스어사용국기구(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으로 가입되어 있다. 초등교육은 5년제의 의무교육이다. 중등교육은 전기 4년제, 후기 3년제이다. 베트남의 대학에는 국가대학(총리 직할 학교), 국립대학(지방종합대학), 전문대학(교육훈련성, 후생성, 문과정보성, 인민위원회 등의 소관), 민립 대학이 있으며, 교육비는 대학 과정까지 무료이다. 중국 남부 지방과의 오랜 교류로 인하여, 베트남 문화를 특징짓는 한 가지 요소는 재정적 책임이다. 베트남에서 교육과 자수성가는 높은 가치를 부여받는다. 역사적으로, 중국의 과거 시험을 통과하는 것만이 베트남 사람이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유일한 것이었다. 베트남이 오늘날의 영역으로 통합된 것은 근대의 일로, 그 전에는 유교 및 한(漢)문화의 영향을 받은 북부와 베트남의 주 종족인 킨 족외에 인종적으로 말레이계에 속하는 참파인의 국가였던 참파가 있었던 중부문화권, 그리고 크메르 제국의 영역에 속했던 남부 등으로 나뉘어 있으며, 이 북부, 중부, 남부의 차이는 언어 및 풍속, 문화 등 모든 영역에 걸쳐 존재한다. 중국의 유교 영향을 많이 받았음에도, 베트남에서는 윗사람과 아랫사람이라는 상하 개념은 없고, 서로 스스럼없이 대한다. 공산주의 시대에 베트남의 문화적 삶은 정부가 통제하는 미디어와 공산주의적 프로그램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수십 년동안 외국 문화의 영향은 차단되고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북한 등 공산주의 국가의 문화를 음미하고 공유하는 것이 강조되었었다. 1990년대 이래로, 베트남은 일본, 유럽, 미국의 문화와 미디어에 대폭적으로 노출되기 시작하였다. 베트남에는 1945년 9월 2일에 하노이에서 설립된 국영방송국인 베트남의 소리가 있다. 베트남인의 이름은 성, 가운데 이름, 그리고 이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과 마찬가지로 그들의 성씨 제도는 중국에서 도입된 것이다. 한자가 폐지되면서 자신의 이름을 한자로 쓸 수 있는 베트남인은 소수이지만, 이름 뒤에는 한자의 의미가 숨어 있다. 결혼 후에도 자신의 성을 그대로 유지한다. 18세기의 작가 응우옌 주에 의해 저술된 대서사시 쭈엔 끼에우는 베트남 문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이다. 6.8조의 연서체로 분량은 총 3,254행에 달한다. 특히 이 작품은 쯔놈으로 쓰여진 자료중의 최대의 것으로 베트남의 국민문학으로 불린다. 베트남의 민속 의상 중 가장 대중적인 것은 여성들이 입는 아오 자이이다. 아오 자이는 현재에는 명절이나 결혼 등 행사, 일상의상 등으로 입는다. 흰색 아오 자이는 베트남 전역에서 여학생의 교복으로 지정된 경우가 많고 학생이외에는 다양한 색상의 원단으로 아오자이를 만들어 입는다. 예전에는 성별 구분없이 아오 자이를 입었으나 현재에는 여성용 의복으로 한정된다. 단, 전통 문화 행사에서는 남성이 입는 경우도 있다. 베트남 쌀국수 주 요리의 재료는 대개 쌀과 간장, 생선 소스 등이다. 대체적으로 음식의 맛은 달거나 맵거나 시거나 감칠맛이 나며 향채 풀로 인한 민트향과 바질향이 나기도 한다. 유명한 음식은 베트남쌀국수이다. 베트남의 음악은 세 지역, 북부, 중부, 남부 지방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북부 지방의 전통 음악은 베트남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된 음악이고, 보다 전통적이며 엄격한 형식을 가진다. 베트남의 전통 음악은 몽골의 침입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때 베트남 사람들은 중국의 경극 극단을 붙잡아 두었다. 중부 지방의 전통 음악은 우울한 멜로디 등 참파 문화의 영향을 보여 준다. 남부 지역의 음악에서는 자유방임적인 삶의 태도가 묻어난다. 베트남의 전통 현악기인 단 짜인은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현은 철제이고, 각각의 V자 모양으로 된 다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까오다이교의 한 사원 베트남의 종교로는 불교, 기독교(로마 가톨릭교회, 개신교) 등이다. 베트남은 대승불교권 국가이다. 그 외에 까오다이교와 호아하오교 같은 신흥 종교도 있다. 까오다이교는 1926년 베트남 남부의 터이닌에서 응오반쩨우에 의해 창시된 불교, 기독교와 토속신앙이 혼합된 유일신 사상이며, 호아하오교는 베트남 남부에서 기원한 불교에 바탕을 둔 신흥 종교이다. 1939년 후인 푸 소가 창시하였다. 발원지인 메콩 강 삼각주 지역을 중심으로 대략 200만명의 신자가 있다고 추산된다. 베트남은 과거에는 종교의 자유가 없었지만 예로부터 베트남에서 가장 많이 믿는 종교가 중국, 인도의 영향을 받은 불교였기 때문에 불교나 유교만은 탄압하지 못했다. 현재는 제한적인 종교 활동은 허용되고 있는데, 정부의 허가 없이 찬송가를 부르는 것은 불법이며, 집회는 사전 신고를 하여야 하고 선교는 불법이다. 이것은 공산주의 국가의 종교 정책이 탄압 정책에서 종교를 실용적으로 활용하는 실용 정책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특이하게 대승 불교권인데도 부처님 오신 날은 음력 4월 15일이다. 공산주의의 영향으로 개인 별 소득 차가 크지 않다. 남녀 평등 사상이 확산되고, 보통 자녀 수가 많다. 전 국민의 절반 이상이 농촌에 거주한다(급속한 이농 현상). 여성의 사회 활동이 활발하고 여성 노동자의 고용을 장려하고 있다(소득 감면 혜택이 주어진다). 가사 노동을 부부가 분담하며 유교 전통이 드러난다(장손을 중시하고 아들에게 유산 등을 상속하는 행위). 연애 결혼이 증가 추세에 있다. 베트남에는 1월 말~2월 초에 뗏이라 해서 최장 7일 간의 연휴가 있으며 음력 공휴일은 음력 3월 10일에 있는 훙왕 기일 하나뿐이고 1년의 마지막 공휴일은 9월 2일 독립기념일이다. 즉, 10월부터 12월까지 공휴일이 하나도 없는 셈이다. 베트남 정부 홈페이지 주베트남 대한민국 대사관 주호치민 대한민국 총영사관 분류:베트남어권 분류:사회주의 국가 분류:공산주의 국가 분류:유엔 회원국 분류:프랑스의 옛 식민지 분류: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회원국
포세이돈 포세이돈 ()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바다·지진·돌풍의 신이다. 로마 신화의 넵투누스 ()에 해당한다. 크로노스와 레아 사이에 태어났으며, 제우스 및 하데스 등과는 형제지간이다. 올림포스의 12신의 첫 번째 세대에 속한다. 돌고래, 물고기, 말, 소가 대표적인 상징물이다. 주로 삼지창(트리아이나)을 들고 물고기나 돌고래 떼와 함께 긴 머리카락과 수염을 날리며 파도를 타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성미가 급하고 까다로운 성격 때문에 툭하면 다른 신들이나 인간들과 다투었다. 아내는 가이아, 데메테르, 암피트리테이며 자식애가 강해서 영웅들과 갈등이 많은 신으로 유명하다. 특히, 제우스의 아들과 많은 신경전이 있었다고 한다. 자주 싸우면서 숙부를 언제나 남편으로 삼고 싶었던 전쟁의 여신 아테나의 구애를 받았으나 단칼에 거절하였다. 아내와 자식애가 유독 엄청나게 많은 신으로 매우 유명하다고 한다. 포세이돈의 아버지인 크로노스는 어느 날 불길한 예언을 들었다. 아버지 우라노스처럼 크로노스 자신도 아들에 의해 쫓겨난다는 것이었다. 이 운명을 피하기 위해 크로노스는 아내인 레아에게서 자식들이 태어나자마자 족족 삼켜버렸다. 그중에는 포세이돈도 포함되어 있었다. 자식을 잃을 때마다 고통스러웠던 그의 어머니 레아는 한 명이라도 구하고자 여섯 번째 아이인 제우스를 출산할 때 돌덩이를 강보에 싸서 남편에게 건넸다. 그리고 진짜 제우스는 아말테이아에게 맡겼다. 그렇게 제우스는 남매 중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제우스는 나중에 장성해서 아버지 크로노스에게 반기를 들었다. 그는 아버지가 삼킨 형제들과 누이들을 되찾고자 메티스로부터 구토제를 구해 어머니 레아에게 건네주었다. 레아에게서 받은 구토제를 마신 크로노스는 예전에 삼긴 모든 자식과 돌을 토해냈다. 헤스티아, 데메테르, 헤라, 하데스, 포세이돈이 그들이었다. 구출된 그들은 제우스와 힘을 합쳐 크로노스를 포함한 티탄 신들과 전쟁을 벌였다. 가이아와 우라노스의 자식들인 퀴클롭스 형제와 헤카톤케이레스 형제의 도움까지 받은 올림포스 신들은 마침내 승리를 거머쥐어 티탄 신들을 대지의 가장 깊은 곳인 타르타로스에 봉인하였다. 포세이돈은 자신의 형제인 제우스와 맞먹을 정도로 수많은 여자들과 동침을 하였는데, 아내는 무려 셋을 두었다. 첫 번째 아내는 자신의 할머니인 가이아였고 두 번째 아내는 자신과 똑같은 처지에 있다가 똑같이 티탄족과 싸우면서 그렇게 아내로 취한 데메테르였고 세 번째 아내는 트리톤을 낳은 돌고래자리의 주인인 암피트리테였다. 그 외에도 많은 여자들과 동침을 하여 무시무시한 바다 괴물들을 낳았는데, 포세이돈과 관련하여 유명한 여자들은 아테나의 신전에서 포세이돈과 동침한 메두사에게 저주를 내린 아테나와 아름다웠지만 아테나에 의해서 참혹하게 변한 메두사 등이 있다. 그의 대부분의 자식들이 영웅들의 먹잇감이 되었고 그 영웅들을 해일과 지진을 일으켜서 못살게 굴었다고 한다. 대표적으로는 오디세우스. 포세이돈은 아내와 자식애가 누구보다 강한 신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그 까닭이 자녀들이 못생기고 추하다고 질타를 받을까봐 우려를 해서 그런거라고 전해진다. 포세이돈은 제우스와 정말 맞먹을정도로 여자욕심이 대단한 남성신으로 나타나있다. 자식들이 제우스에 비해서 흉측하고 항상 괴물들만 생산하자 불안해진 포세이돈은 자식을 자신의 손으로 지키고자 결심하였다. 어느 날 유명한 안드로메다 공주의 어머니인 카시오페이아 왕비가 포세이돈의 아내와 자식들이 안드로메다 공주에 비해서 별볼일 없다고 세 치 혀를 내밀면서 자신과 딸자랑을 하자 몹시 기분이 나빠진 포세이돈이 그 나라를 쑥대밭으로 만들고 말았다. 그리고, 안드로메다 공주를 끔찍한 바다괴물한테 시집을 보내라고 명령하였다. 결국에 어머니의 어리석음에 딸만 애꿎은 희생을 치루게 되었는데 메두사를 처리하고 온 페르세우스가 안드로메다 공주를 구해내자 그녀의 부모를 별자리로 만들었으나 거꾸로 매달아서 형벌을 줬다고 한다. 포세이돈은 페르세우스한테 매우 안 좋은 감정이 있던 건 사실이었다. 그리고 오디세우스의 유명한 일대기로 그가 그 유명한 트로이 전쟁을 무사히 치루고 외딴섬에 쉬러 잠시 배를 섬에 안착시키고 이상한 동굴속에 음식들이 가득한걸 보고 가져고자 하였지만 그곳에는 포세이돈의 아들인 폴리페모스가 있었다. 신탁에서 오디세우스가 폴리페모스의 적이 될 암시를 하였고 신탁의 예상대로 폴리페모스의 눈을 멀게하자 엄청나게 분노하여 해일을 일으켜서 오디세우스의 귀화를 아주 심하게 늦추기도 하여서 오디세우스를 지지하던 올림포스 신들한테 있어서는 커다란 장애가 되었던 적이 있었다. 그리고 한편, 헤라클레스가 자신의 아들인 안타이오스를 죽이자 제우스와 헤라클레스한테 몹시 안 좋은 감정으로 매우 화를 냈다고 한다. 그리하여 자신한테는 소중한 딸인 바다의 여신이기도 한 식탐의 여왕인 카리브디스의 목숨을 구제를 해줬던 제우스 못지않은 어쩌면 제우스보다 뛰어난 부성애를 지니고 있었다고 기록에 남겨졌다. 포세이돈과 아테나는 하나의 도시를 놓고 겨룬 적이 있다. 심판은 그 도시의 주민들이 결정하기로 하고 겨루는 내용은 주민들에게 얼마나 더 필요한 물건을 선물로 주느냐였는데 포세이돈은 말(馬)을 너무나 좋아하는 신답게 여기에서도 말을 꺼냈다. 아테나는 올리브나무를 꺼냈는데 이 도시 사람들은 올리브가 말보다 훨씬 쓸모있다고 판단하여 아테나의 승리로 판정해줬다. 이 도시는 아테나에게 봉헌되었고 도시 이름은 그녀의 이름을 따서 아테네 라 불리게 되었다. 포세이돈은 인간인 메두사와 서로 연인이었는데 아테네의 신전까지 메두사를 데리고 가서 사랑을 나눴다. 이에 분노한 아테나는 메두사를 흉칙한 괴물로 만들었다. 그것도 모자라 아테나는 페르세우스를 이용하여 메두사를 죽여버린다. 이에 대해 포세이돈은 메두사를 그렇게 만들어버린것도 있지만 아테나와 페르세우스한테 심한 악감정이 있었던걸로 보인다. 가이아 * 카리브디스 * 안타이오스 아에트라 * 테세우스 암피트리테 * 트리톤 데메테르 * 오리온 * 데스포이나 테오파네 * 황금 양 스킬라 메두사 * 크리사오르 * 페가수스 리비에 * 라미아 Greek Mythology resource Theoi.com Poseidon The story of Poseidon and Pelops Gods found in Mycenaean Greece 분류:그리스 신화의 남신 분류:물의 신 분류:바다의 신 분류:바람의 신 분류:창조신 분류:동물의 남신 분류:재난의 신 분류:올림포스 12신 분류:가이아의 배우자 분류:신화의 강간범
누피디아 ()는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하고, 전문가의 검증을 통해 문서가 작성되는 자유 콘텐츠 백과사전이었다. 2000년 3월에 시작되어 2003년 9월까지 운영되었고, 현재 위키를 기반으로 하는 백과사전인 위키백과의 전신으로 여겨진다. 위키백과와는 달리, 누피디아는 위키를 기반으로 하지 않은 대신 광범위한 규모의 동료평가 과정을 거친다는 것이 특징이며, 다른 전문적인 백과사전에 필적하는 수준의 문서를 제작하도록 노력하였다. 누피디아는 전문가들의 자유 콘텐츠 지원을 통해 운영되었다. CNET은 2008년 6월, 누피디아를 현존하지 않는 웹사이트 중 인터넷의 역사상 가장 뛰어난 것 중 하나였다고 평가했다. 또한 위키백과보다도 훨씬 뛰어난 웹사이트라고 했다. Nupedia The open content encyclopedia. HTML에 기반했던 누피디아 로고 http://nupedia.wikia.com Earlier versions of Nupedia (인터넷 아카이브 출처) 래리 생어, The Early History of Nupedia and Wikipedia A Memoir Part 1 and Part 2. 슬래쉬닷, 2005년 4월 NuNupedia project page on Sourceforge (currently broken, as of July 2008) 분류:2000년 설립 분류:2003년 폐지 분류:자유 온라인 백과사전 분류:위키백과의 역사
사마천 사마 천 (, 기원전 145년? - 기원전 86년?)은 중국 전한(前漢)시대의 역사가이다. 산시 성 용문(龍門)에서 태어났다. 자는 자장 (子長)이며, 아버지인 사마담의 관직이었던 태사령(太史令) 벼슬을 물려받아 복무하였다. 태사공(太史公)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후에 이릉사건에 연루되었다. 이릉 장군이 흉노와의 전쟁에서 중과부적으로 진 사건에서 이릉을 변호하다 무제의 노여움을 사서 궁형을 받게 된 것이었다. 사마천은 《사기》의 저자로서 동양 최고의 역사가의 한 명으로 꼽히어 중국 역사의 아버지 라고 일컬어진다. 실제 사마천의 사기는 역사를 사가가 해석한 글로 존중받는다. 주나라의 역사가 집안인 사마 가문의 후손이며, 아버지인 사마담은 전한의 천문, 달력, 기록을 맡아 처리하는 부서의 장관인 태사령으로 천문과 달력에 밝고, 고전에도 통달하였다. 20세경 낭중(郎中)이 되어 무제를 수행하여 강남(江南)·산둥(山東)·허난(河南) 등의 지방을 여행하였다. 사마천이 36살 때인 기원전 110년, 사마담은 태산에서 거행된 무제의 봉선 의식에 참석하지 못하게 한 것을 분하게 여기다가 병이 나서 죽었는데, 죽을 때 아들 사마천에게 생전부터 편찬하던 역사서의 편찬을 완료해 줄 것을 부탁한다. 기원전 108년, 사마담이 세상을 떠나자 사마천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서 태사령이 되었다. 사마천의 나이 42살쯤 역법을 개정하여 태초력을 기원전 104년 무제 (태초 원년)에 완성하였다. 그 후 부친의 유언에 따라 역사서를 편찬하는 일에 착수하였다. 기원전 99년 무제의 명으로 흉노를 정벌하러 떠났던 장군 이릉이 패하여 포로가 된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 보고받은 무제는 진노하여, 이릉의 처분 문제를 결정하기 위한 중신 회의 열었다. 신하 모두 이릉을 비난하고는 이릉의 가족 모두 능지 처참하자고 주장하였으나, 사마천은 이릉의 충절과 용맹을 찬양하고 두둔했기에 무제의 노여움을 사게 되었다. 사마천은 태사령의 직책에서 파면을 당하고 감옥에 갇히는 신세가 되었다. 사마천은 사형을 받게 되었는데, 당시 사형을 면하는 것은 두 가지 방법, 즉, 어마어마한 벌금을 내거나 궁형을 받는 것 둘뿐이었다. 이 벌금의 액수라는 것이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라서 사마천이 태사령이라는 직책으로 받는 녹봉으로 이 벌금을 내는 것은 불가능했다. 당시의 시대적 상황은 궁형을 받느니, 죽음을 택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는 사회 풍조였으나, 사마천은 《사기》의 완성을 위해 궁형을 받아들였다(궁형으로 인하여 고환이 제거되어 그의 초상화에는 수염이 없다). 궁형으로 죽음을 모면한 사마천은 아버지의 대부터 편찬중이었던 역사서 《사기》의 편찬을 완료하였다. 그 후 무제의 신임을 회복하여 환관 최고의 관직인 중서령(中書令)에 임명되었다. 그가 중국 최초의 임금인 황제(黃帝)에서 무제에 이르는 역사를 인물별로 나누어 쓴 130권은 형식적으로나 내용적으로나 획기적인 역사책이다. 이런 형식을 기전체라고 하는데, 연대순으로 써가는 편년체와 함께 역사 기록 방법의 하나이다. 보임안서 (報任安書) 《사기(史記)》 「비사불우부悲士不遇賦」 분류:기원전 145년 태어남 분류:기원전 86년 죽음 분류:전한의 재상 분류:한나라의 중서령 분류:한나라의 환관 분류:한나라의 역사가 분류:한나라의 시인 분류:한나라의 작가 분류:중국의 점성술사 분류:고대의 점성술사 분류:기원전 2세기 중국 사람 분류:기원전 1세기 중국 사람 분류:기원전 1세기 시인 분류:사마씨
그리스어로 기록된 오디세이아 《 오디세이아 》(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로서 저자는 일반적으로 일리아스의 저자인 호메로스로 전해지고 있다. 시의 주제는 트로이아 전쟁 영웅 오디세우스의 10년간에 걸친 귀향 모험담이다. 때문에 서양 문학사에서는 모험담의 원형으로 주목된다. 일리아스와 마찬가지로 시는 총 24편으로 나뉘며, 6각운(Hexametre)로 작곡되었다. 트로이가 멸망한 지 벌써 10년이 되어 가나, 이타케 군주인 오디세우스는 바다 위를 떠다니며 아직도 귀국 허가가 없어 칼립소의 섬에 억류당한 채이다. 여러 신들이 이를 불쌍히 여겨, 제우스의 명령으로 헤르메스를 님프 칼립소에게로 보내어 그를 놓아 줄 것을 허락하는 한편, 고향 이타케 섬으로 아테나 여신이 몸소 찾아가, 오디세우스의 아들 텔레마코스에게 부친의 행방을 찾으러 그리스 본토로 갈 것을 권고한다. 그 이타케 섬, 그의 성에서는 주인이 오랫동안 행방 불명된 동안에 이웃 여러 섬과 이타케에서 구혼자들이 몰려와, 그의 아내 페넬로페에게 구혼하며 그 아들의 나이 어림을 기회로 매일같이 향연을 계속해 오디세우스의 재산을 탕진하고 있었다. 그 용사의 이야기를 해 다오. 뮤즈 여신이여. 지모(智謀)가 뛰어나며, 트로이의 거룩한 성시(城市)를 함락시킨 뒤, 참으로 숱한 섬과 나라들을 방황해 온 그 사나이의 이야기를, 자신의 생명을 건지고, 동료들의 귀국 길도 열어 놓으려 애쓰는 동안 숱한 종족이 살고 있는 나라들과 그 기질들에 맞서 분별 있게 행동하고, 해상(海上)에서 무수한 고뇌를 가슴 깊이 되씹기도 여러 번이 있었지. 허나, 무척이나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부하들을 구원하지는 못했었다. 어쩔 수 없는 자업 자득이었으니, 그들은 신의 노여움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어리석은 자들이라, 하늘을 가로질러 가는 태양신의 소유물인 소를 마구 잡아먹고 있었으니, 태양신이 그들로부터 귀국의 날을 빼앗았던 것이다. 그러한 내력을, 어느 대목부터라도 좋으니 제우스의 따님이신 뮤즈 여신이여, 우리한테도 이야기해 다오. 다른 대장들로서 준엄한 죽음의 운명을 벗어난 용사들은 이미 모두 다 고향에 돌아가 있었다. 전쟁에서도, 험한 바닷길에서도 운수 좋게 벗어나서, 그런데 오디세우스만은, 고국에 돌아가 아내를 만나길 간절히 바라고 있었는데도, 여신들 사이에서도 세력 있는 님프 칼립소가, 주위에 텅빈 동굴 속에서 그와 결혼하기를 갈망하여 붙잡아 놓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마침내 세월이 흘러, 여러 신들이 정해 놓은 이타케 섬으로 돌아갈 그의 귀국 날이 돌아왔으나, 그 때에도 아직 온갖 관에서 벗어날 수는 없었던지, 다시 관의 길이 시작되었다. 즉 다른 신들은 그를 불쌍히 여겼으나, 포세이돈은 아직도 노여움을 풀지 못해 신이나 다름없는 오디세우스가 자기 고국으로 돌아가는 것을 몹시 싫어하고 있었다. 그러나 마침 이즈음 포세이돈은, 먼 곳에 살고 있는 아이티옵스 족들에게로 떠나고 없었다. 이 아이티옵스(에티오피아 사람)들은 인간 세계의 맨 끝에 살고 있었다. 두 갈래로 나뉘어, 한쪽은 해가 저무는 서쪽 끝에, 또 다른 한쪽은 해가 솟는 동쪽 끝에. 그 나라로, 황소와 새끼양의 제물을 바치는 제사에 참여하려고 갔던 것이다. 그리하여 포세이돈이 잔치에 앉아서 즐거워하는 동안, 다른 신들은 올림푸스에 있는 제우스 대신(大神)의 궁전에 모여 있었는데, 인간들과 신들의 어버이 신인 제우스가 맨 먼저 좌중에 의논의 말을 꺼냈다. 그도 그럴 것이, 가슴 속에 용맹했던 아이기스토스가 떠올랐으므로 (그를 아가멤논의 아들이며 천하에 그 이름을 떨친 오레스테스가 죽여 버렸던 것이다.) 그 일을 생각하면서 불사의 신들 가운데 서서 이렇게 말하였다. "허 참, 정말 무슨 까닭으로 인간들은 우리 신들한테 죄를 뒤집어씌운단 말인가. 재앙이란 재앙은 모두 우리한테서 일어난다고들 하지만 사실은 인간 자신들의 분수를 벗어난 행동 때문에 타고난 운명보다도 더한 쓰라린 꼴을 당하는 것을. 이번 일만 하더라도, 아이기스토스는 아트레우스의 아들 아가멤논의 정실(正室)인 클뤼타임네스트레와 밀통해서는, 아가멤논이 트로이에서 귀국하자 살해하기에 이르렀지. 그것도 이내 자신의 파멸을 부르는 것인 줄 알면서도 말이지, 우리가 미리 저 훌륭한 파수꾼, 아르고스의 살해자인 헤르메스를 사절로 보내어 경계하라고 했는데도 말이야. 아가멤논을 살해하면 안 된다, 또 그 아내를 탐내면 안 된다고 하였는데도. 왜냐 하면 그런 짓을 하면, 곧장 아가멤논의 아들 오레스테스에 의해 복수를 받을 것은 뻔한 일이니까. 지금은 나이가 어리고 타국에 가 있지만, 얼마 뒤면 어른이 되어 제 나라가 그리워 돌아오게 될 것이라고, 그렇게 헤르메스를 시켜 말했는데도, 내가 애써 잘 하라고 걱정해서 말해 주었는데도, 아이기스토스의 얼빠진 마음을 설득하지는 못했던 게야. 그래서 그는 이제 만사를 오직 한 번의 행동으로 앙갚음 당하고 만 셈이란 말이지." (후략) 텔레마코스는 다음 날 아침 시민회의를 열어 구혼자들이 이타케 성을 떠날 것을 요구하지만, 구혼자들의 두목 노릇을 하는 안티노오스는 이를 간단히 무시한다. 텔레마코스는 또한 이타케 주민들에게 오디세우스의 생사를 확인을 위한 여행에 필요로 하는 배 한 척을 마련해 주기를 간청하지만 거절당한다. 실망한 텔레마코스에게 아테나가 오디세우스의 옛 친구인 멘테스의 모습으로 나타나 여행에 필요로 하는 배와 식량 등을 마련해 주리라 약속한다. 저녁이 되어 그는 아테나가 변신한 멘토르와 함께 어머니 페넬로페 몰래 스파르타로 떠난다. 필로스에 도착하여 텔레마코스는 해안에서 네스토르를 만난다. 네스토르는 오디세우스의 아들에게 트로이전쟁에 관해 이야기를 건네준 뒤, 오디세우스의 안부는 스파르타의 군주 메넬라오스에게 알아보라고 텔레마코스에게 조언한다. 메넬라오스의 성에서 텔레마코스와 페이시스트라토스는 환영을 받는다. 헬레네는 텔레마코스에서 겉모습에서 오디세우스의 아들임을 알아차린다. 반갑게 서로 인사를 나눈 후, 함께 저녁 식사를 하면서 메넬라오스는 트로이전쟁에서 오디세우스의 활약을 높이 칭찬한다. 다음날 아침 메넬라오스는 텔레마코스가 아버지의 행방을 물어보기 위해 방문하였다는 것을 알고는, 이집트의 바다신 프로테우스에게서 전해 들은 바에 따르면 오디세우스는 오기기아 섬에 머물고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 해 준다. 한편 이타케에서는 안티노오스와 구혼자들은 여행에서 돌아오는 텔레마코스를 암살할 음모를 꾸민다. 페넬로페는 구혼자들의 전령으로부터 이 음모를 전해 듣고는 구원해 줄 것을 아테나에게 기도한다. (무대바뀜)오디세우스의 장래에 대해 신들이 회의한 끝에 제우스는 헤르메스를 칼립소의 섬으로 보낼것으로 결정했다. 오디세우스를 남편으로 삼기 위하여 수많은 구혼을 오디세우스에게 하는 칼립소에게 헤르메스는 오디세우스를 귀향시키라는 제우스의 명령을 전달한다. 칼립소는 엄한 명령에 복종을 하여 오디세우스에게 귀향 채비를 갖추라고 하며 도끼를 주었다. 얼마 후 오디세우스는 스스로 만든 뗏목을 타고 귀향 길에 오르지만, 그를 저주하는 포세이돈이 일으킨 풍랑에 휩쓸려 온갖 죽을 고생을 한 끝에 바다의 요정 로이코테아의 도움으로 겨우 목숨을 건져 전설적인 섬 파이아케스에 이른다. 허기와 피로로 기진 맥진한 오디세우스는 해안에서 숲덩굴을 찾아 몸을 가린 후 풀숲에서 깊은 잠에 빠진다. 알키노오스가 지배하는 파이아케스족의 섬으로 풍랑에서 목숨을 건진 후 오디세우스가 깊은 잠에 빠져 있는 동안 아테나는 알키노오스의 딸 나우시카아의 꿈에 나타나 날이 밝으면 시녀들을 거느리고 해변으로 나가 밀린 빨래를 하라고 충고한다. 여신의 뜻대로 공주는 바로 오디세우스가 잠을 자고 있는 해변에 이르러 빨래를 마친 후 시녀들과 공놀이를 했는데, 공이 잠자는 오디세우스에게 떨어져 그가 잠에서 깨어나 주변을 둘러본다. 다른 처녀들은 발가벗은 낯선 남자를 보자 모두 달아나지만 나우시카아 공주는 그대로 대면하여 이야기를 듣는다. 오디세우스는 자신이 처한 딱한 상황을 공주에게 솔직히 털어놓으며 도움을 청한다. 공주는 오디세우스가 평범한 남자가 아님을 직감하고 그에게 먹을 것과 입을 옷을 내어 주고 길을 알려 준 후 먼저 가라고 말한다. 나우시카아를 뒤따라 그녀의 아버지의 궁전에 다다른 오디세우스는 아테나의 도움으로 안개에 쌓여 궁전에 스며들어 알키노오스 앞에 모습을 드러낸다. 왕실에 모여 있던 여러 신하들은 갑자기 나타난 이방인을 보고 어수선 해 하는 틈을 타 오디세우스는 왕비 아레테 앞에 무릎을 꿇고 자신이 처한 어려운 상황을 이야기 하면서 도와줄 것을 청한다. 알키노오스는 오디세우스를 술자리에 초대하여 환영을 한다. 아레테는 오디세우스가 입고 있는 옷을 눈여겨 보고는 어디서 옷을 얻었는가 묻자, 오디세우스 나우시카아를 해변에서 만난 사실을 솔직히 이야기한다. 밤이 늦어 모두들 잠자리를 찾는다. 호메로스 저, 천병희 역, 오뒷세이아, 숲, 2006(제1판)/2015(제2판) (희랍어 원전 번역) 분류:호메로스 분류:서사시권 분류:속편 분류:미디어 믹스 분류:바다를 소재로 한 작품 분류:퍼블릭 도메인 책 분류:기원전 8세기 책
고대 그리스 문학 은 초창기부터 비잔티움 제국 시절까지 고대 그리스어로 쓰여진 문학을 의미한다.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 문학에서 가장 오래된 작품은, 고졸기 (Archaic period) 초기 미케네 시대에 쓰인 두 서사시,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이다. 이 두 서사시와 ‘호메로스풍 찬가’, 그리고 헤시오도스의 두 시집 ‘신들의 계보’와 ‘일과 날’은 고전기,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에까지 이르는 그리스 문예 전통의 중요한 기초를 이룬다. 서정시인 사포, 알카에우스와 핀다로스는 초창기 그리스 시 전통 형성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아이스킬로스는 작품이 온전히 남아있는 최초의 그리스 비극작가이다. 소포클레스는 오이디푸스에 관한 그의 비극들, 특히 오이디푸스 왕과 안티고네로 유명하다. 에우리피데스는 비극 양식의 경계를 확장한 그의 희곡으로 알려져있다. 희극작가 아리스토파네스는 ‘구 희극’ 양식으로 작품을 쓴 반면 이후의 극작가인 메난드로스는 ‘신 희극’의 선구자였다. 기원전 5세기를 살았던 사학자 할리카르나소스의 헤로도토스와 투퀴디데스는 그들 생애와 그 전의 사건들을 다룬 역사책을 썼다. 철학자 플라톤은 그의 스승 소크라테스를 중심으로 여러 철학적 주제들을 다룬 대화편을 썼으며 반면 플라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는 훗날 큰 영향을 끼치게 될 수많은 논문들을 저술했다. 중요한 후대 작가들에는 아르고나우타이의 항해기를 다룬 서사시인 아르고나우티카를 쓴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 수학의 새 지평을 연 논문을 저술한 아르키메데스, 전기와 수필을 주로 흔 플루타르코스가 있다. 기원후 2세기의 작가 사모사타의 루키아누스는 주로 풍자 작품을 쓴 그리스화된 시리아인이었다. 고대 그리스 문학은 후의 그리스 문학과 더불어 서구 문학에 있어 풍부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많은 고대 로마 작가들은 그리스의 선배들로부터 영감을 얻어냈다. 르네상스 이후로도, 단테 알리기에리, 윌리엄 셰익스피어, 존 밀턴과 제임스 조이스같은 유럽 작가들 전반은 고전적 주제와 동기에 심히 영감을 받았다. 그리스 문학의 시발점에는 호메로스의 기념비적인 두 작품,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가 자리잡고 있다. 호메로스의 정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불명이다. 일리아스는 10년간의 트로이 전쟁 말미의 10일간을 다루는 담화이다. 이 이야기의 중심에는 그리스 영웅의 이상을 구체화한 아킬레우스가 서있다. 오디세이아는 트로이 전쟁의 전사 중 하나였던 오디세우스의 모험에 대한 이야기이다. 10년간의 전쟁 이후, 그는 또 다시 10년이라는 세월을 아내와 가족이 있는 고향으로 항해하는데 쓰게된다. 페넬로페는 이상적인 여성상으로 그려지며, 호메로스는 그녀를 서약, 겸양, 순결과 오디세우스와의 결혼동안 보인 존경을 바탕으로 그녀를 이상적 여성으로 그리고 있다. 10년간의 항해에서 오디세우스는 동료들 모두와 배를 잃고 거지로 가장하여 고향 이타카로 돌아온다.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 두 작품 모두 고대의 전설을 기초로 한 작품이다. 이야기는 간단하고 직설적인 언어로 말해진다. 호메로스의 언어는 이오니아 방언을 기초로 하여 아에올리스와 아티카의 방언이 조금 섞인 고어체이다. 아티카 방언이 섞인 이유는 기원전 6세기 아테나이의 호메로스 서사시 판본 때문이다. 서사시의 운문은 6보격이다. 고졸기의 다른 위대한 시인은 바로 헤시오도스이다. 호메로스와 다르게 헤시오도스는 자기 자신을 시 속에서 언급한다. 하지만 그밖의 어떤 자료도 그에 관해 언급하고 있지 않다. 그는 중앙 그리스의 보에오티아 주민이였고, 기원전 700년 경에 살았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헤시오도스의 두 장편인 일과 날과 신통기이다. 일과 날은 그가 잘 알고있던, 가난에 고통받는 시골 생활의 충실한 묘사이다. 이 시는 또한 농부들을 위한 규칙들을 설명하고있다. 신통기는 창조와 신에 관한 체계적인 담화이다. 이 시는 생생하게 먼 옛날 황금기부터 시작한 인류사를 묘사하고있다.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작품은 고전 전반에 걸쳐 찬사를 받고있으며 고대 그리스 신화의 창립자적인 글로 많은 고대 독자들에게 읽혔다. 호메로스는 영웅적인 과거의 이야기를 말했으며, 헤시오도스는 신화 창조 담화와 동시대 일상의 현실적인 면을 포괄했다. 서정시라는 말은 리라(λύρα)라는 악기와 함께 합창단이나 개인이 부른 곡에서 유래되었다. 하지만 그 어원과는 달리 여기서 말하는 서정시는 4개의 장르로 나눠지는데 그 중 2개는 키타라가 아닌 플루트가 반주되는 장르이다. 이 두 장르는 만가와 단장격 시이다. 두 장르 모두 이오니아 방언으로 쓰였다. 만가는 만가 대구법로 쓰였고 약강격 시는 약강 삼보격으로 쓰였다. 첫 서정시인은 기원전 7세기경의 중요한 약강격 시인인 파로스의 아르킬로코스로 추정된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의 고전시인의 경우처럼 조각들로로만 남아있다. 몇몇 단편들은 그가 매우 험난한 인생을 산 것을 전해준다. 많은 서정시들은 아이올리스 방언으로 쓰여졌다. 각 서정시마다 매우 다양한 시 보격이 사용되었다. 서정시인들중 가장 유명한 이들은 “9명의 서정시인”이라고 불린다. 그중에서 레스보스의 사포 (기원전 630년 경 - 기원전 570년 경)은 가장 널리 찬송되는 시인이었다. 고대 그리스에서 그녀의 시는 호메로스의 시만큼의 존경을 받았다. 그중 “아프로디테의 송가”만이 현대에까지 원형 그대로의 완결된 모습으로 전해지고 있다. 사포와 더불어 그녀의 동시대인인 레스보스의 알카에우스 역시 서정시 만가로 유명하다. 알크만이 쓴 시는 듣기 불쾌하다고 여겨진 도리아 방언으로 쓰였음에도 아름답다고 여겨진다. 후대의 시인인 테베의 핀다로스는 제창 서정시로 유명하다. 현존하는 모든 고대 그리스 희곡은 아테나이 출신의 극작가들이 썼으며 오로지 아티카 방언만이 사용되었다. 합창공연은 모든 그리스 도시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전통이었다. 아테나이인은 테스피스라는 이름의 남자를 합창단장과 상호작용하기 위해서 연기자를 첫번째로 도입한 희곡의 창시자로 여긴다. 훗날 극작가들은 스토리텔링을 더 자유롭게 하고자 연기자의 수를 3명으로 늘렸다.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 따른 아테나이의 깨어난 국가정신은 과거의 영웅적 전설적 주제를 바탕으로 한 수많은 비극작품에서 표현되었다. 완전히 남아있는 모든 그리스 비극은 대체로 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나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전통적으로 아이스퀼로스의 작품으로 추정된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와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레수스」를 쓴 작가는 여전히 확실치 않다. 결박된 프로메테우스는 아이스퀼로스의 아들인 에우포리온의 작품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아이스퀼로스가 썼다고 여겨지는 남아있는 비극은 일곱 작품이 있다. 이 희곡들 중 세 작품, 《아가멤논》,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코이포로이)》, 《자비로운 여신들(에우메니데스)》은 오레스테이아 3부작으로 묶인다. 소포클레스의 작품은 총 일곱 작품이 현존하는데, 그중 가장 호평받은 작품에는 오이디푸스와 그의 자식들의 이야기를 다룬 테바이 3부작이 있다. 테바이 3부작은 오이디푸스 왕,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와 안티고네로 구성된다. 이 희곡들은 보통 “3부작”으로 불리지만 순차적으로 쓰이지 않았다. 내용적으로 3부작 중 마지막 작품인 안티고네는 소포클레스의 초기 활동시기인 기원전 441년 작성되어 연대상으로는 처음 쓰였다. 셋 중 가장 유명한 오이디푸스 왕은 그의 활동시기 중반부인 기원전 429년경 쓰였다.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는 내용상으로 2번째이나 사실은 소포클레스의 마지막 작품이며 소포클레스 사후, 기원전 401년에야 공연되었다.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으로 여겨지는 희곡은 모두 열아홉 작품이다. 그중 잘 알려진 희곡에는 메데아, 히폴뤼투스와 바카애가 있다. 레수스는 가끔씩 에우리피데스의 아들의 작품이나 에우리피데스의 사후 복제작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에우리피데스는 비극 문학의 경계선을 늘렸으며 그의 작품 내의 많은 요소들은 비극적이라기보다 희극적이다. 그의 작품인 알케스티스를 예로 들자면, 이 작품은 문제극으로 분류되며 희극적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점 등을 들어 진정한 비극보다는 희비극으로 특징을 더 갖고있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고전기에 활동한 유명한 두 역사가는 바로 헬리카르나소스의 헤스도토스와 투퀴디데스이다. 헤로도토스는 흔히 “역사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의 저서 역사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산문 문학중 하나이다. 투퀴디데스의 책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사도행전의 저술가와 비잔티움의 역사가 카에사레아의 프로코피우스같은 후대 작가들과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고대 그리스의 세번째 역사가, 아테네의 크세노폰은 투퀴디데스기원전 411년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다 썼을 무렵 헬레니카의 저술을 시을했으며 기원전 362년까지 다루고 있다. 크세노폰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아나바시스인데, 세밀한 이 작품은 페르시아의 키루스를 도와 키루스의 형을 황좌에서 끌어내리려는 전쟁에서 그리스 용병으로 참여했던 본인의 1차사료를 바탕으로 쓰였다.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많은 철학자들은 기원전 5세기와 4세기경에 살았다. 그리츠 초기의 철학자들 중 밀레토스의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와 아낙시메네스들을 묶어 "밀레토스 철학자"라고 부른다. 하지만 이 철학자들의 글은 킬리키아의 심플리키우스가 보존한 아낙시만드로스의 단편조각 하나밖에 남아있지 않다. 철학자 사모스의 피타고라스의 삶에 관해서는 매우 적은 것만이 알려졌으며 현재까지 그가 쓴 글 중 현존하는 것은 없으나 그의 제자 아크라가스의 엠페도클레스의 인상적인 시 전집이 남아있다. 에페수스의 헤라클리토스와 압데라의 데모크리토스의 많은 단편 조각들 역시 남아있다. 에픽테토스 (55년 - 135년경)은 스토아 학파의 도덕철학자이다. 그의 강의는 제자 아리안에 의해 강연 과 엔케이디온 으로 정리되었다. 호메로스 일리아스, 오디세이아 헤시오도스 비극 * 아이스퀼로스 * 소포클레스 * 에우리피데스 희극 * 아리스토파네스 * 메난드로스 애정시 * 사포 전원시 * 테오크리토스 철학 *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 * 소크라테스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 웅변 * 데모스테네스 * 이소크라테스 * 리시아스 * 아이스키네스 역사 * 헤로도토스 * 투퀴디데스 * 크세노폰 * 폴뤼비오스 그리스 신화 * 올림피오도로스 의학 * 히포크라테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Marcus Tullius Cicero 기원전 106년 1월 3일 - 기원전 43년 12월 7일)또는 치체로 는 로마시대의 정치가, 웅변가, 문학가, 철학자이다. 키케로는 기원전 106년 라티움의 아르피눔(Arpinum) 지방기사(Eques) 가문에서 출생하였다. 아들의 출세를 갈망하는 아버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일찍 로마로 유학하여 관료가 되기 위한 수사학, 웅변술을 스카이볼라 밑에서 익히면서 전설적인 로마의 장군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세계관에 큰 감명을 받았다. 철학적으로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파이드로스에서 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91년에서 88년까지 군복무를 했다. 기원전 88년에서 82년에 걸쳐 키케로와 같은 고향 출신인 가이우스 마리우스와 당시의 원로원의 후원을 받던 술라 사이에서 벌어진 내전 동안 키케로는 아카데미학파의 필론 밑에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익히게 된다. 26세에 아버지 살인 혐의로 고소된 로스키우스를 성공적으로 변호함으로써 로마의 정계에 알려진다. 79년에서 77년 사이에 아테네, 소아시아 지방과 그리고 로도스 섬을 두루 여행하면서 견문을 넓힌다. 기원전 75년 31세의 나이로 재무관에 선출된다. 5년 뒤 안찰관에 선출되어 재임 기간 동안 유명한 베레스 반박문을 쓰고, 기원전 66년 법무관에 선출되어 당시 정계의 실권자 폼페이우스를 지지하는 변론을 쓴다. 43세의 나이로 (기원전 63년) 이른바 지방 신출내기( homo novus )로서 로마 최고 관직인 집정관에 선출되었다. 집정관 재임시 카틸리나 역모 사건을 적발하고 원로원 최종권고( senatus consultum ultimum )를 선포한 뒤, 일당 5명을 붙잡으면서 로마를 위기에서 건졌지만, 이때 재판도 없이 혐의자를 처형한 문제로 나중에 곤욕을 치르게 되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존 원로원 체제의 문제점을 공격하는 도구로 그 사건을 이용했다. 그러나 기원전 60년에 율리우스 카이사르, 폼페이우스 그리고 크라수스가 제1차 삼두정치 협약을 하게 되자 공화국 체제를 고수하는 키케로는 이들 실권자로부터 따돌림을 받는다. 더군다나 키케로에게 개인적으로 유감이 있는 클로디우스는 이 기회를 틈타 키케로가 집정관 재직시 카틸리나의 모반 가담자 5명을 불법으로 처형한 사실을 들추어내어 고소를 함으로써 키케로를 약 1년 6개월 동안 (기원전 58년 3월 - 57년 8월) 로마에서 추방시킨다. 귀향 허가를 받아 로마로 돌아와 정계에 거리를 두면서 주로 저작활동을 한다. 이 시기(기원전 55년 - 51년)에 키케로는《웅변가에 관하여》( De Oratore ), 《키케로의 국가론》( De re publica ), 《법론》( De legibus )등을 썼다. 기원전 49년 폼페이우스와 율리우스 카이사르 사이에 벌어진 로마 공화정의 내전에서 키케로는 어느 편에 가담할 것인가 하는 갈등 끝에 결국 원로원파인 폼페이우스 진영에 가담한다. 기원전 48년 8월 9일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폼페이우스가 카이사르에게 패배함으로써 내전이 끝나자 키케로의 운명은 카이사르의 말 한마디에 달리게 된다. 카이사르는 로마로 입성한 후 키케로를 사면해 주면서 심지어 로마를 위해 계속 정치 활동을 해 줄 것을 권고한다. 그러나 점점 눈에 드러나 보이는 일인 독재 정치에 무력감과 회의를 느끼면서 주로 철학을 주제로 한 책을 쓰는 데 시간을 보낸다. 정치적 불만과 함께 기원전 45년에는 사랑하던 딸 툴리아가 사망함으로써 키케로는 삶의 보람을 거의 상실하게 된다. 기원전 44년 카이사르가 암살된 후, 키케로는 공화정을 되살리고자 하는 작은 희망으로 특히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탄핵하는 필리피카이(philippicae)를 발표하여 일인 독재와 폭력 정치를 규탄한다. 기원전 43년 안토니우스를 배척하기 위한 수단으로 키케로는 카이사르의 양자이자 법적 상속자인 젊은 옥타비아누스를 과소 평가하여 정치적으로 기만하지만, 곧 제2차 삼두정치에서 자신의 노력이 헛되었음을 실감한다. 기원전 43년 12월 7일 모든 희망을 버리고 로마를 피신하던 키케로는 제2차 삼두정치에 의해 살생부 명단에 올라가게 되고, 그 뒤 안토니우스의 사주를 받은 부하에 의해 카이에타에서 암살당했다. 키케로는 머리와 두 손이 잘려 죽었는데, 안토니우스는 키케로의 머리와 두 손을 로마 광장에 내다 걸었다. 공화주의 신념을 잃지 않고, 글로써 안토니우스를 규탄한 키케로를 두려워했던 것이다. 철저한 공화주의자인 키케로와 공화정에 반발을 가지고 있는 카이사르와는 정치적으로 반대의 입장이었으나 편지를 주고 받을 정도로 상당한 친분이 있던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명지에서 돌아온 키케로는 갈리아에서 카이사르에게 친구와 친지들의 인사 청탁(人事請託) 편지를 자주 쓰곤 했고, 카이사르는 기꺼이 응했다. 동생인 퀀투스 툴리우스 키케로가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자, 카이사르에게 동생을 청탁했다. 그리하여 퀸티우스 시세로는 카이사르 휘하의 군단장으로 종사하며 갈리아에서 전공을 세웠다. 정치가로서 키케로는 역사의 거센 흐름에 좌절되었다고 일반적으로 평가되는 반면, 문학자로서 그의 이름은 라틴어 문학사에 길이 남아있다. 이른바 고전 라틴어는 키케로에 의해서 비로소 그 틀이 잡혀졌으며 그의 라틴어 문체는 곧 고전 라틴어의 표본으로 간주되고 있다. 유럽의 대부분의 지역이 4세기 중엽까지 로마 제국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 밑에 있는 동안 라틴어는 이들 지역에서 이른바 관용어로서 쓰이게 되었으며, 로마제국의 멸망 후 중세기를 거쳐 18세기에 이르기까지 라틴어는 계속 문어로서 두루 쓰여졌다. 여기에서 라틴어 문어를 올바로 쓰고 배우는 첫과정에서 언제나 키케로의 변론문을 라틴어의 표본으로 삼았으며 이와 같은 전통은 오늘날까지 라틴어를 배우는 데에 그대로 지속되고 있다. Opera omnia , 1566 변호문 베레스 반박문( In Verrem , 기원전 70년) 폼페이우스의 지휘권에 관하여 ( De imperio Cn. Pompei , 기원전 66년) 무레나 변호문 ( Pro Murena , 기원전 66년) 카틸리나 반박문 ( In Catilinam , 기원전 63년) 아르키아 변호문 ( Pro Archia , 기원전 62년) 필리피카이 ( Philippicae orationes , 기원전 44년) 수사학 브루투스 ( Brutus ) 웅변가론 ( De oratore ) 웅변가 ( Orator ) 철학저서 투스쿨란의 대화 ( Tusculanae disputationes ) 키케로의 국가론 ( De re publica ) 의무론 ( De officiis ) 최선과 최악에 관하여 ( De finibus bonorum et malorum ) 신의 본질에 관하여 ( De natura deorum ) 아카데미카 I, II ( Academica I, II ) 서한 분류:기원전 106년 태어남 분류:기원전 43년 죽음 분류:로마 공화정의 집정관 분류:로마 원로원 의원 분류:고대 로마의 작가 분류:고대 로마의 철학자 분류:고대 로마의 법률가 분류:고대 로마의 수사학자 분류:정치 이론가 분류:인문주의자 분류:회의주의자 분류:망명자 분류:암살된 사람
1983년 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1월 11일 - 나카소네 야스히로, 일본의 현직 총리로서는 처음으로 대한민국을 공식 방문해 전두환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짐, 총 40억달러의 경제협력 지원에 합의. 1월 14일 - 청량리 가스 폭발 사고 발생. 2월 25일 - 이웅평이 대한민국으로 귀순하다. 5월 5일 - 중국의 민항기가 당시 적성국이던 대한민국에 불시착하다. 6월 30일 - KBS 제1TV, 이산가족 찾기 방송 시작. (~11월 14일) 8월 5일 - 중국 여객기, 한국비행정보구역 첫 통과. 8월 6일 - 여의도에 6.25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만남의 광장 개설. 8월 7일 -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조종사 손천근(孫天勤), Mig-21 몰고 한국으로 귀순(8월 20일 중화민국으로 망명). 8월 21일 - 필리핀의 야당 지도자 베니그노 아키노 가 마닐라 공항에서 피살되다. 9월 1일 - 대한항공 007편이 소련 상공에서 격추되어 탑승객 269명 전원 사망. 9월 8일 - 대한민국 제118회 임시국회, 소비에트 연방의 KAL기 격추 규탄 결의안 채택. 9월 9일 - 대한민국 고리 원전3호기 준공. 9월 19일 - 세인트키츠 네비스가 독립하다. 9월 22일 - 대구 미국문화원 폭발 사건 발생. 9월 23일 - 세인트키츠 네비스, 유엔 가입. 9월 25일 - 38명의 IRA 포로가 형무소 식사 화물 자동차를 납치, 앤트림주의 HM 형무소 미로로 도주. 9월 26일 - 1983년 핵무기 신호 오인 사건 발생. 10월 8일 - 대한민국 전두환 대통령, 버마(현 미얀마) 등 서남아ㆍ대양주 6개국 순방 시작. 10월 9일 - 아웅산묘역 폭탄테러사건 전두환 대통령이 미얀마를 방문 중에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서석준 부총리 등 17명이 이때 순직하고 15명이 부상당했다. 대한민국, 1983년 정보산업의 해 선포. 1월 15일 - 대한민국의 동전, 지폐의 디자인을 현 디자인으로 변경함(지폐중, 5000원권은 2006년 1월 2일부터 생산중단. 단, 1000원권과 10000원권은 2007년 1월 22일부터 생산중단). 2월 - 삼성전자에서 국산 개인용 8비트 컴퓨터, SPC-1000 시판. 2월 5일 - 과학전대 다이너맨 방송 시작. 2월 7일 * 한국방송광고공사의 공익광고향상자문위원회가 설립되다. * 공익광고협의회 로고가 확정되다. 4월 2일 - 북한산이 15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다. 4월 14일 - 제1회 천하 장사 씨름 대회 열림. 4월 18일 - 미국의 케이블 채널인 디즈니 채널이 방영을 시작하다. 5월 26일 -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부근의 커클랜드에서 짐 시네갈이 코스트코를 창업하다. 5월 31일 - 현대자동차에서 스텔라를 출시하다. 6월 12일 - 멕시코 20세이하 세계청소년축구대회 대한민국 대표팀 4강 진출. 6월 20일 - 문교부가 체벌을 금지하다. 7월 - 대우자동차(한국GM의 전신)에서 로얄 프린스 출시. 7월 15일 - 닌텐도에서 가정용 게임기 패밀리 컴퓨터 발매. 8월 3일 - 삼성반도체, 64KD램 개발 성공. 8월 27일 - 대한민국, 국제기능올림픽 5연패. 9월 16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 ~ 성수역 구간 개통. 9월 17일 - 바네사 윌리엄스, 흑인 최초로 미스 아메리카에 선발. 10월 5일 - 폴란드 자유노조의 레흐 바웬사가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다. 11월 22일 - 대한민국에서 1984학년도 학력고사 실시 12월 17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교대 ~ 서울대입구역 구간 개통. 1월 1일 *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 박성현.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다니엘 하르케. 1월 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여성. 1월 6일 * 대한민국의 래퍼 미쓰라 진 (에픽하이). * 대한민국의 개그맨 김태원 1월 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윤승균 * 대한민국의 희극인 장효인 * 대한민국의 레이싱모델 구지성 1월 1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동현 1월 13일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제 카스트루 * 대한민국의 당구 선수 김가영 1월 16일 - 우크라이나의 축구 선수 안드리 루솔 1월 17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알바로 아르벨로아 1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유미 * 대한민국의 방송인 오정연 1월 19일 - 일본의 가수 우타다 히카루 1월 20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가수 선경 * 대한민국의 배우 전지혜. * 대한민국의 배우 강예빈 * 일본의 가수, 배우 야구치 마리 1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건 1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동하. *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스티페 라피치 1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문보령 * 미국의 가수 다이앤 버치 1월 25일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김혜선 1월 26일 * 대한민국의 격투기 선수 이수환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이재진 1월 28일 - 일본의 애니메이터 호리구치 유키코 1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재인 2월 3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곽용섭 * 중국의 바둑 기사 구리 2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백명훈 2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충수 2월 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고효준 * 대한민국의 모델 예학영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최성국 * 대한민국의 배우 지주연. 2월 10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모델 전예희 2월 11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라파얼 판 데르 파르트 * 대한민국의 배우 강경준. 2월 12일 - 대한민국의 개그맨 안시우. 2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금호석. 2월 14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바카리 사냐 * 대한민국의 배우 성훈. 2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임보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준석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롤란도 비안키 2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오종혁 (클릭비). 2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마이노스 * 일본의 야구 선수 가타오카 야스유키 2월 19일 * 일본의 가수 나카시마 미카 * 일본의 배우 야마구치 쇼고 * 일본의 성우 사사키 노조미 2월 21일 - 프랑스의 영화배우, 감독 멜라니 로랑 2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지아 2월 2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방승환 *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에두아르두 다 시우바 2월 26일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페페 3월 1일 * 케냐-멕시코의 배우 루피타 뇽오 * 대한민국의 배우 황지현. 3월 2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배우 이하늬.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세돌 3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온희정 3월 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길훈 3월 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진우 * 앙골라의 축구 선수 마누슈 3월 8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안드레 산투스 3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은형. 3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류현경. 3월 1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영후 * 대한민국의 배우 최우석. 3월 12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서나래 * 대한민국의 성우 남도형 3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현식. 3월 19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배정남. 3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안진경. * 일본의 축구 선수 가와시마 에이지 3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아웃사이더 3월 22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안데르송 히카르두 두스 산투스 3월 23일 - 대한민국의 모델 한혜진 3월 2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효남 3월 27일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송영전 3월 29일 - 대한민국의 모델 지호진 3월 3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염기훈 3월 3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유세영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윤원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민아 4월 1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프랑크 리베리 4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재욱 4월 3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송병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벤 포스터 * 대한민국의 성우 이재현 4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테이 4월 6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이지선. * 대한민국의 래퍼 무웅 (배치기). 4월 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수연 * 대한민국의 방송인 문지애 4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제이. * 대한민국의 배우 기은세. 4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래퍼 길미. 4월 1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신화용 4월 14일 - 스코틀랜드의 축구 선수 제임스 맥패든 4월 16일 - * 미국의 가수 마리에 디그비 *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 이은형 4월 1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정규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조원희 4월 18일 -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장남석 * 베네수엘라의 야구 선수 미겔 카브레라 4월 1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우선 4월 21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장성규 4월 23일 - 대한민국의 멀리뛰기 선수 정순옥 4월 24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조제 카를루스 페헤이라 필류 * 대한민국의 배우 한수연. 4월 25일 * 뉴질랜드의 중거리 육상 선수 닉 윌리스 * 대한민국의 해머던지기 선수 강나루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여효진 4월 26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경욱 4월 28일 * 대한민국의 VJ 심민 * 대한민국의 가수 아이삭 스쿼브 4월 29일 * 터키의 축구 선수 세미흐 셴튀르크 * 스웨덴의 축구 선수 헤드비그 린달 4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예솔 5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해진. * 대한민국의 성우 한신 * 프랑스의 수영 선수 알랭 베르나르 5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승훈. 5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동현배 5월 6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다니에우 아우베스. * 대한민국의 배우 김효선. 5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상혁 (클릭비). 5월 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문주원 * 대한민국의 배우 이상엽. 5월 9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장희진. * 일본의 배우 마쓰다 류헤이 5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희본. * 핀란드의 기타리스트 마티아스 쿠피아이넨 5월 12일 * 미국의 인터넷 소설가 트각트각 * 아일랜드의 배우 도널 글리슨 5월 13일 - 코트디부아르의 축구 선수 야야 투레 5월 14일 - 미국의 배우 앰버 탬블린 5월 16일 - 레바논의 가수 낸시 아즈람 5월 17일 - 대한민국의 개그우먼 강유미 5월 18일 - 대한민국의 개그맨 김대성 5월 19일 * 러시아의 이종격투기 선수 루슬란 카라에프 * 대한민국의 배우 김흥수. 5월 20일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출신 MC 박은지. 5월 21일 - 일본의 성우 시미즈 카오리 5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남지연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홍준 5월 2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배기종 * 도미니카공화국의 야구 선수 오넬리 페레스 5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허형규. * 미국의 축구 선수 스티브 크로닌 5월 3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류제국 * 대한민국의 만화가 조석. * 대한민국의 성우 김영은. 6월 1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채윤아 6월 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문수호 6월 8일 * 벨기에의 테니스 선수 킴 클리스터스 * 일본의 성우 미야노 마모루 6월 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장원삼 6월 11일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서호진 * 미국의 랩가수 2 피스톨스 6월 12일 - 나이지리아의 종합격투기 선수 앤디 올로건 6월 15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박샤론 6월 16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이현민 6월 1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오원종 * 일본의 가수 니노미야 카즈나리(아라시) 6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사희. 6월 20일 - 일본의 배우 미카미 마사시. 6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방원. 6월 24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경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근철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송광민 6월 25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모델 이효영 6월 26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펠리피 멜루 6월 2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영광 6월 29일 - 대한민국의 쌍둥이 강주희, 강승희. 6월 30일 * 일본의 야구 선수 오치 다이스케. * 영국의 배우 구구 음바타로. 7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특 (슈퍼주니어). 7월 2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미셸 브랜치 * 벨기에의 축구 선수 알리너 젤러르. 7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진우. 7월 5일 - 미국 출생의 대한민국 가수 이루. 7월 7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임은경. 7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희철 (슈퍼주니어). 7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하지은. 7월 1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희수 * 중화인민공화국의 허들 선수 류샹 7월 14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수영 선수 위청 7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차도진. * 대한민국의 배우 최재환. 7월 1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양영동. 7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진우. * 싱어송라이터 쉐즈첸 7월 1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대형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이정옥 7월 20일 - 대한민국의 리포터 고다혜. 7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연지. 7월 23일 - 대한민국의 성우 조경이 7월 24일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다니엘레 데 로시 7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탤런트 최여진. * 마케도니아의 축구 선수 고란 판데프 * 알바니아의 축구 선수 로리크 차나 7월 27일 - 대한민국의 야구인 조동찬 7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동욱. * 대한민국의 트로트가수 장태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치곤 *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 블라디미르 스토이코비치 7월 30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안드레 루이스 타바레스 7월 3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진우 8월 2일 * 몬테네그로의 축구 선수 제난 라돈치치 * 대한민국의 가수 애프터스쿨 멤버 정아. 8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손여은. 8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진서. 8월 6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로빈 판 페르시. 8월 9일 - 미국의 성우 애슐리 존슨. 8월 10일 -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마츠하시 미키 대한민국의 레이싱모델 이현진. 8월 11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스피드스케이팅 선수 런후이. * 호주의 배우 크리스 헴스워스. 8월 12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클라스얀 휜텔라르. * 일본의 성우 아스미 카나. 8월 14일 * 미국의 배우 밀라 쿠니스. * 중화인민공화국의 테니스 선수 루옌순. 8월 15일 * 일본의 성우 혼다 요코. * 프랑스의 태권도 선수 글라디스 에팡그. 8월 17일 - 미국의 야구 선수 더스틴 페드로이아. 8월 18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성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효진. * 레바논의 싱어송라이터 미카. 8월 19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금나나. * 대한민국의 장애인 수영 선수 김지은. * 대한민국의 모델 장서진. *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 후안 세데뇨. * 일본의 드러머 반도 사토시. 8월 2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경선. 8월 21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전주리. 8월 23일 - 대한민국의 개그우먼 김영희. 8월 25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전 아나운서 김석류. * 일본의 가수 오호리 메구미. * 잉글랜드의 스쿼시 선수 제임스 윌스트롭. 8월 26일 - 일본의 야구 선수 이마에 도시아키. 8월 27일 - 타이완의 영화배우 천보린. 8월 28일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멜라니아 가비아디니. 8월 30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정다은. * 일본의 가수 마츠모토 준 (아라시). 8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강동진. * 대한민국의 희극인 성현주. * 대한민국의 배우 정경호. 9월 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종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호세 안토니오 레예스. 9월 2일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조진수.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김정환. 9월 3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지누리. 9월 4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학민. 9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형민. 9월 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염동균. 9월 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신용운 * 대한민국의 배우 최성준. 9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정화. 9월 10일 - 대한민국의 래퍼 탁 (배치기). 9월 11일 - 대한민국의 리포터 강지은. 9월 13일 - 타이의 이종격투기 선수 카오클라이 카엔노르싱 9월 14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연경흠.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민혁. * 영국의 가수 에이미 와인하우스 9월 1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고창현 * 대한민국의 배우 임성언. 9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성은. * 짐바브웨의 수영 선수 커스티 코번트리 9월 17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양승은. 9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민우혁. 9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민수. * 미국의 래퍼 데이 데이 (DMTN). 9월 2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윤길현 9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손담비. * 대한민국의 가수 헌터리아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하은주 9월 2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철호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히카르두 콰레스마 9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전혜빈. 9월 2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승렬 9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승아. 10월 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안지만 * 대한민국의 희극인 양상국 * 몬테네그로의 축구 선수 미르코 부치니치 10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황보라. * 일본의 축구 선수 후쿠모토 미호. 10월 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재성 10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태승 10월 5일 - 미국의 배우 제시 아이젠버그 10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문지은 10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상희. 10월 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병규 *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 장미란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현승 10월 14일 * 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 윤한. * 대한민국의 배우 강기영. * 중국의 배드민턴 선수 린단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임주연 * 대한민국의 개그맨 송왕호 * 터키의 이종격투기 선수 괵한 사키 10월 20일 - 일본의 배우 야마다 다카유키 10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별. 10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여름.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중문. 10월 28일 -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서련.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조순권 10월 31일 * 대한민국의 자산가 김동관. * 일본의 야구 선수 이와타 미노루. * 프랑스의 축구 선수 크리스토프 자예. 11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의식. * 대한민국의 배우 한다민. 11월 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조용형 11월 4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가수 김다나 11월 5일 * 대한민국의 개그우먼 안영미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최연성 11월 6일 * 대한민국의 삼성 라이온즈 야구 선수 (투수) 권혁. * 대한민국의 방송 기자, MBC 전 아나운서 배현진. 11월 7일 * 대한민국의 전 아나운서 차다혜.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동원. 11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현. * 대한민국의 배우 김해인. * 러시아의 축구 선수 파벨 포그레브냐크 11월 1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치우 * 독일의 축구 선수 필리프 람 * 일본의 성우 스즈키 타츠히사 * 일본의 영화배우, 모델 아오이 소라 * 일본의 야구 선수 야마구치 데쓰야 * 대한민국의 개그우먼 김혜선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K * 미국의 격투기 선수 벤 헨더슨 11월 18일 * 노르웨이의 사업가 욘 레크 요한센 * 대한민국의 탤런트 차현정 11월 19일 - 일본의 이종격투기 선수 사토 다쿠미.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현우. 11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이진. 11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지우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전다혜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임유진. * 대한민국의 배우 하수호. 11월 26일 - 일본의 성우 카토 에미리 11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현곤 (클릭비). 11월 30일 * 프랑스의 배우 기욤 구익스. * 스페인의 배우 카를라 니에토 헬리. 12월 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손주인. 12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경록 (V.O.S). 12월 5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이말년. 12월 6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민정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박용욱. 12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호석 (클릭비).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온주완.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기화. * 프랑스의 축구 심판 스테파니 프라파르. 12월 15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탁구 선수 왕하오 12월 16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나율.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오승원. 12월 16일 - 대한민국의 야구인 최형우. 12월 17일 * 프랑스의 랠리 선수 세바스티앵 오지에 * 대한민국의 배우 김보강 12월 2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한진 * 일본의 성우 테라시마 타쿠마 12월 21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최윤영 12월 23일 - 대한민국의 개그우먼 정지민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노민혁 (클릭비) 12월 25일 - 중화민국의 배우 계륜미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박정석. 12월 30일 - 대한민국의 성우 신경선. 12월 3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신종길 * 대한민국의 힙합 프로듀서 에이조쿠 * 일본의 가수 이치이 사야카 1월 2일 - 대한민국의 대법관 사광욱. 1월 4일 -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이헌구. 1월 9일 -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순천. * 대한민국의 장관 이선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강량욱. 1월 19일 -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 가린샤. 2월 10일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이종찬. 2월 25일 - * 대한민국의 협객 이성순. * 미국의 극작가 테너시 윌리엄스. 3월 1일 - 영국의 작가 아서 쾨슬러. 3월 3일 - 벨기에의 만화가 에르제. 3월 9일 - 스웨덴의 생리학자 울프 폰 오일러. 3월 18일 - 이탈리아 왕국의 마지막 왕 움베르토 2세. 4월 19일 - 폴란드의 작가 예지 안제예프스키. 5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봉조. 5월 14일 - 멕시코의 대통령 미겔 알레만 발데스. 5월 25일 - 리비아의 국왕 이드리스 1세 5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권태희. 6월 23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장영근. 6월 25일 - 아르헨티나의 작곡가 알베르토 히나스테라. 7월 1일 - 미국의 건축가 벅민스터 풀러. 7월 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유승준. 7월 4일 - 아일랜드의 연쇄 살인범 존 보드킨 애덤스. 7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육홍균. 7월 29일 - 스페인의 영화감독 루이스 부뉴엘. 8월 21일 - 필리핀의 정치인 베니그노 아키노. 9월 3일 -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피에로 스라파. 9월 16일 -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정인섭. 9월 28일 - 대한민국의 군인 김동한. 10월 9일 - * 대한민국의 외교관 김동휘. * 대한민국의 공무원 김재익. * 대한민국의 외교관 이범석. * 대한민국의 외교관 함병춘. * 대한민국의 정치인 심상우.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방대룡. *10월 17일 - 프랑스의 작가 레몽 아롱. 11월 10일 - 스위스의 의리학자 펠릭스 블로흐.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찬우. 11월 22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황신덕. 11월 23일 - 우크라이나의 작가 미콜라 바잔. 12월 8일 - 뉴질랜드의 정치인 키스 홀리오크.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송진백. 12월 25일 - 스페인의 미술가 호안 미로. 12월 27일 - 대한민국 출신의 영화배우 김염. 경제학상 제라르 드브레 - 미국 문학상 윌리엄 골딩 - 영국 물리학상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윌리엄 A. 파울러 - 미국 생리학 및 의학상 바바라 매클린톡 - 미국 평화상 레흐 바웬사 - 폴란드 화학상 헨리 타우비 - 캐나다 음력월 월건 대소 음력 1일의양력 월일 음력 1일간지 1월 갑인 대 2월 13일 임신 2월 을묘 소 3월 15일 임인 3월 병진 대 4월 13일 신미 4월 정사 소 5월 13일 신축 5월 무오 소 6월 11일 경오 6월 기미 대 7월 10일 기해 7월 경신 소 8월 9일 기사 8월 신유 소 9월 7일 무술 9월 임술 대 10월 6일 정묘 10월 계해 소 11월 5일 정유 11월 갑자 대 12월 4일 병인 12월 을축 대 1984년 1월 3일 병신
함부르크 ( , 는 독일 북부에 있는 주이며 도시이다. 독일 최대의 항구 도시이자 제2의 대도시이다. 정식 이름은 함부르크 자유 한자 시 (; )이다. 알스터 강, 빌레 강과 엘베 강이 흐른다. 북쪽으로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남쪽으로는 니더작센주와 접한다. 도시의 기원은 8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950년 즈음에 엘베 강 유역에 함마부르크(Hammaburg)가 건립되고, 중세에는 한자 동맹(Hansa-Städtebund)의 일원이 되었다. 현재 독일 연방 정부 조직 형태상 함부르크는 지방 자치주에 해당한다. 시민은 개신교가 많고, 정치적으로는 독일 사회민주당의 세력이 강하다. 면적은 755km2. 인구는 2004년 현재 174만 명. 실질적 외국인은 적지만, 항구에서 일하는 외국인은 많다. 기원전과 로마 시대에 켈트 족과 색슨 족(게르만 족의 일파)이 살고 있었으며, 825년 하마부르크 성이 함부르크 지방에 건설된 뒤 번창을 시작했다.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또는 프리드리히 1세)는 독일의 왕으로 선출된 뒤 1189년 이 도시에게 무역특권과 사용료 면제, 운항 특권을 인정했다. 중세가 지나고 르네상스 까지, 에스파냐, 노르웨이, 포르투갈, 영국과 네덜란드와 깊은 관계를 맺었다. 르네상스 이후에도 빛나는 황금기를 맞이해, 뤼베크 다음으로 한자 동맹에서 중요한 항구 자리를 차지해, 특권을 맘껏 누렸다. 그 후 20세기에는 서독의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라는 명예를 얻었고, 21세기 초에도 꾸준히 증권거래소, 은행 등으로 붐비는 도시이다. 함부르크는 때때로 독일 스포츠의 중심지 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 지역에서 1 분데스리가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축구팀인 함부르크 SV이 있고, 지역 라이벌팀인 FC 장크트 파울리가 있다. 장크트 미카엘 교회에서 바라본 함부르크의 파노라마 함부르크 전경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1957) 프랑스 마르세유 (1958) 중국 상하이 시 (1986) 독일 드레스덴 (1987) 일본 오사카 시 (1989) 니카라과 레온 (1990) 체코 프라하 (1990) 미국 시카고 (1994)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 (2010) 대한민국 부산 (2013) 공식 홈페이지 함부르크 사진 분류:독일의 도시 분류:독일의 주도 분류:독일의 항구 도시 분류:한자 동맹 가맹도시 분류:신성 로마 제국의 국가 분류:북해의 항구 도시 분류:북독일 연방의 구성국 분류:독일 연방 가맹국 분류:자유제국도시 분류:바이마르 공화국의 주
발랑탱 루이 조르주 외젠 마르셀 프루스트 (, 1871년 7월 10일 ~ 1922년 11월 18일)는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수필가, 평론가이다. 그는 1871년 7월 10일 파리에서 태어났으며 1922년 11월 11일 파리에서 죽었다. 프루스트의 주요 저서로는 1913년부터 1927년까지 출판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 라는 제목의 연작 소설이 있다. 교양있고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난 마르셀 프루스트는 어린 시절 허약한 아이였고 전 생애를 천식으로 인한 심각한 호흡기 문제로 고통받았다. 그는 젊었을 때부터 귀족들의 살롱에 드나들었고 거기서 그는 예술가들과 작가들을 만나며 사교계 딜레탕트로 유명세를 떨쳤다. 집안의 재산덕에 그는 일을 하지 않았고 1895년에 작가 사후 1952년에 장 상퇴유 (Jean Santeuil) 라는 제목으로 출판된, 끝내 미완으로 남은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1900년, 존 러스킨의 발자취를 따라 예술 작품들을 알아가고자 그는 계획하던 소설을 그만 쓰고 대신 베네치아와 파도바로 여행을 떠났고 그것에 관해 글을 썼으며 러스킨의 책 두 권, 아미엥의 성서 (La Bible d Amiens) 와 참깨와 백합 (Sésame et les Lys) 을 번역했다. 1907년부터 마르셀 프루스트는 1913년 부터 사후인 1927년까지 7권으로 출판된 그의 대작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를 쓰기 시작했으며 2권 꽃핀 소녀들의 그늘에서 (À l ombre des jeunes filles en fleurs) 는 1919년 공쿠르상을 수상했다. 마르셀 프루스트는 1922년 11월 18일 기관지염을 치료받지 못한 나머지 사망했다. 프루스트는 파리 페르-라셰즈 묘지에 매장되었고 거장에게 경의를 표한 많은 이들이 장례식에 참석했으며 뒤이은 세대의 작가들은 프루스트를 최정상 작가 반열에 올리며 그를 진정한 문학의 신화로 만들었다. 마르셀 프루스트의 소설 작품은 작가의 고유한 세계를 그려야 하는 예술의 역할처럼 당시의 시대상과 감성적인 기억의 주된 성찰을 보여준다. 그 뿐 아니라 작품은 동성애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프루스트적 묘사로 흐릿하게 그려낸, 실패라는 감정과 존재의 허무에 관한, 사랑과 질투의 성찰이기도 하다. 또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200명 이상의 등장인물이 나오는 광대한 인간 희곡 이다. 프루스트는 신랄한 문체로 경이롭고 때로는 냉소적으로 다뤄지는 세계, 유년시절 레오니 숙모의 집에서부터 콩브레, 그리고 귀족과 부르주아 계층이 대조되는 파리의 살롱들처럼 작품내에서 보여지는 장소들을 재창조했다. 이러한 사회적 무대는 마르셀 프루스트가 익살극의 주인공처럼 묘사한 각양각색의 등장 인물들에 의해 생동감있게 그려진다.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는 실존 인물들에게서 모티브를 따온, 시대를 그린 회화이자 모델 소설 로 탄생했다. 프루스트의 특색은 형성(se faire)의 과정에서 창조의 나선을 따라, 항상 잡을 수 없는 실재의 전체성 에 도달하기를 추구한, 문장을 길게 늘린 그의 문체에서도 찾을 수 있다. 콩브레의 분위기를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 귀스타프 카유보유 작. 마르셀 프루스트는 그의 외종조부 루이 베유 ()의 집, 파리 16구역 오퇴유 구 라 퐁텐가 96번지에서 태어났다. 이후 이 집은 팔렸고 헐린 다음 다른 건물이 지어졌으나 지어진 건물도 모차르트 대로 건설로 인해 헐리게 되었다. 그의 어머니 장 클레망스 베유()는 부유한 로렌 메츠 출신 유대계 알자스인의 딸이었고, 아들에게 화려하고 심오한 문화를 접하게 해줬다. 그녀는 아들에게 때로는 귀찮게까지 애정을 쏟았다. 그의 아버지 아드리앵 프루스트 박사()는 외르 에 루아르 일리예 출신 집안의 아들로 태어난 파리 대학 의대 교수였으며 전염병 대책에서 정부에게 자문을 한 대단한 위생학자였다. 마르셀은 1873년 5월 24일 태어난 남동생 로베르가 있었다. 로베르는 후에 외과 의사가 된다. 프루스트의 대부는 예술품 수집가 외젠 뮈티외였다. 1870년 공성과 1871년 파리 코뮌 시절 그를 임신한 어머니가 처했던 궁핍한 생활 탓에 그가 허약하게 태어났다고 여겨진다. 파리 코뮌의 혼란으로부터 프루스트의 부모는 오퇴유로 피난간다. 프루스트는 고통스런 유년기를 보냈지만 부모의 보살핌 속에서 자랐다. 천주교 신자인 아버지와 유대인인 어머니에게서 결합이라는 가정환경에서 프루스트는 파리 생 루이 당탱 교회에서 천주교 세례를 받았으나 종교와 관련하여 자신을 규정하지 않고자 했다. 그는 허약했고 봄은 그에게 가장 고통스러운 계절이었다. 아름다운 봄날에 분비되는 꽃가루는 그의 천식을 더 악화시켰다. 아홉 살 때 부모님과 불로뉴 숲을 산책하면서 그는 천식 발작 증세를 호소했고 그의 호흡기는 다시 회복되지 않았다. 그의 아버지는 아들이 죽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여 그에게 최후의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봄이 올 때 마다 그가 산책할 때 그 어느 때라도 천식 발작이 심하게 일어난다면 죽을 수도 있다는 위협이 프루스트의 전 생애에 걸쳐 도사렸다. 콩도르세 졸업식, 장 베로 작. Proust 1887.jpg|섬네일|1887년 3월 15살의 어린 마르셀, 폴 나다르 촬영. 그는 파프 카르팡티에에게 초등교육을 받았으며 작곡가 조르주 비제의 아들인 자크 비제와 훗날 비제의 아내가 되는 제네비에브 알레비가 여기서의 동창생이었다. 카르팡티에는 그녀의 삼촌 집에서 살롱을 열기 시작했는데 그곳에는 여러 예술가들이 모였다. 1886년 그녀는 변호사 에밀 스트라우스와 재혼하고 자신의 살롱을 열었는데 프루스트가 그곳의 단골이었다. 마르셀 프루스트는 1882년 리세 콩도르세에 입학해서 공부를 계속 해나갔다. 그는 5학년 때 유급했으나 1884년 12월에는 처음으로 우등생 명부에 이름이 올라갔다. 그는 종종 건강상을 이유로 결석했지만, 소설 장 상티유에서 서술한 것 처럼 빅토르 위고와 뮈세에 지대한 관심을 보였다. 그는 철학 수업에서 알퐁스 다를뤼의 제자였고, 이 무렵 자크 비제와 친하게 지냈다. 그는 학교에서 문학 잡지를 함께 만들던 페르낭 그레그, 자크 베녜르와 다니엘 알레비 (자크 비제의 사촌)와 교우관계를 쌓기도 했다. 그의 첫사랑은 당시 러시아 제국의 폴란드인 외교관의 딸 마리 드 베나르다키였다. 목요일 오후마다 둘은 후에 대통령이 되는 펠릭스 포르의 두 딸, 앙투아네트와 뤼시 펠릭스 포르 고요와 레옹 브륀슈비크, 폴 베나제, 모리스 에르베트와 함께 샹젤리제 공원에서 놀았다. 프루스트는 1887년 마리 드 베나르다키와 절교하게 되고 그의 첫 애정, 어머니를 제외한 타인에게 사랑받고 사랑을 한 첫사랑은 고로 실패했다. 베나르다키는 프루스트가 이후 찾고자 했던 그가 잃어버린 첫 소녀 (jeune fille)였다. 프루스트의 첫 문학 활동은 리세 고학년 때에 이뤄졌다. 시간이 지나 1892년, 그레그는 콩도르세 동창들과 함께 소규모의 잡지 향연 (Le Banquet)을 창간했고 프루스트는 이 잡지에 글을 썼다. 그 후 파리의 여러 살롱들을 드나들며 사교계 출세를 하려던 그는 스노비즘이라는 세간의 평가를 들었다. 이후 그는 소설가 알퐁스 도데의 아들인 6살 연상의 뤼시엥 도데와 친분을 쌓았다. 젊음은 훗날의 작가 프루스트를 사로잡았다. 그들은 1895년 수업에서 만났다. 적어도 서로 애정을 보인 그들의 관계는 장 로렌의 신문 기사에서 밝혀졌다. 마르셀 프루스트 (사진 속 앉은 사람), 로베르 드 플레르 (왼쪽), 뤼시엥 도데 (오른쪽) 마르셀 프루스트는 국가의 부름을 받고 1889년부터 1890년까지 오를레앙의 76 보병연대에서 복무하였고, 거기서 좋은 추억을 쌓았다. 그는 로베르 드 빌리와 친구가 되었다. 파리에서 그의 절친한 친구가 된 가스통 아르망 드 케야베와 프루스트가 반한 그의 약혼녀 잔 푸케를 알게 된 것도 이 시절이었다. 그는 소설 속 등장인물 로베르 드 생루와 질베르트를 이들을 모델로 창작했다. 그는 마담 아르망 드 카야베의 살롱에 초대받기도 했다. 그는 끝까지 이 살롱의 단골이었고, 그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작가였던 아나톨 프랑스 (베르고트의 모델)를 이곳에서 만나게 된다. 전역 후 사회에 나와서 그는 정치학 사립 학교(École libre des sciences politiques)에서 그가 박식하다 고 평가한 알베르 소렐과 아나톨 르루아 보리외의 강의를 들었다. 그는 아버지에게 외무고시나 국립고문서학교 (École des chartes)에 합격하겠다고 나섰다. 후자에 더 관심을 들인 그는 국회도서관 사서 샤를 그랑장에게 글을 썼고, 먼저 소르본에서 학위를 따기로 결정한다. 소르본에서 프루스트는 사촌의 남편인 앙리 베르그송의 수업을 들었다. 그는 베르그송의 결혼식에서 참석하기도 했다. 프루스트의 작품에서 베르그송의 영향은 종종 중요하게 생각되며 프루스트는 그것을 옹호했다. 마르셀 프루스트는 1895년 3월 문학사 학위를 받는다. 1896년 그는 세기말 문체의 시와 산문, 단편 모음집, 즐거움과 나날들 (Les Plaisirs et les Jours)을 출판한다. 이 모음집에는 프루스트와 작곡가 친구 레이날도 안과 함께 살롱에 드나들던 마들렌 르메르의 삽화가 수록되었다. 그는 1894년 봄에 샹송 그리스를 부른 쥘 마스네의 제자이자 레이날도 안의 부인인 르메르와 만났다. 23살의 프루스트와 20살의 레이날도 안은 1894년 여름 샤토 드 레베이옹에서 열린 파티에서 보았다. 책 즐거움과 나날들은 거의 주목받지 못했고 비평가들은 책에 대해 호된 비판을 가했다. 특히 작가 장 로렌은 가차없는 평가를 내렸다. 그는 새벽에 총을 들고 결투하겠다고 말했다. 그에 맞서 마르셀 프루스트는 입회자인 화가 장 베로와 함께 똑같이 총 들고 그를 만나러 갔다. 누구 하나 다치지 않고 끝났지만, 어느 누구도 막 등단한 이 작가를 보고 슬퍼하지 않았다. 이 책은 프루스트에게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의 첫 권이 나온 뒤에도 그가 사교계 딜레탕트라는 평을 듣게 했다. Robert de - Boldini.jpg|섬네일|로베르 드 몽테스키외, 조반니 볼디니 작. de reveillon depuis les marronniers.JPG|섬네일|마들렌 르메르의 샤토 드 레베이용. 프루스트는 1894년부터 1895년 사이에 두 차례 이곳에 오래 머물렀다. 이 곳은 소설 장 상퇴유 와 베르뒤렝 부인의 라 라스펠리에 에 영감을 주었다. 집안의 부는 그에게 쉬운 삶을 보장해줬으며 그를 부르주아와 포부르 생 제르맹과 포부르 생 오노레의 귀족 사회로 구성된 살롱을 자주 드나들 수 있도록 도왔다. 그의 친구 기슈 공작 아르망 드 그라몽의 장모이자 시인의 사촌인 그레퓔레 백작부인, 엘렌 스탕디슈 부인 (결혼 전 성은 페뤼스 데 카르), 바그람 공주 (결혼 전 성은 로트쉴드), 오송빌 백작부인와의 만남처럼 1894년부터 1900년 초 사이에는 그가 귀족적인 살롱에서 소개받은 유명한 로베르 드 몽테스퀴외와의 만남이 있었다. 1895년부터 1899년에 걸쳐서 3인칭 형식의 자서전적인 장편소설 《장 상퇴유(Jean Santeuil, 1952)》를 시도하였으나 미완으로 그쳤다. 존 러스킨의 와 을 번역하였다(1904, 1906). 후에 《모작과 잡록》(Pastiches et mélanges, 1919)과 《시평집》(1927)에 수록될 평론을 신문이나 잡지에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문학활동은 모두 유일하고 참다운 글 을 쓰기 위한 준비라 할 수 있다. 1906년 양친을 여읜 정신적 타격을 넘어서 《생트뵈브에 반하여》(Contre Sainte-Beuve, 1954)을 쓰기 시작하며, 이것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 집필로까지 이어진다. 이후 프루스트는 죽을 때까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몰두하였고, 총 일곱 권으로 구성된 이 방대한 분량의 작품은 1913년부터 1927년에 걸쳐 출판된다. 대전 이후 출간된 제2권 《꽃피는 아가씨들 그늘에》(À l ombre des jeunes filles en fleurs)로 1919년 공쿠르상을 받아 일약 유명해졌을 뿐만 아니라, 이 걸작으로 20세기 최대 작가의 한 사람이 되어 널리, 그리고 깊이 영향을 끼쳤다. 페르-라셰즈 묘지에 위치한 마르셀 프루스트의 무덤. 즐거움과 나날들 (Les Plaisirs et les Jours), Calmann-Lévy, 1896년 아미앵의 성서, 존 러스킨의 The Bible of Amiens 번역본, Mercure de France, 1904 참깨와 백합, 존 러스킨의 Sesame and Lilies 번역본, Mercure de France, 1906년 이 두 권의 러스킨 번역서는 제롬 바스티아넬리 (Jérôme Bastianelli)의 비평과 함께 합본으로 나왔음, collection Bouquins, Robert Laffont, 2015 모작과 잡록 (Pastiches et Mélanges) , NRF, 1919년 시평집 (Chroniques), 1927년 장 상퇴유 (Jean Santeuil), 1952년 생트 뵈브에 반대하여 (Contre Sainte-Beuve), 1954년 후작부인의 고통 (Le chagrin de la marquise), 1961년 샤르댕과 렘브란트 (Chardin et Rembrandt), Le Bruit du temps, 2009년 되찾은 월간지 (Le Menseul retrouvé), précédé de « Marcel avant Proust » de Jérôme Prieur (sous-titré Inédits ), éditions des Busclats, 2012년 11월 할머니의 죽음 (Mort de ma grand-mère), 작가 베르나르 프랑이 결말을 썼음, Grenoble, Éditions Cent Pages, 2013년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1권 〈스완네 집 쪽으로〉( Du Côté de chez Swann ), Grasset, 1913년 1부 (Combray) 2부 (Un amour de Swann) 3부 (Noms de Pays le nom) 2권 〈꽃피는 아가씨들 그늘에서〉( À l Ombre des jeunes filles en fleurs ), NRF, 1918년, 공쿠르상 수상작 1부 (Autours de Mme Swann) 2부 (Noms de Pays le pays) 3권 〈게르망트 쪽〉( Du Côté de Guermantes ), NRF, 1권 1920년 2권 1921년 4권 〈소돔과 고모라〉( Sodome et Gomorrhe ), NRF, 1권 1921년 2권 1922년 3권 1923년 5권 〈갇힌 여자〉( La Prisonnière ), NRF, 1923년 6권 〈사라진 알베르틴〉( Albertine disparue ), NRF, 1925년 7권 〈되찾은 시간〉( Le Temps retrouvé ), NRF, 1927년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 스완네 집 쪽으로 1》, 민음사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2 - 스완네 집 쪽으로 2》, 민음사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3 - 꽃핀 소녀들의 그늘에서 1》, 민음사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4 - 꽃핀 소녀들의 그늘에서 2》, 민음사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5 - 게르망트 쪽 1》, 민음사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6 - 게르망트 쪽 2》, 민음사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국일미디어 《잃어버린 시절을 찾아서》, 펭귄클래식 ISBN 987-89-01-15627-9 분류:1871년 태어남 분류:1922년 죽음 분류:프랑스의 소설가 분류:파리 출신 분류:공쿠르상 수상자 분류:게이 작가 분류:프랑스의 수필가
오디세우스가 외눈박이 거인을 취하게 하려 포도주를 건네고 있다. 오디세우스 (; )는 그리스 신화상의 영웅으로, 이타카(Ithaca)의 영주, 트로이 전쟁의 영웅, 트로이 목마의 고안자이다. 그의 이름을 딴 그리스 서사시 오디세이아의 주인공이다. 20년 간의 파란만장한 유랑 끝에 고향에 돌아와 그의 아들 텔레마코스와 함께 그의 정실한 아내 페넬로페를 넘보던 도당들에게 복수. 오디세우스는 유랑자, 간계와 변장의 화신자로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명성이 보존되고 있다. 오디세우스는 아테나의 총애를 받던 영웅 중의 한명이었다. 아테나는 그에게 지혜로운 호의를 베푸는데, 그가 오디세이아에서 집으로 돌아가는 여정 동안 스스로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절제된 도움을 준다. 하지만 오디세우스의 배가 난파되어 오기기아 섬의 칼립소와 7년 동안 있게 되자 보다 못한 아테나는 제우스에게 간청하여 칼립소가 오디세우스를 풀어주도록 한다. 오디세우스의 아들 텔레마코스가 아버지의 행방을 알아낼 수 있게 오디세우스의 친구로 변신하여 필로스의 네스토르에게 찾아가는 여행을 도와주기도 한다. 오디세우스가 고향 이타카로 돌아왔을 때는 변장을 하여 그를 시험한다. 트로이전쟁이 막바지에 접어들었을 때 죽은 아킬레우스의 갑옷을 누가 차지하느냐를 놓고 오디세우스와 장사 텔라몬의 아들 아이아스가 물망에 올랐다. 그리스군 총사령관 아가멤논과 사람들은 지혜와 용기를 같이 갖춘 오디세우스가 용맹은 있으나 지혜는 거의 없는 아이아스보다 아킬레우스의 갑옷을 가질 자격이 있다고 판단했고 아킬레우스의 갑옷은 오디세우스에게 상으로 지급되었다. 이 판정에 불만을 품은 아이아스는 분개하여 아가멤논과 오디세우스가 짜고 자기를 놀렸다고 생각하고 그 둘을 암살하려 했으나 아테나가 미치게 해 버려서 가축들을 아가멤논과 오디세우스인 줄 알게 해 그 가축들을 죽이고 제정신으로 돌아오더니 부끄러움을 이기지 못하고 자살함. 그 후 오디세우스가 갑옷을 차지하게됨. 분류:그리스 신화의 영웅 분류:그리스 신화의 왕 분류:오디세이아의 등장인물 분류:일리아스의 등장인물 분류:아이올로스 가 분류:트로이아 전쟁
협주곡 (協奏曲) 또는 콘체르토 ()는 관현악단이 협주 악기 독주자(soloist)와 함께 연주하는 서양 고전 음악으로, 악곡의 한 형식이다. 오늘날 의미하는 협주곡 은 바로크 시대에 합주 협주곡과 함께 발생하였다. 합주 협주곡은 바로크 시대에 국한되지만, 협주곡은 오늘날에도 음악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 3악장 형식으로 구성된다. 협주곡의 이탈리아어 표현인 concerto는 중세 라틴어 (; 합동 참여하다, 경연하다)에서 나온 말이다. 이것은 음악가의 집합 ()으로 해석될 수 있다. 협주곡을 라틴어 concertare에 준거하여 해석한다면, 여러 음성 간의 경연으로 풀이할 수 있으며, 이 뜻이 16세기 이후 바로크 시대의 협주곡에 사용된 이래 현대의 협주곡의 일반적 의미로 통용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지칭하는 음성의 개념은 인간의 육성을 포함한 악기의 소리라고 이해하여야 한다. 영어에서는 협주곡을 concerto, 연주회를 concert 라 한다. 독어에서는 둘다 Konzert라 부르지만, 혼동을 굳이 피하려면 협주곡은 Instrumentalkonzert 또는 Solokonzert 라 한다. 협주곡은 대부분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나타 형식을 취한다. 반면 3악장의 소나타 형식을 취하지 않고, 환상곡, 교향곡의 형식을 취하는 곡들도 많다. 바로크 시대에는 두 대 이상의 악기가 동시에 협연을 하는 합주 협주곡이 많이 등장하였다. 합주 협주곡은 같은 악기 또는 종류가 다른 두 개 이상의 악기가 오케스트라나 앙상블과 협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악곡의 형식 면에서 보면 협주곡은 독주악기(또는 독주악기군)와 관현악을 위한 소나타이다. 전형적인 것으로는 빠르게-느리게-빠르게의 3악장으로 되어 있고, 제1악장은 소나타 형식, 제2악장은 리트 형식, 제3악장은 론도 형식을 취하는 것이 상례이다. 한편, 협주곡의 제1악장에서는 처음에 관현악이 2개의 주제를 으뜸조로 제시하고, 계속하여 독주악기가 이것을 반복하나, 그 때에 제2주제는 소나타 형식의 정형에 따라 딸림조 또는 병행조를 취하는 것이 고전적 협주곡의 원칙이다(예외로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4번이 있다). 또 제1악장, 또는 끝악장의 코다 직전에 독주자만이 혼자 연주하는 카덴차가 있다. 이런 것은 독주자의 기교를 유감없이 발휘하도록 화려한 주구(走句)를 많이 써서 자유롭고 즉흥적 스타일로 쓰였다. 이전에는 카덴차는 연주자의 즉흥에 맡겨져 있었으나 베토벤 이후로는 작곡가가 미리 쓴 것에 따라 연주하게 되었다. 시대별로 발전한 협주곡의 양식은 다음과 같다. 바로크 시대는 협주곡이란 양식이 처음으로 등장한 시대이다. 이 시대에는 지금과는 달리 합주협주곡의 형식을 띠었다. 협주곡의 명칭이 붙은 곡은 16세기 전반 이탈리아에서 맨 처음 나타났으나, 17세기 중엽까지는 일정한 악곡 형식을 갖지 않았으며, 주로 이 말은 기악의 반주가 있는 성악곡을 뜻하였다. 이러한 것으로는 교회에서 연주하는 교회협주곡과 궁정에서 연주되는 실내협주곡이 있었다.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전반경에 기악만으로 된 협주곡이 생겼으나,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합주협주곡 (콘체르토 그로소)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관현악이 2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콘체르티노라고 하는 독주자의 그룹(보통 바이올린 2, 첼로 1, 쳄발로 1)과, 리피에노 또는 그로소라고 하는 관현악의 그룹이 서로 협주한다는 형식이다. 바로크시대의 작곡가 중 한 사람인 코렐리는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 가운데 가장 먼저 합주 협주곡의 양식을 도입했고, 비발디는 기악 합주 협주곡의 작곡에 능숙해서, 독주 파트의 기교를 더욱 돋보이게 했다(이 양식은 후에 헨델, 바흐가 계승한다). 바로크 시대의 협주곡들은 대부분 쳄발로와 오르간을 위해 쓰인 협주곡이 많고, 바이올린이나 첼로의 협주곡에도 오르간이나 쳄발로가 쓰일 정도로 이 두 악기의 영향력은 막강했다. 이 시대에는 우리가 알고있는 독주 협주곡이 발달하게 된 시대이다. 고전파 시대의 협주곡은 보편적으로 오케스트라가 동기를 제시하며 시작하였으나, 이것은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에서 처음으로 독주자가 곡의 서두를 맡음으로서 새로운 형식이 탄생되었다. 독주악기로는 피아노, 첼로가 가장 많이 쓰이나, 그 밖에 비올라, 플루트, 클라리넷, 호른, 파곳, 오보에, 트럼펫 등도 많이 쓰인다. 이후 이 형식은 리스트, 슈만, 차이콥스키 등이 계승하게 된다. 또한 고전파 시대에 들어 새로 도입된 개념은 카덴차가 있다. 카덴차는 협주곡의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독주악기의 즉흥적이고 기교적인 부분을 말한다. 대부분의 카덴차는 악장의 동기를 발전시키면서 진행된다. 고전파 시대의 카덴차는 주로 독주자 자신의 즉흥성에 의지했다고 한다.또한 고전파 음악의 카덴차는 연주자에 따라 생략하기도 한다. 고전파의 협주곡 양식과 형식은 모차르트에 의하여 확립되었다. 그는 모든 종류의 악기를 독주악기로 써서 50여의 협주곡을 썼다. 그것의 약 반수는 피아노 협주곡이며, 그 밖에는 바이올린 7곡, 호른 4곡, 플루트, 파곳, 오보에, 클라리넷 등의 협주곡이다. 베토벤은 유명한 제5번 협주곡 《황제》를 비롯하여 5곡의 피아노 협주곡과 바이올린 협주곡 1곡, 바이올린과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3중 협주곡이 하나 있다. 낭만파 시대의 협주곡은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가 조화를 이룬다. 오케스트라가 주제를 연주하면 독주악기는 그 주제를 발전시켜서 연주하는 식이다. 또한 낭만파 시대에 들어와서 발전된 새로운 협주곡의 형식은 연속된 악장을 가진 협주곡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협주곡은 1악장부터 마지막 악장까지 쉬는 부분없이 계속 이어지는 형식이다. 낭만파의 협주곡은 리스트, 파가니니, 루빈스타인, 차이콥스키에게서 볼 수 있는 독주자로서의 명인적인 기교를 과시하는 경향과 브람스와 같은 교향곡적 경향으로 나뉘었다. 그 밖에 멘델스존, 슈만, 쇼팽, 그리고 세사르 프랑크, 스크랴빈, 거쉰, 에런 코플런드 등에 의한 많은 걸작이 있다. 한편 콘체르티노라든가 콘체르토 시튀크라는 것은 어느 것이나 자유로운 1악장 형식의 소규모의 곡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베버의 《클라리넷과 호른을 위한 콘체르티노》, 《피아노를 위한 콘체르토 시튀크》 등이다. 이 시대 에는 협주곡의 형식이 고도로 발전된 시기이다. 이 시대에는 이전의 음악의 양식을 유지하며 새로운 형식들을 취하는 곡들이 많이 생겨났으며, 대표적으로는 협주곡의 소나타 형식을 벗어나 교향곡,환상곡,광시곡 의 형식을 취한 곡들 이 몇몇 있었다는것이다 현대의 협주곡은 오케스트라의 편성이 기존의 편성과 다른 경우가 많다. 어떤 곡의 경우 독주 바이올린의 음을 돋보이고자 오케스트라에서 바이올린 파트를 모두 없애버린 곡도 있는가 하면, 어떤 곡은 불협화음의 조화로 듣는이에게 불안한 느낌을 주는 곡들도 많다. 동양의 작곡가들은 동양의 전통적인 음을 서양의 악기로 표현함 으로서 묘한 조화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합주 협주곡 *피아노 협주곡 *바이올린 협주곡
야구 (는 9~10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방망이와 공을 사용해 겨루는 구기 종목이다. 야구의 목표는 투수가 던지는 공을 방망이(배트)로 타격해서, 내야의 각 꼭짓점에 놓여 있는 루(壘, Base)를 모두 밟은 뒤 마지막으로 홈, 즉 본루(本壘, Home Plate)를 밟아서 득점하는 것이다. 공격 팀은 9명의 타자가 순서대로 나와서 수비 팀의 투수가 던지는 공을 타격해 다이아몬드의 각 루를 밟은 뒤 홈에 들어와야 하며, 동시에 수비 팀은 공격 팀의 타자, 주자들을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아웃시켜 실점을 막아야 한다. 공격 팀의 타자들은 안타(도착한 루에 따라 2루타, 3루타가 되며, 외야 펜스를 넘기거나 아웃 당하기 전에 홈으로 돌아오면 홈런이 된다)를 쳤을 경우 원하는 루에 멈춰서거나 홈으로 들어와 득점할 수 있다. 공격 팀이 아웃 세 번을 기록할 경우 수비 팀은 공격 팀으로, 공격 팀은 수비 팀으로 바뀐다. 이때 양 팀이 공수를 한 번씩 끝내는 것을 이닝(Inning, 회)이라고 하며, 프로 게임에서 한 경기는 9개의 이닝으로 구성된다. 이닝은 초와 말로 구성된다. 경기가 끝날 때까지 더 많은 득점을 한 팀이 이기게 된다. 공격과 수비가 완전히 분리된 스포츠이다. 프로 야구, 아마추어 야구, 청소년 야구는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카리브 제도의 여러 국가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열리긴 하지만 북아메리카의 미국이나 중앙아메리카의 멕시코나 쿠바 정도를 제외하면 각 나라의 대중들에게 인기가 떨어진다. 야구의 근대적인 틀은 19세기 북아메리카에서 만들어졌다. 역사학자들은 야구의 원형은 북미 대륙에 건너 온 영국, 아일랜드 이민자들이 가지고 들어 온, 크리켓이나 라운더스와 같이 공과 방망이를 사용하는 구기 경기에서 시작되었다는 데 의견을 함께한다. 19세기 후반 야구는 미국의 국기 (國技)로 널리 인정받게 되었다. 주만 가나에 야구의 명칭의 유래는 1871년 미국에서 일본으로 방문하여 일본 제일고등중학교(現 도쿄 대학 교양학부, 지바 대학 의학부, 지바 대학 약학부)의 외국인 교사로 활동하는 호레이스 윌슨이 baseball 이라는 운동 종목을 생도들에게 가르쳤고, 1894년 제일고등중학교에서 재학 중이던 주만 가나에가 baseball 을 일본어 야큐 ()로 번역하였고 이 말이 대한민국으로 들어와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 외에도 1890년 (당시 4년 전에 주만 가나에가 야구라고 번역하기 이전) 일본의 문학가 마사오카 시키가 배터(batter) , 러너(runner) , 베이스 온 볼스(base on balls) , 스트레이트(straight) , 플라이 볼(fly ball) , 쇼트스톱(shortstop) 등의 미국식 야구 용어를 타자 , 주자 , 사구 (四球, 대한민국에선 사구 대신 볼넷으로 사용) , 직구 (대한민국에서는 포심 패스트볼, 속구, 컷 패스트볼로 또 다르게 부름), 플라이 (대한민국에서는 뜬공으로 부름), 단차 (短遮, 이후에는 주만 가나에의 교육에 따라 유격수로 번역함)로 번역하였다. 때때로 야구를 비슷한 경기인 소프트볼(softball)에 대비하여 하드볼(hardball)로 부르기도 한다. 야구의 기원은 확실하게 짚어내기가 힘들다. 1344년에 출간된 프랑스의 한 책에 성직자들이 야구와 흡사한 라 술(La soule)이라는 게임을 즐기는 모습을 담은 삽화가 실려있다. 원래 야구는 미국의 애브너 더블데이라는 군인 출신의 인물이 1839년에 쿠퍼스타운에서 창안했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그가 직접 야구를 창안했다는 구체적인 증거가 없으며, 광산 기술자 출신의 애브너 그레이브스의 증언이 있었으나 별로 신뢰하기 어렵기 때문에 야구는 유럽에서 미국으로 전해진 것으로 추측된다. 방망이와 공을 이용한 경기는 이미 오래전부터 리디아인, 페르시아인, 인도인, 이집트인, 그리스인, 로마인 등에 의해 의식이나 오락으로 행해졌다. 이런 경기들은 정해진 규칙없이 여러 지역에서 행해졌다. 이런 여러가지 배트와 공을 이용하는 경기를 통해서 야구는 두드러진 발전을 할 수 있었다. 이런 발전을 통해서 1774년에 독일에서 프리드리히 구츠무츠가 존 뉴베리에서 출간한 《작고 귀여운 포켓북》(A Little Pretty Pocket-book)이라는 시집에서는 최초로 Base-ball 이라는 단어가 들어가기도 했다. 방망이와 공을 이용해 하는 경기는 영국에서 여러 가지 종류로 발전하는데, 영국 동남부에서는 크리켓으로, 남서부에서는 원홀 캣(또는 원 오캣)의 이름으로 발전했으며, 야구와 흡사한 경기인 라운더스도 있었다. 이런 종류의 경기들은 아메리카 대륙으로 옮겨와 두가지 형태로 진화했는데, 뉴욕 주변에서 행해진 타운볼은 각각 9명의 선수로 이루어진 두 팀이 하는 경기로 정비되었다. 알렉산더 카트라이트 루셔스 애덤스등은 야구의 기본적인 규칙을 확립했다. 특히 1845년에는, 미국 뉴욕의 알렉산더 카트라이트가 니커보커 규칙을 만들었으며, 이 규칙은 오늘날 현대 야구의 규칙으로 진화하게 된다. 그는 또한 라운더스에서 사용되었던 말랑말랑한 공을 더 작지만 딱딱한 공으로 교체했다. 1953년 6월 3일, 미국 의회는 공식적으로 카트라이트가 근대 야구의 발명가임을 인정했다. 카트라이트가 소속된 구단인 뉴욕 니커보커스 팀이 1845년에 경기를 했다는 기록이 있기는 하지만, 미국의 역사상 공식적인 첫 경기로 현재 알려지고 있는 것은 1846년 6월 19일 뉴저지주의 호보켄 에서, 뉴욕 나인 이 니커보커스 팀을 4이닝 동안 23 대 1로 이긴 경기이다. 1860년대 이미 미국에서는 야구가 대중적인 스포츠로 자리 잡았으며 선수들은 연봉을 받고 생활하는 프로 선수였으나 아마추어 선수처럼 생활해야 했다. 아마추어 시대는 1871년 3월 17일, 전미프로야구선수협회가 창설됨으로써 그 막을 내렸다. 1869년, 최초의 프로 야구 팀 신시내티 레드 스타킹스(Cincinnati Red Stockings)가 창단되었으며 1875년에는 내셔널 리그(연봉 상한제 있음)가 창설되었다. 1882년에는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American Association)이 창설되었고 1901년에는 이를 전신으로 하는 아메리칸 리그(연봉이 무제한임)가 창설되어 양대 리그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1903년에는 양 리그의 우승 팀간의 승자를 겨루는 월드 시리즈(여기에서 월드(World)는 "월드신문사"의 이름으로써 신문사에서 스폰서를 해주기 때문에 월드시리즈라는 이름이 쓰인다고 한다)가 처음으로 치러졌으며, 1933년에는 올스타전이 처음으로 치러졌다. 이후 많은 제도의 발전이 있었다. 브랜치 리키는 1920년에 대규모의 팜 시스템(Farm System)을 도입했다 1975년에는 커드 플러드 등 여러 선수들의 희생으로 자유 계약 제도가 도입되었다. 1980년에는 선수협 위원들이 구단주를 상대로 고소를 함으로써 연봉 상한선이 폐지되는 등 선수들의 권익이 향상되었다. 재키 로빈슨 메이저 리그 야구에서는 1947년 이전까지 흑인이 선수로 활동하지 못했다. 그 대신 흑인들은 1920년에 설립된 니그로 리그 베이스볼에서 선수로 뛰었고, 1924년에는 최초의 니그로 월드 시리즈가 치러졌다. 메이저 리그 야구에서 흑인이 최초로 선수로 뛴 것은 1947년으로, 재키 로빈슨은 브루클린 다저스에 입단해 10년간 팀에 몸담았으며, 1962년에는 명예의 전당에 헌혈된 최초의 흑인 선수가 되었다. 투수는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반까지 경기에서 타석에 섰다. 1970년대 초반, 지명타자(designated hitter, DH) 규칙이 제안되었으며, 아메리칸 리그에서는 1973년 이 규칙이 적용되기 시작해 투수가 타석에 서지 않게 되었고 지명타자는 타석에만 서면서 수비는 하지 않았다. 내셔널 리그에서는 지금도 투수가 타석에 선다. 메이저 리그 야구는 1980년대 초반까지 불법이었던 약물 복용이 흔했고, 이 시기가 되어서야 알려졌다. 또한 여러 선수들이 약물로 인해 사망했다. 1990년대 초반부터는 선수들이 근육강화제를 사용했으며, 이 때문에 2005년 3월 17일, 미국 의회는 스테로이드 사용에 관한 청문회가 열렸다. 이 때문에 메이저 리그 야구는 2006년부터 약물 복용이 처음 발각되었을 때에는 50경기, 두 번째에는 100경기, 세 번째로 발각이 되면 영구 제명이 된다는 삼진 아웃 제도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메이저 리그 야구는 점점 미국 전역으로 확대되었는데, 팀이 미국 동부에서 우주로 많이 옮겨갔으며, 캐나다에서도 1969년 몬트리올 엑스포스(현 워싱턴 내셔널스)가, 1977년 토론토 블루제이스가 리그에 참가했다. 현재는 내셔널 리그 15팀, 아메리칸 리그 15팀으로 팀 수 (목표는 모든 리그 16팀씩 32팀)가 유지가 되고 있으며, 경기 수는 한 시즌 당 162경기로 치러진다. pictogram.svg|섬네일|200px|야구의 픽토그램. 야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스포츠 중 하나며, 다른 여러 나라에서도 팬들의 지지에 기반한 야구 체계가 갖추어져 있다. 캐나다 야구의 역사는 미국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데, 1877년 프로리그와 국제 협회에서 두 나라로 이루어진 특색있는 팀을 만들기도 했었다. 세계적으로 미국과 캐나다가 아닌 다른 공식적 첫 야구 리그는 쿠바의 야구 리그이다. 쿠바는 오랜 전통을 유지하며 1930년대 후반부터 국제 경기에서 막강한 전력을 자랑하는 팀이라는 명예를 얻게 된다. 쿠바의 야구 리그가 만들어진 후 야구 리그가 생긴 국가는 다음과 같다. 제1차 세계 대전 후에 야구 리그가 만들어진 국가는 1922년 네덜란드, 1934년 오스트레일리아, 1936년 일본, 1938년 푸에르토리코이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야구 리그가 만들어진 국가는 1948년 이탈리아, 많은 라틴 아메리카의 나라들 중 가장 두드러진 나라, 1945년 베네수엘라, 1945년 멕시코, 1951년 도미니카 공화국과 1982년 대한민국, 1990년 중화민국, 2003년 중화인민공화국 순으로 만들어졌다. 2009년 현재, 국제 야구 연맹에는 현재 117개국이 가입했다. 현재 야구는 미국, 일본, 대한민국 등의 국가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 중 하나이다. MLB의 겨울 리그 프로그램으로 푸에르토리코, 베네수엘라, 도미니카 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에 겨울 리그가 존재하고, 멕시코는 MLB 하위 Triple-A 에서 리그 참여를 하고있다. MLB 는 푸에르토 리코, 베네수엘라, 도미니카 공화국,멕시코 가 참여하는 캐러비언 시리즈를 4년에 한번씩 개최하고 있다. 또한 이탈리아, 네덜란드,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니카라과 에도 대회가 존재한다. 공식적 첫 야구 리그 였던 쿠바의 야구 리그는 1961년 쿠바 혁명으로 폐지되었다. 한편 2000년 하계 올림픽 이후 야구 종목에서 알루미늄 배트의 사용이 금지된 데다가, 2005년 7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2012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117번째 회의에서 야구, 소프트볼 종목 삭제에 관한 투표가 진행되어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야구, 소프트볼 종목을 제외시키기로 결정했다. 이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들이 출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2009년 8월 회의에서 2016년 하계 올림픽에도 야구 종목을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이 회의에서는 빅스타 선수가 참여하는 8팀, 짧은 5일 간의 경기 방식으로 바꾸라고 요구했다. 1999년 대한야구협회와 한국야구위원회(KBO)가 공동 출간한 "한국야구사"에서는 한국에 야구가 처음 들어온 것은 1905년으로 당시 선교사로 온 미국인 질레트(P. L. Gillett)가 황성기독교청년회 회원들에게 야구를 가르친 것이 그 시초라고 나와 있지만 정확하지 않다.(차후 1905년에서 1년 빠른 1904년으로 정정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한반도에서 열렸던 최초의 야구 경기는 1896년 4월 23일 경성(서울)에 거주하는 미국인들과 미국 해병대원들의 친선경기로 알려져 있다. 그 같은 사실은 서재필이 창간했던 「독립신문」의 영자판인 「THE INDEPENDENT(인디펜던트)」 제9호 1896년 4월 25일치 기사로 확인됐다. 「THE INDEPENDENT(인디펜던트)」 제35호 1896년 6월 25일치 기사에는 그해 6월 23일 오후 3시에 훈련원에서 경기를 했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그 경기에 미국으로 귀화했던 서재필이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이라는 미국이름으로 6번 타자, 중견수로 출장 2득점을 한 기록도 남아 있다. 1906년 2월 11일 훈련원 터에서 YMCA팀 대 덕어(독일어)학교팀 사이에 경기를 진행했는데 한국인들이 팀을 이루어 최초로 진행한 경기였다.《황성신문》1909년 3월 21일자엔 이러한 〈야구단 운동가〉라는 노래가 소개돼 있을 정도로 야구는 큰 인기를 누렸다 "무쇠 골격 돌 근육 소년 남아야/애국의 정신을 분발하여라/다달았네 다달았네 우리나라에/소년의 활동 시대 다달았네 /(후렴) 만인 대적(對敵) 연습하여 후일 전공 세우세/절세 영웅 대사업이 우리 목적이 아닌가" 야구장의 구조 야구 경기는 두 팀이 서로 겨루는데,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에 두 팀은 공격과 수비를 번갈아 가면서 진행한다. 그리고 공격 팀이 공격을 진행하면서 세 번의 아웃을 기록하면 공격 팀은 수비 팀으로, 수비 팀은 공격 팀으로 바뀐다. 그리고 공수교대가 2번 이루어지는 것을 이닝(inning, 회)이라고 하며, 일반적인 경기는 9이닝으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그리고 한 이닝은 초(初, 선공)와 말(末, 후공)로 구성된다. 한 이닝에 두 팀은 공격과 수비를 번갈아 가면서 경기를 진행하는데, 주로 홈팀이 말에 공격하며, 원정팀이 초에 공격한다. 야구 경기의 목표는 경기를 치르면서 상대 팀보다 더 많은 점수(득점)를 얻어 승리하는 것이다. 공격하는 팀의 선수들은 사각형 형태의 내야 다이아몬드 꼭짓점에 있는 네 개의 베이스를 돌면 득점을 할 수 있다. 타자는 홈플레이트옆에서 타격을 하며 누상에 출루하면 반드시 시계반대방향으로 1루, 2루, 3루, 그리고 홈플레이트를 거쳐야 하며, 홈을 밟으면 득점이 된다. 반면 필드에서 수비를 보는 다른 팀은 아웃을 잡고 공격 팀이 점수를 내는 것을 막아야 한다. 아웃을 잡힌 선수는 배팅 오더에 따라 자신의 차례가 돌아올 때까지 공격을 할 수 없다. 세 개의 아웃카운트가 채워지면, 양 팀은 공격과 수비 역할을 교대하는 공수교대를 하며, 경기는 초에서 말로, 말에서 초로 바뀌게 된다. 9이닝동안 경기가 진행되다가 9회가 다 끝나도 점수가 같을 경우에는 연장전을 치러 승부를 내며, 연장전은 주로 12회까지 치러진다. 어린이 야구에서는 9이닝보다 적은 이닝으로 경기가 이루어지는게 보통이다. 야구를 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은 방망이, 야구공, 글러브, 야구 경기를 치를 수 있는 야구장이 필요하다. 방망이는 공격을 할 때 필요한 도구로, 보통 알루미늄이나 목재로 만든다. 배트는 길고 딱딱한 나무 막대기이고, 손잡이 부분을 제외하고 지름은 약 2인치(5 센티미터)이다. 손잡이 부분은 지름이 약 1인치(2.5 센티미터)이다. 프로 야구 경기에서는 목재로 된 야구 방망이를 이용해야 한다. 야구공은 주먹 정도의 크기이고 빨간색 실이 들어간 흰색(다른 색일 수도 있다) 공이다. 소프트볼의 경우, 보통 주먹 두 개 정도 크기의 흰색 줄무늬가 있는 흰색이나 노랑색 공을 사용한다. 글러브 또는 미트는 수비할 때 필요한 도구로, 가죽으로 만들어졌으며, 선수의 손에 착용한다. 글러브의 모양은 사용하는 선수의 포지션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야구화는 야구를 할 때 신는 신발이다. 야구장은 선수의 나이, 능력에 따라서 크기가 달라진다. 하지만 모든 야구장은 다이아몬드와 모서리, 베이스(루)가 있으며, 같은 방식의 경기를 진행한다. 야구장은 크게 내야와 외야로 구별된다. 야구공 야구의 포지션 이닝에서, 수비를 할 때 9명의 수비수들은 각자의 수비 위치에 선다. 다이아몬드의 중심의 투수판에 서 있는 선수를 투수라고 하며, 그리고 홈 플레이트 뒤에 앉아 있는 선수를 포수라고 하는데 이 둘을 배터리라고 부른다. 나머지 수비수들은 야수라고 부르는데 야수는 위치에 따라 내야수와 외야수로 분류되며 내야 안에 있는 4명의 수비수들을 내야수라고 한다. 내야수 중 3명은 1, 2, 3루에 서 있는데 이들은 각각 1루수, 2루수, 3루수라고 말하며 각 루와 그 주변을 수비하는 역할을 한다. 나머지 한명은 유격수로, 2루와 3루 사이를 서면서 그 사이를 수비한다. 이때 유격수와 2루수의 조합을 키스톤 콤비 혹은 키스톤 콤비네이션 이라고 한다. 그리고 나머지 3명의 선수는 외야에 서는데, 이들을 외야수라고 하며, 위치에 따라 좌익수(왼쪽), 중견수(가운데), 우익수(오른쪽)로 구분해서 부른다. 지명타자는 공격만 하고 수비는 하지 않는데, 이는 투수를 보호하기 위해 고안된 규칙으로 지명타자는 투수 대신 공격을 한다. 경기에서 홈플레이트 옆에 있는 타석에 서 공격을 하려는 선수를 타자 라고 부르며, 타자는 배트를 잡고 있으며, 투수가 투수판에서 홈플레이트 쪽으로 공을 던지면 타자는 배트로 공을 쳐서 점수를 내려고 한다. 타자가 공을 치고 난 후에 타자는 배트를 놓고 1루를 향해 달려간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2, 3루, 홈까지 갈 수 있다. 아웃이 된 경우에는 덕아웃으로 돌아간다. 투수는 타자가 베이스에 나가지 못하게 막기 위해 투수판에서 공을 던지는데, 공을 어디에 던지느냐에 따라 스트라이크 (strike)와 볼 (ball)로 구별된다. 타자는 스트라이크가 3개가 되면 아웃되고, 볼이 4개가 되면 1루로 나갈 수 있다. 스트라이크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투수가 공을 던졌는데 스트라이크 존(strike zone)을 통과한 경우. 타자가 공을 보고 방망이를 휘둘렀으나 맞지 않은 경우.(헛스윙) 타자가 공을 쳤으나 파울 라인이나 파울 폴(foul pole)을 기준으로 필드 바깥쪽으로 공이 날아간 경우. 이 경우를 파울(foul) 이라고 하며 스트라이크 카운트가 추가된다. 하지만 2 스트라이크 상태에서 파울이 된 경우에는 스트라이크가 추가되지 않는다. 타자가 공을 쳤으나 포수가 바로 공을 잡았을 경우에는 파울 팁(foul tip)이라고 하여 파울과 같이 스트라이크 카운트가 추가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파울과는 달리 2 스트라이크 상태에서도 스트라이크 카운트가 추가된다. 타자 또는 주자가 자신의 다음 베이스 (타자의 경우에는 1루) 또는 그 이상에 진루하는 것을 실패할 때, 이를 아웃이라고 한다. 타자가 친 공이 노바운드(친 공이 땅에 떨어지지 않는상태)로 야수들의 글러브나 미트에 들어간 경우. 스트라이크를 3번 허용한 경우(스윙이나 그냥 보고만 있거나 스트라이크 존 안에서 몸에 맞거나). 2스트라이크 상황에서 번트가 파울이 된 경우(스리번트 아웃). 타자가 친 공을 야수가 잡은 후 타자가 1루에 닿기 전에 1루수에게 던진 후 잡은 경우. 타자가 친 공을 야수가 잡은 후 타자가 1루에 닿기 전에 1루수에게 던진 후 잡은 공으로 타자를 태그 하는 경우. 타자가 친 공을 야수가 잡은 후 주자를 태그한 경우. 타자가 친 공을 야수가 잡은 후 주자가 진루해야 할 루로 갈때 포스아웃 하는 경우 * (단, 포스아웃 당할 주자의 원래의 루로 다음 주자 혹은 타자가 주루해야 하는 경우.). 타자가 친 공에 주자가 맞은 경우. 타자가 2루타 이상의 장타를 쳤는데 베이스를 밟지 않고 진루한 때 수비측이 그에 대해 어필(항의)을 한 경우(누의 공과). 2스트라이크 상황에서 타자가 공에 맞았지만 배트를 휘두른 경우. 타자가 친 공을 노바운드로 야수가 잡은 후, 주자가 원래의 루에 귀루하여 터치하지 않고 진루했을 때 주자나 베이스를 공으로 터치한 경우 * (이 경우 포스아웃이 아닌 어필아웃이다) 타자 또는 주자가 자신의 다음 베이스 (타자의 경우에는 1루) 또는 그 이상에서 세이프되는 것을 진루라고 한다. 안타 히트(Hit)라고도 한다. 인플레이 상황에서 타구가 수비수가 잡을 수 없는 곳으로 갔을 때 안타라고 하며, 잡을 수 있는 공을 놓칠 때는 실책이라고 한다. 타자가 친 공이 땅바닥에 튀기지 않고 담장을 넘어가면 전광판에 안타라고 표시되지만, 주로 홈런이라고 하며, 모든 루를 돌아 홈플레이트를 밟고 득점할 수 있다. 볼넷 (Base On Balls) 몸쪽에서 나간 공(볼)이 4개일 경우 진루하는 것을 말한다. 야수 선택 (Fielder s choice) 야수의 기술적 실책이 아니라 두뇌적 실책에 의해서 주자가 진루하는 경우이다. 평범한 땅볼이 된 공을 잡은 야수가 1루에 타자 주자를 아웃시키는 대신, 선행주자를 아웃시키려고 다른 루에 송구하여 타자 주자가 1개 또는 그이상을 진루한 경우에 타자에게 주어지는 기록을 말한다. 실책 에러(Error)라고도 한다. 수비수가 잡아서 타자를 아웃을 시킬 수 있는 타구를 놓칠 때 쓰이는 말이다. 폭투, 도루 견제 때는 실책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2 스트라이크에서 헛스윙 삼진이 될 때, 그 공을 포수가 놓쳐서 그 사이에 타자가 1루에 무사히 갈 때는 낫아웃이라고 한다. 몸에 맞은 볼 () 타자의 몸에 공이 맞았을 때 1루로 진출할 수 있다.(스윙을 하지 않았을 경우) 정식 명칭은 몸에 맞은 볼 이나 힛바이피치볼 이지만 보통 데드볼 또는 사구(死球) 라고 부른다. 타자가 친 공이 야수가 충분히 노바운드로 잡을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관중들이 공을 잡은 경우. 노아웃이나 1아웃 주자 1,2루나 만루일때, 타자가 친 공이 내야수들이 충분히 잡을 수 있는 내야안의 경우라 판단 될 경우 (인필드 플라이). 타자가 공을 쳤고 수비수가 충분히 잡을 수 있는데 주자 혹은 타자가 쳐서 수비를 방해한 경우 타순이 엉켜서 상대편이 어필한 경우.(예를들어 3번타자가 나와야 할 때 4번타자가 나와서 타격을 해서 안타 등이 나왔는데 어필하면 3번타자는 아웃이고 4번타자는 다시 쳐야 한다.) 2스트라이크 이후에 투수가 던진 공이 스트라이크 선언되거나 타자가 헛스윙을 하였는데 포수가 노바운드로 잡지 못하여 공을 타자에게 태그하거나 타자가 1루 베이스를 밟기 전에 1루에 던진 경우. (낫아웃) 노아웃 혹은 1아웃에서 1루 주자가 있을때 제3스트라이크가 선언되면 스트라이크 아웃 낫아웃이 적용되지 않고 그대로 스트라이크 아웃이 된다. 주자가 선행주자를 추월한 경우 주자나 타자가 태그를 피하기 위해 루와 루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에서 91.4cm 이상 떨어져 주루했을때 (타구를 처리하는 야수를 피해 달린것과 원심력 때문에 밀려난 것은 상관없다.) (스리피트라인 아웃) 타격할때 양 발이 타석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타격이 되었을 경우 (부정타격) 고의적으로 몸에 공을 맞추었을 경우 s Field Fultz and Betancourt in the Bullpen.jpg|섬네일|175px|오른쪽|구원 투수가 몸을 풀고 있으며, 투수 코치가 그들을 살펴보고 있다. 최대 선수 명단 수는 리그 또는 수준에 따라 다르다. 메이저 리그 야구 팀은 선수 명단을 시즌 중 25명까지 등록할 수 있으며 시즌 후반 9월부터 확장 로스터를 통해 40명까지 등록이 가능하고 포스트 시즌 기간에는 다시 25명으로 축소가 된다. 8명의 포지션 선수(position players)는 포수, 4명의 내야수, 3명의 외야수로 구성 된다. 5명의 선발 투수(starting pitchers)는 선발 로테이션을 구성한다.(6인도 있다.) 6명의 구원 투수(relief pitcher)에는 마무리 투수가 포함되며, 팀의 불펜을 구성한다. 1명의 백업 포수 2명의 백업 내야수 2명의 백업 외야수 1명의 지명타자, 또는 2번째의 백업 포수, 또는 7번째 구원 투수(seventh reliever) 팀의 감독 또는 수석 코치는 선수 명단, 타순, 선발 투수를 정하고, 특히 구원 투수의 경기 중의 등판 시점과 같은 선수교체 등과 같은 팀의 중요한 전술을 구상한다. 감독은 2명 또는 그 이상의 코치들의 도움을 받는다. 코치들은 타격 코치, 야수 코치, 투수 코치, 트레이닝 코치로 전문적인 책임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경기에선 팀이 공격을 할 때 1루 코치와 3루 코치가 경기장에 서 있는데 그들은 파울선의 밖에 정해진 장소에 서서 경기 중에 주자의 방향에 조언하고 경기 중단시에 감독의 지시를 타자와 주자에게 전달한다. 야구의 주심 야구 경기에서 심판은 4명인데, 주심, 1루심, 2루심, 3루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주심은 포수 뒤에 서 있는데, 스트라이크 존을 통해서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정한다. 주심은 본루에서 아웃인지 세이프인지 판단하기도 한다. 그리고 나머지 1루심, 2루심, 3루심은 루 근처에서 서 있으며, 아웃인지 세이프인지 판정한다. 또한 타자가 하프 스윙 시에 주심이 스트라이크를 선고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감독 또는 포수는 누심에게 조언을 받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좌우측 선심이 없는 경우 1, 3루심은 타자가 친 공이 외야에서 파울인지 아닌지 판단하기도 한다. 보크나 타임의 선언은 4심이 모두 동등한 권한을 갖는다. 메이저 리그 야구에서는 보통 4명의 심판을 두는데, 올스타전 이나 포스트 시즌 경기와 같이 중요한 시합의 경우 외야에 좌측 선심과 우측 선심을 추가하여 6명의 심판을 둔다. 그리고 2008년 8월부터는 비디오 판독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야구는 기본적으로 야구공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기인데, 공을 처리하는 것은 투구, 타격, 주루, 포구, 생각과 같은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른 신체의 동작도 손(어깨), 발(다리), 눈, 입, 귀, 머리를 통해서 행해진다. 손과 발은 투구, 타격, 주루, 포구에 필요한 수단이며, 눈은 잘볼 수 있는 수단이다. 또한 야구는 단체스포츠이기 때문에 서로의 기분을 이해하고 동료의 플레이가 쉽게 되도록 서로 협조하는 팀워크가 필요하다. 투구는 투수가 투수판을 밟고 타자에게 공을 던지는 행위를 뜻한다. 투수는 좋은 투구를 위해서는 스피드와 제구가 좋은 공을 던져야 하고, 기본적인 속구 이외에도 커브, 포크볼과 같은 변화구를 던질줄 알아야 한다. 또한 투수는 일반적인 와인드업 포지션과 주자 견제를 위한 세트 포지션을 사용한다. 타격은 타자가 투수가 던진 공을 쳐내는 행위를 뜻한다. 스윙의 각도에 따라서 다운 스윙, 레벨 스윙, 어퍼 스윙으로 나뉜다. 다운 스윙은 위에서 밑으로 내려치는 타법이며, 레벨 스윙은 수평으로 휘두르는 타법으로 가장 이상적이며, 어퍼 스윙은 밑에서 위로 올려치는 타법으로 가장 비효율적이다. 주루는 루 상에 나간 주자의 플레이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주루는 득점을 위해 홈으로 들어오기 위한 하나의 전략이다. 주루를 위해서는 주루 감각과 도루, 투수의 견제시 대비가 중요하다. 야구 경기에서 팀은 승리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전술을 사용한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우타자는 좌완 투수에게 강하며, 좌타자는 우완 투수에게 강하다. 만약 상대 팀의 선발 투수가 좌완 투수일 때, 보통 좌타자 대신 우타자를 많이 기용하며, 좌타자는 기용되지 않거나 하위타선에 배치된다. 이런 점 때문에 우완 투수일 때는 좌타석, 좌완 투수일 때는 우타석에 서서 양손을 사용하는 스위치 히터가 생겨났다. 타자가 번트를 시도하고 있다. 희생 번트는 루 상에 나가 있는 주자의 진루를 목표로 하는 전술으로, 주로 아웃 카운트가 유리한 무사 1루, 무사 2루, 무사 1·2루일 때 시도한다. 스퀴즈 플레이는 주자가 3루에 있을 때, 번트를 대서 3루 주자가 득점하기 위한 전술이다. 희생 플라이(일명 태그업)은 주자가 3루에 있을 때, 타자가 뜬공을 쳐 내면, 야수가 뜬공을 잡았을 때 3루주자는 득점하는 전술이다. 도루는 투수가 투구를 하는 사이에 주자가 다음 루로 가려고 시도하는 것으로, 주로 발이 빠른 주자가 시도한다. 히트 앤 런(Hit and run)은 투수가 투구를 하는 사이 주자는 다음 루로 주루하며, 타자는 투수가 던진 공을 무조건 쳐서 최대한 많이 진루하려는 것이다. 런 앤 히트(Run and hit)는 투수가 투구를 하는 사이 주자가 다음 루로 주루하는 것은 같지만, 타자는 투수가 던진 공을 원하면 타격하는 전술이다. 런 앤 히트 작전이 시도됐을 때 타자가 타격하지 않았을 경우 주자의 도루 시도가 된다. 고의사구는 경기의 승부처(클러치)일 때, 잘 치는 타자가 나왔을 경우 그 타자를 볼넷으로 거르고 다음 타자와 상대해 더 큰 실점을 막으려는 전술이다. 루 상에 발이 빠르고 도루 가능성이 높은 주자가 나가있을 경우에는 투수가 포수에게 공을 하나 완전히 빼서 투구를 하는데, 도루를 대비해 주자를 견제하기 위한 것이다(피치 아웃). 투수가 투구 전 또는 포수가 투구 후에 주자를 견제하기 위해서 주자가 있는 루의 야수에게 견제구를 던지기도 한다. 주자가 3루에 있을 때 내야 땅볼을 홈에 송구하기 위해서, 또는 타자가 번트한 공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야수들이 홈플레이트 쪽으로 이동해 수비를 한다. 수비 위치는 타자의 타격 성향의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타자가 장타를 쳤을 때, 외야수는 잡은 공을 베이스에 있는 야수에게 송구하지 않고 보통 2루수 또는 유격수에게 송구를 하는데, 이를 중계 플레이라고 하며, 주자의 득점이나 진루를 방지하는 플레이이다. 전술의 지시는 보통 감독, 코칭스태프, 또는 선수간의 사인으로 전달되는데, 대부분 손짓으로 이루어진다. 사인의 종류에는 플래시 사인, 블록 사인, 키 사인 등이 있다. 메이저 리그 야구에서는 9이닝을 기준으로 한 경기에 오가는 사인이 평균 1000여건 정도이다. 경기는 모두 전술대로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선수가 혼자서 독단적으로 플레이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발이 빠른 주자들은 덕아웃 에서의 사인 지시 없이 자신의 판단으로 도루를 시도하는데, 이를 그린라이트 (green light)라고 한다. 야구는 미국의 스포츠 중에서 여러가지 면에서 독특한 특징을 갖는 스포츠이다. 이러한 독특함이 오랜기간 지속해 올 수 있었던 매력이자 미국인의 정신에 강한 연대감을 갖게 하는 큰 요인이다. 또한 많은 미국인들은 야구가 기술과 타이밍 그리고 열정, 전략의 최상의 조합이라고 생각한다. 철학자였던 모리스 라파엘 코언은 야구를 국민적 종교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이 점에서, 야구는 그의 사촌격인 크리켓과 유사한데, 많은 영연방 국가에서 크리켓과 그것과 관련된 문화는 미국 문화에서의 야구의 역할과 비슷한 지위와 영향력을 가진다. 농구, 아이스하키, 미식축구, 그리고 축구는 모두 경기 시간이 정해져 있고, 보통 상대 팀에 직접적으로 저항해서 경쟁하는 것보다 정해져 있는 시간에서 공격에서 많은 시간을 차지한 팀에 의해 끝난다. 이와 반대로 야구는 경기 시간이 정해져 있지 않다. 팀은 마지막 타자가 나가기 전까지는 이길 수 없고 반격은 시간 제한을 받지 않는다. 비록 단체 종목과 반대되는 개인 종목들 중에서 경기 시간제한이 없어서 미국의 전문직들에게 인기가 많은 다른 스포츠로는 테니스와 골프가 있다. 최근 수십 년간, 관찰자들은 매년 야구 경기를 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꾸준히 증가한 것에 대한 정당성을 들어 프로 야구의 게임 길이를 비판해 왔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게임 시간은 전형적으로 1시간 반 정도였다(1시간 반으로 정해졌다). 1920년대에는 평균 2시간 미만으로 변한 것이 1960년대에는 결국 2시간 38분으로 늘어났다. 1975년에는 평균 2시간 25분으로 줄어 들었지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2003년 시즌 종료 직후 조사한 결과 평균 2시간 46분대가 되는 것으로 밝혀져 경기 시간이 더욱 길어지게 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경기 시간이 늘어나는 것은 하프 이닝(half inning; 공수교대시간) 사이의 TV 광고, 늘어나는 반칙과 투구 인터벌, 그리고 느린 경기 흐름 때문이었다. 결국 메이저 리그는 하프 이닝 사이의 쉬는 시간의 최대 시간을 정하는 반면 심판이 더욱 엄격하게 스트라이크 존과 시간 규칙을 선수들이 지키게 강요하도록 교육했다. 2008년, 일본의 프로 야구는 2007년부터 과거 10년간의 평균 경기 시간이었던 3시간 18분의 6%(교토 의정서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에서 따온 것이다)인 12분 줄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제한 시간이 없는 특징 때문에 야구계 일각에서는 승부가 연장으로 이어질 시에 빠르게 승부를 낼 수 있는 규칙으로서 이른바 승부치기를 도입하는 것이 논의되고 있기도 하다. 실제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승부치기 제도가 실시된 바 있으나, 승부치기 제도가 일반적인 것은 아니며 전 세계 거의 대부분의 프로 야구 리그에서는 아직 승부치기 제도를 도입하지 않고 있다. 공식적인 규칙에 명기되어 있기는 하지만 루(Base) 상에 주자가 없을 경우 투수는 12초 안에 투구해야 하며 이를 어길 시 그 투구는 볼(Ball) 로 판정이 된다는 경기 촉진룰의 적용은 매우 드물고 아주 만약의 상황에만 시행 된다. 그러나 2010년도 프로야구에서는 이 12초룰을 적용키로 하여 투수에 유리한 룰이 아니냐며 타자들이 반발하고 있는 추세다. 심판은 또한 주자가 있을 경우에도 투수의 투구 지연 행위를 볼(Ball)로 판정할 수 있는 권리도 가지고 있는데 이 규칙 또한 매우 드물고 만약의 상황에만 시행된다. 공식 규칙 중에는 또한 주심이 타자에게 타격행위가 끝나지 않았을 경우 타자석을 벗어나지 않도록 요청할 수 있는 규칙이 있다. 그 이외의 다른 규칙으로는 규칙위반을 하는지 주시하라 가 있다. 야구는 근본적으로 팀 스포츠이다. 명예의 전당에 들어갈 정도로 훌륭한 실력을 가졌으며 높은 연봉을 받는 두, 세 명 정도의 선수를 보유할 정도로 재정이 좋은 지역 연고 구단이라 하더라도 기량이 우수한 선수들이 반드시 성공을 기대할 수는 없으며, 여전히 선수 개인들은 강한 압박과 시험에 놓이게 된다. 투수는 반드시 훌륭한 투구를 해야하며 만약 그렇지 못할 경우 시합에 질 위험이 크고, 타자는 극히 짧은 순간에 어떤 구질인지, 스윙을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감독과 코치가 어떤 작전을 수행할지를 선수들에게 사인을 줄 수는 있지만, 그 어느 누구도 투수가 투구하는 것을, 타자가 타격하는 것을 도와 줄 수는 없다. 타자가 직선타구를 치게 되면, 최종 수비자인 외야수들은 볼을 잡아야 할지, 바운드 볼로 처리해야 할지를 혼자서 결정한다. 야구의 역사에서는 영웅적 대접을 받는 선수와 비난을 받는 선수들이 많다 - 시합의 승부처(클러치)에서 한 선수가 적시 안타를 치거나 또는 공을 잡아 플라이 아웃 시킬 수도 있지만, 또는 그 반대로 예상치 못한 삼진 아웃을 당하거나 수비에서 실책을 해서 모두에게 뚜렷이 각인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야구에서 모든 선수들이 주자로 뛸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야구에서는 단거리 달리기가 매우 중요하다. 굳이 주자가 아니더라도 모든 포지션에서 뛰어난 단거리 달리기 능력이 요구된다. 단거리를 빠른 속도로 달리는 능력이야말로 야구의 기본기이다. 8 27 05.jpg|섬네일|오른쪽|리글리 필드의 득점판. 2005년 7월 27일, 시카고 컵스 - 플로리다 말린스의 경기. 야구 규칙에 따르면 경기장에 대한 규정은 다음과 같다. 본루에서 1루, 1루에서 2루, 2루에서 3루, 3루에서 본루까지의 거리는 각각 27.432m(90피트)이다. 내야의 중앙 부근에 본루로부터 25.4cm(10인치)의 높이가 되도록 흙을 쌓아 올려 그곳에 투수판을 놓고 투수판 앞 15.2 cm(6인치)되는 지점으로부터 본루를 향해 18.28 cm(6피트)되는 지점까지, 경사도는 12:1이여야한다. 본루로부터 백 스톱까지의 거리 및 루선으로부터 파울지역에 있는 펜스, 스탠드 또는 플레이에 방해가 되는 시설까지의 거리는 18.288m(60피트) 이상이 되어야 한다. 내야는 한 변이 27.432m(90피트)인 정사각형이고 외야는 1루선과 3루선을 연장한 파울 라인 사이의 지역이다. 본루부터 페어지역에 있는 펜스, 스탠드 또는 플레이에 방해가 되는 시설까지의 거리는 76.199m(250피트) 이상이어야 한다. 경계선을 포함한 내야 및 외야는 페어지역이고 다른 지역은 파울지역이다. * 1958년 6월 1일 이후 프로야구를 위해 건설하는 경기장은 본부로부터 좌우의 펜스, 스탠드 또는 좌우의 페어지역 위에 있는 플레이에 방해가 되는 시설까지의 거리는 99.058m(325피트) 이상, 중견의 펜스까지의 거리는 121.918m(400피트) 이상이여야한다. 본루는 오각형의 흰색 고무판으로 표시한다. 이 오각형을 만들 때에는 먼저 한 변이 43.2 cm(17인치)인 정사각형을 그려, 이 중 한 변을 골라 이에 이웃한 양쪽의 변을 21.6 cm(8½인치)로 줄인다. 이 변에서 밑변의 중심으로 각 30.5 cm(12인치)의 변을 2개 만든다. 30.5 cm(12인치)의 두 변이 만나는 곳을 1루선과 3루선의 교차점에 두고, 43.2 cm(17인치)의 변을 투수판 쪽으로 해서 그 표면이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고정시킨다. 1루, 2루, 3루는 흰색 캔버스 백으로 표시하고 땅에 올바르게 고정시킨다. 1루와 3루의 캔버스 백은 완전히 내야 안쪽으로 들어가게 설치하고, 2루의 캔버스 백은 2루지점에 그 중심이 놓이도록 설치한다. 캔버스 백은 그 속에 부드러운 재료를 넣어서 만들고 그 크기는 38.1 cm(15인치) 평방, 두께는 7.6 cm(3인치)에서 12.7 cm(5인치)까지 허용된다. 투수판은 가로 61 cm(24인치), 세로 15.2 cm(6인치)의 직사각형 흰색 고무 평판으로 만든다. 투수판은 그 앞쪽면 중앙으로부터 본루까지의 거리가 18.44m(60피트 6인치)가 되게 한다. 본거지 구단은 1루선과 3루선으로부터 적어도 7.62m(25피트) 떨어진 곳에 본거지 구단 및 방문 구단용으로 각 1개씩의 선수용 벤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 벤치는 양 옆과 뒷 쪽을 둘러싸고 지붕을 씌워야 한다. 많은 스포츠 중에서 혹은 그보다 휠씬 더, 야구에서의 기록은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야구 기록은 미국 프로 야구인 메이저 리그의 태동과 함께 유지되어 왔으며 생각컨대 이전보다 더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단장, 스카우터, 감독 그리고 선수들은 자신이 속한 팀의 승리를 위한 다양한 전략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해 기록을 연구한다. 야구에서의 기록은 여러 가지 이유로 다른 스포츠들보다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다른 운동 경기들에서의 플레이는 유동적이고 다양한 결과를 보여주지만, 야구에서의 플레이는 제한된 결과만을 갖기 때문이다. 모든 세대의 야구팬은 다음과 같은 전통적인 야구 기록에 대해 알고 있으며 또한 그 내용에 관해 의견을 교환한다. 타수 (打數, A t- b ats, AB )는 타자가 타석에서 타격행위를 완료한 총 횟수를 의미한다. 타수에는 타자가 타격행위를 완료하지 않은 타석은 제외하는데 볼넷과 몸에 맞는 볼이 그러한 경우이다. 그 외 번트도 이에 포함된다. 타율 (打率, Batting Average, AVG )은 안타 의 수를 타수 로 나눈 값이다. 이것은 타자의 타격능력을 보여주는 가장 기본적인 통계수치이다. 이 외에 다른 기록으로는 장타율, 출루율 등이 있다. 투수의 평균자책점 ( E arned R un A verage, ERA , 대한민국과 일본 야구에서는 방어율 (防禦率)이란 용어를 사용)은 투수가 투구한 총 이닝과 허용한 자책점을 평균적으로 환산하여 9 이닝당 자책점(투구와 관련없는 수비행위로 인한 실점은 제외)으로 보여주는 통계수치이다. 약어로는 ERA 로 표기한다. 투수의 이닝 (Inning, IP (Inning Pitched))은 투구의 기본단위이다. 보통 양팀의 공수교대를 1이닝으로 표현하기도 하지만, 투수가 얼마나 던졌는지를 가늠하는 것도 이닝이다. 투구수와는 상관없이 1-아웃카운트를 잡았을 경우 1/3이닝 2-아웃카운트를 잡았을 경우 2/3이닝이라 표현, 3명의 타자를 아웃시키면 1이닝으로 표현된다. (또는 0.3, 0.7, 1로 표현) 연속성은 상관이 없이 기록된다. 투구에 의한 아웃이 아니라, 견제사에 의한 아웃도 인정되므로 투구수 없이 이닝을 기록할 수도 있다. 이것은 주로 투수의 내구력과, 지구력에 대한 척도가 되곤 한다. 이 외에 투구 기록으로는 WHIP와 승리/패배 등이 있다. 도루 ( S tolen B ases, SB )는 투수의 투구행동시 다음 루로의 진루를 하는 행위이다. 얼마나 빠른지에 대한 수치적인 기준이 되며, 도루가 많을수록 공격의 효율성이 좋아진다. 또한 득점과 연결될 확률이 높아진다. 미국 야구 연구 협회(The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SABR)는 야구 선수의 성과와 팀 기여도를 보다 더 잘 측정하고 상대적 가치에 관한 좀 더 추상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기 위해 혁신적인 통계 수치를 개발해왔다( 세이버매트릭스 란 용어는 학문의 분야와 고안된 특정 통계수치를 의미한다). 몇몇 세이버매트릭스 신봉자들이 야구계의 주류로 편입함에 따라 세이버매트릭스 의 통계기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OPS (출루율과 장타율을 합한 것)는 타율보다 타자들의 성과를 더 잘 측정한다고 세이버매트릭스를 믿는 사람들이 말하는 다소 복잡한 공식이다. 타자의 출루율 (안타 + 볼넷 + 사구) / (타수+볼넷 +사구 + 희생플라이) 과 장타율 총루타수 / 타수 를 더한 값이다. WHIP (투구이닝 당 허용한 볼넷과 안타의 합) 은 투수의 능력을 잘 보여주는 통계수치이다. 특정 상황에 따른 통계기록 특정 상황에서 좀 더 세밀한 통계수치는 더욱 중요해진다. 예를 들어, 좌완 투수의 공을 잘 치는 타자의 경우 감독은 왼손 투수를 상대하기 위해 그 선수에게 좀 더 많은 기회를 줄 것이다. 득점상황에서 더 잘 치는 타자들이 나왔을 경우 상대팀 감독은 득점권 타율이 낮은 타자와 승부하기 위해 그 타자를 고의사구로 내보내려고 할 것이다. 다른 통계 기록들도 있는데, 타자의 경우 타수, 안타수, 장타수 그리고 타점이 있고, 투수의 경우는 투구 이닝수, 9이닝 당 삼진수, 볼넷, 투구 수 등이 있다. Map IBAF.png|섬네일|오른쪽|350px|국제 야구 연맹에 가입된 국가. 국제 야구 연맹은 1938년에 설립되었으며, 117개국이 가맹하고 있다. 그리고 대륙별로도 연맹이 조직되어 있어 있으며, 다음과 같이 소속되어 있다. 세계의 주요 야구 대회에는 야구 월드컵, 대륙간컵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런 대회들은 아마추어 선수들만 참가하고 메이저 리그 야구 선수는 참여하지 않는다. 올림픽 야구 또한 메이저 리그 야구 선수들은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세계의 축구 잔치인 월드컵과 달리 마땅한 국제대항전 야구대회가 없는 실정이다. 유니버시아드 야구,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유스 베이스볼 월드 챔피언십은 대학, 청소년을 위한 대회이다. 여자 야구 대회로는 여자 야구 월드컵이 있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사무국은 야구의 열기 확대를 위해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들도 참가하는 프로 야구 대회인 WBC(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을 2006년에 개최했지만 메이저 리그의 스타 선수들은 대체로 참가하지 않으면서 대회의 권위는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 대회는 2008년에 열린 후 그 이후로는 4년마다 열릴 예정이다. 각 대륙별 대회는 다음과 같다. 아프리카 - 올아프리카 게임 야구 아메리카 - 팬아메리칸 게임 야구 아시아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유럽 -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오세아니아 - 오세아니아 야구 선수권 대회 야구가 대중화되면서, 야구인과 야구 팀의 숫자도 함께 늘어났다. 그렇기 때문에 야구 팀간 경기인 리그 경기도 대중화되고 있다. 여기서는 주로 프로 리그를 중심으로 서술한다. 세계 야구에서 가장 큰 규모의 프로 야구 리그는 미국의 메이저 리그로, 내셔널 리그 15팀, 아메리칸 리그 15팀, 총 30개의 팀으로 각각 서부, 중부, 동부 지구로 나뉘어 있다. 내셔널 리그 * 동부 지구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마이애미 말린스, 뉴욕 메츠, 필라델피아 필리스, 워싱턴 내셔널스 * 중부 지구 - 시카고 컵스, 신시내티 레즈, 밀워키 브루어스, 피츠버그 파이리츠,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서부 지구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콜로라도 로키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아메리칸 리그 * 동부 지구 - 볼티모어 오리올스, 보스턴 레드삭스, 뉴욕 양키스, 탬파베이 레이스, 토론토 블루제이스 * 중부 지구 - 시카고 화이트삭스, 클리브랜드 인디언스,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캔자스시티 로열스, 미네소타 트윈스 * 서부 지구 - 휴스턴 애스트로스,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오클랜드 어슬레틱스, 시애틀 매리너스, 텍사스 레인저스 메이저 리그 밑으로는 마이너 리그에 트리플 A, 독립 트리플 A, 더블 A, 클래스 A 어드밴스드, 클래스 A, 클래스 A 쇼트 시즌, 루키 어드밴스드, 루키등의 하위 리그들이 각 연고지마다 분포되어 있다. 그리고 메이저 리그와는 별개로 독립리그들이 북중미권에 여럿 있다. 일본 프로 야구는 세계에서 2번째로 프로리그가 출범한 리그로, 현재는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 양대 리그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센트럴 리그에는 지명타자 제도가 없고 퍼시픽 리그에는 지명타자 제도가 있다. 센트럴 리그 * 요미우리 자이언츠,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주니치 드래건스 , 한신 타이거스, 히로시마 도요 카프 퍼시픽 리그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지바 롯데 마린스, 오릭스 버펄로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미국의 마이너 리그처럼, 일본도 2군 리그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여러 독립 리그도 존재한다. 1982년 세계에서 3번째로 프로 리그가 출범했으며, 2015년 시즌부터는 KBO 리그라는 명칭이 공식 제정되었다. 주관 기구는 KBO이다. 2019년 현재 삼성 라이온즈, SK 와이번스, 롯데 자이언츠, 두산 베어스, KIA 타이거즈, 키움 히어로즈, LG 트윈스, 한화 이글스, NC 다이노스, kt 위즈의 10개 팀으로 리그가 진행 중이다. KBO 리그도 미국의 마이너 리그처럼 KBO 퓨처스리그라는 명칭으로 2군 리그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으며, 퓨처스 리그에는 상무 야구단과 경찰 야구단 2개 팀이 추가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 두 팀은 군 입대 선수들만 소속되어 있다. 또한 KBO 리그의 키움 히어로즈는 고양 히어로즈로, NC 다이노스는 창원 다이노스라는 별도의 팀 명칭을 퓨처스리그에 한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아직 한국에서는 별도의 독립리그는 존재하지 않지만,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고양 원더스가 있었고, 현재는 연천 미라클이 있다. 대만 프로 야구는 중화 직업봉구 대연맹의 주관으로 개최되며, 1990년부터 리그 경기가 시작되었다. 대만 리그의 경우, 잇달은 승부 조작 사건과 모기업의 경영난 문제로 참가 팀 수가 자주 변화하였으며, 2015년 현재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즈, 중신슝디 엘리펀츠, EDA 라이노스, Lamigo 몽키스 4개 팀이 참여하고 있다. 한동안 타이완 메이저 리그도 함께 개최되었으나, 현재는 중화 직업봉구 대연맹에 흡수되었다. 1986년 중국야구연맹이 창설되었고 2002년 4팀이 참가한 중국야구리그가 탄생되었다. 2005년, 2009년에 각각 한 팀씩 늘어나기 시작 해 확장을 이어갔으나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야구가 올림픽 종목에서 퇴출 당하고 2009년 일본이 스폰서에서 철수하면서 위기를 맞게되어 결국 2012년부터 2년동안 리그가 열리지 못하게 되었다. 그러나 2014년부터 부동산 재벌 헝다그룹이 스폰서로 참여하면서 리그가 재개 되었고 상금규모도 확대되었다. 또한 중국정부는 2025년까지 지도자 6000명, 심판 등 야구관련 전문인력 1만 명을 양성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또한 지금 야구장 규모는 3000~4000석정도인데 3년 내에 여러 곳에 1만2000석 규모 구장을 건설 하며 구단 수는 20개까지 늘릴 예정이다. 네덜란드,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체코, 스페인, 오스트리아등 이러한 국가들은 세미프로리그 이며 그 외에도 아마리그로 운영되고 있는 국가들이 존재한다. 오스트레일리아, 푸에르토리코, 도미니카 공화국, 파나마,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니카라과, 캐나다 등에도 세미프로리그가 있다. 쿠바는 공산 국가 특유상 프로 리그는 없지만 아마추어 국제대회에서는 상당한 실력을 보인다. 야구 리그는 난이도에 따라, 예를 들어서 아마추어, 프로에 따라서, 또는 성별에 따라, 나이에 따라서 리그가 다르다. 어린이 프로그램은 야구 규칙에 보다 더 쉬운 규칙을 적용하고 더 작은 구장에서 경기를 치르며, 코치나 기계로부터 보다 더 쉬운 투구를 한다. 또한 아마추어, 논-프로도 공식 야구 규칙에서 변형된 규칙을 사용한다. 대한민국, 일본등지에서는 전문 선수가 아니더라도 동호인들이 취미로 자체적인 야구 리그를 조직하여 주말등을 이용하여 소규모 야구장등을 중심으로 자체적인 야구 경기를 개최하고 있는데, 이것을 동호인 야구 또는 사회인 야구라고 부른다. 동호인 야구단과 리그가 형성되는 구심점은 지역, 직업, 직장, 공유하는 야구 이외의 관심사등이 있다. :분류:야구 문화 :분류:야구 영화 슈퍼스타 감사용 글러브 미스터 고 머니볼 퍼펙트 게임 (2009) 퍼펙트 게임 (2011) 내 인생의 마지막 변화구 나는 갈매기 루키 그들만의 리그 YMCA 야구단 굿바이 홈런 외야의 천사들 사랑을 위하여 꿈의 구장 해가 서쪽에서 뜬다면 이장호의 외인구단 19번째 남자 날 미치게 하는 남자 투수 공을 던집니다 2009 외인구단 루키즈 약해도 이길 수 있습니다 천하무적 야구단 :분류:야구 만화 다이아몬드 A 크게 휘두르며 H2 메이저 공포의 외인구단 최훈 프로야구 카툰 라이징 패스트볼 제 7구단 마구마구 슬러거 신야구 컴투스 프로야구 이사만루 프로야구 H2 프로야구 스타 찰리 브라운 야마모토 타케시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의 등장인물) 크게 휘두르며의 등장인물 목록 야구 규칙/경기 진행 야구의 경기 용구 야구의 포지션 야구의 기록 야구의 점수 기록 야구장 야구 문화 :분류:야구 문화 :분류:야구 영화 :분류:야구 게임 :분류:야구상 야구 은어 야구 카드 야구 명예의 전당 스피드건( Speed gun) 야구 관련 스포츠 방망이와 공을 이용하는 경기 마운드볼 오이나 소프트볼 크리켓 스틱볼 원 홀캣 타운볼 라프타 스툴볼 티볼 야구 조직/리그 메이저 리그 야구 공식 홈페이지 마이너 리그 야구 공식 홈페이지 국제 야구 연맹 영국 야구 연맹 대한 야구 협회 야구 기록 위키아 야구 베이스볼-레퍼런스 공식 홈페이지 더베이스볼큐브 공식 홈페이지 야구-연감 공식 홈페이지 야구 뉴스/그 외 초기 야구 온라인 박물관 홈페이지 스팔딩 가이드 회의 도서관 공식 홈페이지 야구 신문 기록 홈페이지 중국의 야구 온라인 야구 뉴스/잡지 야구 경기장 구조, 설계 유럽 야구 및 소프트볼 뉴스·정보 분류:옛 올림픽 경기 종목
인터넷 키워드 서비스 는 영문으로 표현되는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키워드를 입력하여 해당 웹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이다. 인터넷 키워드는 도메인 주소에 비해 짧고 편리하며 기억하기 쉬운 장점이 있으나 국제 표준이 정해지지 않아 다수의 민간 기업들에 의해 사설 서비스 방식으로 운영되는 단점이 있다. 인터넷 키워드를 한글로 표시한 것을 한글 인터넷 주소 라고 한다. 인터넷은 4자리 숫자로 구성된 IP 주소로 운영된다. 그러나 사람은 숫자를 기억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보다 편하고 쉽게 외울 수 있도록 제정한 것이 도메인이다. 도메인은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ICANN)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하므로 전 세계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다. 이 도메인도 영어가 익숙하지 않은 나라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생겨난 서비스이다. 현재 표준으로 인정받은 다국어 도메인이 나오기 전 통용되던 방식이다. 현재 표준으로 지정된 다국어 도메인과 인터넷 키워드 서비스 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점(.)으로 구분되는 계층구조가 없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서 위키백과 를 들어 표현한다면 다국어 도메인으로는 위키백과.org 또는 위키백과.한국 등으로 표현할 수 있지만 인터넷 키워드 서비스로는 위키백과 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기본적인 웹 접속 방식 인터넷 키워드 서비스는 크게 두가지 방식으로 운영된다. 일반적으로 DNS에 주소 대신 이러한 키워드가 전송될 경우 오류를 일으키게 된다. 이때 브라우저는 "없는 사이트"라는 오류를 보여주거나 자신들이 운영하는 검색 사이트의 검색 결과(인터넷 익스플로러 6의 경우 msn) 등을 보여준다. 이때 DNS 서비스 업체와 제휴를 맺어 "없는 사이트"라는 오류를 일으키지 않고 자신들의 회사에서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키워드와 매칭된 사이트로 이동하도록 한다. 주소창에 일반적인 도메인 형식이 아닌 키워드 형식의 단어가 입력된 경우 자동으로 플러그인이 자신들의 도메인 키워드 서비스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가장 큰 문제점은 이 서비스는 표준화된 서비스가 아니므로 브라우저와 ISP, DNS 환경, 플러그인 설치 여부 등에 의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고, 이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사이트 운영자가 이러한 인터넷 키워드를 구입한다고 하더라도 모든 이용자의 접속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매우 불리한 상황에 처해 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6까지는 DNS 후킹 방식에 큰 제한을 두지 않았다. 하지만 인터넷 익스플로러 7부터는 다국어 도메인을 제외하고 이러한 키워드 형식이 주소창에 입력되었을 때 DNS에 키워드를 보내지 않고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사이트로 키워드를 보내게 되었다. 이로 인해 대한민국의 인터넷 키워드 서비스 업체는 플러그인을 추가 배포하는 것으로 해결하였으나 이는 DNS 후킹 방식에 비해 이용자 수를 대폭 하락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위에서 밝힌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례와 같이 다국어 도메인을 제외하고 이러한 키워드 형식이 주소창에 입력되었을 때 DNS에 키워드를 보내지 않고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사이트로 키워드를 보낸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키워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중 가장 큰 업체는 넷피아와 디지털네임즈가 있고, 그외 다수의 플러그인 후킹 방식의 업체들이 난립하고 있다. 넷피아는 플러그인 배포와 별도로 ISP인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 티브로드, 온세텔레콤과 제휴를 맺어 DNS 후킹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네임즈는 플러그인 후킹 방식을 주력으로 KT와 제휴를 맺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위 두 업체는 특허와 ISP 계약에 관해 상호 비방과 소송전을 다수 벌인 바 있다. 도메인 이름 키워드 분석 넷피아 분류:대한민국의 인터넷
속담 (俗談)은 예로부터 한 민족 혹은 사회에서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말하여져서 굳어진 어구로 전해지는 말이다. 격언(格言)이나 잠언(箴言)과 유사하다. 속담은 그 속담이 통용되는 공동체의 의식 구조를 반영하기 때문에 언어학이나 문화인류학 등에서 연구 대상으로 많이 삼고 있다. 문학 작품에도 많이 등장한다. # 가는 날이 장날이다 # 남의 잔치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 #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 마른 하늘에 날벼락 #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올라간다 # 아는 길도 물어 가랬다 #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 #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 티끌 모아 태산 # 핑계 없는 무덤 없다 # 하늘의 별 따기 명언 잠언 슬로건 법언 격률 분류:언어학 분류:문학 분류:구전 분류:문화인류학 분류:문학 장르
바이오스 ()는 운영 체제 중 가장 기본적인 컴퓨터의 입출력을 처리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사용자가 컴퓨터를 켜면 시작되는 프로그램으로 주변 장치와 컴퓨터 운영 체제 사이의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한다. 펌웨어(firmware)의 한 종류로서 IBM호환 컴퓨터의 경우에 전원이 공급되면 시작되는 부팅 절차에서 하드웨어 초기화를 수행하고, 운영체제나 응용 프로그램에게 런타임 서비스(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바이오스 펌웨어는 PC에 내장되어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면 실행이 시작되는 최초의 프로그램이다. 바이오스라는 이름은 1975년도에 사용된 CP/M 운영체제의 Basic Input/Output System 에서 유래하였다. 원래는 IBM의 소유였으나 많은 회사들이 원본 프로그램을 분석(리버스 엔지니어링)하여 호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현대 PC에서 바이오스는 하드웨어 부품을 초기화하고 검사하는 역할, 부트로더 또는 대용량 저장장치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RAM으로 읽어오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이오스 설정 유틸리티 일반적인 바이오스 포스트 과정의 첫 단계 바이오스가 들어간 롬(ROM) 넓은 의미로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 중에서 하드웨어와 가장 낮은 수준에서 입출력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을 가리킨다. 좁은 의미의 정의에선 IBM-PC 호환 기종에 탑재된 것을 말하며, 보통 이 뜻으로 쓰인다. 바이오스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형태를 가지는 펌웨어의 일종으로, 대부분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하드웨어에 의해 변경되거나 생성된 정보를 소프트웨어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등 인간의 신경망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라는 용어는 게리 킬달이 발명하였으며, 1975년 CP/M 운영 체제에 처음 등장하였는데, 하드웨어와 직접 연결되는 부팅 시간 동안 불러들이는, 기기에 특화된 CP/M의 일부로 기술하고 있다. (CP/M 기기는 일반적으로 ROM에 하나의 부트 로더만 있었다.) 바이오스를 저장하는 매체로 초기에는 롬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정보화의 발전 속도가 증가되고 새로운 기기나 매체의 발매 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현재의 플래시 메모리가 바이오스의 주된 저장 매체로 쓰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한 편리함은 1990년대 후반에 바이오스를 손상시키는 바이러스의 등장으로 수많은 컴퓨터를 무력화시키는 사태를 겪기도 했다. 대표적인 예로 CIH 바이러스를 들 수 있다. (다만 이 바이러스는 윈도 NT 계열 이후의 운영 체제에서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현대에는 큰 문제로 여겨지지 않는다.) 이전까지 바이오스는 롬에 담겨 컴퓨터에 미리 맞춰진 형태로 제공되었다. 롬 라이터(ROM Writer)라고 불리는 기록 장치 없이는 바이오스의 내용을 바꿀 수 없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로 들어서면서 바이오스의 저장매체로 기존의 마스크 롬이나 이피롬이 아닌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 제품이 일반화되었는데, 이것으로 예상치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새로운 장치나 기기를 지원하기 위해 별도의 기록 장치 없이 PC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해 바이오스의 내용을 간편하게 바꿀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바이오스의 내용을 갱신할 때 정전 등을 비롯하여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기록이 정상적으로 되지 못하면, 그 컴퓨터는 시동조차 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바이오스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이어주는 신경망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그 내용이 손상되면 BIOS 설정 화면을 띄울 수도 없다. 이렇게 손상된 바이오스를 복구하는 방법은 바이오스가 탑재된 플래시 메모리를 교환하는 방법 밖에 없다. 어댑터 카드의 펌웨어를 시동 과정에서 실행하기 위해 BIOS 는 POST 과정 중에 메모리를 검사해서 실행할 펌웨어를 찾는다. 0xC0000h ~ 0xF0000h 의 메모리 영역을 2킬로바이트 단위로 나누어서 각각의 첫 2바이트를 읽는데, 만약 2바이트의 값이 0xAA55h 일 경우 실행해야 하는 펌웨어이므로 4번째 바이트로 넘어가서 펌웨어의 코드를 실행한다. 이전에는 응용 소프트웨어가 주변 기기를 제어할 때 입출력 포트를 직접 만질 것 없이 바이오스가 제공하는 서브루틴을 불러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 역할을 운영 체제가 대신 수행하여 응용 프로그램은 바이오스를 사용하지 않고, 운영 체제가 준비한 API 등을 거쳐 바이오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게 되었다. BIOS (=메인보드의 펌웨어)는 컴퓨터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장치들 (키보드,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에 접근해서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여러가지 제약사항이 있으며, 일부 플러그인 어댑터들(SCSI, NIC, 비디오 등)의 경우 BIOS 대신 독자적인 펌웨어를 장치에 포함시켜 그 장치용 펌웨어가 해당 장치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렇게 BIOS 에서 호출하는 펌웨어를 옵션 롬 이라고 부른다. 펌웨어 EFI 분류:펌웨어
신학 (神學은 전통적으로 하나님(신, The Divine, The God) 그 자체를 정경이나 이성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연구하거나 신과 관련된 교리와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서방 기독교에서 쓰이는 신학이라는 낱말은 테오스 (, theos )에 로고스 (, logos가 결합된 단어이다. 특별한 수식어 없이 신학이라는 낱말을 쓸 때는 일반적으로 기독교 신학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는 종교적 초월자로서 신 개념이 존재하는 모든 종교에서 다루는 신에 관한 학문을 신학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종교로는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조로아스터교, 힌두교, 시크교, 바하이교 등이 있다. 신학 은 신을 뜻하는 "theo-"와 학문을 뜻하는 "-logy"의 합성어로서 용어 그대로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모든 연구이며, 좁은 의미로서는 사람이 되신 하나님의 말씀인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창조하시고 구원하시고 우리의 구원을 완성하시는 하나님의 구속사에 대한 연구이며 경외이다. 기독교의 성장과 함께 2-3세기부터 학문으로서 틀을 갖추기 시작하여, 중세시대에 유럽인의 관점에서 기독교의 신과 관련된 일체 문제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신학이라는 용어는 원칙적으로 기독교 신학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대개 기독교 신학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학문체계에서의 신학 역시 흔히 기독교 신학을 가리킨다. 교파에 따라 개신교 신학, 로마 가톨릭 신학, 정교회 신학, 성공회 신학 등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기독교 신학은 좀더 세밀하게 분류가 된다. 구약신학, 신약신학, 조직신학, 역사신학, 실천신학, 선교신학, 기독교 상담학 등으로 나뉜다. 유대교에서는 역사적으로 전문 학문 기관보다는 유대교 공동체 중심으로 유대교 신학의 발달이 이루어져 왔다. 유대교 신학이 기독교 신학이나 이슬람 신학에 미친 영향은 적지 않다. 그러나, 기독교 신학에 대응될 만한 유대교 신학은 주로 할라카와 미드라쉬에 대한 랍비들의 논의와 주석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신학자 마이모니데스, 아브라함 J. 헤셸 관련 주제 탈무드와 카발라 이슬람교에서 기독교의 신학에 견줄 만한 학문적 논의를 가리키는 용어는 "칼람"(Kalam)이다. 그러나 이슬람교에서 칼람은 기독교에서 신학이 차지하는 위치에 비해 그 역할이 작은 편이다. 일부 이슬람 신학자들은 기독교 신학의 발달에 특기할 만한 영향을 미쳤다. 신학자 (기독교) 분류:종교학
섬네일 도메인 네임 (은 넓은 의미로는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호스트명을 가리키며, 좁은 의미에서는 도메인 레지스트리에게서 등록된 이름을 의미한다. 이를 통틀어서 ‘웹 주소’라고 (잘못) 부르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는 후자를 서술한다. 등록된 도메인 네임은 보통 호스트명의 일부분으로, DNS 상에서 해당 호스트명 및 그 하위의 호스트명들은 일반적으로 해당 등록자에게 권한이 주어진다. 도메인 레지스트리는 도메인 네임의 종류에 따라 국제 인터넷 주소자원 관리기관(ICANN)과 해당 국가 기관으로부터 승인을 받아, 일반 사용자들의 도메인 등록을 위임받는 역할을 한다. 이런 도메인 네임은 숫자로 된 IP 주소에 비해 외우기 쉬우며, 여러 개의 IP 주소가 한 도메인에 대응되거나 (서브 도메인) 여러 도메인이 하나의 IP 주소로 대응되는 (가상 호스트) 것도 가능하다. 도메인 네임이 항상 호스트명인 것은 아니지만, 호스트명이 아닌 도메인 네임은 대부분 아무 곳에도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도메인 레지스트리들은 호스트명과 같이 도메인 네임에 들어갈 수 있는 문자를 ASCII에서 0부터 9까지, a부터 z까지, 그리고 하이픈으로 등록을 제한하고 있다. 국제화 도메인(IDN)은 임의의 유니코드 문자열을 올바른 호스트명으로 변환하여 이 제한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제한적으로 밑줄(_)로 시작하는 도메인은 SRV 레코드와 같이 올바른 호스트명이 아니어야 하는 도메인 네임을 위해서 쓰이기도 한다. 도메인 네임은 그 최상위 도메인이 암시하는 관리 기관 및 등록 요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ICANN이 관리하는 도메인으로 .com, .org, .net 등이 포함된다. 대부분 국가와 관계 없이 등록할 수 있기 때문에 국제 도메인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역사적인 이유로 .mil과 .gov는 미국 국가 기관의 제한을 받는다.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 ISO 3166-1에 의하여 이름이 결정되고 각국의 NIC에서 관리하는 국가별 도메인이다. 기반 최상위 도메인(iTLD) 인터넷의 하부 구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특수한 도메인이다. 유일하게 .arpa가 속하지만, 루트 DNS의 vrsn-end-of-zone-marker-dummy-record.root 항목도 여기에 속한다고 볼 수도 있다. gTLD의 등록, 관리, 분쟁 및 법적인 문제 등 도메인 네임에 관한 모든 행정적인 절차 및 기술적인 관리는 ICANN에서 결정 및 시행한다. gTLD 중 가장 잘 알려진 .com, .net, .org는 본래 네트워크 솔루션즈에서 독점하고 있었으나 1999년 이후로는 경쟁체제로 전환되었다. .int는 본래 IANA가 인터넷의 하부 구조를 위해 사용하던 gTLD였으나, .arpa로 대체되고 현재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등의 국제 조약 기구 및 비정부조직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국제화 도메인 도메인 키워드 서비스 Hpweb.com 사건
악상어목 은 상어의 한 목으로 백상아리와 청상아리가 이 목에 속한다. 환도상어과 (Alopiidae) * 환도상어속 ( Alopias ) ** 환도상어 ( Alopias pelagicus ) Nakamura, 1935 ** 큰눈환도상어 ( Alopias superciliosus ) (Lowe, 1841) ** 흰배환도상어 ( Alopias vulpinus ) (Bonnaterre, 1788) 돌묵상어과 (Cetorhinidae) * 돌묵상어속 ( Cetorhinus ) ** 돌묵상어 ( Cetorhinus maximus ) (Gunnerus, 1765) 악상어과 (Lamnidae) * 백상아리속 ( Carcharodon ) ** 백상아리 ( Carcharodon carcharias ) (Linnaeus, 1758) ** † 메갈로돈 ( Carcharodon megalodon ) Agassiz, 1843 * 청상아리속 ( Isurus ) ** 청상아리 ( Isurus oxyrinchus ) Rafinesque, 1810 ** 단순청상아리 ( Isurus paucus ) Guitart Manday, 1966 * 악상어속 ( Lamna ) ** 악상어 ( Lamna ditropis ) Hubbs & Follett, 1947 ** 비악상어 ( Lamna nasus ) (Bonnaterre, 1788) 넓은주둥이상어과 (Megachasmidae) * 넓은주둥이상어속 ( Megachasma ) ** 넓은주둥이상어 ( Megachasma pelagios ) Taylor, Compagno & Struhsaker, 1983 마귀상어과 (Mitsukurinidae) * 마귀상어속 ( Mitsukurina ) ** 마귀상어 ( Mitsukurina owstoni ) Jordan, 1898 치사상어과 (Odontaspididae) * 샌드타이거상어속 ( Carcharias ) ** 샌드타이거상어 ( Carcharias taurus ) Rafinesque, 1810 ** 인도양샌드타이거상어 ( Carcharias tricuspidatus ) Day, 1878 * 치사상어속 ( Odontaspis ) ** 범상어 ( Odontaspis ferox ) (Risso, 1810) ** 큰눈뱀상어 ( Odontaspis noronhai ) (Maul, 1955) 강남상어과 (Pseudocarchariidae) * 강남상어속 ( Pseudocarcharias ) ** 강남상어 ( Pseudocarcharias kamoharai ) (Matsubara, 1936)
돌묵상어 ( Cetorhinus maximus )는 고래상어 다음으로 큰 상어로 동중국해 · 일본 · 캘리포니아 등지에 분포하는 상어이다. 갑각류와 플랑크톤을 먹으며 4km/h로 순항 할 수 있다. 몸길이는 보통 10 m가 넘는 길이로 자라며 몸무게는 20 t에 육박한다. 사람에게 확인된 최대 크기의 돌묵상어의 길이는 14 m였다. 온순한 성질로 사람에게 전혀 해를 주지 않는다. 가끔 일광욕을 한다고 한다. 그래서 영어권에서는 돌묵상어를 basking shark(일광욕하는 상어)라고 부른다. 돌묵상어는 입을 크게 벌리고 플랑크톤을 새파라는 빗 모양 기관으로 걸러서 먹는데 새파는 겨울이 되면 떨어져 돌묵상어가 겨울잠을 잔다고 알려져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 상어의 간에는 풍부한 기름이 들어있기 때문에, 상어기름을 얻기 위해 남획되고 있다. 이러한 남획과 낮은 번식률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돌묵상어는 입을 벌려 들어오는 동물성플랑크톤, 작은 물고기, 갑각류등을 먹는데, 시간당 들어오는 물의 양은 2,000톤에 달한다. 큰입상어나 고래상어와는 달리 적극적으로 먹이를 찾아 나서지는 않지만 후각을 이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오로지 아가미를 통해 물을 빼낼 뿐이며, 먹이를 빨아들이지는 않는다. 분류:악상어목 분류:거대동물 분류:1765년 기재된 동물
헤라 헤라 ()는 그리스 신화에서 최고의 여신으로 주신 제우스의 누이이자 아내이다. 결혼과 가정의 여신으로 숭배받았다. 로마 신화에서는 유피테르의 반려자인 유노에 해당된다. 헤라는 올림포스 신화가 자리잡기 전부터 모신(母神)으로 숭배받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다른 그리스 신화의 신들과 달리 헤라라는 이름의 어원은 그리스어나 인도유럽어에 속하지 않는 고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사모스 섬과 아르고스에는 기원전 8세기경에 지어진 헤라의 신전이 있다. 이는 그리스에서 가장 오래된 신전이다. 헤라는 종종 공작이 끄는 수레에 타거나 손에 여성과 풍요의 상징인 석류나 양귀비 씨앗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헤라의 아버지는 크로노스이며 어머니는 레아이다. 헤라는 남편 제우스와의 사이에서 전쟁 신 아레스, 청춘의 여신 헤베, 출산의 여신 에일레이튀이아를 낳았으며, 제우스가 여성과의 동침 없이 혼자서 지혜의 여신 아테나를 낳자 자신도 남성과의 동침 없이 대장장이의 신 헤파이스토스를 낳았다. 문제는 제우스와 헤라의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들보다 제우스가 바람을 피워서 낳은 자녀들이 훨씬 우수하다는 점에 있다. 전쟁 신 아레스는 매양 아테나에게 당하고 살기만 하며, 청춘의 여신 헤베는 헤라클레스에게 제우스의 민며느리가 되는 방식으로 시집갔다. 반면, 아폴론과 아르테미스 남매와 디오니소스, 아프로디테는 올림포스 12신으로서 헤라와 대등한 위치에 있다. 특히 이 중에서 아프로디테는 헤라나 아테네보다도 더한 미모를 인정받았다. 더군다나 올림포스 12신 중 과반수가 제우스의 내연녀(데메테르)이거나 제우스가 바람을 피워서 낳은 자녀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헤라클레스는 전무후무한 역사(力士)로 후에 신이 되었으며, 페르세우스 역시 메두사를 처치하는 무훈을 세웠다. 그리스의 시인 호메로스는 헤라의 질투를 즐겨 다루었다. 제우스는 여러 인간 여인들이나 님프와 관계를 맺었고, 그 때마다 헤라는 남편의 애인들에게 복수를 했다. 헤라는 제우스와 그의 애인들 사이에 난 사생아들에게도 강한 증오심을 보였다. 디오뉘소스의 어머니 세멜레, 큰곰자리 전설의 칼리스토, 에우로페, 그리고 영웅 헤라클레스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분류:그리스 신화의 여신 분류:결혼의 신 분류:가정의 신 분류:어머니 신 분류:양육의 신 분류:올림포스 12신 분류:제우스의 여인
기술 (技術)은 과학, 공학, 기능과 관련하여 다양한 뜻으로 쓰인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은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 과학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여 자연의 사물을 인간 생활에 유용하도록 가공하는 수단. (예 건축 기술) # 사물을 잘 다룰 수 있는 방법이나 능력 (예 운전 기술) 일반적으로 과학이나 산업에서 다루는 기술 의 의미는 사전의 첫 번째 의미를 말하며, 이는 영어의 테크놀로지에 대응한다. 두 번째 의미는 영어의 technique (기법)에 대응한다. 첫 번째 의미를 분명하게 구별하여 가리키고자 할 때는 과학기술 , 또는 과기 (科技)라는 용어를 쓴다. 과학은 자연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공학은 물건 등을 만들기 위해 과학적 지식을 응용하는 연구 학문이다. 과학기술은 사람의 필요에 따라 도구나 기계, 재료 등을 개발하고 사용하는 과정 등에 대한 일련의 지식 체계나 학문을 의미한다. 과학기술의 발달은 각종 산업 발달의 토대가 된다. 18세기 이전에는 기술(technique)은 과학의 도움보다도, 장인들의 경험에 의하여 느릿느릿 진화했다.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달을 기술혁신이라고 하며 기술혁신은 산업 구조의 변화를 가져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증기기관의 발명으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된 결과 산업혁명이 촉발된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최근 들어 급격한 정보화의 진행으로 정보 통신 산업이 크게 발달하고 있으며 통신, 인터넷 등을 주요 과학기술로 취급한다. 경제학에서는 세계자본주의의 구조와 과학기술의 관계를 연구하며 다음과 같은 개념을 중요하게 다룬다. 적정 과학기술(Appropriate technology) 중간 과학기술(Intermediate technology) 과학기술 전략(Strategy of technology) 과학기술자본주의(Technocapitalism) 과학기술 특성(Technological singularity) 과학기술 수용 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과학기술의 라이프사이클(Technology lifecycle) 과학기술 전파(Technology transfer)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생활과 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사회에 긍정적으로, 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현대 철학과 사회학, 생태학, 정치학, 환경운동 등에서는 기술에 의한 여러 영향을 다루고 있다. 아래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주요 이념이나 논점이다.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 사전예방원칙 (Precautionary principle) 리우 선언 철학이란, 대상을 다시 한번 더 문제삼아 되돌아 보는 반성적 사고 를 이른다. 기술은 본래, 어떠한 목적을 위한 도구 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19세기, 산업화와 함께 기술(technique)과 과학이 결합함으로써 과학기술(technology)이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고,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는 과학기술에 대해 사람들은 우려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이러한 목소리가 모여 기술에 대한 회의적 시각을 형성하였으며, 이는 유럽에서 시작되었다. 1970년대 드디어 기술철학회가 창립되었고, 과학기술에 대한 반성적 사고( 기술철학 )가 철학의 분과 학문으로 독립되었다. 대한민국의 경우,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에서 기술에 관하여 정의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기술이란 「특허법」 등 관련 법률에 따라 등록 또는 출원(出願)된 특허, 실용신안(實用新案), 디자인, 반도체집적회로의 배치설계 및 소프트웨어 등 지식재산, 이들이 집적된 자본재, 또한 이에 관한 정보, 이전 및 사업화가 가능한 기술적ㆍ과학적 또는 산업적 노하우를 말한다. 셰리 터클( Sherry Turkle) - MIT 교수겸 기술발전과 인간관계의 변화 연구가
right 미적분학 (微積分學은 수학의 한 분야로 극한, 함수, 미분, 적분, 무한급수를 다루는 학문이다. 다른 명칭은 "무한소 해석학"이다. 미적분학은 속도, 가속도 같은 일정하게 변하는 양들의 값을 구한다. 그 값들은 곡선의 기울기로 해석한다. 또 넓이, 부피, 길이 등은 곡선으로 제한된다. 여기서 "곡선"은 직선을 의미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 극한을 구하는 과정을 유도하는 무한 과정 또는 궁극점(일반적으로 구하는 값)에 접근해 가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 2가지 방법은 수학적 해석학의 토대가 되고 있다. 기하학이 모양(Shape)에 중심을 둔 학문이고 대수학이 연산과 그 활용에 대한 학문이라면, 미적분학은 변화에 중점을 둔 학문이다. 미적분학은 크게 2개의 분야로 분류되는데, 미분과 적분이 바로 그것이다. 미분은 국소적인 변화를 다루는 분야이고, 적분은 국소적인 양의 집적을 다루는 분야이다. 미분은 특정 함수의 어떤 지점에서의 접선, 혹은 접평면을 구하는 연산이다. 다시 말하면, 미분은 원래는 복잡한 함수를 선형근사해서 다루기 쉬운 형태로 바꾸어 파악하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미분은 선형사상이 된다.(단, 다변수 함수의 미분을 선형사상으로 취급하는 방식은 20세기에 들어서부터 확립됐다.) 미분방정식은 이런 사고의 자연스러운 연장 선상에 있다. 적분은 기하학적으로 보면, 곡선 또는 곡면과 좌표축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을 구하는 것에 해당된다.(단, 이때는 절댓값 기호를 씌워서 곡선 또는 곡면을 x축위로 꺾어올렸을때의 상태이다.)(실제 적분의 기하학적인 의미는 y좌표, 즉 길이들의 합이다.) 그러나 적분의 의미는 오랫동안 확실하게 파악되지 못하고 있었다. 적분의 확실한 정의를 내린 사람은 베른하르트 리만이 최초이다. 리만이 생각한 적분을 정식화한 것을 리만 적분이라고 한다. 미분과 적분은 완전히 별개의 개념이지만,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변수가 하나인 경우, 하나가 나머지의 역연산이 된다. 이를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라고 부른다. 적분을 이끌어내기 위한 몇 가지 아이디어들은 고대에서부터 시작됐지만 이 시대의 방법들은 수학적으로 엄밀하지도 않고 체계적이지 않았다. 모스크바 수학 파피루스(Moscow mathematical papyrus)에서 적분의 목표 중 하나인 부피계산법들이 나와있으나 이것들은 방법으로서 설명이 부족하고 몇 가지는 틀렸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Eudoxus)가 극한의 개념과 비슷한 문제의 철저 검토법을 사용했고 아르키메데스는 이 방법을 발전시킨 발견적 교수법이라는 적분과 비슷한 방법을 만들었다. 중국에서는 유휘가 3세기에 원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와 같은 방법을 발명하였다. 중세 시대에는 인도에서 미적분학의 기초가 다져졌다. 14세기 인도 수학자 마다바(Mādhava of Sañgamāgrama)와 케랄라 학파(Kerala school of astronomy and mathematics)가 테일러 급수, 무한급수의 근사법, 수렴에 대한 적분판정법, 미분의 초기형태, 비선형 방정식 풀이를 위한 방법, 곡선 아래부분이 차지하는 넓이가 적분값과 같다는 이론 등 미적분을 위한 많은 요소들을 기술하였다. 페르마는 무한소 오차항이 있어도 등호가 성립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adequality 개념을 소개했다. 무한소 미적분과 유한차 미적분의 결합은 두 번째 미적분학 기본정리가 증명되고 2년이 지나서 존 월리스(John Wallis), 아이작 배로(Issac Barrow)와 제임스 그레고리(James Gregory)에 의해 1670년경에 완성됐다. 아이작 뉴턴은 그가 수리물리학 문제를 풀 때 사용했던 이상한 형태의 곱의 미분법, 연쇄법칙, 고계도 미분계수의 개념, 테일러 급수와 해석함수를 공개했다. 하지만 그가 출판물로 낼 때는 그 시대의 수학적 표현방법에 맞게 그의 아이디어와 동등한 의미를 지니는 기하적 표현으로 그의 아이디어를 적어냈다. 뉴턴은 그의 책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에서 거론한 행성의 운동, 회전하는 유체 표면의 모양, 지구의 편평도, 사이클로이드에서 미끄러지는 물체의 운동 같은 문제들을 푸는 데 미적분을 사용했다. 뉴턴은 미적분과 함께 함수의 급수를 실수의 범위로 확장했고 테일러 급수의 원칙들을 이해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는 그가 이뤄낸 모든 발견을 출판하지는 않았고 이 시대에 무한소를 이용한 방법은 여전히 평이 좋지 않았다. 그의 아이디어들은 뉴턴이 자신을 표절했다고 고소한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에 의해서 참된 무한소 미적분으로 체계화됐다. 뉴턴은 그를 표절자로 여겼지만, 현재는 그도 독립적인 미적분의 발명자라는 것이 밝혀졌다. 그는 무한소를 다루는 규칙들을 명확하게 정리했고 2계도 이상의 미분을 가능하도록 해줬으며 곱의 미분법과 연계법칙을 미분 적분 형태로 모두 만들었다. 앞에서 말했듯이 뉴턴과 라이프니츠는 모두 미적분의 발명가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둘의 미적분의 성격은 다르다. 뉴턴은 미적분을 물리학에서 활용한 첫 번째 사람으로, 라이프니츠는 오늘날 사용하는 미적분 표기법의 대부분을 만든 사람으로 여겨진다. 또 라이프니츠는 뉴턴과는 달리 형식을 중시해서 알맞은 표현법을 만들어내는데 며칠을 쓰는 일도 종종 있었다고 한다. 두 사람의 미적분에서 규정한 기본적인 사항들로는 미분과 적분의 법칙들, 2계도 이상에서의 미분, 다항 함수 급수의 근사에 대한 개념들이 있다. 그런데 이 시대에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들은 이미 알려져 있었다. 라이프니츠가 그의 결과를 발표하고 뉴턴이 그의 아이디어에 대해서 권리를 주장하자 수학자들 사이에서는 어떤 사람을 미적분학의 발명가로 인정을 해야 하느냐는 주제로 큰 논란이 일었다. 뉴턴이 최초로 결과를 이끌어 낸 사람이지만 출판을 한 것은 라이프니츠가 처음이었기 때문이다. 뉴턴은 라이프니츠가 자신이 출판하지 않고 왕립학회에서 공유한 노트들에서 아이디어를 훔쳤다고 주장했다. 이 논란 때문에 영국 수학자들과 유럽 대륙의 수학자들이 오랫동안 갈라지게 되고 이는 영국 수학에 큰 손실을 초래했다. 현재는 뉴턴과 라이프니츠의 논문에 대한 면밀한 조사 덕분에 그들이 독립적으로 결론을 이끌어 냈다는 것이 밝혀졌다. 라이프니츠는 적분에서부터 뉴턴은 미분에서부터 시작해서 결과를 도출해냈다. 이 시대 이후에 수많은 수학자들이 미적분학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첫 번째로 가장 성공적이었던 업적 중 하나로 마리아 아녜시가 1748년에 쓴 무한과 유한 분석이 있다. 미적분학에서 기초(foundations)는 정확하고 엄밀한 공리와 정의들의 발전을 말한다. 초기 미적분학에서 사용한 무한소는 엄밀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었기에 많은 작가들에게 특히 미셸 롤과 조지 버클리(George Berkeley)에게 맹렬하게 비난 받았다. 버클리는 그가 1734년에 출판한 《해석학자》()라는 책에서 무한소를 ‘사라진 값들의 유령’()이라고 묘사했다. 미적분학의 엄밀한 기초를 도출해내는 일은 그 세기 동안 뉴턴과 라이프니츠를 따르는 수학자들이 제공했고 오늘날까지도 연구활동이 있는 분야다. 콜린 매클로린(Colin Maclaurin)을 포함한 다수의 수학자들이 무한소의 사용이 정당하는 것을 증명하려고 시도했지만 그것은 150년이 지나서야 오귀스탱 루이 코시와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에 의해서 증명됐고 무한소의 의미가 극히 작은 값이라는 관념을 막을 방법을 찾았다. 이것이 미분과 적분을 위한 기초를 놓았다. 코시의 필기에서 무한소의 형태로 적혀진 연속의 정의와 극한의 (ε-δ) 정의의 원형 등의 기초에 접근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코시의 업적에서 바이어슈트라스는 극한의 정의를 공식화 시키고 무한소의 개념을 없애버린다. 바이어슈트라스의 작업에 따라서 미적분학은 무한소가 아닌 극한에 기초하는 것이 일반적이게 됐다. 베른하르트 리만은 바이어슈트라스의 개념을 사용해서 적분의 정확한 개념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발견의 기간 동안 미적분학의 아이디어들은 유클리드 공간과 복소평면에서 일반화됐다. 현대 수학에서 미적분학의 기초는 미적분학의 정리에 대한 완전한 정의와 증명들을 포함하는 실해석 분야에 포함되어 있고 미적분학의 범위는 엄청나게 확대됐다. 앙리 르베그는 측도론을 만들어서 거의 모든Pathological function에서 적분을 가능하게 했다. 로랑 슈바르츠는 어떤 함수도 미분시킬 수 있는 분포 이론을 만들었다. 일반적으로 극한의 개념을 미적분학의 기초로 두지만 극한이 미적분학의 기초에 대한 유일한 접근법은 아니다. 에이브러햄 로빈슨(Abraham Robinson)의 비표준해석학이 대안책이다. 1960년대에 만들어진 로빈슨의 접근법은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사용했던 개념인 무한소와 무한수로 실수체계를 늘린 체계를 사용한다. 그 결과로 나온 수를 초실수라고 부른다. 초실수는 미적분학의 일반적인 법칙들을 라이프니츠의 방식처럼 이끌어 낼 수 있다. 함수 란 집합 안에 있는 원소 가 집합 에 있는 정확히 한 원소, 에 대응되는 규칙을 말한다. 여기서 집합 는 정의역이라하고 는 공역이라고 한다. 또한 정의역에 있는 임의의 수를 나타내는 기호를 독립변수, 공역에 있는 원소를 나타내는 기호를 종속변수라고 한다. 함수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말로 설명하는 방법, 표를 이용하는 방법, 그래프를 이용하는 방법, 대수학적 식으로 표현하는 방법 등이 있다. 는 가 로 다가갈 때 가 로 다가간다는 것이다. 극한에는 좌극한과 우극한이 존재하는데 좌극한이란 가 보다 작은 곳에서 로 다가갈 때 가 다가가는 값을 의미하고 우극한은 반대로 가 보다 큰 곳에서 다가간다. 좌극한과 우극한은 기호로 각각 , 라고 표시한다. 극한값이 라는 것과 좌극한과 우극한 모두 라는 것은 필요충분조건이다.는 가 로 다가갈 때 는 무한히 커진다는 것이고 는 무한히 작아진다는 것이다. 극한의 더 정확한 수학적 정의는 입실론-델타 논법 이다. 는 모든 양수 에 대해 만약 면 인 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말을 기호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극한들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가 상수이고 와 가 존재할 때 다음 성질들을 만족한다. 만약 근처 에서 이고 둘다 에서 극한값이 존재한다면 이다. 샌드위치 정리(압착 정리) 만약 근처 에서 이고 세 함수 모두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이라면 이다. 에서 정의된 함수 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때 는 인 점에서 연속이라고 한다. () 에서 함숫값 가 존재한다. 에서 극한값 가 존재한다. 에서 함숫값과 극한값이 일치한다. 함수 가 정의역에 존재하는 모든 에서 연속일 때, 는 연속함수라고 한다. 정의역 이외의 에 대해서 불연속이더라도, 함수의 연속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은 이외의 모든 점에서 연속이다. 에서는 함숫값이 정의되지 않아 불연속이지만, 은 정의역에 있지 않는 수이므로 함수 는 연속함수이다. 함수의 그래프 연속성 200px 연속이다. 200px 함숫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불연속이다. 200px 함숫값과 극한값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불연속이다. 200px 좌극한값과 우극한값이 일치하지 않아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불연속이다. 함수 f(x)가 모든 정의역에서 연속이면, 정의역의 모든점 에 대해서 ε-δ 논법에 의해 모든 ε>0에 대해 00이 존재한다. 만약 모든 에 대해서 δ가 같다면, 즉, δ가 에 변화에 따르지 않고 오직 ε의 변화에만 따른다면, 이 함수 f(x)가 균등연속(Uniformly continuous)이라고 한다. 제거 가능한 불연속성을 지니는 함수 함수 f(x)가 에서 불연속이지만 를 적절히 정했을 때 연속이 될 수 있다면, 는 에서 제거 가능한 불연속성을 지닌다고 표현한다. 예를 들어 라면, 인 점에서 함숫값이 정의되지 않아 불연속이다. 그러나 로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만약 로 함숫값을 정하면 불연속성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함수 는 x=0인 점에서 제거 가능한 불연속성을 지닌다. 그래프 에서 점을 통과하는 접선은 기울기 를 가진다. 여기서 라고 하면 가 된다. 함수 의 도함수 란 를 의미한다. 도함수 표현법에는 등이 있다. 도함수를 한번 더 미분한 것을 이계도함수라고 한다. 이계도함수의 표현법에는 등이 있다.이계도함수를 또 한번 더 미분한 것을 삼차도함수라고 하고 이것은 등으로 표현한다. 를 번 미분한 것은 등으로 표현한다. 함수 가 에서 미분 가능하다는 말은 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구간에서 미분가능하다는 말은 구간 내의 모든점에서 미분가능하다는 것이다. 함수 가 점 에서 미분 가능하다는 말은 에서 연속하다는 것이다. 미분 불가능한 경우에는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값이 다르거나 불연속하거나 수직 접선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수직접선이란 일 때 에서 수직 접선을 가진다. 는 상수이고 는 미분 가능할 때 다음을 만족한다. 이다. 이것을 이용하여 삼각함수의 미분을 할 수 있다. 삼각함수들의 미분은 다음과 같다. 가 에서 미분가능하고 가 에서 미분가능하면 는 에서 미분가능하고 로 표현된다. 이것을 다른방식으로 표현하면 와 가 미분가능한 함수면 이다. 일반적으로 함수는 로 표현된다. 하지만 나 와 같이 표현되는 음함수도 존재한다. 이런 함수를 미분할 때는 이 함수를 형태로 바꿀 필요 없이 음함수 미분법을 사용하면 된다. 이 방법은 양변을 모두 에 대하여 미분을 한 뒤, 에 대한 방정식을 풀면 된다. 예를 들어 는 양변을 로 미분하면 가 돼서 가 된다. 지수함수 를 정의를 이용해 미분하면 이다. 이때 이므로 이다. 이때 이 되는 를 라고 한다. 즉, 이고 이다.일 때, 라고 정의한다. 이때 를 밑이라고 하는데 밑이 인 로그를 자연로그라고하고 라고 표현한다. 즉, 이다. 를 임을 이용하여 미분하면 임을 알 수 있다. 이 자연로그의 미분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밑을 가지는 지수, 로그 함수의 미분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에 대하여 일 때 함수 를 구간 에서의 의 역도함수(부정적분)라고 한다. 여기서 F가 f의 부정적분이면 일반적으로 F+C도 f의 부정적분이다. 여기서 C는 임의의 상수이다. 함수 f가 구간 a,b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일 때, 구간 a,b를 동일한 n개의 폭 으로 분할하여, 이 n개의 부분구간들의 끝점들을 이라하자. 에 속하도록 표본점 을 잡자. 이 때 가 존재하면, 그 값을 a로부터 b까지의 f의 정적분이라고 하고, 함수 f는 구간 a,b에서 적분 가능하다고 한다. 이 때 표본점은 각구간의 끝점 또는 중점으로 잡는다. 일반적으로 함수f가 구간 a,b에서 유한개의 불연속점을 가지면 f가 구간a,b에서 적분 가능하다. 1. 2. (단, 는 임의의 실수)3. 4. 5. 인 에 대해서 이면 이다. 6. 인 에 대해서 이면 이다. 7. 인 에 대해서 이면 이다. 8. 이면 함수 가 구간 에서 연속이면, , 로 정의된 함수 는 에서 연속이고 에서 미분가능하며, 이다. 증명 와 가 안에 있다고 하면 따라서 인 에 대해 이다. 이제 임을 가정하자. 극값정리(에 의해) 이고 인 가 안에 존재한다. (은 각각 함수 의 에서의 최솟값과 최댓값) 따라서이다. 에 의해 이고, , 인 경우도 비슷한 방법으로 이 부등식을 얻을 수 있다.가 에 가까워질때, 가 안에 있으므로 는 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이다. 그러므로 압축정리에 의해서()이다. 함수 가 닫힌 구간 에서 연속이면, 이다. 여기에서 는 의 임의의 역도함수, 즉 이다. 증명 로 놓으면 위의 기본정리에 의해 이다.의 임의의 도함수 는 와 상수만큼 차이가 있다. 여기서 C 는 상수라고 하자. 따라서 이다. 함수 가 미분 가능하고, 그 치역이 구간 I이며 함수 f가 구간 I에서 연속이면, 이다. 정적분에 대해 변형시키면, 함수 g 이 a,b에서 연속이고, 함수 f가 의 치역에서 연속이면, 이다. 두 미분가능한 연속 함수 와 에 대해서, 적분 구간이 일 때, 부분적분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우변의 첫째 항은 다음을 나타낸다. 이 법칙은 다음과 같이 미분의 곱셈 법칙과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로 증명할 수 있다. 부정적분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또는, 짧게 줄여서 다음과 같이 표현하기도 한다. 여기서, 이고, 이다. a,b안의 모든 x에 대하여 f,g가 연속이고, ≥일 때, 곡선,와 직선 ,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 A는 로 정의된다. S를 와 에 놓인 입체도형이라 하자. x를 지나고 x축에 수직인 평면 Px에 있는 S의 절단면의 넓이가 A(x)이고, A가 연속이라면 S의 부피(V)는 이다. 회전체의 경우, 위의 방법으로는 부피를 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회전체의 부피의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한다. 곡선 와 및 로 둘러싸인 영역을 축을 둘레로 회전시킬때 생기는 회전체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급수(級數)란 수학에서 수열들의 각 항의 합을 의미한다. 즉, 급수란 여러 수들의 합연산으로 표현된다. 급수의 예로는 아래와 같은 등차수열의 합이 있다. 1 + 2 + 3 + 4 + 5 + ... + 99 + 100 급수에 더해지는 각 항들이 어떤 공식이나 알고리즘에 의해 표현되는 경우도 있다. 난수들로 이루어진 급수도 생각할 수 있다. 급수는 유한 급수와 무한급수로 나눌 수 있다. 유한 급수의 경우 기초적인 대수학의 법칙들만 사용하여도 그 값을 구할 수 있다. 하지만 무한급수는 그 정확한 합을 구하기 위해서는 해석학의 여러 정리들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등차수열들의 합으로 이루어진 급수의 경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등비수열의 합으로 이루어진 급수의 경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무한급수는 위의 , 즉 급수의 부분합으로 이루어지는 수열의 극한값으로 생각한다. 이 무한대로 갈 때, 그 극한이 유한한 값을 갖는다면 이 급수가 수렴한다고 한다. 만약 이 값이 무한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 급수는 발산한다고 한다. 무한급수의 수렴을 판정하는데는 비교판정법, 적분판정법, 일반항판정법, 멱근판정법, 비율판정법등이있다. 주어진 수열 와 변수 에 대해서 를 수열 a로부터 얻은 멱급수라고 부른다. 가 존재한다고 하자. 이때, 이 수열의 멱급수는 일 때 수렴한다. 원점 을 포함하는 구간I에 대해서 정의된 n번 미분가능한 함수 f:I→R 에 대하여 의 차 근사 다항식이라하고, 를 차 테일러 나머지 항이라고 하자.그리고 원점 근방에서 정의된 무한번 미분 가능한 함수 에 대하여 멱급수 를 의 테일러 급수라고 한다. 테일러 급수가 원래 함수에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이다. 푸리에 급수 분류:적분학 분류:독일의 발명품
in Österreich.JPG|섬네일|오스트리아의 임업 임학 (林學, Forestry)은 우리가 어떻게 산을 가꾸고 산에서 나는 여러 물자들을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에 대해 연구하는 실용학문의 하나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산림에 관해 연구가 시작된 지는 그리 오래되지가 않는다. 19세기의 산업혁명 이후 인구의 증가와 도시문명의 발달에 따라 집을 짓고 종이의 대량 생산에 따른 목재 수요의 급격한 증가는 산림이 가진 경제적 가치를 새로운 시각에서 평가하게 되었으며 이와 함께 산림의 보호와 육성은 국가적 관심사로 등장하게 되었다. 20세기에 중엽 이후에는 특히 메마른 도시 문명에서 벗어나 숲과 전원에서 휴양을 하고 여가를 보내고자 하는 도시인들의 관심은 잘 가꾸어진 산림의 또다른 중요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4월 5일을 식목일로 정하여 푸른 산을 가꾸는 일을 범국민적 운동으로서 삼고 있다. 이와 밀접한 혹은 산림학의 토대가 되는 분야로는 생물학의 여러 분과, 생물환경학, 동물학, 식물학 등을 우선으로 하여 지리학, 지질학, 기상학, 경영학, 재정학, 법학 (산림법) 등을 손꼽을 수 있겠다. 산림법 임업 숲 분류:농학 분류:벌채 분류:산림경영학과 분류:숲
미술 (美術)은 시각적(視覺的) 방법 또는 조형적(造形的)인 방법으로 사람의 감정이나 뜻을 나타내는 예술의 한 종류라고 말할 수가 있다. 미술이라는 용어는 미(美)를 재현 또는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여러 재주, 또는 기예를 뜻한다. 미술은 주로 사용하는 도구와 표현하는 방법에 따라 장르를 나눈다. 판화를 포함한 회화, 조각이 전통적이고 대표적인 미술의 장르지만 현대에 들어와서 그 영역이 한층 넓어져, 물리적인 재료를 특정장소에 설치하여 미술가의 뜻을 전하고자 하는 설치 예술, 백남준 등 다양한 작가들이 새로운 뉴미디어 매체를 통해 선보이는 비디오 아트, 마르쉘 뒤샹 이후 등장한, 개념자체가 결과물이 되는 개념미술, 특정 풍경이나 장소를 대상으로 하는 장소특정적 대지미술 등이 새로이 이 영역에 추가되었다. 이 외에도 새로운 매체와 소재가 발견됨에 따라 미술의 영역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미술이란 무엇이냐는 것을 알기 위하여 기초 지식인 여러 가지 사항이 다음에 이야기되어야만 된다. 기초 지식이란 미술 작품의 성립, 표현과 환경, 표현과 사람, 표현과 연령, 표현의 태도·양식 등에 걸친 것이다. 사람의 감정이나 뜻을 나타내는 것을 미술이라는 말로 표현했으나 용어 자체는 그때그때마다 달리 사용되었다. 우선 중국 당(唐)시대에는 공예(工藝)라고 불렀고, 명·청(明·淸) 시대에는 서화(書畵)라는 말이 오늘의 미술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한국에서도 미술이라는 말이 들어오기까지는 역시 서화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서예와 그림 외의 미술 즉 공예(工藝)나 건축이나 조각 같은 것은 지금의 개념으로 생각하는 미술이 아니고 단순한 공예품·건축물·조각물에 지나지 않았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나 1960년 전후로 해서 서양의 미학 사상(美學思想)이 들어와 미술의 영토가 확대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1800년대에 서양 사람이 생각해 낸 미술을 둘로 구분, 순수 미술(純粹美術)과 응용 미술(應用美術)로 하여 그림·조각은 순수 미술, 공예·건축은 응용 미술이라고 규정했던 것이다. 그런데 1950년 전후해서 미술의 모습이 크게 달라지자 미술이라는 말이 새로 생긴 미술적 현상을 가리키기에는 너무나 좁고 구식이기에 새로운 용어가 요구되어, 시각 예술(視覺藝術)·공간 예술(空間藝術) 또는 조형 미술(造形美術)과 같은 말이 생기고 사용되게 되었다. 시각 예술이라는 것은 미술이 사람의 시각 작용을 매개로 하는 예술이기에 그렇게 불렀고 공간 예술이라는 것은 미술의 성립이 그 공간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 예술(時間藝術:음악·문학 등)과 대치되는 예술로 규정되었고, 조형 예술은 미술이 유형적(有形的)인 조형성을 기본 방법으로 하고 있기에 그렇게 불렀다. 이 새로운 용어들은 과학(科學)의 발달과 생활의 변모에 따라 생기는 새로운 미술현상, 예를 들면 사진(寫眞)이라든가 디자인이라든가, 꽃꽂이 같은 것도 아울러 표현할 수 있는 여유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미 미술이라는 말은 시대적으로나 개념적으로 오늘의 유형 예술의 전부를 가리키기에는 좁은 의미의 내용만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미술의 표현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표현을 중심으로 표현 이전의 사상과 표현 이후의 작품이 있어 셋이 올바르게 갖추어져야 된다는 것이다. 가령 풍경화(風景畵)를 그릴 때 늘 자기가 좋다고 보아 온 어느 자연 풍경이 있어 그것을 한번 그려보려는 마음이 우선 있어야 하고, 다음 어떻게 그리겠다는 표현의 방법이 마련되어 구체적으로 캔버스에다 유채로 그려 풍경화 작품을 남겨 놓아야 된다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이 표현 이전의 아이디어냐, 그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능력 즉 표현이냐는 것은 늘 예술상의 문제이지만, 모든 예술의 성립이 표현에서 비롯하므로 미술에서도 역시 표현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예술이 표현인 것과 같이 미술도 표현이다. 미술 표현에 있어서는 재료도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미술 재료는 미술 표현의 매개체일 뿐더러 그 존립을 좌우하는 중요한 존재이다. 그러기에 미술 발전의 밑바닥에는 늘 재료의 발달이 뒤따른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미술은 본질적인 미학적 근거도 갖고 있으나 시대의 변천에 따라 적응하는 시대성도 또한 중요하다. 모든 시대를 통하여 미술은 리얼리티의 구현이라는 것은 그 시대의 모든 문화적 성과를 종합해서 미술이 성립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얼른 생각하기에는 미술은 자연 과학과 별개의 것이라고 하지만 어느 시대이건 가장 위대한 미술은 그 시대의 미술과 자연 과학의 일치에서 오는 종합적인 존재라는 것을 미술사(美術史)는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인간의 행동에는 그 행동을 일으키는 어떤 동인(動因)이 있어야만 한다. 그것은 미적 조형 활동(美的造形活動)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화가가 풍경을 보고 그 아름다움에 감동해서 그 감동을 캔버스 위에 표현한다고 하는 것도 동인일 것이며, 또한 건축가가 건축 의뢰를 받고 그 설계를 시작한다는 것도 하나의 동인일 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작가에게 있어서 극히 행복한 경우일지 모르나 그것만이 순수한 동인으로서 예술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라고 조급하게 단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문제는 작가가 그 주제에 대해서 얼마만큼의 정열을 쏟을 수 있었는가, 또한 표현의 기술을 통해서 얼마만큼 자신의 미적 감각을 발휘할 수 있었는가 하는 것이다. 주문을 받은 것이든 자발적인 것이든, 예술상의 타락은 작가가 자신의 예술적 양심에 반해서 대중이나 주문자나 혹은 비평가 등에 영합하려고 표현을 속이는 것이라고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렘브란트는 단체 초상화를 평판적(平板的)인 기념 촬영으로 만들지 않았다. 야경(夜警)은 그의 예술적 의도에서 인물들을 광선의 교착 속에 두어 생활상의 분위기를 살렸는데, 이것은 주문자의 불평을 샀으나 지금은 네덜란드의 국보가 되어 있다. 우선 표현의 주제가 결정되면 작가는 그것에 대해 여러 가지 이미지를 갖는다. 이미지라는 말은 심상(心像), 즉 기억이나 상상에 의해서 마음에 떠오르는 상(像)을 뜻하는 것으로서 이미지가 풍부하면 표현도 풍부한 것이 되어, 조형(造形) 표현으로서는 극히 중요한 것이다. 다음으로 그 이미지를 중심으로 여러 가지를 조사해 보거나 몇 가지 시작(試作)을 만들어 본다. 이 단계에 있어서 아이디어(idea)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이디어라는 말은 고안이라든가 착상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작가의 창조력과 아이디어에 의해서 이미지를 구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안이 나온다. 이 구체적인 안을 드림 디자인(dream design)이라고 한다. 모나리자를 그린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자연 과학이나 물리학에 관한 연구를 했는데, 그 맹렬한 창조 정신에 의해서 건축 설계를 하거나 비행기의 고안을 하거나 기타 여러 가지 기계를 고안했다. 우선 몇 가지 안이 나오면 그 가운데 무엇이 가장 좋은가가 결정되어 설계도라든가 밑그림이 만들어진다. 디자이너나 건축 설계사의 일은 대체적으로 거기까지로서 다음은 시공자에게 넘어가는데 인쇄되는 것은 인쇄상의, 또 건축가는 시공의 재료나 시공상의 여러 문제에 대해서 충분한 지식이 필요하며, 또한 시행 중에도 계획대로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가 어떤가 감독된다. 17세기의 화가 루벤스는 밀리는 주문의 뒤를 댈 수가 없어서 많은 제자들을 두어, 자신의 데생 위에 분담하여 그리도록 하고 최후로 자기 자신이 손을 대서 완성시켰다고 한다. 그리고 미켈란젤로는 방대한 시스티나 성당의 대벽화를 거의 혼자서 목이 돌아가지 않을 정도로까지 그려댔다. 이처럼 건축이나 대량 생산되는 공예품 따위의 특별한 것 이외는 대체적으로 마지막까지 작자 자신의 손으로 만들어진다. 왜냐하면 그림 같은 것은 그림물감을 칠하는 방법이나 붓 하나하나에 작자의 마음이 담기고 제작 의도가 충분히 살려져서 작품과 작자 사이에 한 치의 간격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처음 마음속에 그려진 이미지가 이렇게 해서 하나의 창작품으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많은 고생이 거듭되고 또한 제작에의 정열이 지속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산 피에트로 성당의 조영은 1세기 반에 걸쳐 전개된 대사업으로서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상징이었다. 브라만테, 라파엘로, 페루치에 이어 72세의 미켈란젤로가 그 설계를 인계받았으며, 그가 죽은 후 대궁륭이 완성되고 베르니니가 내진의 대천개와 광장을 설계해서 완성된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해서 형성된 미술 작품이 무엇 때문에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일까. 그것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작품의 밑바닥에 흐르고 있는 작자의 의도나 작품의 구석구석까지 스며들고 있는 작자의 마음이 보는 사람의 마음에 통하기 때문이리라. 에스프리라는 말은 그 표현에 작자의 신경이 통하고 있어 개성적(個性的)이라는 것을 가리키는데, 그것은 시혼(詩魂)이라는 말로 표현해도 좋고 혹은 작품 속에 숨겨져 있는 인간성이라고 생각해도 좋다. A라는 어느 한 인간을 생각해 보자. A에게는 머리도 있고 몸뚱이도 있으며 손발도 있다. 그것들은 다른 사람들의 눈으로도 볼 수 있으며 그것들이 없어지면 A도 물론 소멸해 버리긴 한다. 그러나 A는 단지 머리와 몸뚱이·손발들을 모아 놓은 것이 아니라 그 가운데 있는 무엇인가가 머리나 몸뚱이나 손발을 움직이게 해서 A다운 행동을 시킴으로써 머리나 몸뚱이나 손발을 특징지어 A라는 사람의 인상을 그와 접촉하는 사람에게 부여해 주는 것이다. 인간이 머리나 몸뚱이나 손발을 갖고 있는 것처럼 조형작품(造形作品)도 제각기 모양을 갖고 빛깔을 가지며, 재료를 갖고 또한 제각기 구성을 갖는다. 그것들은 눈으로 볼 수 있고 작품을 밖에서 지탱해 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들의 양상을 특징지어주고 작품을 안에서 지탱해 주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어떤 시대에, 어떤 지방에 살고 있던 어느 인간(작자)의 개성이라고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것은 작자의 인격이라고 해도 좋고, 또 인간성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작품은 그 가운데 작자의 피가 맥박치며 흐르고 있어서 모양이나 색깔 따위를 특징지어 주고 있는 생명체이다. 따라서 조형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작품은 안에서 지탱하고 있는 작자 자신의 인간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작품을 밖에서 지탱하고 있는 조형성(造形性)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인간은 자신의 의지만으로써는 행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좋거나 싫거나 관계 없이 자기를 둘러싼 환경의 영향을 받으면서 살아가고 있다. 조형표현이라고 하는 인간의 행위도 유형 무형의 환경에서 영향을 받아 여러 가지 작품으로 이루어져 생겨나온 것이다. 표현에 영향을 미친 환경은 우선 시대의 차이이며, 다음에 작품을 낳은 풍토(風土)의 차이라 할 수 있겠다. 시대가 달라짐에 따라 인류 문화의 발달 정도가 달라지고, 정치나 종교나 생활양식 등이 달라지게 되므로 그들이 조형표현에도 영향을 끼쳐서 시대가 달라짐에 따라 다른 조형이 생겨나게 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인류의 기나긴 역사 속에서 그 시대와 미술이 어떻게 관계해서 변화하였는지의 개략에 대하여 생각하여 보자. 인류 최초의 회화(繪畵) 유품은 지금으로부터 약 2만년 전의 알타미라 동굴의 벽화라고 하는데 아직 농경의 기술을 모르고 동굴 속에서 살면서 수렵으로 생활하던 인류는 손쉬운 재료를 사용하여 동굴 벽에, 마치 어린이가 돌이나 나뭇조각을 가지고 지면(地面)이나 벽에 낙서를 하듯이 자기들 생활에 가장 가까운 동물의 가지가지 모습을 그렸을 것이다. 후세 사람들처럼 사실적(寫實的)으로 표현할 수 없었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그들의 표현은 동물을 사랑하기도 하고 동물을 두려워하기도 하여, 동물의 생태나 습성을 잘 알고 있었기에 그 기억을 바탕으로 생생하게 표현하였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시적인 조형은 매우 솔직한 표현으로서 자기 자신에 대한 관심이 강한 것이 무엇보다도 먼저 강조되었고 어린이의 표현처럼 심리적인 밸런스가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지나치다고 생각되리만큼 장식이 많은 것은 인간이 가진 장식본능의 발로이기도 하겠다. 이윽고 농경이 시작됨에 따라 살기 위한 집이 세워지게 되자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옹기그릇 따위가 만들어지게 되어 여러 가지 조형활동이 성하게 된다. 집들이 모여서 마을이 생기고, 마을이 커지면 마을이 나뉘어 민족의 이동이 일어나고, 또한 지구의 지배자가 나와 나라와 통치자가 생긴다. 그리되면 풍토나 산물이나 또는 왕의 지배 면적의 대소 등에 따라서 문화의 발달에도 지속(遲速)의 차가 생겨 조형 활동에도 다양성을 띠게 된다. 가령 이집트왕은 태양의 아들(파라오)이라 불렸듯이, 산·강·새 따위 자연물이나 자연현상이 신격화되어, 왕이나 귀족의 궁전이나 분묘(墳墓)가 중심이 된 여러 가지 조형활동이 이룩된다. 이집트에서는 영원한 생명을 믿어서 왕이 죽으면 시체를 미라로 만들어 아름답게 장식된 관(棺)에 넣고, 분묘 벽에는 왕 생전의 공적을 표시하는 그림이 그려졌고, 왕의 상(像)을 문앞에 세웠으며, 실내에는 왕의 일용품이 놓였고 종자(從者)의 상 등이 만들어졌다. 자연신의 신앙은 마침내 신화(神話)를 낳았고 전설이나 신화가 사람들의 생활감정까지도 지배하게 되었다. 그리스에서는 우수한 대리석의 산출과 그 민족이 지닌 고유한 성이라 할 자유와 미를 사랑하는 심정에서, 신(神)을 인간이 가장 이상(理想)으로 하는 아름다운 형상으로 표현함으로써 진(眞)과 미가 일치되어 여러 가지 학문이 발전하였으며, 먼 후세까지의 규범이 될 만한 아름다운 조각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자연신을 대신하여 그리스도교나 불교 등의 종교가 생기자, 이윽고 그들 종교를 중심으로 한 조형미술이 발달한다. 우상 숭배를 부정하는 회교에서는 여기저기에 특징 있는 교회를 세워, 그것을 이른바 아라비아 무늬로 장식하였으나 그림이나 조각은 그곳에 놓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리스도교에서는 교회의 건조와 함께 그리스도나 성모, 또는 사도들에 관한 많은 조각(그림)이 만들어졌다. 또한 비잔틴 사원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창문에는 스테인드글라스가 붙여졌다. 종교개혁과 함께 일어난 르네상스는 유럽 미술의 가장 화려한 황금시대의 한 시기를 만들어 내었다. 인도에서 일어난 불교는 각지에 불교미술을 남기면서 인도에서 중국으로,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래되었다. 종교에 의하여 발달한 조형미술은 각지의 왕조나 권역자의 위엄을 나타내는 듯한 미술로 발전하거나, 또는 네덜란드 등과 같이 서민생활이나 생활주변의 자연으로 눈을 돌리게 하여 점차 근대화(近代化)가 이루어졌다. 유럽에서는 왕·왕자·왕비·공주 등의 초상(肖像)이 걸리거나 하였고, 또한 18세기가 되면 바티칸 궁전에는 장식 과잉이라고도 생각될 그러한 가구 등이 놓였다. 19세기로 접어들어 과학이 장족의 진보를 보이게 되자 조형미술도 급속하게 근대화로의 징조를 보인다. 빛의 과학적인 리얼리즘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인상파(印象派)에서 후기인상파로, 더욱이 파리파(派)에 이르러 더욱 더 표현은 개성적인 성격이 짙어지고, 또한 표현을 위한 데포르메(變形)가 행해진다. 그리고 종래의 종교나 문학적인 정조(情操)에 예속된 느낌이 있었던 조형활동은 그 조형성이 존중되어 추상화가 촉진되었다. 이와 같이 시대와 더불어 조형미술도 변천해 왔으나 역사는 반복된다 는 속담처럼, 그 진전 도상에서 이따금 과거로의 복귀(復歸)현상도 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과거의 것 그대로는 아니고, 새로운 시대정신에 의하여 순화(醇化)된 새로운 것의 탄생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미술은 전통의 계승과 함께 항상 새로운 것으로의 창조를 계속한다. 시대의 진전에 따라 표현의 양상이 다르듯이, 기후나 산물이나 민족이나 종교나 또는 생활양식 등이 다른 풍토의 차이에 의해서도 표현의 재료나 방법이 달라지게 된다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그 한 예로서 유럽과 한국을 비교하여 보자. 우선 유럽은 대륙의 일부로서 공기는 건조하고 투명하며, 그리스나 이탈리아 등에서는 양질의 대리석 따위가 산출되고 그리스도교를 신봉하였다. 이들의 영향을 받았음인지 서양인의 사물에 대한 사고방식은 합리적이어서, 사물을 대함에 계획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짙다. 이에 비하여 한국은 대륙에 이어진 반도 국가로서 기후가 온화하고 자연환경이 아름답다. 이러한 자연환경 때문인지 한국 사람은 평화를 사랑하고 자연을 존중하게 되었다. 고려자기나 조선백자는 한국의 풍토와 한국의 기호(嗜好)를 가장 잘 나타낸 것이라 하겠다. 회화표현으로서는 유화(油畵)와 수묵화(水墨畵)의 차이를 들 수 있겠다. 유화의 도구는 즉흥적으로 그리기보다는 견고하게 캔버스 위에 그림물감을 덧칠해 나가는 데 적합한 재료이고, 또한 사실적인 표현에 적합한 재료이다. 즉 눈에 보이는 대로의 형상과 빛깔을 표현할 수도 있고, 또한 대상의 재질감(材質感)을 그림물감의 채색 방법의 차이에 따라 여러 가지로 표현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계획적으로 작업을 진행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반하여 수묵화는 심상적(心想的)인 풍경이나 인물을 오히려 즉흥적으로 표현하려고 한다. 그래서 우선 빛깔이 부정된다. 부정된다고는 하지만 먹의 농담(濃淡)에 의하여 빛깔의 느낌을 낼 수는 있는데, 묵색(墨色)이 중시되는 것은 현실의 빛깔과는 차원이 다른 빛깔이라고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명암(明暗)·음영(陰影)에 의한 양감(量感)의 표현을 부정한다. 묘선(描線)이나 먹에 의하여 두께나 무게의 느낌을 내려고 한다. 표현은 풍토의 차이에 따라 달라지는데 또한 생각지도 않았던 상사(相似)를 다른 풍토의 조형 속에서 발견할 수도 있다. 이것은 민족의 이동이나 민족간의 문화교류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한국의 고대 역사에 있어서 문화상의 커다란 변혁의 하나는 중국 남북조로부터의 불교 전래였다. 그리고 그것은 단순한 교의(敎義)만으로서의 전래가 아니라 철학에서, 문학에서, 그리고 건축을 비롯한 모든 조형문화의 전래이기도 하였다. 당시의 국제 국가였던 당(唐)나라는 조형미술에서 직접적이지는 않더라도 인도와의 문화교류가 이루어졌고, 또한 인도의 간다라 불상은 그리스·로마 조각의 영향을 받아서 극히 그리스식(式)이었다. 실크로드는 동서문화를 연결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고, 중앙 아시아의 여러 가지 집기(什器)들이 고대한국에도 전래되어, 이것들이 당시 한국의 조형활동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는지 짐작할 만하다. 또한 20세기 초의 유럽 화가들은 동양회화에 흥미를 느꼈고 고갱은 색면(色面)으로써 대상을 파악하여 동양화가 특징으로 하는 그림물감의 평면도(平面塗)를 시도했다. 또한 선묘(線描)의 아름다움은 마티스 등의 그림에서도 살려져 있으며 1950년대에 세계를 휩쓴 앵포르멜의 회화기법도 동양화의 몰골법(沒骨法)과 깊은 유대를 가졌다. 교통기관이나 보도기관의 발달에 따라 문화교류는 더욱 왕성하게 되어 조형표현도 구역의 차이를 줄였다고는 하나 결국 그들이 지역의 전통 속에 흡수 융화되어 항상 새로운 문화가 계속하여 생겨나게 된다. 아이들이 친구들의 얼굴을 그리면 그 작품은 친구의 얼굴을 닮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이상하게도 본인의 얼굴과도 닮은 데가 있다. 이와 같이 아이들 작품에는 남녀의 성별, 체격이 큰가 작은가, 강한가 약한가 등의 차이나, 마음이 대담한가 약한가, 또는 침착한가 거친가 하는 따위의 기질의 차이에서 지능의 정도 등이 화면에 그려지는 물체의 크기, 선(線)의 굵기, 또는 강약, 형상을 잡는 방법, 사용하는 빛깔, 또는 붓의 사용 방법 등에 잘 나타나 있다. 어른, 더군다나 그것이 전문가가 되면 여러 가지 경험이나 수업방법, 특히 본인의 의지 등에 따라서 갖가지 보상작용(補償作用)이 생겨, 어린이의 경우만큼 단적으로 드러나는 일은 없으나 성격이나 경험의 차이가 작품상에 나타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표현은 개성적으로 되고 또한 창조적으로 될 수 있다고 하겠다. 각인각색(各人各色)이란 말이 있는데 참으로 예술적 작품은 각인각색이다. 이 원인은 모든 사람이 다 그 성장과정이 다르고, 가지고 태어난 기질이 다르며, 지도자가 다르고, 이때까지의 경험이 다르며……요컨대 사람 그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것은 같은 시대의 같은 지방에서 살던, 그리고 가능하다면 같은 종류의 작품을 비교하여 보면 잘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르네상스 최성기(最盛期)의 3인의 대표적인 예술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를 고찰하여 보자. 다 빈치는 구식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수학이나 기타 학문을 즐기는 한편, 음악에 뛰어나고 그림그리기를 좋아하여 그의 신통한 재간을 발휘하였는데, 15세기풍의 사실주의를 발전시켜 명암(明暗)에 의한 입체감(立體感)과 공간의 표현에 성공하였고, 나아가서 그의 회화론에서 훌륭한 화가는 두개의 주요 사물을 그리지 않으면 안 된다. 즉 사람과 그리고 그 혼(魂)의 의향(意向)이다 라고 말하였듯이 대상의 정신내용의 표출에까지 발전하였다. 그러나 자연의 이법(理法)을 추구하여 그 속에 숨겨진 참에 대한 추구가 에도, 에도 드러나 있다. 미켈란젤로도 조각가·화가·건축가·해부학자이자 동시에 시인이기도 하였으며, 이 점에서 다 빈치와 마찬가지로 르네상스가 요구하는 초인(超人) 이었으나, 다 빈치가 속에 있는 진실을 탐구하려 한 데 반해서, 미켈란젤로는 건강하고 바위와 같이 굳게, 하늘과 같이 넓게, 분방(奔放)하면서도 사려깊이 르네상스를 연소시켜 불꽃을 드높였다. 그러한 정열이 29세로 를 만든 뛰어난 조형 능력과 서로 어울려 시스티나 성당에 현기증이 날 정도로 높은 비계를 걸어 놓고, 그곳에서 짐승처럼 돌아다니면서, 6년이 걸려서 저 대천장화(大天障畵)를 그리게 했다. 라파엘로는 다 빈치와 같은 발명적인 창조정신도, 그리고 미켈란젤로와 같은 초인적인 조형적 에너지도 갖지 않았으나, 그는 각 유파의 특질을 교묘하게 흡수하여, 멋진 조화 속에서 그것들을 통일하고 빼어난 기술과 어울려 부드럽고 아름다운 많은 성모상을 남기고 요절하였다. left 표현이 작자의 경험이나 성격에 따라 개인차가 있다고 하는 것은, 동시에 개인에게 있어서도 연령에 따라 그 표현이 달라진다고 하겠다. 표현과 개인의 연령과의 관계는 지극히 개인차가 많아서 한마디로 말할 수는 없으나 대체적인 경향으로서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노년기는 이른바 원숙한 시기로서 거기에서는 아무 것에도 구애받지 않고 자기 자신의 취향을 제마음대로 발휘하는 시대이다. 개중에는 고령이 된 다음 더욱더 진가(眞價)를 발휘하는 사람도 있고, 또는 매너리즘에 빠져 버리는 사람도 있다. 렘브란트는 청년기에서 만년기에 걸쳐 약 백 점에 가까운 자화상을 그리고 있는데, 청년기·장년기의 표현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 있는지 알아보자. 렘브란트 자화상 1669년작, 사망한 해이지만 다른 자화상에 나타난 그의 모습보다 젊어보인다. 렘브란트의 27세∼28세의 작품에서는 초상화가로서 호평을 받아 우쭐거리는 자세가 몸가짐에서 드러난다. 그러나 아직도 렘브란트의 특질을 충분하게는 발휘하고 있지 않다. 그의 57세∼58세 작품에서는 인생에 대한 체관(諦觀)이 지극히 사람이 좋은, 그리고 보는 견지에 따라서는 대범한 웃음이 되어 나타나고 있다. 그림물감이 두껍게 칠하여졌고 빛(光)과 빛깔이 완전히 융화되어 작품은 더욱더 심각성과 처절함을 덧붙이고 있다. 모든 것이 성장하여 나아갈 때 거기에는 몇 개의 단계가 있다시피 당연히 그림을 그리는 힘의 발달에도 대체적인 순서와 단계가 있다. 그것이 그림의 발달단계이다. 이 발달단계 연구자에 따라서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로웬페르드(미국)의 연구를 기저(基底)로 한 다음의 6단계설이 많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연대(年代)의 진전에 따라 발달의 진보도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성의 있는 가정교육, 미술연구소나 아름다운 복제화(複製畵)의 보급,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하는 매스컴의 영향 등이 그 원인이라 생각된다. #척서기(擲書期):0세∼2세 반(무의미한 선을 그린다) #상징기(象徵期):2세 반∼3세(그리고 난 다음 뜻을 붙인다) #전도식기(前圖式期):3세∼5세(비슷하게 그린다) #도식기(圖式期):5세∼9세(소위 그림답게 그려진다) #사실전기(寫實前期):9세∼14세(형상이나 빛깔이 실물에 가깝게 그려진다) #사실기(査實期):14세∼20세(이른바 사실적으로 표현한다) 이상과 같이 나눌 수가 있다. 당연한 것이긴 하지만 어떤 단계에 넣어야 좋을지 확실치 않은 것도 있으며, 또한 성격이나 능력의 차이, 환경의 차이 등에 따라서 발달이 반드시 일정하지는 않다. 개중에는 표현이 후퇴하는 그런 어린이조차 나오게 된다. 이러한 특례가 있으나 대체적인 발달의 자태는 역시 비슷한 단계를 밟아간다. 이처럼 어린이의 그림은 심신의 성장과 함께 자라가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어린이의 작품에는, 어른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그러한 예술성은 없다고 생각하여야 된다. 이 척서기는 유아가 신경이나 근육 에너지의 과잉(過剩)을 자발적으로 소비하려고 하는, 무의식 속에서 나온 팔의 반복 운동 결과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림으로서는 아무 뜻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그림에 이르기까지의 중요한 과정이다. 이 척서기에도 대체적인 발달 순서가 있다. 우선 처음으로 크레용을 잡은 유아는 점을 찍는다. 종이를 두들기듯이 점을 찍는다. 다음에 볼 수 있는 현상은 손목을 좌우로 흔들어서 그리는 횡선착화(橫線錯畵)이다. 이윽고 종선착화(縱線錯畵)에로 발달하여 간다. 이것은 손의 컨트롤이 팔꿈치까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되었다는 것을 뜻하고 있다. 팔의 활동이 숙달됨에 따라 선도 뚜렷해지고 마침내 원형착화(圓形錯畵)로 발전하여 가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그것이 파상(波狀)과 원형의 혼합으로 되어 더욱 더 복잡하게 되어 간다. 2세 전후가 되면 그린 형상에 명명(命名)하는 어린이가 생겨난다. 그것이 상징기이다. 어른이 보기엔 단순히 선을 긁적거린 것으로밖에는 생각되지 않는 것을 어린이는 따위로 이름을 붙이고 우쭐거리며 자랑스럽게 떠들고 있다. 이는 유아가 운동만으로 느끼고 있던 흥미에 시각적(視覺的)인 것이 곁들여져, 그린 것을 의미화(意味化)하는 단계이다. 단순한 운동적인 것에서 상상적인 것으로 발전했다는 증거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기는 척서기에 상상성(想像性)의 발달이 합쳐진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그렇지만 어른이 성급하게 이 시기 어린이의 표현에서 시각적인 의미를 강제로 끌어 내려고 하거나 형상을 그리도록 강요하거나 하는 것은 잘못이다. 어른은 곁에서 어린이가 그리면서 지껄이는 그 말을 들어주고 그 표현을 격려하여 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을 한마디로 말하자면 이 시기의 그림은 성장의 기록이기 때문이다. 이 시기의 표현은 설명 없이 대충 그것이로구나 하고 인정할 수 있는 그러한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된다. 요컨대 어린이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초목·기물 등을 조금씩 지식으로서 파악하여 그것 비슷하게 그려서 표시하게 된다. 표현은 물론 불확실하기는 하지만 그 대상의 특징을 그려 표시하는 데서 진보가 보인다. 산·태양, 그리고 사람도 일정한 도식(圖式)으로 표시하고, 또는 부분을 그렸을 뿐인데 그 대상 전부를 표시하였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로 말미암아 상징기와 동일하게 생각되는 경향이 있으나, 상징기는 그려진 것이 무엇인지 거의 이해할 수 없는 데 반해서, 전도식기의 표현은 하여튼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그리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간의 경우에 얼굴은 동그라미, 눈은 점, 발은 한 쌍의 선으로 표시한다. 제재(題材)는 인물이 압도적으로 자기 자신과 어머니·아버지·동생 등의 순으로 많이 그려진다. 요컨대 일상 생활에서 자기자신과 관련성이 깊은 것일수록 자주 취급된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시기의 표현은 그림답게 되어 마침내 안정감을 갖추게 된다. 물론 실재(實在) 사물의 관계나 양(量)·형(形)을 베끼는 것은 아니고 기억에 의하여 도식으로 외워 그린다. 한편 형식에 대한 모방이 많아서 다른 데서 영향을 받기도 쉽다. 또한 이 시기의 표현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뢴트겐 표현 ― 보이지 않았어야 될 부분이 명확히 표현된다. 선생님을 그릴 때 포켓의 지갑이나 지갑 속의 동전까지 그린다. *전개표현(展開表現) ― 시점(視點)을 이동시켜 표현한다. 군무(群舞)의 경우, 두세 사람은 서 있으나 다른 사람은 위를 보고 자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게 된다. *기저선(基底線)의 표현 ― 하늘·땅의 경계선을 강하게 표시한다. 하늘과 땅의 차이를 알게 되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병렬표현(竝列表現) ― 집·사람·나무·꽃 등을 일부분의 중복도 없이 나란히 그린다. 나열의 표현이다. *마음의 표현 ― 예를 들면 복수하는 뜻을 표시하는 경우, 짓궂은 동무를 그림으로 그리고, 그 위를 힘껏 개칠하여 문대 버리는 따위이다. 그 밖에 반항의 마음, 원망의 마음, 질투심 등을 솔직하게 표시한다. 이같이 이 시기는 조형표현이 크게 성장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자유롭고 활발하게 그리면서 표시하여 온 과거의 연대와 비교하면 이 시기는 그리는 방법이 세밀하게 되어 한층 더 한 장의 그림 제작에 시간이 걸린다. 이것은 이 연대가 동료의식이 싹트는 시기로서 비판적·객관적으로 사물을 보게 되기 때문에 공간관계라든가 사물의 형상·빛깔 등을 점점 실물에 가깝게 그리려고 하는 데에 기인한다. 따라서 이것이 원인이 되어 그림이 잘 그려지지 않는 데 실망을 느껴서 그림 그리는 것에 흥미를 잃어버리는 아이가 적지 않다. 반면으로, 어른들의 흉내가 아니라 어린이다운 연구에서 묘미 있는 아동화를 볼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사실기에 이르기까지에는 대상을 보면서도 자기가 알고 있는 사실을 마음내키는 대로 그리고 있었으나, 14세쯤 되면 대상을 관찰하고 그것과 비슷하게 그리려고 하는 욕구가 강해진다. 그것은 이성(理性)의 발달에 의하여 객관적으로 사물을 꿰뚫어 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형(形)이나 색채는 대상에 충실하게 표현된다. 그런데 지나치면 개념적·형식적인 그림을 그려 버리고, 더욱이 창조적인 표현이 차단되어 그림을 그리는 데 흥미를 잃는 자가 더욱 많아진다. 이것은 정신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인간으로서 급격한 발전을 이룩하는 데 반해서 그림을 그리는 힘이 그에 뒤따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생각하였던 대로 느꼈던 대로의 표현이 되지 않는다. 그러니만큼 이 시기를 어떻게 타개할 것이냐가 문제이다. 연령상으로나 작품상으로 확실하게 구분할 수는 없다. 대개 연령적으로는 생후 1년 내지 1년 반에서 12세에 이르기까지의 어린이가 그린 그림을 아동화라 부르고 있다. 또한 15세까지의 중학생의 그림도 포함시켜 아동화라고 할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나 생각하는 방식으로서는 6세까지의 그림을 유아화, 12세까지의 그림을 아동화로 구분하는 것이 좋겠다. 그러나 작품으로 그것을 구분하기는 거의 곤란하다. 그런데 유아의 그림은 성장의 기록이라 생각하는 게 좋다. 이 사실은 전술한 바 발전단계, 더욱이 착화기가 그를 가장 현저하게 드러내고 있다. 아동화도 본질적으로 이와 다를 바 없다. 역시 생활의 기록이며 자기 주장 바로 그것이다. 따라서 유아화나 아동화를 화가가 그린 예술작품과 같은 견지에서 본다는 것은 잘못이다. 어린이가 그림을 그리는 일과 어른이 그림을 그리는 그것과는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대학생·고교생은 물론 중학교 2∼3년생의 그림도 광의(廣義)로는 청년의 미술이다. 따라서 이 시기의 회화에는 예술적인 가치가 없어서는 안 된다. 예술은 미의 독창(獨創)이다. 그러므로 예술작품은 남이 이미 한 것, 써서 헌 것이 되어 버린 것의 재현(再現)을 기피한다. 백합꽃을 그린 그림이 있다고 하자. 그것이 예술작품이기 위해서는 일상 우리들이 보고 있는 백합에서는 느낄 수 없는 신선한 미가 있어야 된다. 과연 백합에는 이러한 아름다움도 있었구나 하는, 우리들이 일상생활에서 빠뜨리고 보지 못하였던 미를 알아차리는 것과 같은, 그러한 것의 발견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색채에서, 구성에서, 기법에 있어서, 그들 전체에 관계되어 있는 심정(心情)에 있어서 싱싱하고 신선한 것 이 요구된다. 싱싱하고 신선한 것 은 그 작품의 표현이 지금까지 본 일이 없으며, 또한 보는 사람에게 쾌감을 줄 수 있는 그러한 것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까지 본 일이 없다고는 하나 변태를 위한 것이어서는 안 된다. 새롭다 고 하는 것과 변태 라고 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미술작품은 시대에 따라 또는 사람에 따라서 가지가지 다른 양식(style)을 가지고 있다. 같은 종류의 표현양식이 모이면 유파(流派)가 생기고, 그것이 형식적으로 계승되면 양식이 생긴다. 미술표현의 양식 중 중요한 것을 살펴보자. 원시적(原始的, Primitive) 양식은 구석기시대나 중석기시대의 인류와, 문화의 세계를 접하지 않은 민족의 조형미술의 양식으로서, 유아의 조형표현에도 공통되는 점이 많다.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부분이 과장(誇張)되어 표현이 지극히 직절적(直截的)이다. 소박하고 치졸(稚拙)하기는 하나 힘과 매력이 넘친다. 아르카이크(Archaique) 양식은 미술 발전의 초기 단계에 나타난 양식으로서 표현은 생경(生梗)하지만 신비성(神秘性)이 풍부하다. 그리스 조각에서는 기원전 7세기에서 기원전 5세기 말까지를 아르카이크시대라 부르는데 고졸적(古拙的)인 표현양식을 갖고 직선적·정지적(靜止的)인 정면성(正面性)을 갖는다. 입에는 이른바 아르카이크 스마일(古拙的微笑)을 지니고 있다. 고전적(古典的, Classic) 양식은 주제나 표현의 양식·수법이 그리스·로마 예술을 모범으로 하는 경향의 예술을 말한다. 잘 정돈된 엄격한 형식으로서 냉정성과 명쾌성을 가지고 있다. 17세기의 푸생은 바로크 예술의 반동으로서 목가적(牧歌的)·고전적인 작품을 그렸다. 19세기에는 18세기의 장식성이 많은 루이 왕조의 예술의 반동으로서, 다비드와 그 제자 앵그르가 고전주의의 작품을 그렸다. 또한 피카소에서도 그리스 조각에서 배운 신고전주의 시대가 있었다. 아카데미(Academic) 양식은 플라톤이 아카데모스 신원(神苑)에서 플라톤 학파를 세웠고, 아카데미라는 말은 상원·학회·학교 등에 쓰이게 되었다. 관학풍(官學風) 등으로 번역되어, 미술적으로는 전통적이고 형식을 존중하며, 기초 기술을 중하게 여기는 태도를 말한다. 독창성이 결여되어 무기력한 매너리즘(mannerism)에 빠져서 일정한 기술을 타성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비판적으로 사용할 경우도 있다. 전통적(傳統的, Orthodox) 양식은 정통(正統)이나 본도(本道)의 뜻을 갖는 말로서 전통적·정통파적인 기법을 가리켜 사용되는 말이다. 사실적(寫實的, Realism) 양식은 공상을 배격하고 가능한 한 현실에 즉응(卽應)하여 실재의 진실을 추구하려 하는 태도를 말한다. 사실적인 경향은 이집트 미술에서도, 그리스 미술에도 볼 수 있었는데 르네상스 미술은 사실(寫實)의 하나의 정점(頂點)에 달하였다고 말할 수 있겠다. 사실적인 경향은 17세기에도 계승되어, 근대 쿠르베가 사실주의를 표방하였다. 구소련에서는 레빈 등이 사회적인 사상(事象)을 사실적으로 그려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선구가 되었고, 멕시코 회화에서도 특이한 사실주의가 눈에 띈다. 중국의 화조화(花鳥畵) 등에서 볼 수 있는 사실주의는 유럽과 다소 달라서 장식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다. 낭만주의(浪漫主義, Romanticism)는 사실주의와 함께 서양미술의 커다란 저류의 하나로 볼 수 있다. 그 표현은 동적(動的)이어서 감정의 격렬한 여파(餘波)가 느껴진다. 소용돌이치는 듯한 구도, 대비(對比)를 살린 배색(配色) 등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동적인 구도는 미켈란젤로의 이나 그것을 이어받은 틴토레토의 작품에도, 그리고 17세기에는 루벤스 등의 작품에도 보이는데, 18세기 말에서 19세기에 걸쳐 제리코나 들라크루아 등이 고전파에 대항하여 낭만파를 세웠다. 낭만파는 현실 회피의 경향에서 그 주제도 주로 이야기, 사회적인 사변이나 전쟁 따위의 극적인 장면에서 구했다. 환상적(幻想的, Fantastic) 양식에서 상상력이나 환상력은 창조표현의 크나큰 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블레이크, 고야, 모로, 앙리 루소, 샤갈, 폴 클레 등의 작품에는 환상적인 장면이 그려졌고 또한 키리코 등의 초현실파 작품에는 심상적(心象的)인 환영(幻影)이 표현되어 신비성이 느껴진다. 상징적(象徵的, Symbolic) 양식은 형상이나 빛깔이 갖는 의미를 단적으로 표시하려고 하는 것으로서, 가문(家紋)이나 마크 따위의 기호는 집이나 단체나 물품이나 그 밖의 의지(意志)를 상징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르동은 꽃이나 나비 등과 같이 어느 순간에 없어지는 것 속에서 영원한 아름다움과 생명을 호소하려고 즐겨 꽃이나 나비를 그렸다. 장식적(裝飾的, Decorative) 양식은 사물을 꾸미는 태도이다. 즐문토기(櫛紋土器) 등에도 그로테스크라고까지도 생각되리만큼 곡선의 무늬가 붙여져 있다. 사물을 아름답게 장식하려는 장식본능은 조형 본능의 커다란 기반을 이루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장식성은 조형활동의 모든 영역에서 발휘되고는 있으나 모자이크·스테인드글라스·벽화 등은 건축에 적응하는 것이다. 장식성이 그 자체, 혹은 그 영역의 기능보다 선행하면 장식 과잉이 된다. 자연주의(自然主義, Naturalism)에 따르면 인간도 자연물의 하나이므로 자연 속에 둘러싸여서 생활하여 나가는 이상, 항상 자연에 순응하려고 하여 자연으로 돌아가라 란 말이 반복되게 된다. 기물이나 건축장식 등에 동식물의 무늬를 붙이거나 또는 기물 따위의 형태 그것 자체를 동물 모양으로 모방하여 만드는 경우가 있는 것도 이러한 마음의 한 표현이다. 자연 현상으로서의 풍경이 독립하여 회화의 주제로서 취급된 것은 17세기 네덜란드로, 터너는 자연현상으로서의 대기(大氣)를 표현의 주제로서 취급하였고, 19세기 후반의 피사로, 모네, 시슬레 등에 의하여 일어난 인상파(impressionism)는 빛의 움직임에 따라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자연의 표정을 포착하려고 하였다. 사실파 사람들이 자연이나 인생의 현실적인 진실을 파헤쳐 뽑아내려고 한 데 반하여, 인상파는 솔직하게 자연현상의 아름다움에 순응하려는 태도가 보인다. 세잔 등의 후기인상파는 인상파를 수정하여 사실파와는 다른 각도에서 사물의 본질에 접근했다. 표현주의(表現主義, Expressionism)는 20세기 전반에 독일을 중심으로 하여 전개된 예술운동으로 고흐나 뭉크 등의 강렬한 개성표현에서 영향을 받아 자연묘사에 대응하여서 감정표현을 주안(主眼)으로 하고, 주관의 표현을 강조하였다. 개성표현의 강조는 현대미술의 커다란 기반이라고 말할 수 있다. 20세기 초기에 프랑스에서 생긴 야수파(fauvisme)도 주관주의 미술이며, 마티스, 루오, 뒤피 등은 야수파를 대표하는 화가들이다. 거친 터치의 대담한 표현으로서 단순화(單純化)나 데포르메(變形)를 볼 수 있다. 동양에서도 주관적인 경향이 짙은 작품이 지극히 많다. 추상주의(抽象主義, Abstractism)에는 입체파가 대표적이다. 20세기 초 세잔의 영향으로 피카소나 브라크는 자연의 형체를 해체하여, 그것을 화면 위에 새로운 질서에 의해서 재구성(再構成)하려는 이른바 입체파(cubisme)를 일으켰다. 이탈리아에서는 자연의 형체를 해체하는 데에 시간의 요소를 받아들여 미래파 를 일으켰다. 칸딘스키는 자연의 대상과는 관계 없이 형상이나 빛깔이 갖는 성질을 살려서 이것들을 화면에 조립시켜, 음색(音色)이 다른 악기를 모아 교향곡을 만들듯이 새로운 질서와 통일을 도모하려 하였다. 다시 말하면 이지적·합리적인 화면 구성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그것들에 대해서 가장 자유롭게, 부정형(不定形)을 가지고 자기 감정을 분방하게 표현하거나, 또는 완성된 결과 등을 문제 삼지 않고 그림물감을 마구 던져 칠하거나, 뿜어 칠하거나 하는 행동을 취할 때의 정신적인 긴장을 소중히 여기는 액션 페인팅(action painting) 따위도 생겼다. 기능주의(機能主義, Functionalism)는 인간생활과 조형표현과의 사이의 모든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수한 질서를 확립코자 하는 것인데, 기능적인 조형표현의 가장 기반이 된다고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합리적인 추상주의와 연결된다. 설리번의 형식은 기능에 따른다 고 하는 말은 기능주의의 의도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다. 동양 미술 서양 미술 한국 미술 현대 미술
HTTP ( H yper T ext T ransfer P rotocol는 WWW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주로 HTML 문서를 주고받는 데에 쓰인다. TCP와 UDP를 사용하며, 80번 포트를 사용한다. 1996년 버전 1.0, 그리고 1999년 1.1이 각각 발표되었다.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응답(request/response) 프로토콜이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가 HTTP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웹페이지나 그림 정보를 요청하면, 서버는 이 요청에 응답하여 필요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 정보가 모니터와 같은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나타나는 것이다. HTTP를 통해 전달되는 자료는 http:로 시작하는 URL(인터넷 주소)로 조회할 수 있다. Berners-Lee CP 2.jpg|섬네일|팀 버너스 리. 하이퍼텍스트라는 용어는 1965년 제너두 프로젝트에서 테드 넬슨이 만들었으며, 제너두 프로젝트는 《As We May Think》(1945년)라는 수필에서 마이크로필름 기반 정보 수신 및 관리 "메멕스" 시스템을 기술한 버니바 부시의 비전(1930년대)에 의해 영감을 받았다. 팀 버너스 리와 그의 팀은 CERN에서 HTML뿐 아니라 웹 브라우저 및 텍스트 기반 웹 브라우저 관련 기술과 더불어 오리지널 HTTP을 발명하였다. 버너스 리는 최초로 "월드와이드웹" 프로젝트를 1989년에 제안하였으며, 이것이 현재의 월드 와이드 웹이다. 이 프로토콜의 최초 버전은 서버로부터 페이지를 요청하는 GET이라는 이름의 하나의 메소드만 있었다. 서버로부터의 응답은 무조건 HTML 문서였다. 문서화된 최초의 HTTP 버전은 HTTP V0.9 (1991년)이다. 데이브 레겟은 1995년 HTTP 워킹 그룹(HTTP WG)을 이끌었으며 확장된 조작, 확장된 협상, 더 보강된 메타 정보, 또 추가 메소드와 헤더 필드를 통한 더 효율적인 보안 프로토콜을 갖춘 프로토콜을 확장하기를 바랐다. RFC 1945는 공식적으로 1996년 HTTP v1.0을 도입하였다. HTTP WG는 1995년 12월 새로운 표준을 출간하기로 계획하였으며 당시 개발 중인 RFC 2068(이른바 HTTP-NG)에 기반한 이전 표준 HTTP/1.1에 대한 지원이 1996년 초에 주요 브라우저 개발자들에 의해 빠르게 채택되었다. 1996년 3월, 이전 표준 HTTP/1.1을 지원한 웹 브라우저로 아레나, 넷스케이프 2.0,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골드 2.01, 모자이크 2.7, 링크스 2.5, 인터넷 익스플로러 2.0이 있다. 새로운 브라우저의 최종 사용자 채택 속도를 빨랐다. 1996년 3월, 한 웹 호스팅 회사의 보고에 따르면 인터넷 상에서 사용 중인 브라우저 중 40% 이상이 HTTP 1.1과 호환되었다. 같은 웹 호스팅 회사는 1996년 6월 기준으로 서버에 접근하는 모든 브라우저들 가운데 65%가 HTTP/1.1 호환이라고 보고하였다. RFC 2068에 정의된 HTTP/1.1 표준은 공식적으로 1997년 1월에 출시되었다. HTTP/1.1 표준에 대한 개선과 업데이트는 1999년 6월 RFC 2616으로 출시되었다. 2007년에 부분적으로 HTTP/1.1 사양을 개정하고 분명히 하기 위해 HTTPbis 워킹 그룹 이 창설되었다. 2014년 6월, WG는 RFC 2616를 obsolete 처리하는, 업데이트된 6 파트 사양을 출시하였다 RFC 7230, HTTP/1.1 Message Syntax and Routing RFC 7231, HTTP/1.1 Semantics and Content RFC 7232, HTTP/1.1 Conditional Requests RFC 7233, HTTP/1.1 Range Requests RFC 7234, HTTP/1.1 Caching RFC 7235, HTTP/1.1 Authentication HTTP/2는 2015년 5월 RFC 7540로 출판되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소통은 평문(ASCII) 메시지로 이루어진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 요청메시지를 전달하며 서버는 응답메시지를 보낸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보내는 요청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요청 내용 :보기) GET /images/logo.gif HTTP/1.1 헤더 :보기) Accept-Language en 빈 줄 (empty line) 기타 메시지를 포함하여 표시된다. 요청 내용과 헤더 필드는 로 끝나야 한다. 즉, 캐리지 리턴(Carriage Return) 다음에 라인 피드(Line Feed)가 와야 한다. 빈 줄(empty line)은 로 구성되며 그 외 다른 화이트스페이스(whitespace)가 있어서는 안된다. HTTP 메소드 RFC 요청에 Body가 있음 응답에 Body가 있음 안전 멱등(Idempotent) 캐시 가능 GET RFC 7231 HEAD RFC 7231 POST RFC 7231 PUT RFC 7231 DELETE RFC 7231 CONNECT RFC 7231 OPTIONS RFC 7231 TRACE RFC 7231 PATCH RFC 5789 응답 메시지는 다음으로 구성된다. 상태표시 행(status line) 상태코드(status code)와 reason message를 포함한다. (예. HTTP/1.1 200 OK .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성공적으로 전달되었음을 표시) 응답 헤더필드 (예. Content-Type text/html ) 빈 줄 (empty line) 기타 메시지 아래는 포트 80의 www.example.com에서 실행 중인 HTTP 클라이언트와 HTTP 서버 간의 샘플 변환이다. 모든 데이터는 줄 끝마다 2바이트 CR LF ( \r\n )를 사용하여 플레인 텍스트(ASCII) 인코딩을 통해 송신된다. GET /restapi/v1.0 HTTP/1.1 Accept application/json Authorization Bearer UExBMDFUMDRQV1MwMnzpdvtYYNWMSJ7CL8h0zM6q6a9ntw HTTP/1.1 200 OK Date Mon, 23 May 2005 22:38:34 GMT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Content-Encoding UTF-8 Content-Length 138 Last-Modified Wed, 08 Jan 2003 23:11:55 GMT Server Apache/1.3.3.7 (Unix) (Red-Hat/Linux) ETag "3f80f-1b6-3e1cb03b" Accept-Ranges bytes Connection close An Example Page Hello World, this is a very simple HTML document.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여 어떠한 요청을 하면, 서버는 세 자리 수로 된 응답 코드와 함께 응답한다. HTTP의 응답 코드는 다음과 같다. 코드 메시지 설명 1XX Informational(정보) 정보 교환. 100 Continue 클라이언트로부터 일부 요청을 받았으니 나머지 요청 정보를 계속 보내주길 바람. (HTTP 1.1에서 처음 등장) 101 Switching Protocols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대로 Upgrade 헤더를 따라 다른 프로토콜로 바꿀 것임. (HTTP 1.1에서 처음 등장) 2XX Success(성공) 데이터 전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거나, 이해되었거나, 수락되었음. 200 OK 오류 없이 전송 성공. 202 Accepted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락함. 203 Non-authoritavive Information 서버가 클라이언트 요구중 일부만 전송. 204 Non Content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처리했으나 전송할 데이터가 없음. 205 Reset Content 새 문서 없음. 하지만 브라우저는 문서 창을 리셋해야 함. (브라우저가 CGI 폼 필드를 전부 지우도록 할 때 사용됨.) (HTTP 1.1에서 처음 등장) 206 Partial Content 클라이언트가 Range 헤더와 함께 요청의 일부분을 보냈고 서버는 이를 수행했음. (HTTP 1.1에서 처음 등장) 3XX Redirection(방향 바꿈) 자료의 위치가 바뀌었음. 300 Multiple Choices 최근에 옮겨진 데이터를 요청. 301 Moved Permanently 요구한 데이터를 변경된 URL에서 찾았음. 302 Moved Permanently 요구한 데이터가 변경된 URL에 있음을 명시. 301과 비슷하지만 새 URL은 임시 저장 장소로 해석됨. 303 See Other 요구한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았기 때문에 문제가 있음. 304 Not modified 클라이언트의 캐시에 이 문서가 저장되었고 선택적인 요청에 의해 수행됨 (보통 지정된 날짜보다 더 나중의 문서만을 보여주도록 하는 If-Modified-Since 헤더의 경우). 305 Use Proxy 요청된 문서는 Location 헤더에 나열된 프록시를 통해 추출되어야 함. (HTTP 1.1에서 처음 등장) 307 Temporary Redirect 자료가 임시적으로 옮겨짐. 4XX Client Error(클라이언트 오류) 클라이언트 측의 오류. 주소를 잘못 입력하였거나 요청이 잘못 되었음. 400 Bad Request 요청 실패. 문법상 오류가 있어서 서버가 요청사항을 이해하지 못함, 401.1 Unauthorized 권한 없음 (접속실패). 서버에 로그온 하려는 요청사항이 서버에 들어있는 권한과 비교했을 때 맞지 않음. 401.2 Unauthorized 권한 없음 (서버설정으로 인한 접속 실패). 서버에 로그온 하려는 요청사항이 서버에 들어있는 권한과 비교했을 때 맞지않음. 401.3 Unauthorized 권한 없음 (자원에 대한 ACL에 기인한 권한 없음). 클라이언트가 특정 자료에 접근할 수 없음. 401.4 Unauthorized 권한 없음 (필터에 의한 권한 부여 실패).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들을 확인하기 위해 설치한 필터 프로그램이 있음. 401.5 Unauthorized 권한 없음 (ISA PI/CGI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권한부여 실패). 이용하려는 서버의 주소에 ISA PI나 CGI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권한을 부여할 수 없음. 402 Payment Required 예약됨. 403.1 Forbidden 금지 (수행접근 금지). 수행시키지 못하도록 되어있는 디렉터리 내의 실행 파일을 수행하려고 하였음. 403.2 Forbidden 금지 (읽기 접근 금지). 접근한 디렉터리에 가용한 기본 페이지가 없음. 403.4 Forbidden 금지 (SSL 필요함). 접근하려는 페이지가 SSL로 보안유지 되고 있음. 403.5 Forbidden 금지 (SSL 128필요함). 페이지가 128비트의 SSL로 보안유지 되고 있음. 403.6 Forbidden 금지 (IP 주소 거부됨). 사용자가 허용되지 않은 IP로부터 접근함. 403.7 Forbidden 금지 (클라이언트 확인 필요). 클라이언트가 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지 확인 요함. 403.8 Forbidden 금지 (사이트 접근 거부됨). 서버가 요청사항을 수행하고 있지 않거나, 해당 사이트에 접근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음. 403.9 Forbidden 접근금지 (연결된 사용자수 과다). 서버가 BUSY 상태에 있어서 요청을 수행할 수 없음. 403.10 Forbidden 접근금지 (설정이 확실 하지 않음). 403.11 Forbidden 접근금지 (패스워드 변경됨). 잘못된 암호를 입력했음. 403.12 Forbidden 접근금지(Mapper 접근 금지됨). 클라이언트 인증용 맵이 해당 웹 사이트에 접근하는 것이 거부됨. 404 Not Found 문서를 찾을 수 없음. 서버가 요청한 파일이나 스크립트를 찾지 못함. 405 Method not allowed 메서드 허용 안됨. 요청 내용에 명시된 메서드를 수행하기 위해 해당 자원의 이용이 허용되지 않음. 406 Not Acceptable 받아들일 수 없음. 407 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프록시 서버의 인증이 필요함. 408 Request timeout 요청 시간이 지남. 409 Conflict 요청을 처리하는 데 문제가 있음. 보통 PUT 요청과 관계가 있다. 보통 다른 버전의 파일을 업로드할 경우 발생함. (HTTP 1.1에서 새로 등장) 410 Gone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음. 411 Length Required 클라이언트가 헤더에 Content-Length를 포함하지 않으면 서버가 처리할 수 없음.(HTTP 1.1에서 새로 등장) 412 Precondition Failed 선결조건 실패. 헤더에 하나 이상의 선결조건을 서버에서 충족시킬 수 없음. 413 Request entity too large 요청된 문서가 현재 서버가 다룰 수 있는 크기보다 큼. (HTTP 1.1에서 새로 등장) 414 Request-URI too long 요청한 URI가 너무 김. 415 Unsupported media type 요청이 알려지지 않은 형태임. (HTTP 1.1에서 새로 등장) 5XX Server Error(서버 오류) 서버 측의 오류로 올바른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 500 Internal Server Error 서버 내부 오류. 501 Not Implemented 필요한 기능이 서버에 설치되지 않았음. 502 Bad gateway 게이트웨이 상태 나쁨. 503 Service Unavailable 외부 서비스가 죽었거나 현재 멈춘 상태 또는 이용할 수 없는 서비스. 504 Gateway timeout 프록시나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하는 서버에서 볼 수 있음. 초기 서버가 원격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을 수 없음. (HTTP 1.1에서 새로 등장) 505 HTTP Version Not Supported 해당 HTTP 버전을 지원하지 않음. HTTPS HTML 월드 와이드 웹 IETF의 HTTP/1.0 기술 명세서 (1996년 5월) IETF의 HTTP/1.1 기술 명세서 (1999년 6월) Bulkcheck HTTP-Headers from different URLs simultaneously Watch HTTP Client/Server Request/Responses HTTP header bookmarklet Eclipse HTTP Client - HTTP4E a commercial Eclipse IDE plugin to execute/test/debug HTTP calls. 스토리나인 분류:W3C 표준 분류:인터넷 표준 분류:인터넷 프로토콜 분류:파일 전송 프로토콜
W3C 아이콘. W3C (, 축약형은 )는 월드 와이드 웹을 위한 표준을 개발하고 장려하는 조직으로 팀 버너스 리를 중심으로 1994년 10월에 설립되었다. W3C는 회원기구, 정직원, 공공기관이 협력하여 웹 표준을 개발하는 국제 컨소시엄이다. W3C의 설립취지는 웹의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프로토콜과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월드 와이드 웹의 모든 잠재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W3C는 설립목적인 웹 표준과 가이드라인 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결과로 지난 10년간 80여개의 W3C 권고안을 발표하였다. W3C는 또한 교육과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여해 왔고, 그리고 웹에 관하여 토론할 수 있는 열린 포럼을 개최해 왔다. 웹의 모든 잠재력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인 웹 기술은 상호 간의 호환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어떤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에서도 웹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W3C의 이러한 목표를 "웹 상호운용성 (Web Interoperability)" 이라고 한다. W3C는 웹 언어와 프로토콜에 대한 공개(반독점적인) 표준을 제정하여 시장 분열과 웹의 분열을 피하고자 한다.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와 운영진은 W3C를 웹 기술에 대한 컨센서스를 이끌어내는 산업 컨소시엄으로 발전시켜왔다. 유럽 핵물리 연구기관(European Organization for Nuclear Research, CERN)에서 근무하던 1989년에 월드 와이드 웹을 개발한 팀 버너스리는 W3C가 창립된 1994년부터 현재까지 W3C Director 직책을 맡고 있다. W3C는 2004년 12월에 창립 10주년을 기념하여 웹과 W3C의 과거와 미래에 관한 심포지엄을 보스턴에서 개최했다. 전 세계 곳곳에 위치한 다양한 분야의 기관들은 웹 표준화를 위해 벤더에 중립적인 기구인 W3C에 참여한다. 웹 표준 제정에 큰 공헌을 한 W3C의 기술전문직원과 회원은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 점점 다양해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그리고 사람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면서, 웹이 미래에도 지속적으로 성공하기 위해 W3C의 회원(테스티모니알 샘플), 직원, 초청전문가들은 함께 힘을 모아 기술을 설계해 나가고 있다. W3C의 국제적인 활동은 또한 세계적으로 40여개가 넘는 국가, 지역, 국제 기관과의 관계 (liaison)를 활성화 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W3C의 월드 와이드 웹 개발의 국제적인 참여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다음은 W3C가 제정한 WWW 관련 표준 목록이다. CSS CGI DOM HTML RDF SVG SOAP SMIL WSDL XHTML XML XML 정보 집합 XPath XQuery XSLT World Wide Web Consortium W3C 대한민국 사무국 분류:1994년 설립 분류:웹 개발 분류:웹 서비스 분류:표준화 기구 분류:국제 비정부 기구
1972 프린터 사용 설명서에 개시된 아스키 코드 차트표 미국정보교환표준부호 (), 또는 줄여서 ASCII (, 아스키 )는 영문 알파벳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문자 인코딩이다. 아스키는 컴퓨터와 통신 장비를 비롯한 문자를 사용하는 많은 장치에서 사용되며, 대부분의 문자 인코딩이 아스키에 기초를 두고 있다. 아스키는 7비트 인코딩으로, 33개의 출력 불가능한 제어 문자들과 공백을 비롯한 95개의 출력 가능한 문자들로 총128개로 이루어진다. 제어 문자들은 역사적인 이유로 남아 있으며 대부분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출력 가능한 문자들은 52개의 영문 알파벳 대소문자와, 10개의 숫자, 32개의 특수 문자, 그리고 하나의 공백 문자로 이루어진다. 아스키가 널리 사용되면서 다양한 아스키 기반의 확장 인코딩들이 등장했으며, 이들을 묶어서 아스키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7비트 인코딩을 유지한 ISO/IEC 646과, 원래 아스키 코드 앞에 비트 0을 넣어 8비트 인코딩을 만든 IBM 코드 페이지와 ISO 8859가 있다. 이 인코딩들은 언어군에 따라 같은 숫자에 서로 다른 문자가 배당된 경우가 많다. 아스키 코드는 지금의 미국 국가표준 협회(ANSI)의 전신인 미국 표준 협회(ASA)가 주도한 X3 위원회가 개발했다. 그 아래의 X3.2 소위원회는 1960년 10월 6일 아스키 표준화 작업을 시작하여, 1963년 표준화 초판을 발간했고, 1967년 개정했으며, 가장 최근의 업데이트는 1986년에 있었다. 제어할 때 쓰는 코드이다. 아직도 Serial 통신(RS-232, UART, USART...)이 적용된 곳에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진법 팔진법 십진법 십육진법 약자 설명 한국어 설명 000 0000 000 0 00 NUL Null Character 널 문자 000 0001 001 1 01 SOH Start of Header 헤더 시작 000 0010 002 2 02 STX Start of Text 본문 시작, 헤더 종료 000 0011 003 3 03 ETX End of Text 본문 종료 000 0100 004 4 04 EOT End of Transmission 전송 종료, 데이터 링크 초기화 000 0101 005 5 05 ENQ Enquiry 응답 요구 000 0110 006 6 06 ACK Acknowledgment 긍정응답 000 0111 007 7 07 BEL Bell 경고음 000 1000 010 8 08 BS Backspace 백스페이스 000 1001 011 9 09 HT Horizontal Tab 수평 탭 000 1010 012 10 0A LF Line feed 개행 000 1011 013 11 0B VT Vertical Tab 수직 탭 000 1100 014 12 0C FF Form feed 다음 페이지 000 1101 015 13 0D CR Carriage return 복귀 000 1110 016 14 0E SO Shift Out 확장문자 시작 000 1111 017 15 0F SI Shift In 확장문자 종료 001 0000 020 16 10 DLE Data Link Escape 전송 제어 확장 001 0001 021 17 11 DC1 Device Control 1 장치 제어 1 001 0010 022 18 12 DC2 Device Control 2 장치 제어 2 001 0011 023 19 13 DC3 Device Control 3 장치 제어 3 001 0100 024 20 14 DC4 Device Control 4 장치 제어 4 001 0101 025 21 15 NAK Negative Acknowledgement 부정응답 001 0110 026 22 16 SYN Synchronous idle 동기 001 0111 027 23 17 ETB End of Transmission Block 전송블록 종료 001 1000 030 24 18 CAN Cancel 무시 001 1001 031 25 19 EM End of Medium 매체 종료 001 1010 032 26 1A SUB Substitute 치환 001 1011 033 27 1B ESC Escape 제어기능 추가 001 1100 034 28 1C FS File Separator 파일경계 할당 001 1101 035 29 1D GS Group Separator 레코드 그룹경계 할당 001 1110 036 30 1E RS Record Separator 레코드 경계 할당 001 1111 037 31 1F US Unit Separator 장치 경계 할당 111 1111 177 127 7F DEL Delete 삭제 이진법 팔진법 십진법 십육진법 모양 85진법 (아스키 85) 010 0000 040 32 20 010 0001 041 33 21 ! 0 010 0010 042 34 22 " 1 010 0011 043 35 23 # 2 010 0100 044 36 24 $ 3 010 0101 045 37 25 % 4 010 0110 046 38 26 & 5 010 0111 047 39 27 6 010 1000 050 40 28 ( 7 010 1001 051 41 29 ) 8 010 1010 052 42 2A 9 010 1011 053 43 2B + 10 010 1100 054 44 2C , 11 010 1101 055 45 2D - 12 010 1110 056 46 2E . 13 010 1111 057 47 2F / 14 011 0000 060 48 30 0 15 011 0001 061 49 31 1 16 011 0010 062 50 32 2 17 011 0011 063 51 33 3 18 011 0100 064 52 34 4 19 011 0101 065 53 35 5 20 011 0110 066 54 36 6 21 011 0111 067 55 37 7 22 011 1000 070 56 38 8 23 011 1001 071 57 39 9 24 011 1010 072 58 3A 25 011 1011 073 59 3B 26 011 1100 074 60 3C 29 011 1111 077 63 3F ? 30 이진법 팔진법 십진법 십육진법 모양 85진법 (아스키 85) 100 0000 100 64 40 @ 31 100 0001 101 65 41 A 32 100 0010 102 66 42 B 33 100 0011 103 67 43 C 34 100 0100 104 68 44 D 35 100 0101 105 69 45 E 36 100 0110 106 70 46 F 37 100 0111 107 71 47 G 38 100 1000 110 72 48 H 39 100 1001 111 73 49 I 40 100 1010 112 74 4A J 41 100 1011 113 75 4B K 42 100 1100 114 76 4C L 43 100 1101 115 77 4D M 44 100 1110 116 78 4E N 45 100 1111 117 79 4F O 46 101 0000 120 80 50 P 47 101 0001 121 81 51 Q 48 101 0010 122 82 52 R 49 101 0011 123 83 53 S 50 101 0100 124 84 54 T 51 101 0101 125 85 55 U 52 101 0110 126 86 56 V 53 101 0111 127 87 57 W 54 101 1000 130 88 58 X 55 101 1001 131 89 59 Y 56 101 1010 132 90 5A Z 57 101 1011 133 91 5B 58 101 1100 134 92 5C \ 59 101 1101 135 93 5D 60 101 1110 136 94 5E ^ 61 101 1111 137 95 5F 62 이진법 팔진법 십진법 십육진법 모양 85진법 (아스키85) 110 0000 140 96 60 ` 63 110 0001 141 97 61 a 64 110 0010 142 98 62 b 65 110 0011 143 99 63 c 66 110 0100 144 100 64 d 67 110 0101 145 101 65 e 68 110 0110 146 102 66 f 69 110 0111 147 103 67 g 70 110 1000 150 104 68 h 71 110 1001 151 105 69 i 72 110 1010 152 106 6A j 73 110 1011 153 107 6B k 74 110 1100 154 108 6C l 75 110 1101 155 109 6D m 76 110 1110 156 110 6E n 77 110 1111 157 111 6F o 78 111 0000 160 112 70 p 79 111 0001 161 113 71 q 80 111 0010 162 114 72 r 81 111 0011 163 115 73 s 82 111 0100 164 116 74 t 83 111 0101 165 117 75 u 84 111 0110 166 118 76 v 111 0111 167 119 77 w 111 1000 170 120 78 x 111 1001 171 121 79 y 111 1010 172 122 7A z 111 1011 173 123 7B { 111 1100 174 124 7C 111 1101 175 125 7D } 111 1110 176 126 7E ~ 이진법 텍스트 파일 유니코드 ASCII 문학 제어 문자 http://www.unicode.org/charts/PDF/U0000.pdf 분류:문자 집합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연대 1940년대 1950년대 - 1960년대 - 1970년대 1980년대 해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60년대 는 1960년에서 1969년까지를 가리킨다. 이 시기에 냉전이 극에 치닫게 된다. 미국의 격동기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인권 운동과 여성 해방운동, 히피 운동, 동성애 운동이 진행되다. (젊은이의 반란) 미국에서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마틴 루서 킹 주니어, 맬컴 엑스, 로버트 F. 케네디가 암살 당하다. 한국전쟁으로 일본의 경제가 급격히 발전하다. 아프리카의 해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이 독립하였다.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푸이가 사망. 미국 뉴욕주에서 3일간의 최대의 록 축제 우드스탁 페스티벌이 열리다 4.19 혁명이 일어나다. 베트남 전쟁이 극에 치닫게 되었음.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등 5개국,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 결성 B-29 슈퍼포트리스가 퇴역함. 일본에서 전후 민주주의 운동이 발전하고 TV에서 철완 아톰이 방영되어 일본 애니메이션이 디즈니에 대항하는 하나의 문화 장르로 상승하는 초석을 만듦.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개최되어 교황청 차원에서 세계 평화에 일조하는 길을 열어 줌. 타이의 전봇대를 사각으로 바꾸다. 이 시기에 수많은 독립국가들이 유엔에 가입하다. 이 시기에 가상화라는 정의가 나온다 프랑스 68혁명이 일어난다. 중국의 문화대혁명이 일어난다. 트위기가 패션의 아이콘이 된다. 비달사순의 헤어컷이 큰 인기를 끈다. 비틀즈가 세계적으로 활약한다.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연대 1950년대 1960년대 - 1970년대 - 1980년대 1990년대 해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70년대 는 1970년부터 1979년을 가리킨다. 1972년 * 일본의 삿포로 동계올림픽 개최. * 제4공화국의 수립. (유신 체제) * 일본과 중국, 국교 수립. 1974년 *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되다. *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리처드 닉슨이 사임 1975년 * 베트남 전쟁의 종결. 남베트남의 패망 및 베트남의 적화 통일. 1976년 *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1977년 * 수출 100억 불 달성 1979년 * 이란 이슬람 혁명. * 김재규의 박정희 대통령 시해.(10.26) * 메이리다오 사건발생. * 12·12 군사 반란.
JPEG 압축의 화질 비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압축률이 높은 대신 화질 손상이 많이 일어난다. 제이펙 (은 정지 화상을 위해서 만들어진 손실 압축 방법 표준이다. 이 표준은 ISO와 ITU-T에서 제정하였다. JPEG을 사용하는 파일 형식들도 보통 JPEG 이미지라 불리며, .jpg, .jpeg, .jpe 등의 확장자를 사용한다. 16777216색과 256색 그레이로 저장 할 수 있다. JPEG 표준은 이미지가 어떻게 연속된 바이트로 바뀌는지만을 규정한다. 독립 JPEG 그룹(Independent JPEG Group; IJG)에서 만든 JPEG의 확장인 JFIF (JPEG File Interchange Format)는 JPEG 스트림을 저장과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담는 이미지 파일 형식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 저장 방식으로는 다른 확장인 EXIF JPEG 형식이 더 자주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JPEG 파일이라고 할 때는 JFIF 형식이거나 EXIF JPEG 형식을 가리키지만, JNG와 같은 JPEG 기반의 다른 파일 형식도 존재한다. 손실 압축 형식이지만 파일 크기가 작기 때문에 웹에서 널리 쓰인다. 압축률을 높이면 파일 크기는 작아지지만 이미지 품질은 더욱 떨어진다. JPEG/JFIF는 웹 상에서 사진 등의 화상을 보관하고 전송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파일 형식이다. 하지만 이 압축 방법은 문자, 선, 세밀한 격자 등 고주파 성분이 많은 이미지의 변환에서는 GIF나 PNG에 비해 불리하며, 나쁜 품질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JPEG 표준에도 비손실 압축 방법이 정의되어 있지만 특허 문제와 압축률 등의 이유로 잘 사용되지는 않으며, PNG 등의 비손실 압축을 지원하는 포맷을 많이 사용한다. +정적 이미지의 디지털 압축 및 코딩 – 파트 파트 ISO/IEC 표준 ITU-T Rec. 최초 출시일 마지막 개정일 제목 Part 1 ISO/IEC 10918-1:1994 T.81 (09/92) Requirements and guidelines Part 2 ISO/IEC 10918-2:1995 T.83 (11/94) Compliance testing Part 3 ISO/IEC 10918-3:1997 T.84 (07/96) Extensions Part 4 ISO/IEC 10918-4:1999 T.86 (06/98) Registration of JPEG profiles, SPIFF profiles, SPIFF tags, SPIFF colour spaces, APPn markers, SPIFF compression types and Registration Authorities (REGAUT) Part 5 ISO/IEC 10918-5:2013 T.871 (05/11) JPEG File Interchange Format (JFIF) Part 6 ISO/IEC 10918-6:2013 T.872 (06/12) Application to printing systems JPEG 표준 안에는 많은 선택사항들이 있지만, 그중 대부분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아래 설명은 픽셀당 24비트 (빨강, 초록, 파랑 각 8비트씩)의 색상정보를 가진 데이터를 변환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다. 아래 설명한 방식에선 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한다. 우선 각 픽셀의 RGB 데이터를 YCbCr이라는 다른 색공간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색공간은 NTSC나 PAL 방식의 컬러 텔레비전 전송에 쓰이는 색공간과 유사하다. Y 성분은 픽셀의 루마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Cb와 Cr 성분은 색차 정보(chroma components)를 가지고 있다. 사람의 눈이 색상 성분보다 휘도 성분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색상 정보를 더 많이 압축하기 위해서 YCbCr 색공간으로 변환한다. 색공간 변환 시 제한된 정밀도 (채널당 8 비트) 때문에 정보가 완전히 보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뒤에서 양자화를 전혀하지 않더라도 원본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즉, JPEG 저장시 화질을 100%으로 하더라도 원본과 차이가 있게 된다. 때로는 Cb와 Cr 성분의 수를 줄인다. (이를 "다운 샘플링", 혹은 "크로마 서브샘플링"이라 한다.) 이어지는 설명은 각 성분에 대한 것으로, 성분별로 같은 절차가 진행된다. 사람의 눈은 명도에 대해 비교적 넓은 영역에서 작은 차이를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고주파의 명도 변화에서는 그 구별 능력이 떨어진다. 이 사실에 근거하여 고주파 성분의 정보의 많은 부분은 버릴 수 있다. 이런 작업은 주파수 영역의 각 성분에 대해 특정 상수로 나누고 정수 몫만을 취함으로써 수행된다. 이 작업이 전체 압축 과정에서 가장 손실이 큰 부분이다. 이 방법으로 고주파 성분들은 거의 0이나 0에 근접한 양수, 혹은 음수가 된다. (여기서 말하는 주파수는 전자기파의 주파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격자 상에 늘어 놓았을 때의 공간적인 변화를 말하는 것에 주의한다.) 그런데 정지 영상의 특성상 평균적으로 픽셀값이 확 변하는 곳이 적다(에너지 집중 현상으로 인해 대부분 저주파수에 모여있다. 그래서 양자화를 할 때 가중치 양자화를 적용함으로써 에너지가 큰 저주파는 많이 살려내고, 에너지가 거의 없어서 잘라내도 총합 에너지엔 거의 차이가 없는 고주파를 많이 제거한다.). 이 과정은 비손실 압축 방식으로서, 8×8 격자의 성분들을 저주파부터 지그재그로 일렬로 세운 뒤. 반복된 0에만 RLE를 적용하고, 그 결과들에 대해 허프만 부호화를 한다. 표준은 허프만 부호화 대신에 더 압축률이 좋은 산술 부호화도 가능하다고 기술하지만 산술 코딩은 인코딩, 디코딩시의 지연, 경제성 등의 이유를 들어 잘 쓰이지 않는다. 압축 해제된 JPEG 데이터를 얻는 과정은 압축 과정을 역으로 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규격은 합동 그룹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ISO와 ITU-T 양측에서 나오고 있다. ITU-T권고 T.81 JIS X 4301 ISO/IEC 10918-1:1994 JPEG 2000 MPEG VCEG JPEG Standard (JPEG ISO/IEC 10918-1 ITU-T Recommendation T.81) at W3.org JPEG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on GPU. 분류:ISO 표준 분류:그래픽 파일 포맷 분류:오픈 포맷 분류:화상 압축 분류:손실 압축 알고리즘
독도 (獨島)는 동해의 남서부, 울릉도와 오키 제도 사이에 있는 섬으로, 동도와 서도를 포함한 총 91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독도의 동도는 동경 131도 52분 10.4초, 북위 37도 14분 26.8초에 자리 잡고 있고, 서도는 동경 131도 51분 54.6초, 북위 37도 14분 30.6초에 위치해 있다. 일본에서는 다케시마 ()라는 명칭으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제3국에서는 1849년 서양권에서 독도를 최초로 발견한 프랑스 선박인 리앙쿠르 호 의 이름을 딴 리앙쿠르 암초 ( 등으로 불리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이 실효지배하고 있으나, 일본에서는 이 섬을 대한민국이 불법으로 점거하고 있다고 항의하며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최종덕이 1965년 3월부터 최초 거주한 이래로 김성도 부부 및 독도경비대원 35명, 등대 관리원 2명, 울릉군청 독도관리 사무소 직원 2명 등 약 40명이 거주하고 있다. 또한, 2005년 동도에 대한 입도 신고제 도입 이후 현재까지 약 200만 명이 방문하였고, 1일 평균 660명이 입도하고 있다. 돌로 된 섬이란 뜻의 돌섬 의 경상도 사투리 독섬 을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쓰면서 독도 (獨島)가 되었다. 홀로 있는 섬에서 독도가 아니다. 독도(獨島)라는 명칭은 한국어와 중국어 화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름이며, 과거에는 우산도(于山島)라고 불렸다. 인도유럽어권에서는 리앙쿠르 암초 (라는 중립적인 명칭을 주로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다케시마 ()라는 명칭으로 이 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막말 이전의 명칭은 마쓰시마 ()였다. 섬의 위치 이 섬은 동해의 해저 지형 중 울릉분지의 북쪽 경계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균 수심 2,000m의 해양 평원에 솟아 있는 화산섬이다. 두 개의 큰 섬인 동도(東島)와 서도(西島)를 중심으로 총 91개의 크고 작은 섬과 암초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도와 서도 사이의 거리는 151m이다. 일본에서는 동도를 오시마(男島), 서도를 메시마(女島)라고 부른다. 독도의 총 면적은 187,554m²로, 서도(西島)가 88,740m², 동도(東島)가 73,297m², 그 밖의 부속도서가 25,517m²이다. 서도의 최고 높이는 168.5m이고, 동도의 최고 높이는 98.6m이다. 2012년 11월부터 대한민국 정부 고시에 의거하여 서도의 최고봉은 대한봉 (大韓峰), 동도의 최고봉은 우산봉 (于山峰)으로 부른다. 동도의 최고봉은 1950년대에는 성걸봉 으로 불렸으며, 2005년부터 고시 이전까지는 일출봉 (日出峰)이라 불렸다. 동도와 서도 및 부속 도서는 대부분 수심 10m 미만의 얕은 땅으로 연결되어 있다. 독도의 동도는 동경 131도 52분 10.4초, 북위 37도 14분 26.8초에 위치하고 있다. 이 섬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약 87.4 km 떨어져 있으며, 일본 시마네 현 오키 제도에서는 약 157.5 km 떨어져 있다. 한반도에서의 거리는 약 216.8km이며, 일본 혼슈에서의 거리는 약 211km이다. 날씨가 좋으면 울릉도 동쪽 해안에서 육안으로 이 섬을 볼 수 있다. 독도는 약 460~250만 년 전에 형성된 해양섬 기원의 화산체로서, 섬 주변에 분포하는 지층들을 아래에서부터 괴상 응회각력암, 조면안산암 I, 층상 라필리응회암, 층상응회암, 조면안산암 II, 스코리아성 층상 라릴리응회암, 조면안산암III, 각력암, 조면암, 염기섬 암맥 등 총 9개의 화산암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는 오랜 세월동안 침식되어 화산의 흔적은 찾기 힘들다. 독도(특히 동도)의 지반은 불안정한데, 이것은 단층과 절리, 균열, 그리고 불완전한 공사 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독도는 지질학적으로 울릉도의 화산암류와 비슷한 전암 화학조성을 갖는 알칼리 현무암, 조면 현무암, 조면 안산암 및 조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행정구역에서는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산 1-96번지에 속하며 우편번호는 40240이다. 대한민국은 이 섬을 천연기념물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울릉군은 국민 공모를 통해 도로명 주소법에 따른 이 섬의 도로명 주소를 독도안용복길 (서도)과 독도이사부길 (동도)로 정하였다. 일본이 주장하는 행정 구역에서는 시마네현 오키군 오키노시마정에 속해 있다. 난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전형적인 해양성 기후로 연간 평균강수량은 1,240mm 정도, 연평균 기온 약 12℃, 1월 평균기온 1℃, 8월 평균기온 23℃로 온난한 편이다. 연평균 풍속은 4.3m/s로 겨울과 봄에는 북서풍이 빈번하고, 여름과 가을에는 남서풍이 빈번하여 계절에 따른 주풍향이 뚜렷하다. 안개가 잦고 연중 날씨 중 흐린 날은 160일 이상이며 비 또는 눈 오는 날은 150일 정도로, 겨울철 강수량이 많다. 즉, 일 년 중 맑은 날은 45일 정도밖에 없다.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 2003년~2007년 울릉도와 독도의 날씨 (2003 ~ 2007년 평균, 울릉도 기상대 관측)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기온 1.82 2.94 5.2 10.62 14.88 19.36 21.6 23.88 19.82 15.66 10.82 4.52 최고평균기온 4.88 6.12 9.06 14.7 18.62 23 24.52 27.14 22.84 19.12 14.16 7.44 최저평균기온 -0.4 0.44 2.3 7.3 11.68 16.64 19.44 21.58 17.62 13.24 8.38 2.26 강수량(mm) 94.72 66 86.3 136.54 181.88 148.82 259.06 200.14 277.82 100.06 124.44 155.34 파노라마 두 섬과 주변 섬들은 서로 분리된 듯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해저 2천여 미터로부터 바다 위로 솟은 해산(海山)의 봉우리 부분에 해당된다. 대한민국은 독도 섬 주변의 바다에 다양한 해양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섬 일대의 자연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이 섬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1982년에 "독도 해조류(바다제비·슴새·괭이갈매기) 번식지(獨島海鳥類-繁殖地)"라는 이름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했고, 1999년에 천연보호구역으로 명칭을 바꾸어 동식물 전체의 식생을 관리하게 되었다. 2005년 독도의 기존 토지 및 부속도서를 측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지적공부를 정정하여 독도의 지적현황이 전체적으로 변경됨에 따라 2006년 9월 14일 문화재청장은 문화재보호법 제6조에 의거 천연기념물 제336호로 지정된 《독도 천연보호구역》의 문화재구역을 당초 고시한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37필지 180,902평미터(보호구역)"을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01필지 187,554평방미터(지정구역)으로 정정고시하였다. 2002년 경상북도는 환경부에 울릉도·독도 해상국립공원 지정을 건의했으나, 이는 울릉군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울릉군 독도리 30번지에 있는 독도 사철나무는 독도를 구성하는 2개 섬인 동도와 서도 중 동도의 천장굴 급경사 지역 위쪽 끝 부분에서 자라고 있으며, 강한 해풍과 극히 열악한 토양조건 등에서 자란 나무로 독도에서 생육하는 몇 안 되는 수목 중 가장 오래된 나무로 2012년 10월 25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538호로 지정되었다. 대한민국은 독도가 독특한 자연환경이 유지되고 있고, 해양생물상이 다양하고 풍부하여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특정도서로 지정하였다. 지정일자 2000년 9월 5일 지정번호 제1호 면적 187,554m2 (지번은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산1 ~ 산96이고, 2000년 9월 5일 특정도서로 최초 지정 당시 면적은 180,902m2였다) 2012년 12월 27일 환경부장관은 자연공원법 제36조의3의 규정에 의거 울릉도·독도 국가지질공원을 인증 고시하였다. 지질공원의 명칭 울릉도·독도 국가지질공원 지질공원의 구역 경상북도 울릉군 전 지역 지질공원의 면적 1,279 평방킬로미터 인증연월일 고시일 공원관리청 경상북도 인증목적 울릉도·독도의 우수한 지질유산자원을 보전하고 교육·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국민의 휴양 및 정서함양에 기여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지정명소 23개소(울릉도 19, 독도 4) * 울릉도 19개소 (봉래폭포, 저동 해안산책로, 도동 해안산책로, 거북바위 및 향나무자생지, 국수바위, 버섯바위, 학포 해안, 황토굴, 태하 해안산책로 및 대풍감, 노인봉, 송곳봉, 코끼리바위, 용출소, 알봉, 성인봉 원시림, 죽암몽돌해안, 삼선암, 관음도, 죽도) * 독도 4개소 (숫돌바위, 독립문바위, 삼형제굴바위, 천장굴) 2005년과 2006년에 이루어진 실태조사를 통해 독도에서 관찰된 조류는 126종이다. 개체수가 가장 많은 종은 괭이갈매기이었고, 약 7,000여 마리가 서식하고 있다. 그리고 바다제비, 슴새, 참새가 서식하고 있는데, 최근 슴새의 수는 감소하고 있는 반면 바다제비 수는 증가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섬은 남북으로 왕래하는 철새들이 쉬어가는 주요 휴식처이다. 조류는 여러 가지의 천연 기념물이 있다. 짐승은 1973년 경비대에서 토끼를 방목하였으나 지금은 한 마리도 서식하지 않는다. 곤충은 7목 26과 37종이 서식하고 있다. 인근 해양에는 파랑돔, 가막베도라치, 일곱줄얼게비늘, 넙치, 미역치, 주홍감펭 등 다양한 어류가 서식하고 있다. 또한 대구지방환경청은 지난 2007년 5월부터 6개월 동안 경북대학교 울릉도·독도연구소와 공동으로 네 차례에 걸쳐 이 섬의 생태계를 조사한 결과 이 섬에 무척추동물 26종이 살고 있다는 사실을 2007년 12월 11일에 발표했다. 2013년에는 시베리아의 텃새인 솔양진이 수컷 한 개체가 남한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동도에서 발견되었다. 바다사자(독도강치)는 동해 연안에 서식하던 강치의 아종이다. 현재 멸종되었다고 알려진 동물로, 조선시대 사람들은 이들을 "가제" 또는 "가지"로 불렀으며 이 섬을 중심으로 동해에 수만 마리가 서식했다고 한다. 이들이 머물렀다는 가제바위가 독도에 남아 있다. 러일 전쟁 전후로 가죽을 얻기 위해 시작된 일본인들의 무분별한 남획으로 바다사자는 서서히 그 모습을 감추었으며 1974년 홋카이도에서 새끼 강치가 확인된 이후로 목격되지 않는다. 1905년 일본 시마네현이 이 섬을 무단으로 편입한 이후 일본인들의 어획이 시작되었지만, 1905년 이전에 울릉도에 살던 한국인들이 1904년과 1905년에 독도에서 강치를 잡아 매년 가죽 800관(600엔)씩 일본에 수출한 기록이 1907년 시마네현 다케시마 섬 조사단의 오쿠하라 헤키운이 쓴 책 죽도 및 울릉도 에 나온다. 박선주 등이 2008년과 2009년에 걸쳐 실행한 독도의 식물상 및 식생 조사에서는 독도의 식물은 29과 48속 49종, 1아종 3변종 총 53종류로 조사되었다. 이 중 특산식물은 섬기린초와 섬초롱꽃 2종류이고, 귀화식물은 갓, 방가지똥, 큰이삭풀, 콩다닥냉이, 흰명아주, 둥근입나팔꽃 6종류가 있다. 식생형은 주로 해국-땅채송화, 해국-갯제비쑥, 왕호장근-도깨비쇠고비, 돌피, 물피군락 등으로 구분된다. 경사가 급하여 토양이 발달하지 못하였고, 비는 내리는 대로 배수되어 수분이 부족하여 자생하는 식물이 적으나 울릉도에서 씨앗이 날아와 50~60종의 풀과 나무가 있다. 이 섬에 사는 식물은 키가 작아 강한 바람에 적응하고 잎이 두껍고 잔털이 많다. 물론 가뭄과 추위에도 잘 견딘다. 2007년 12월, 외부에서 들여와 직접 심은 나무 가운데 무궁화, 후박나무, 곰솔, 향나무 등이 대부분 말라 죽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근 얕은 바다에는 모자반, 대황 등의 해양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독도 사철나무는 독도에서 현존하는 수목 중 가장 오래된 나무로 독도에서 생육할 수 있는 수종이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국토의 동쪽 끝 독도를 100년 이상 지켜왔다는 영토적·상징적 가치가 큰 점을 감안하여 2012년 10월 5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538호로 지정되었다. . 섬 일대는 박테리아의 보고 로 불릴 만큼 다양한 종의 박테리아가 많이 서식하는 곳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05년 5종, 2006년 13종, 2007년 16종, 2008년 4종 등 2008년 기준으로 이 섬에서 발견된 신종 박테리아는 38종에 이른다. 발견된 신종 박테리아들의 학명에는 독도넬라 코린시스(Dokdonella koreensis), 동해아나 독도넨시스(Donghaeana dokdonensis) 등과 같이 독도 나 동해 의 명칭이 포함되었다. 독도에서 발견된 박테리아들로 인해 2005년부터 2008년까지 대한민국이 3년 연속으로 신종 세균 발표 건수 1위를 차지했다. KAIST 생명공학과의 조사에 따르면, 섬 근해 해저에 이른바 불타는 얼음 으로 불리는 메탄 하이드레이트(methane hydrate, 고체 천연가스 또는 메탄 수화물)가 확인된 양만 약 6억 톤가량 매장되어 있다고 밝혀졌다. 메탄 하이드레이트는 녹으면서 물과 메탄 가스를 발생시켜 효용가치가 큰 미래 청정자원으로 주요 선진국의 개발·연구 대상으로 주목받는 자원이다. 독도 주변은 쿠로시오 지류인 따뜻한 대만남류와 찬 북한 해류가 만나는 지역으로, 영양염류가 풍부하며, 이로 인한 동·식물 플랑크톤이 다양하고, 경제적 가치가 높은 회유성 어족이 다량 분포하고 있다. 독도는 지형적으로 수심 2,068 m 정도 되는 동해 새중에서 분출한 화산성해산으로, 물위로 솟아있는 독도의 면적은 비록 작지만(0.186km2), 수면아래 독도의 면적을 합하면 울릉도의 2배 이상되는 거대한 해산이며, 동도와 서도를 중심으로 주변에 물개바위를 비롯한 크고 작은 32개 이상의 바위섬과 암초가 있어 단단한 바닥에 부착하여 생활하는 해양 저서생물에게 좋은 서식지를 마련하고 있다. 독도의 바다는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곳으로 생물종이 다양하고 수산자원이 풍부한 곳으로 섬 주변에는 감태, 대황, 모자반 등 해조류를 비롯하여 게류, 고둥류가 넓게 서식하고 있고, 어류로서는 볼락, 자리돔, 도화돔 등의 냉온대성, 온대성 및 아열대성 생물종이 집합하여 서식하고 있다. 또한 독도의 섬효과를 통해 깊은 바다의 영양염류가 표층으로 용승되어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는 동해의 회유성 및 독도 정착성 어종의 치어와 유어들이 모여 사는 산란장 내지 성육장의 기능으로서도 중요한 어장이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 동도와 서도 주변연안 및 수중생태를 조사한 바에 의하면 해양·자포동물 22종, 고둥류 30종, 극피동물 23종, 갑각류 22종, 갈조식물류 17종과 어류 17종 등 총 169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도 주변연안에서 서식하고 있는 갑각류 중에서 도화새우, 물렁가시붉은새우, 가시배새우를 통틀어 독도새우 라고 부르고 있다. 동도 선착장에 접안중인 해경 309정 동도에 선착장과 접안 시설(1997년 11월 완공, 1998년 8월 지적공부에 등록) 80미터로 500톤급 선박 접안이 가능하며, 유인 등대 1기가 설치되어 있다. 출처 대한민국 외교부 독도 2005년 ~ 2015년 독도 연도별 입도 현황(2005년~ 2015년) 년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계 인원 수 (명) 41,134 78,152 101,428 129,910 135,376 115,074 179,621 205,778 255,838 139,892 178,785 1,560,988 대저해운에서 포항~울릉도~독도 구간을 1일 2회 운항한다. 단 풍랑 등 기상특보가 발생시 결항될 수 있다. 동도에 있는 독도 헬기장(ICAO RKDD )은 경찰청이 관할하는 헬리콥터 이착륙장이다. 동도에 있기 때문에 동도 헬기장 으로도 불린다. 2008년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로부터 지명약어 RKDD를 부여받았다. 2013년 6월 12일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경북본부와 대구·경북 소재의 이통3사 및 협력사 공동 주관으로 독도에 입도해 독도의 전파환경을 측정한 결과 독도는 방송, 통신뿐 아니라 아마추어 무선 주파수까지 모두 양호하게 도달되며, 최신 초고속 광대역 통신인 롱텀에볼루션(LTE)까지 끊김없이 전달된 것으로 조사됐다. 경비 초소 1999년 건물 옥상(해발고도 95m)에 무인기상관측장비(Automatic Weather System, AWS)를 설치하여 독도의 기온, 풍향, 풍속, 강수량을 매시간 측정하여 그 자료를 무선통신으로 울릉도로 송신하고 있음 막사 9동 등반로 610미터 어민 숙소 1동(2층, 120m2로 약 36평) 등반로 550 m 문화재청은 이명박 정부 때인 2008년 독도 대포(大砲)의 문화재 지정을 추진했으나 좌절됐다. 당시 국무총리와 외교통상부 장관이 한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본을 자극할 수 있다‘는 이유로 반대했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이후 이건무 전 문화재청장과 엄승용 전 문화재청 사적명승국장, 독도단체 및 문화재계 관계자들이 독도 대포의 영토주권 수호 상징성과 보존가치를 고려해 문화재 지정 재추진을 주장(서울신문 2014년 8월 15일자 8면)했으나 지금까지 정부나 지자체에서 별다른 움직임이 없다. 독도에 하수처리시설이 설치된 이후, 그 오작동으로 인해 독도 경비대나 등대 관리자와 같은 거주자들로부터 발생한 오수가 바다에 그대로 쏟아지는 일이 반복돼 독도 부근은 심각한 바다 오염의 우려가 높다. 독도 부근 바다에서는 바닷물이 우윳빛으로 변하거나, 해초들이 죽고 산호초가 석회화되는 현상이 발견되고 있다. 현재는 이러한 오염을 줄이기 위한 공공 단체와 시민 조직에 의한 노력이 진행중이다. 1997년 10월11일 제6차 어업실무자회담에서 독도와 그 주변수역을 한일어업협상에서 제외할 경우 일본으로부터 독도가 한국령이라는 점을 인정받지못하지만 현재 실효지배하고있는 기득권을 인정받게되는 이해관계가 복잡한 상황을 두고 1997년 11월 7일에 한국정부는 독도에 접안시설을 건립하여 독도에 대한 입지를 확고히 하자 하시모토 류타로일본총리까지 나서서 이를 비난했고 일본정계가 당황한바있었다. 이처럼 한국과 일본간에 독도를 두고 갈등은 심화되었고 1965년의 1차 한일간 어업협상은 한국이 1997년12월3일 이후 IMF사태를 격는 동안에 일본측의 파기로 해제되었으며, IMF사태라는 어수선한 분위기의 한국은 상황이 매우 난처했다는 일부여론과 그러나 중요한 점은 국제정세는 한국의 자국내 불행한 상황과는 무관하게 인접국가들에게는 각국의 실리를 위해 그 상황을 이용할 여지가 될수 있다는 점이 언론에 보도된바 있었다.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 독도의용수비대 지원법 독도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 독도지속가능이용위원회 독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기본(시행)계획을 심의하기 위하여 설치된 대한민국 국토해양부 소속의 자문위원회이다. 독도와 관련되어 전해 내려오는 전설이 여러 있는데, 그중에 하나가 구멍바위 형성에 관한 전설이다. 전설에 따르면, 먼 옛날 힘센 노인 하나가 노인의 집 앞을 가리고 있던 바위를 묶어 배를 타고 옮기던 중에 다른 바위를 던져 바위에 구멍을 내고 난 후 독도에서 좌초되어 지금의 자리에 구멍바위가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한편 일본에는 잔태평기()의 권7에 전하는 죄인원도유형평정지사() 조에 전하는 이야기가 있다. 섬에 대나무 옷을 잎은 검은 색 외눈의 거인이 산다는 내용이다. 대한민국이 1954년에 발행한 독도 우표 1954년 9월 15일 대한민국은 3종의 독도 우표 3000만 장을 발행했는데 2환권과 5환권은 각각 500만 장, 10환권은 2000만 장이 팔렸다. 일본 외무성에서 독도 우표가 붙은 우편물을 받지 않겠다고 했으나, 만국우편연합(UPU) 규정중 우편물 중계의 자유보장 조항에 따라 허용하기로 하였다. 일본은 항의의 표시로 독도 우표가 붙은 한국 우편물에 먹칠을 해서 배달을 하였다. 대한민국은 이 섬을 도안으로 한 우표를 2002년과 2004년 1월 두 차례 더 발행했다. 2002년 8월 1일 내고향 특별우표 시리즈(32종)중 경북편에도 독도우표가 포함, 90만장이 발행되었으나 당시 일본의 항의는 없었다. 2004년 1월 대한민국이 독도 우표 4종 224만장을 발행하자 가와구치 일본 외상은 독도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의 입장과 한국의 우표발행이 만국우편연합헌장의 정신에 위배된다고 주장하고 주일 한국대사에게 항의하였다. 2004년 6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도 이 섬이 조선의 영토임을 보여주고 있는 고지도를 도안으로 한 우표를 발행하였으며 2006년 8월에는 도안이 약간 수정되어 대한민국에서 판매되기도 하였다. 대한결핵협회는 2006년 크리스마스 실로 독도의 자연을 그린 아이러브 독도 (I ♡ Dokdo)를 발행하였다. 1982년에 한국방송의 PD였던 박문영은 이 섬을 주제로 한 노래 〈독도는 우리 땅〉을 만들어 코미디 프로그램인 《유머 일번지》를 통해 발표했는데, 시기적절한 곡이라는 평가를 받아 곧 정광태의 정식 음반이 출시되면서 큰 인기를 모았다. 그 밖에도 박명수의 〈We Love 독도〉 등 수많은 연예인과 가수들이 독도에 관한 노래를 발표해 왔다. 본래 이 섬은 대한민국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어서 입도가 제한되었으나 2005년 3월 24일 대한민국 정부가 일본의 영유권 주장에 대항하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입도 허가제를 신고제로 변경함으로써 동도 선착장에 한해서 하루 1,800명씩 일반인의 관광을 허용했다. 학술 조사와 같이 관광 이외의 목적으로 이 섬을 방문할 경우에는 14일 전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독도의 날은 고종이 대한제국칙령 제41호 1900년 10월 25일로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제정된 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2009년 12월 일본 교직원 조합의 산하 기관인 홋카이도 교직원 조합이 독도에 대해 "대한민국의 독도 영유권 주장이 맞다"라고 명기한 자료를 각 학교에 배포하였다. 미국 지명위원회(BGN)의 GNS Search에서는 독도의 별칭인 "리앙쿠르 암초"(Liancourt rocks)로 검색을 했을 때 주권(Country Code)을 대한민국(South Korea)으로 표기하였다. 공식 명칭인 "리앙쿠르 암초"의 별명 가운데 독도 (Tok-to)를 다케시마 섬 (Take-shima)보다 앞에 표기하였으며, 또한 다케시마 섬을 클릭한 경우에도 주권을 대한민국으로 표기하고 있다. 2007년에는 엑스박스 라이브에 지역을 등록할 때 다케시마( )와 다케시마의 한자 표기인 竹島 라는 지명은 등록이 불가능한 단어인 데 비해 독도( 独島 )는 등록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네티즌들의 관심을 모았다. 2004년에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공동으로 개발한 모바일 게임인 〈독도를 지켜라〉를 개발하여 대한민국으로 수출했다. 이 게임은 통일부로부터 외교적인 문제를 피할 것을 요청받아 〈섬을 지켜라〉로 이름을 바꾸었으나 네티즌의 항의로 다시 〈독도를 지켜라〉로 바뀌었다. 독도함(獨島艦, LPH-6111)은 대한민국 해군의 독도급 강습상륙함의 첫 번째 함이다. 독도의 이름을 함명으로 정하였다. 실제로는 LHD(다목적 강습상륙함)의 기능을 갖고 있으나, 공식적으로는 LPH(강습상륙함)라고 불리고 있다. 2002년 10월 말에 한진중공업이 대한민국 해군으로부터 수주를 받아 건조를 시작한 뒤, 2005년 7월 12일 진수하였고 2006년 5월 22일부터 시운전을 시작하여 2007년 7월 3일 취역하였다. 2010년 3월 천안함 침몰 사고 수색구조 작전에 투입되었다. 한국복지사이버대학에 2012년 독도학과가 개설되어 2014년 첫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정치·경제·사회·문화·지리·환경·역사학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교육할 수 있는 학문적 기반 구축을 위해 전국 최초로 개설되었으며, 울릉군수와 독도경비대장 등 독도와 관련해 직·간접적으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여러 인사들뿐만 아니라, 교육계 전문가, 독도 관련 시민사회단체 대표 등 사회 각계각층에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는 인사들이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였다. 녹둔도 간도 이어도 백두산 대마도 대한민국 독도향우회 독도 분쟁 독도 헬기장 독도는 우리 땅 독도밀약 독도방어훈련 독도의 날 독도의 달 독도의용수비대 다케시마의 날 대마도의 날 미국 지명위원회 - 세계 명칭에 대한 기준을 정하는 미국의 정부 기관으로, 2008년 7월 초 이 섬을 대한민국 영토에서 ‘주권 미지정’으로 변경한 것이 알려져 한국 정부의 항의를 받았다가 같은 해 7월 31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지시로 다시 대한민국 영토로 변경하였다. 센카쿠 열도 안용복 우산도 울릉공항 울릉도 쿠릴 열도 분쟁 쿠릴 열도 평화선 한국방공식별구역 호사카 유지 홍순칠 독도종합정보시스템 - 대한민국 국토해양부 독도 -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독도 - 경상북도청 독도경비대 - 경북지방경찰청 독도관리사무소 - 울릉군청 독도박물관 - 울릉군청 대한민국정부의 독도에 대한 기본입장(한국어, 영어) - 공감코리아 * 대한민국정부의 독도에 대한 기본입장(일본어, 중국어) - 공감코리아 * Korean Government s Official Position on Dokdo - KOREA.net 독도 천연보호구역 - 대한민국 문화재청 다케시마 (竹島), 일본 외무성 * 다케시마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10의 포인트 (PDF), 일본 외무성 돌아오라! 다케시마, 시마네 현 「다케시마 (竹島)」 ,《포토 시마네 (フォトしまね)》 161호, 시마네 현 현청 독도연구소 - 동북아역사재단 독도학회 홈페이지 독도수호국제연대 KBS 실시간 웹캠 "여기는 독도입니다.", KBS Historical Facts about Dokdo - 캐나다인 스티븐 바버(Steven Barber)의 독도 역사 및 영토 근거 Selected Research on Dokdo Island - 미국의 교사 마크 로브모(Mark S. Lovmo)의 문헌 연구 독도 천연보호구역 - 남북의 천연기념물 사이버독도닷컴 다케시마 문제 분류:동해의 섬 분류:영토 분쟁 분류:대한민국의 극점 분류:대한민국의 특정도서 분류:울릉군의 섬 분류:시마네현의 섬 분류:오키노시마정 분류:대한민국의 영토 분쟁 분류:일본의 영토 분쟁 분류:영토 분쟁 섬 분류:일본-한국 관계 분류:대한민국-일본 국경 분류:경상북도의 섬
영어 (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다. 오늘날에는 전 세계 수많은 국가에서 주요 언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공식 언어로서뿐만 아니라 제2언어로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영어는 18세기, 19세기 그리고 20세기 초의 대영 제국의 군사적, 경제적, 과학적, 정치적 그리고 문화적 영향과 20세기 중반 이래의 미국의 영향으로 , 전 세계에서 가장 폭넓게 가르쳐지고 이해되는 언어로서 때때로 링구아 프랑카에 비유된다. 영어는 서게르만어군의 방언이었던 앵글로색슨족의 언어가 여러 역사적 사건을 겪으면서 변화하면서 형성되었다. 5세기 무렵 브리튼 제도에 앵글로색슨족이 이주하면서 시작된 고대 영어는 이후 바이킹의 침입과 함께 전파된 고대 노르드어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노르만 정복 이후 고대 영어는 단어와 철자법 등에서 노르만어의 영향을 받으며 중세 영어로 발전하였다. 영어()라는 단어의 어원은 12세기 고대 영어인 Angles 의 복수형 Ænglisc 또는 Engle 에서 파생된 것이다. 근대 영어는 15세기 잉글랜드에서 있었던 대모음 추이로부터 시작되었다. 또한 이 무렵 여러 나라에서 유래한 외래어와 신조어가 크게 늘었다. 특히 라틴어와 고대 그리스어를 어원으로 하는 기술 용어들이 크게 늘었다. 또한, 각국 국민들의 모국어 액센트가 영어에 사용되기도 한다. 영어는 프랑스어나 이탈리아어와 마찬가지로 로마자로 표기하고 있다. English Language Symbol ISO 639-1 IETF Language Tag Icon.svg|섬네일|EN, 언어 코드, 기호 플래그 (ISO 639-1) 근대 영어는 종종 최초의 지구적 링구아 프랑카로서 언급된다. 영어는 통신, 과학, 무역, 비행, 오락, 방송, 외교 등의 분야에서 국제어로서 사용되고 있다. 때문에 영어의 사용은 종종 언어 제국주의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영어는 대영제국의 팽창과 함께 브리튼 제도의 밖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19세기 말 무렵에는 글자 그대로 전지구적 언어가 되었다. 영국의 식민지였던 미국과 캐나다 역시 영어 사용의 확대에 기여하였는데,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초강국이 된 미국으로 인해 영어 사용의 세계화는 더욱 확산되었다. 의료나 컴퓨터 사용과 같은 여러 분야는 기초적인 영어 사용 능력을 전제로 한다. 이를 위해 수억명 이상의 사람들이 영어를 배운다. 영어는 유엔의 여섯 공용어 가운데 하나이다. 영국의 언어학자 데이비드 크리스털은 전 지구적인 영어 사용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다른 언어가 막대한 타격을 입고 있다고 말한다. 북아메리카와 오스트레일리아를 포함한 지구 곳곳에서 영어 사용이 일반화됨으로써 각 지역의 자연어가 갖고 있던 언어 다양성이 감소하고 심지어 더이상 쓰는 사람이 없는 사어가 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영어의 영향은 역사언어학의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여러 언어 공동체에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사용되고 있는 영어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언어 변화를 가져왔다. 크리올과 피진은 이러한 영어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어족이다. 영어는 앵글로프리지아어와 저지 게르만어 를 기원으로 하는 서게르만어군의 하나이다. 이 언어들은 로마 속주시기 이후 5세기까지 오늘날 독일, 덴마크, 네덜란드 등의 지역에 해당하는 유럽 북서부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브리튼 섬으로 유입되었다. 이렇게 브리튼 섬에 정착한 게르만족의 하나가 앵글족으로 이들의 이름 앵글()은 이들의 원래 거주하였던 곳의 지명 앵글른에서 유래한 것으로 오늘날의 슐레스비히 인근 지역이다. 브리튼이라는 이름은 베다 베네라빌리스의 《잉글랜드 교회사》에 최초로 등장한다. 브리튼 섬에 이주해 온 앵글족은 새 정착지를 자신들의 땅이라는 의미의 잉글랜드()로 불렀다. 영어()역시 앵글족의 말이란 뜻이다. 앵글로색슨족은 덴마크와 윌란 반도로부터 449년에 브리튼 섬을 침공하였다. 이전까지 이 지역에서 사용되던 언어는 켈트어파에 속한 브리소닉어와 고이델어였다. 브리튼 섬에 있었던 두 번의 침입은 영어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하나는 8~9세기에 있었던 바이킹의 침입으로 이로 인해 영어는 북게르만어군의 영향을 받았다. 다른 하나는 1066년 있었던 노르만 정복으로 이로 인해 프랑스어와 노르만어가 유입되었다. 이런 역사적 사건들의 영향을 받으며 고대 영어가 형성되었다. 브리튼 섬에 세워진 앵글로-색슨의 고대 왕국들에서는 저마다 고대 영어의 다양한 사투리가 쓰였다. 후기에는 색슨족이 들어와 저지 게르만어의 영향을 받았다. 영어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요소 가운데 하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전파였다. 530년의 베네딕도 규칙서에서부터 1536년의 수도원 해체까지 브리튼 섬에는 많은 가톨릭 수도원이 세워졌다. 초대 주교였던 캔터베리의 아우구스티누스이후 가톨릭 성직자들은 수도원을 통해서 문자와 문학을 전파하는 학교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중세기간 동안 수도원은 브리튼 제도에서 지식의 보고였고 이들의 활동은 영어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가톨릭 수사들은 중세 유럽의 링구아 프랑카였던 라틴어를 사용하였고 영어 역시 라틴어의 영향을 받았다. 15세기에서 16세기에 걸쳐 런던에서 쓰인 영어를 초기 근대 영어라 한다. 이 시기 영어는 철자법이 고정되고 어순이 확립되는 등의 변화를 겪었다. 산업혁명과 과학의 발달은 라틴어와 그리스어 어근을 바탕으로한 막대한 과학어휘가 새로 만들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의 성립으로 영어는 브리튼 섬 전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언어가 되었으며 대영제국 시기 제국주의 정책에 따라 세계 곳곳에 영국의 식민지가 확장되자 영어 역시 세계로 퍼져나갔다. 이 시기 영어가 전파된 주요 국가로는 오늘날의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이 있다. 또한 영어는 영국이나 미국의 영향권하에 있었던 파키스탄, 가나, 인도,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케냐, 우간다, 필리핀 등 많은 나라에서 공용어로 사용된다. 1945년 유엔의 설립 이래 영어는 유엔의 공식 언어들 가운데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 영어는 게르만어파의 언어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며, 사실상 전 세계 언어 중에서 가장 폭넓게 쓰이는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대영제국의 대외 팽창으로 인해 전 세계로 영어가 확산되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의 경제적 문화적 영향력이 증가한 데에 기인한다. 특히 근대에 들어 통신기술의 발달로 영어는 다른 문화권에 영향을 주고 있다. 영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의 앵글로프리지아어에 속하는 언어이다. 현존하는 가장 가까운 관계의 언어로는 스코틀랜드 저지대와 북아일랜드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스코트어와 네덜란드의 프리슬란트주와 독일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프리지아어가 있다. 스코트어는 별개의 언어가 아닌 영어의 방언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스코트어와 프리지아어 외에 영어와 연관이 있는 언어로는 서게르만어군 중에서 비(非)앵글로프리지아어에 해당하는 독일어, 네덜란드어, 아프리칸스어와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스웨덴어,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아이슬란드어, 페로어 등이 있다. 이들은 가장 기초적인 부분에서 영어와 유사성을 보이기는 하지만 이미 오래전 서로 다른 언어로 분기되었고 영어와 스코트어는 그레이트브리튼 섬에 고립되어 발달하여 어휘, 구문, 어의, 음운 등이 달라 서로 통용되지 않는다. 독일인, 더치(네덜란드, 벨기에 일부), 북유럽(핀란드 제외) 사람들은 어순이나 언어가 영어와 상당히 유사하여 진지하게 공부하지 않아도 영어로 의사소통하고, 영화를 보고 책을 읽는데 큰 부담을 느끼지 않아서 자연스레 영어를 잘 한다. 이와 같은 관련 언어 가운데 굳이 친소를 가린다면 네덜란드어가 보다 영어와 유사한 편이다. 영어는 라틴어와 프랑스어의 어휘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지리적 고립으로 인한 구문의 변화로 관련된 게르만어들과 다른 모습으로 발전하였다. 실제로 라틴어는 영어의 15%에서 30%에 달하는 어휘의 근원이 되었다고 한다. 예를 들어 "exit" 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이에 해당하는 네덜란드어 "uitgang"이 보다 원래의 뜻을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uitgang은 "나가다"는 뜻의 "uit"과 "통로"를 뜻하는 "gang" 의 합성어로 글자그대로 통로에서 나간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영어로 나타낸다면 "out-gangway"가 될 것이다.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movement" 역시 이 보다는 독일어 Bewegung이 글자그대로 "be-way-ing" 즉 "길을 따라 움직이는" 또는 "방도에 맞추어 가는"의 의미를 잘 나타낸다고 할 것이다. 현대의 영어 사용자들도 많은 프랑스 단어를 읽을 수 있는데 이 역시 노르만 침공 이후 영어에 미친 노르만어와 프랑스어의 영향을 보여준다. 영어의 어순은 다른 게르만어와는 상당히 다르다. 그러나 중세 이후 노르웨이어, 스웨덴어와 같은 북게르만어군의 어순이 영어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다음은 영어와 북게르만어군 사이에서 보이는 어순의 유사성을 나타낸 예문이다. 맨 아래의 독일어와 에 해당하는 단어의 어순을 비교해 보라. 한편, 네덜란드어의 어순은 영어와 독일어의 중간 형태를 보인다. 영어 I have still never seen anything in the square. 노르웨이어 Jeg har likevel aldri sett noe i torget. 스웨덴어 Jag har ännu aldrig sett något på torget. 독일어 Ich habe noch nie etwas auf dem Platz gesehen . 네덜란드어 Ik heb nog nooit iets gezien op het plein 한국어 나는 지금껏 그 광장에서 어떤 것도 보 지 못하 고 있다 . * * 위의 예에서 네덜란드어는 다른 게르만어군에 비해 영어와 보다 유사한 형태를 띠는데 이는 동사의 시제 변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기본형 과거형 과거분사 영어 bring brought brought 네덜란드어 brengen bracht gebracht 노르웨이어 bringe brakte brakt 구분 기본형 과거형 과거분사 영어 eat ate eaten 네덜란드어 eten at gegeten 노르웨이어 ete åt ett 영어와 다른 연관 언어 사이에는 전혀 다른 의미를 지니는 단어가 비슷한 음운을 갖는 거짓짝이 많이 있다. 일례로 과 을 들 수 있다. 또한 같은 의미를 지니는 낱말이 서로 다른 발음으로 변화한 것도 있는데 와 , 그리고 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점에도 영어는 다른 언어군들에 비해 게르만어파와 확연한 유사성을 공유하고 있다. 영어와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많은 언어에서는 "‑hood", "-ship", "-dom", "-ness"와 같은 접미사들이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접미사의 활용 방식은 조금씩 다른데 예를 들어 에 해당하는 에 쓰인 접미사 "-heit"는 영어의 "-hood"에 해당하는 것이다. 한편 영어의 "-dom"에 해당하는 접미사에 독일어에서는 종종 "-tum"이 사용된다. 이러한 접미사의 사용은 아이슬란드어, 페로어와 같은 다른 도서 게르만어에서도 볼 수 있다. 이들 역시 영어와 같이 여타의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들과는 다른 독자적인 방식으로 접미사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약 3억 7천 5백만 명이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중국어의 관화, 스페인어 다음으로 많은 수이다. 공용어와 제1외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의 수를 합산하면 영어 사용인구는 중국어 다음으로 많다. 다음의 표는 영어를 사용하는 주요 나라의 영어 사용 인구수를 나타내고 있다. 순위 국가 전체 인구 중 비율 제1언어 공용어 인구 비고 1 미국 251,388,301 96% 215,423,557 35,964,744 262,375,152 출처 US Census 2000 Language Use and English-Speaking Ability 2000, 표1. 집에서 영어를 사용하지는 않으나 영어에 능숙하다고 답한 사람은 공용어로서 영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봄. 조사 대상은 5세 이상 2 인도 90,000,000 8% 178,598 65,000,000 제2언어 25,000,000 제3언어 1,028,737,436 1991년 자료에는 제2언어인 경우와 제3언어인 경우가 합산되어 있음. 영어 화자가 곧바로 영어 사용자는 아님. 3 나이지리아 79,000,000 53% 4,000,000 >75,000,000 148,000,000 다음의 자료에서는 영어를 바탕으로 한 나이지리아 피진과 크리올의 사용자도 영어를 공용어로서 사용하는 사람의 수로 합산하였다. Ihemere, Kelechukwu Uchechukwu. 2006. " A Basic Description and Analytic Treatment of Noun Clauses in Nigerian Pidgin." Nordic Journal of African Studies 15(3) 296–313. 4 영국 59,600,000 98% 58,100,000 1,500,000 60,000,000 출처 Crystal (2005), p. 109. 5 필리핀 48,800,000 52% 3,427,000 45,373,000 92,000,000 Total speakers Census 2000, text above Figure 7. 63.71% of the 66.7 million people aged 5 years or more could speak English. Native speakers Census 1995, as quoted by Andrew Gonzalez in The Language Planning Situation in the Philippines, Journal of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Development, 19 (5&6), 487–525. (1998). Ethnologue lists 3.4 million native speakers with 52% of the population speaking it as a additional language. 6 캐나다 25,246,220 85% 17,694,830 7,551,390 29,639,030 Source 2001 Census – Knowledge of Official Languages and Mother Tongue. 모국어로서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중에는 프랑스 역시 모국어로 사용하는 이중언어 사용자 122,660 명과 영어만을 사용하는 17,572,170 명이 합산되어 있다. 7 호주 18,172,989 92% 15,581,329 2,591,660 19,855,288 출처 2006 Census. 이 자료에는 집에서 영어만을 사용하는 주민과 영어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타언어 사용자, 그리고 집에서는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5%의 경우가 합산되어 있다. 특기사항 합계 = 제1언어+공용어; First language + Other language; 백분율은 합계 기준 다음은 북아메리카 영어를 기준으로 한 모음의 표기이다. 국제 음성 기호 적요 예시 단어 단모음 전설 비원순 고모음 b ea d 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 b i d 전설 비원순 중저모음 b e d 전설 비원순 근저모음 b a d 후설 원순 저모음 b o x 후설 원순 중저모음 p aw ed 후설 비원순 저모음 br a 근후설 원순 근고모음 g oo d 후설 원순 고모음 b oo ed 후설 비원순 중저모음, 중설 근저모음 b u d. 중설 비원순 중저모음 b ir d 중설 중모음 Ros a s 중설 비원순 고모음 ros e s 복모음 전설 비원순 중고모음- 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 b ay ed 후설 원순 중고모음- 근후설 원순 근고모음 b o de 전설 비원순 저모음 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 cr y 전설 비원순 저모음 근후설 원순 근고모음 c ow 후설 원순 중저모음 전설 비원순 고모음 b oy 근후설 원순 근고모음 중설 중모음 b oor 전설 비원순 중저모음 중설 중모음 f air 다음은 국제 음성 기호 체계에 따른 영어 자음을 나타낸 것이다. 양순음 순치음 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양순연구개음 성문음 비강음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탄음 접근음 설측음 영어의 파열음이 유성음이나 유기음으로 발음되는데에는 뚜렷한 일반적인 규칙이 없으며 화자나 문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다만, 다음과 같이 규칙적으로 적용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와 같은 무성 파열음이나 와 같은 무성 파찰음이 단어의 첫음이 되거나 강세를 갖는 경우 유기음으로 발음 된다. 예를 들면 "spin"의 "p"는 첫음이 아니므로 으로 발음되고 "pin"의 "p"는 단어의 첫음이기 때문에 으로 발음된다. 마찬가지의 예로 crap 과 scrap 을 들 수 있다. * 일부 영어 화자는 강세가 없는 경우에도 유기음화된 발음을 하는 경우가 있다. * 인도 영어에서는 파열음이 유기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없다. 일부 영어 화자는 단어의 첫음으로 오는 유성파열음을 무성음으로 변이하여 발음한다. 일부 영어 화자는 단어의 끝에 오는 무성파열음을 성문 파열음으로 변이하여 발음한다. 예를 들면 "tap"은 으로, "sack"은 으로 발음한다. 미국 영어의 사투리에서는 단어의 끝에 오는 유성파열음을 무성음으로 변이하여 발음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sad"은 으로, "bag" 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발음이 일반적인 것은 아니다. 영어에는 독특한 억양이 있다. 다시 말하면 영어에서는 목소리의 높이가 구문을 이루는 요소로서 작용한다. 의문문, 감탄문, 반어법 등과 같은 특정 구문에는 이에 따르는 독특한 억양이 있다. 영어에서는 군을 이루는 단어가 하나의 억양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를 성조군이라 한다. 성조군은 단번에 발음되기 때문에 길이에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다. 보통 성조군을 이루는 단어의 수는 다섯 단어를 넘지 않으며 단숨에 발음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2초 정도이다. 다음은 대표적인 성조군의 예이다. Do you need anything? I don t, no I don t know (이 경우 또는 와 같이 축약되어 발음되기도 한다. 짧게 축약하여 발음될 때에는 Don t와 Know가 마치 "dunno"와 같이 한 단어인 것처럼 들린다.) 영어에서는 문장의 특정한 음절이나 단어, 성조군에 강세가 실린다. 이렇게 강세가 실린 음절을 핵심 음절이라 한다. 예를 들어, That | was | the | best | thing | you | could | do ! 위 문장에서 강세가 놓이는 "best" 와 "do" 가 핵심 음절이 된다. 문장의 나머지 부분은 약하게 발음된다. 영어에서는 핵심 음절을 강하게 발음함으로써 화자의 의도를 들어낸다. 어디에 강세를 두는 가에 따라 의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John did not steal that money. (... "다른 누군가가 훔쳤다.") John did not steal that money. (... "존이 훔쳤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건 아니다" 또는 "그 때 훔친 게 아니라 나중에 훔쳤다." ) John did not steal that money. (... "훔친게 아니라 번 거다.") John did not steal that money. (... "다른 돈을 훔쳤다.") John did not steal that money . (... "돈이 아닌 다른 것을 훔쳤다.") 다른 예를 들면 I did not tell her that. (... "다른 사람이 말했다.") I did not tell her that. (... "내가 했다고 하지만 아니다" 또는 "지금 말할거다") I did not tell her that. (... "난 그렇게 말한 적 없는데 그녀가 추측한 것이다" 등) I did not tell her that. (... "다른 사람에게 말했다.") I did not tell her that . (... "다른 것을 말했다") 핵심 강세는 감정을 표현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Oh , really? (..."몰랐다") Oh, really ? (..."안 믿겨" 또는 "정말이야?") 핵심 음절은 문장의 다른 부분에 비해 강하고 높게 발음된다. 또한 영어에는 문장 끝의 소리 높이가 올라가는 상승 성조와 내려가는 하강 성조가 있다. 두 성조를 합쳐 상승-하강 성조나 하강-상승 성조로 쓰이기도 한다. 대표적인 성조의 사용으로는 의문문에서 쓰이는 상승 성조이다. 영어에서 상승 성조는 화자가 그 사실을 알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의 예문을 보면, When do you want to be paid? : Now? (상승 성조. 이 경우 "지금 받을 수 있을까요?" 또는 "지금 줄 수 있나요?" 의 뜻이 된다.) : Now. (하강 성조. 이 경우 "지금 받았으면 좋겠네요"의 뜻이 된다.) 영문법은 다른 인도유럽어족에 비해 어형 변화가 간결한 편이다. 예를 들면, 현대 영어에서는 독일어, 네덜란드어와 같은 다른 서게르만어군나 로망스어군과는 달리 문법상의 성(性) 구분이 거의 없다. 또한 수·격·인칭·성에 따른 동사의 조화도 드문 편이다. 격은 거의 사라져 대명사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 게르만어파 특유의 동사변화 규칙도 많이 사라졌기 때문에 강한 동사변화(예:speak/spoke/spoken)와 약한 동사변화(예:love/loved/loved)는 이전 시기의 영어에 비해 엄격하지 않다. 이와 같은 변화로 인해 영어는 고립어와 같은 성격을 띠게 되어 양상 동사와 어순 등이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한편, 영어는 의문문, 부정문, 수동태와 같은 태의 표현, 상황의 설명을 위한 상 등을 나타내기 위해 조동사를 사용한다. 영어의 품사는 총 8개이며, 이들을 가리켜 "8품사" (8 Parts of Speech)라고 부른다.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접속사 전치사 대명사 감탄사 영어 단어는 수세기에 걸쳐 변화를 겪어왔다. 다른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영어 역시 많은 단어가 원 인도유럽어에서 유래하였다. 영어 독일어 고트어 라틴어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 I (ic) ich ik ego ego() aham me mich, mir mik, mīs me eme() mam one eins ain unus oinos mother Mutter mater meter() matr mouse Maus mus mys() mus 현대 영어에서도 대명사, 전치사, 접속사, 양상 동사 등은 대부분 게르만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영어 구문과 문법의 기본적인 토대를 이루고 있다. 고대 영어나 고대 노르드어와 같은 게르만어에서 유래한 이러한 단어들은 일반적으로 라틴어와 같은 언어에서 유래한 단어보다 짧다. 이에는 두 가지 이유를 들 수 있는데 우선 단어의 축약 현상이 있었다. 고대 영어의 hēafod가 현대 영어의 head로 고대 영어의 sāwol이 soul로 변한 것이나, 끝 소리가 강세를 잃어 gamen이 game으로 ǣrende가 errand로 변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다른 이유는 노르만 정복이후 라틴어나 프랑스어가 정치, 학문, 예술의 전 분야에서 사용되면서 음절이 긴 토박이말들이 사라졌다는 점이다. 같은 뜻을 나타내는 데 토박이말보다는 라틴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교양있는 것으로 여겨지면서 이러한 현상이 가속화되었다. 조지 오웰은 《정치와 영어》라는 수필을 통해 이러한 단어 사용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현대 영어에서도 여전히 게르만어에서 유래한 단어와 동의어인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ome과 arrive, sight와 vision, freedom과 liberty 등이 그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여기에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동의어가 추가된다. 예를 들어 게르만어에서 유래한 oversee 대신 라틴어에서 유래한 supervise나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survey를 동의어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영어에는 다양한 출처에서 들여온 단어들이 있다. 예를 들어 warranty는 앵글로노르만어에서 온 것이고 guarantee는 페르시아계 프랑스어에서 온 것이다. 어떤 단어들은 이렇게 여러 곳에서 유래한 동의어들이 두루 쓰이기도 하는데 고대 영어에서부터 사용된 sick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ill,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infirm, 라틴어에서 유래한 afflicted와 같은 단어들과 동의어군을 이루고 있다. 영어의 사용에서 이러한 동의어의 선택은 뉘앙스와 같은 것을 함께 전달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라틴어에서 유래한 것이든 게르만어에서 유래한 것이든 이제는 영어에서만 사용되는 단어들도 있다.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영어에서만 사용되는 것들로는 mountain, valley, river, aunt, uncle, move, use, push, stay 같은 단어들이 있고 게르만어에서 유래한 것으로는 , abandonment, debutant, feudalism, seizure, guarantee, disregard, wardrobe, disenfranchise, disarray, bandolier, bourgeoisie, debauchery, performance, furniture, gallantry와 같은 단어들이 있다. 앵글로-색슨어에서 나온 단어들로는 acknowledge, meaningful, understanding, mindful, behaviour, forbearance, behoove, forestall, allay, rhyme, starvation, embodiment와 같은 단어들이 있다. 한편, 유래를 밝히기 어려운 단어들 역시 많이 있다. 영어 단어를 가장 많이 만든 사람 중에는 셰익스피어 가 있다. 실제로 셰익스피어의 희곡에는 단어에 수많은 주석이 달려 있다. 현대에 들어와서도 영어 단어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많은 단어가 cookie(쿠키)나 URL과 같은 과학 기술 용어이다. 또한 속어 와슬랭의 사용으로 인해 단어가 가지고 있던 원래의 뜻에 새로운 의미가 더해지기도 한다. 때때로 사건으로 인해서 신문 등이 단어를 만들기도 한다. Chaebol(재벌), Panmunjom(판문점)과 같은 한국어 기원의 영어 단어, Kancho(윤하), Tonkatsu(돈가스),Tofu(두부)와 같은 일본어 기원의 영어 단어와 같이 여러 문화와의 교류를 통해 외래어가 더해지고 있다. 영어 단어의 수를 명확히 산출할 수 없는 이유를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단어는 널리 확산되고 문화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어 그 수를 한정지어 산출할 수 없다. 어떤 방향에서든 중심적인 단어는 잘 정리되어 있으나 외연은 모두 확인하기 힘들다. 광대한 영어 단어의 수를 산출하는 데에는 또 다른 어려움이 있다. 우선 영어는 프랑스어(아카데미 프랑세즈), 스페인어(스페인 왕립 학술원)등과 달리 공식적인 어문기구가 없다. 또한 의료, 과학, 기술 분야를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신조어가 계속하여 만들어지고 있다. 그리고 속어의 사용으로 인한 단어의 의미변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끝으로 외국어 역시 다수의 영어 화자가 이를 사용할 경우 넓은 의미에서 영어로 취급된다. 1933년 옥스포드 영어 사전 제2판은 60만 단어 이상을 등재하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본 사전에는 문학과 회화에서 사용되는 표준 영어뿐만 아니라 과학 기술 분야의 신조어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속어등을 두루 수록하였다. 47만 5천여 중심 단어를 수록하고 있는 웹스터 사전은 매해 2만5천여 단어를 추가로 등재하고 있다. 글로벌 랭귀지 모니터에 따르면 2009년 6월 10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영어 단어의 수는 약 1백만 개에 이른다. 대한민국에서 영어가 처음으로 교육되기 시작한 것은 조선 말기인 1883년 동문학이 세워지면서부터였다. 이후 1886년 육영공원에서 영국인 교사들이 영어로만 영국식 영어를 가르치는 최초의 영어몰입교육 (물론 직접식 교수법)이 시작되고 배재학당 (현재의 배재중학교, 배재고등학교, 배재대학교), 이화학당 (현재의 이화여자대학교)에서도 영어 교육이 중시되고 1895년 설립된 관립 외국어 학교에서 영어 전공 학생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등 다른 언어 전공 학생을 제치는 등 1910년까지 활발하게 교육되다가 1910년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이 조선에서의 영어 교육을 대폭 축소해 암흑기에 빠졌다. 그 시기에 강사는 일본어에 능통해야 한다는 법 때문에 영어 강사들도 발음이 좋지 않은 일본인 강사로 채워졌다. 영어 교습법도 이 시기부터 직접식 교수법 에서 문법 번역식 교수법 으로 바뀌었다. 이후 1920년~1941년까지는 영어가 다른 외국어에 비해 충실하게 교육되다가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영어 교육이 다시 억압되었다. 1946년 서울대학교의 설립으로 영어영문학과가 설립되어 영문학 (영미 시, 영미 소설, 영미 희곡) 연구가 시작되었고, 대한민국 건국 이후부터 영어는 미국식 영어로만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교육되었다. 1960년대 이후 최초의 공인 영어 시험으로 TOEFL과 TOEIC이 차례대로 소개되었다. 1980년대에는 일제 시대식 문법 중심 교육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서 독해/회화/듣기 중심 교육 (청각 구두식 교수법)으로 바뀌었다. 1983년에는 중, 고등학교 시험에 영어 듣기평가가 도입되고 1984년에는 학력고사에도 듣기 평가가 도입되어 수능으로까지 이어졌다. 1997년부터는 기존 중학교 1학년부터 배우던 영어 교과 를 초등학교 3학년부터 배우도록 확대하였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는 영어몰입교육과 영어 공용화 논쟁이 일어나고 있으며, TEPS는 물론 토종 영어 시험이라고 할 수 있는 TOSEL까지 개발하였다. 2014년 기준으로 한국의 유치원에서도 영어를 가르치고 있다. 또 대학에서는 영문학이나 영어 교육 전공이 아닌 교수들도 영어로 강의하게 하기도 하며, 대부분의 대학에서 영어를 교양필수 과목으로 지정하고 최소 2학기에서 최대 8학기까지 이수하게 하고 있다. 카투사나 영어 통역병과 같이 지원 시 영어 공인 점수를 요구하는 병과도 있다. 교수법은 조선 시대에는 직접식 교수법으로, 일제 때는 문법 번역식 교수법으로, 현대에는 일부가 문법 번역식 교수법을 따르고 일부는 청각 구두식 교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고등 학교의 경우 영어 관련 교과목 수는 6개이다. (영어 I, 영어 II, 실용 영어 회화, 심화 영어 회화, 영어 독해와 작문, 심화 영어 독해와 작문) 현재 일부 학교에서는 원어민 교사 를 채용하여 청각 구두식 교수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인이 구사하는 영어의 억양은 대개 캘리포니아 억양 혹은 이에 기반한 한국식이고, 그 다음이 표준 미국식 억양이다. 영국 영어를 구사하는 한국인은 그렇게 많지 않다. 다만 워킹홀리데이에 미국이 동참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가까운 미래에 한국인이 구사하는 영어는 영국식 영어에 가까워질 수도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영국 영어만을 교육하며, 교육 방식도 대한민국과는 달리 영국의 교과서를 사용한다. 교육 시기도 늦어서 대개 중학교부터 영어를 배운다. 유치원 과정에서는 영어를 가르치지 않는다는 점이 대한민국과의 큰 차이점이다. 또한 교과서에서도 김씨 일가 우상화 내용이 담겨 있고 남한에 대해 부정적인 내용으로 묘사하고 있다. 영국과 미국 영어의 차이 (American and British English differences) 미국 영어(American English) * 미국 영어 중 미국 본토에서 사용되는 7개의 방언 (뉴잉글랜드, 뉴욕, 펜실베이니아 서부, 북부, 중부, 남부, 서부) * 필리핀 영어 * 하와이 영어 * 알래스카 영어 * 캐나다 영어(Canadian English) 영국 영어(British English) * 홍콩 영어 * 중국 영어(Chinese English) * 싱가포르식 영어(Singpore English) * 인도네시아 영어 * 말레이시아 영어(Manglish) * 인도 영어(Indian Inglish) * 스페인 영어(Spainish English) * 중동 영어 * 러시아 영어(Russian English) * 아라비아 영어 * 호주 영어 * 뉴질랜드 영어 * 스코틀랜드 영어(Scottish English) * 아일랜드 영어 * 아프리카 영어(African English) * 라이베리아 영어 * 자메이카 영어자메이카 영어 * 카리브해 영어(Caribbean English) * 독일 영어(German English) * 타이 영어 * 베트남 영어 * 남극 영어(영국식과 미국식의 중간형) 쉬운 영어(플레인 잉글리시) 쉬운 영어 쓰기 운동( Plain English Campaign, PEC ) 간결 영어( Simple English) 간화 영어( Simplified English) 영어 세계( English-speaking world) 영어 사용자 수에 따른 나라 목록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나라별 영어 사용자 수 토익(TOEIC) / 토플(TOEFL) / 아이엘츠(IELTS) 앵글리시 인터랭귀지(중간 언어) 브로큰 잉글리시( Broken English, 엉터리 영어 라고도 함) 잉그리시(Engrish) 한국어식 영어(Konglish, 콩글리시) 일본어식 영어(Japlish, 재플리시) 중국어식 영어( Chinglish, 칭글리시) 비원어민의 영어발음( Non-native pronunciations of English) 내용주 참조주 Ammon, Ulrich (2006). Sociolinguistic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science of language and society. Walter de Gruyter. . Baugh, Albert C.; Thomas Cable (2002). A hi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5th ed.). Routledge. .. Bragg, Melvyn (2004). The Adventure of English The Biography of a Language. Arcade Publishing. . Crystal, David (1997).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rystal, David (2003).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the English language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ayford, Harrison; Howard P. Vincent (1954). Reader and Writer. Houghton Mifflin Company... Kenyon, John Samuel and Knott, Thomas Albert, A Pronouncing Dictionary of American English, G & C Merriam Company, Springfield, Mass, USA,1953.. Mazrui, Alamin (1998). The power of Babel language & governance in the African experie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McArthur, T. (ed.) (1992). The Oxford Companion to the English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 McCrum; Robert MacNeil, William Cran (1986). The Story of English (1st ed.). New York Viking. .. Plotkin, Vulf (2006). The Language System of English. BrownWalker Press. .... Robinson, Orrin (1992). Old English and Its Closest Relatives. Stanford Univ. Press. .. Schneider, Edgar (2007). Postcolonial English varieties around the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 Wardhaugh, Ronald (2006). An introduction to sociolinguistics. Wiley-Blackwell. . 영어/한국어 단어 사전 케임브리지 사전 Collection of English bilingual dictionaries dict.org Dictionary of American Regional English English language word roots, prefixes and suffixes (affixes) dictionary Merriam-Webster s online dictionary Macquarie Dictionary Online 분류:굴절어 분류:게르만어파 분류:가나의 언어 분류:가이아나의 언어 분류:감비아의 언어 분류:그레나다의 언어 분류:나미비아의 언어 분류:나우루의 언어 분류:나이지리아의 언어 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 분류:뉴질랜드의 언어 분류:도미니카 연방의 언어 분류:라이베리아의 언어 분류:레소토의 언어 분류:르완다의 언어 분류:마다가스카르의 언어 분류:마셜 제도의 언어 분류:마카오의 언어 분류:말라위의 언어 분류:모리셔스의 언어 분류:몰타의 언어 분류:미국의 언어 분류: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언어 분류:바누아투의 언어 분류:바베이도스의 언어 분류:바하마의 언어 분류:방글라데시의 언어 분류:벨리즈의 언어 분류:보츠와나의 언어 분류:사모아의 언어 분류:세이셸의 언어 분류:세인트루시아의 언어 분류: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의 언어 분류:세인트키츠 네비스의 언어 분류:솔로몬 제도의 언어 분류:수단의 언어 분류:시에라리온의 언어 분류:싱가포르의 언어 분류:아메리칸사모아의 언어 분류:아일랜드의 언어 분류:앤티가 바부다의 언어 분류:에스와티니의 언어 분류:영국의 언어 분류:영국령 버진아일랜드의 언어 분류:오스트레일리아의 언어 분류:우간다의 언어 분류:인도의 언어 분류:자메이카의 언어 분류:잠비아의 언어 분류:짐바브웨의 언어 분류:카메룬의 언어 분류:캐나다의 언어 분류:케냐의 언어 분류:케이맨 제도의 언어 분류:키리바시의 언어 분류:탄자니아의 언어 분류:토켈라우의 언어 분류:통가의 언어 분류:투발루의 언어 분류: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언어 분류:파키스탄의 언어 분류:파푸아뉴기니의 언어 분류:팔라우의 언어 분류:피지의 언어 분류:필리핀의 언어 분류:일본의 언어 분류:홍콩의 언어 분류:SVO형 언어 분류:핀우그리아어파
색 공간 (色空間은 색 표시계(color system)를 3차원으로 표현한 공간 개념이다. 색 표시계의 모든 색들은 이 색 공간에서 3차원 좌표로 나타낸다. 여기서 색 표시계(color system)란 CIERGB, CIEXYZ, CIELAB, CIELUV 등의 색 체계를 말한다. 최근 디자인 학계나 산업계에서 색채 디자인 또는 시각 디자인을 연구하거나, 카메라, 스캐너, 모니터, 컬러 프린터 등의 컬러 영상 장비 개발 및 응용 단계에서 색 공간은 정확한 색을 재현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색 디자인이나 디지털 색 처리에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색 공간인 CIELAB 색 공간은 먼셀 색 표시계의 기본 원리인 색의 3속성(색상, 명도, 채도)을 살림과 동시에 CIEXYZ 색 표시계의 불균등한 색 공간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이 색 공간은 색상(hue), 명도(lightness), 채도(chroma)를 3차원 공간의 각각의 기본 축으로 하는 공간이다. 여기서 CIELAB은 CIE 1976 L*a*b*의 약식 명칭이고, CIE 1976 L*a*b*은 공식 명칭이다. 색의 3속성인 색상(hue), 명도(lightness), 채도(chroma)를 3차원 공간의 각각의 축으로 형성된 색 공간은 컬러 디자인이나 컬러 공학 등의 학문 또는 산업분야에서 컬러를 다루는 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이해하여야 할 개념이다.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 등으로 구분되는 색을 나타내는 색상(hue)은 색 공간을 지구로 비유할 경우 적도 상에서 경도 즉, 색상각(hue angle)으로 표현, 0도~360도의 범위를 가지며, 시계 방향으로 변화된다. 또한 이 색 공간은 대응색(opponent color) 관계를 쉽게 나타낸다. 대응색 관계란 명도 축을 기준으로 대칭의 위치에 있는 두 색의 관계를 말하며 서로 보색 관계에 있을 나타낸다. 모든 색들의 밝고 어둠을 나타내는 명도(lightness)는 색 공간을 지구로 비유할 경우 남극과 북극을 연결하는 축으로서 남극을 검정색, 북극을 흰색으로 하며 그 사이에는 회색들로 배열된다. 모든 색들의 깨끗한 정도를 나타내는 채도(chroma, saturation)는 색 공간의 명도축을 0으로 하고 적도에 가까이 갈수록 커진다. 색 공간의 중요한 용도 가운데 하나는 색차 계산(color difference)이다. 이는 색 공간에 존재하는 두 점 즉, 두 색들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공학적으로 활용한다. 예를 들면 컬러 영상 분할(color image segmentation)은 CIELAB 색 공간에서 색차 계산 결과를 이용하여 CIELAB 색 공간에서 영상 분할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간혹 컬러 영상 분할에 관한 연구 논문들 중에는 RGB 데이터를 바탕으로 색차 계산한 결과를 가지고 RGB 데이터로 영상분할을 한 논문들이 발견되곤 하는데 이는 치명적인 오류에 해당된다. 왜냐하면 컬러 영상 장비에서 다루는 RGB는 시각의 RGB가 아니고 단지 코드에 불과할 뿐 아니라 균등색 공간(uniform color space)도 아니기 때문에 공학적인 계산은 의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부정확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색 공간의 응용에는 색감에 따른 색의 배열이나 배치(grouping)가 있다. 각종 산업 디자인에 흔히 쓰이고 있는 색감 즉, 따뜻한 색, 차가운 색 등의 배열이나 배치는 CIELAB 색 공간에서 좌표로 다룰 경우 개념이 분명해질 뿐만 아니라 정확성이 보장된다. 그러나 CIELAB 색 공간은 CIEXYZ 색 공간으로 변환한 다음 다시 RGB나 CMY 데이터로 변환해야 하는 필수적인 과정이 있다. 문제는 이러한 과정이 쉽거나 단순하지 않다는 데 있다. 이는 색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RGB 색 공간 모형 RGB 색 공간은 색을 혼합하면 명도가 올라가는 가산 혼합 방식으로 색을 표현한다. RGB 가산혼합의 삼원색은 빨강( R ed), 녹색( G reen), 파랑( B lue)을 뜻한다. RGBA은 RGB와 동일하며, 알파( A lpha)라는 투과도를 덧붙인 것이다. RGB 색 공간은 삼원색에 해당하는 세 가지 채널의 밝기를 기준으로 색을 지정한다. RGB 색 공간은 웹 색상 표현의 기본 원리이다. CMYK 색 공간의 원리 CMYK 색 공간은 인쇄과정에서 쓰이는 감산 혼합 방식으로, 흰 바탕에 네 가지 잉크의 조합으로 색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색을 혼합하면 명도가 낮아지기에 감산 혼합이라고 한다. CMYK는 인쇄에 쓰이는 4가지 색은 옥색( C yan), 자청색( M agenta), 노랑( Y ellow), 검정(Blac k )을 뜻한다. HSV 색공간 모형 HSV 색 공간은 색상( H ue), 채도( S aturation), 명도( v alue)를 기준으로 색을 구성하는 방식이다. 감산 혼합이나 가산 혼합보다 색상의 지정이 직관적이기 때문에 시각 예술에서 자주 쓰인다. CIE는 국제 조명 위원회()를 프랑스어식으로 표기한 준말이며, CIE 색 공간이란 컬러 매칭 실험을 통하여 생성된 R, G, B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CIEXYZ 색 공간과 CIELAB 색 공간, 그리고 CIELUV 색 공간이 대표적인 색 공간이다. 여기서 CIEXYZ 색 공간은 균등 색 공간 이 아니어서, 이를 수식적으로 변환하여 만들어진 것이 CIELAB 색 공간과 CIELUV 색 공간이며, 이 두 색 공간은 색차를 계산할 때 비교적 정확한 계산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균등 색 공간 이란 불균등 색 공간 의 대립 개념이며, 불균등 공간에서는 색상들을 나타내는 선, 채도들을 나타내는 선들이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하게 배열되기 때문에 색 공간에서 두 점의 거리 즉, 색의 차이를 계산하면 정확하지 않다. 팬톤 (Pantone) 먼셀 색상계 NCS 색상계 YIQ는 미국과 대한민국 컬러 텔레비전의 NTSC 방식에 쓰이는 색 공간이다. YIQ는 휘도(輝度, luminance)와 빨강과 파랑에 대한 두 가지 색차값으로 색을 나타낸다. 이 색 공간은 PAL 방식에서 쓰이는 YUV와 관련이 깊다. 실제로 YIQ 색 공간은 YUV 색 공간을 33도 돌려놓은 것일 뿐이다. RGB Y=0.299R + 0.587G + 0.114B I=0.596R - 0.274G - 0.322B Q=0.211R - 0.523G + 0.312B YCbCr은 MPEG, JPEG 등과 같은 디지털 이미지 압축 형식에 많이 쓰인다. HLS는 HSV와 비슷하나, v대신에 밝기( l ightness) 성분이 들어간다. RG 초기 컬러 필름 RGK 초기 컬러 인쇄 초기 색 공간은 두 개의 성분을 갖고 있었다. 당시에는 청색광을 무시했다. # R. W. G. Hunt, The Reproduction of Colour in Photography, Printing & Television, 5th Ed. Fountain Press, England, 1995. # Mark D. Fairchild, Color Appearance Models, Addison-Wesley, Reading, MA (1998). # 조맹섭, 디지털 컬러의 기본원리, 도서출판국제, 2006 # 조맹섭, 디지털 컬러 프로세싱, 도서출판국제, 2006 색 이론 색 목록 Charles Poynton s Color FAQ Dan Bruton s Color Science Color-Scheme - open source color space management package written in Scheme RGB-Color Mixer Java Applet Java-Plugin required
세실 존 로드의 케이프-카이로 철도 계획을 풍자한 그림. 영국의 아프리카 남북 분할의 상징이다. troops capture Chin-Keang-Foo.jpg|섬네일|제1차 아편 전쟁의 전투기록화 19세기 (19世紀는 1801년부터 1900년까지의 기간이다. 19세기 동안 세계는 제국주의가 팽배하여 여러 서구 열강들이 세계 곳곳을 점령하여 식민지로 삼았다. 이전 시기부터 진행되어 온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는 19세기에 전 세계로 확대되었는데, 1884년 벨기에의 국왕이 주최한 베를린 회의에서 아프리카의 각지를 유럽 열강들의 식민지로 삼기로 결정한 아프리카 분할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19세기 세계적인 제국으로는 대영 제국, 러시아 제국, 독일 제국 등이 있었으며, 공화국이었던 프랑스와 미국 역시 제국주의적인 정책을 펼쳤다. 프랑스는 1885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세워 지금의 라오스, 베트남, 캄보디아 지역을 식민 지배하였다. 미국은 1898년 필리핀-미국 전쟁을 벌이고 필리핀을 식민지로 삼았다. 워털루 전쟁 종전 직후 유럽을 중심으로한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확대에 따라 세계 각지의 전통적인 국가들은 몰락하였다. 아프리카에 있던 이페, 에티오피아, 만딩고 제국, 송가이 제국, 다호메이, 콩고 왕국, 모노모타바 왕국, 보르누 왕국과 같은 여러 나라들은 식민지로 전락하였고,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제국이었던 청나라는 점차 서구 열강의 침략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아편 전쟁 이후 반식민지 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일본은 1853년에 우라가 앞바다에 나타난 매슈 페리가 이끈 미국 해군 함대인 흑선의 등장 이후 미국과 불평등 조약인 가나가와 조약을 맺었고, 이후 메이지 유신으로 도쿠가와 막부가 붕괴된 이후 스스로 제국주의를 표방하고 일본 제국을 수립하였다. 한국의 역사에서 19세기는 조선의 순조부터 대한제국의 고종에 이르는 시기이다. 정조의 사망으로 1800년 순조가 11세의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영조의 계비인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였다. 정순황후는 노론 벽파에 속하였으며, 정치적 입지 강화를 위해 당시 남인 사이에 서학이라는 이름으로 전파되고 있던 천주교를 박해하여 신유사옥이 일어났다. 순조는 1804년부터 친정을 하였으며 정순왕후의 세력을 견제하고자 노론 시파인 김조순의 딸을 왕비로 맞이하였고, 이후 안동 김씨, 풍양 조씨 등이 비변사를 장악하여 세도정치가 이루어졌다. 이후 헌종, 철종 시기에 이르기까지 세도정치가 계속되었다. 19세기 조선은 지역 차별과 삼정의 문란 등으로 인해 각종 민란이 끊이지 않았다. 1811년 일어난 홍경래의 난은 서북 지역에 대한 차별이 주요 원인이었고, 이 외에도 가혹한 수탈을 견디지 못한 농민들이 산으로 숨어 화전민이 되거나, 심할 경우 명화적이나 수적이 되는 일이 많았다. 조선 후기 민란은 전국 각지에서 일어났으며, 특히 1862년 삼남지방의 임술농민항쟁은 매우 큰 사회적 충격을 가져왔다. 1863년 철종이 후사없이 사망하자 인조의 후손인 고종이 즉위하였다. 즉위 초기에는 흥선대원군이 섭정을 하였으나, 일본의 대정봉환에 따른 국교 수립 요청과 운요호 사건 이후 강화도 조약 채결을 즈음하여 친정을 하였다. 1897년 고종은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바꾸고 황제로 즉위하여 연호를 광무라 하였다. 한편, 19세기는 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발견이 이루어진 시기이기도 하다. 찰스 다윈은 1859년 《종의 기원》을 발표하여 생물 진화의 사실을 제시하고, 진화의 원인으로 자연 선택을 제시하였다. 루이 파스퇴르는 1861년 《자연발생설 비판》을 출간하여 발효와 부패는 미생물에 의한 것임을 증명하였고, 백신을 통한 전염병 예방법을 확립하였다. 생물학의 발전에 힘입어 서양의 의학역시 발전하여 사망률이 감소함에 따라 인구가 증가하였다. 유럽의 인구는 19세기 동안 2억여 명에서 4억여 명으로 두 배가 되었다. 물리학 분야에서는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이 맥스웰 방정식을 수립하여 전기와 자기가 동일한 현상임을 입증하고 전자기 복사를 예견하였다. 조사이어 윌러드 기브스는 열역학의 여러 법칙의 확립에 기여하였다. 그가 도입한 기브스 자유 에너지 개념은 오늘날에도 중요한 기초 과학 법칙으로 사용되고 있다. 19세기에는 여러 새로운 사상이 출현하였다. 허버트 스펜서 등의 사회진화론 주장자들은 다윈의 자연선택 개념을 왜곡하여 사회에 도입하는 적자생존 논리로 유럽 열강의 제국주의를 옹호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회진화론은 서구 열강의 식민지배를 적극 옹호하는 이론으로 사용되었다. 영국의 러디어드 키플링은 백인의 짐이라는 시를 발표하여 서구의 제국주의가 인류 역사에 대한 의무를 다하는 것이라고까지 하였다. 한편,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공산당 선언》 과 《자본론》 을 출간하여 이후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에 큰 영향을 주었다. 마르크스의 작업은 그의 사상에 대한 찬반 여부를 떠나 사회학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외에도 19세기에는 오늘날에도 주목 받고 있는 많은 철학자들이 독특한 사상을 발표하였다. 쇠렌 키르케고르, 프리드리히 니체, 아르투어 쇼펜하우어와 같은 철학자들이 대표적이다. 산업혁명 시대 유럽의 제국주의 시대 * 영국 - 빅토리아 시대 * 프랑스 - 부르봉 왕정복고, 7월 왕정, 프랑스 제2공화국, 프랑스 제2제국, 프랑스 제3공화국 * 독일 - 독일 제국 * 러시아 - 러시아 제국 아프리카 북부와 중동 - 오스만 제국 시대 중국 - 청나라 시대 일본 - 에도 시대, 메이지 시대 한국 - 조선 시대 1801년 - 조선에서 신유박해가 일어남. 1811년 - 조선에서 홍경래의 난이 일어남. 1818년 - 쇼펜하우어 > 출간. 1839년 - 청 - 영국 사이에 제1차 아편 전쟁이 일어남. 1842년 - 청 - 영국 사이에 난징 조약 체결. 1844년 - 새뮤얼 모스가 모스 부호를 사용하는 모스 통신기를 발명. 1853년 - 미국 - 도쿠가와 막부 사이에 가나가와 조약 체결. 1853년 - 러시아 제국과 영국, 프랑스, 사르데냐 왕국, 오스만 제국 연합군 사이에 크림 전쟁이 일어남. 1856년 - 제2차 아편 전쟁이 일어남. 1859년 - 찰스 다윈 《종의 기원》 출간. 1861년 - 루이 파스퇴르 《자연발생설 비판》출간. 1861년 - 미국의 북부와 남부 사이의 내전인 미국 남북 전쟁이 일어남. 1862년 - 조선에서 임술농민봉기가 일어남. 1866년 - 조선 - 프랑스 사이에 병인양요가 일어남. 1867년 - 일본 대정봉환으로 막부 정치 붕괴. 1870년 - 프랑스와 프로이센 사이에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이 일어남. 1871년 - 파리 코뮌이 결성되나 진압됨. 1871년 - 미국 - 조선 사이에 신미양요가 일어남. 1873년 -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전자기론》출간. 1876년 - 조선 - 일본 사이에 강화도조약 체결. 1876년 - 미국 - 조선 사이에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 1882년 - 조선에서 임오군란이 일어남. 1884년 - 조선에서 갑신정변이 일어남. 1885년 - 프랑스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세워 라오스, 베트남, 캄보디아를 식민지로 삼음. 1884년 - 조선에서 고부농민봉기가 일어남. 1897년 - 고종이 대한제국의 황제로 즉위. 1898년 - 필리핀 - 미국 사이에 필리핀-미국 전쟁이 일어나 필리핀이 미국의 식민지가 됨. 1899년 - 대한제국 경인선 개통. 1900년 - 타카미네 조이치(高峰 譲吉)가 아드레날린을 발견. 김옥균(1851년 - 1894년) 대한제국 고종(1852년 - 1919년) 라마 5세(1853년 - 1910년) 레프 톨스토이(1828년 - 1910년) 명성황후(1851년 - 1895년) 메이지 천황(1852년 - 1912년) 벤저민 디즈레일리(1804년 - 1881년) 빅토리아 (1819년 – 1901년) 쇠렌 키르케고르(1813년 - 1855년) 아르투어 쇼펜하우어(1788년 - 1860년) 에바리스트 갈루아(1811년 - 1832년) 에이브러햄 링컨(1809년 - 1865년) 오토 폰 비스마르크(1815년 - 1898년) 위안스카이(1859년 - 1916년) 윌리엄 글래드스턴(1809년 - 1898년) 이토 히로부미(1841년 - 1909년) 주세페 가리발디(1807년 - 1882년) 지그문트 프로이드(1856년 1939년) 찰스 다윈(1809년 - 1882년) 카밀로 카보우르(1810년 - 1861년) 카를 마르크스(1818년 - 1883년) 루이 파스퇴르(1822년 - 1895년) 페르디낭 드 레셉스(1805년 - 1894년) 표도르 도스토옙스키(1821년 - 1881년) 프리드리히 니체(1844년 - 1900년) 호세 리살(1861년 - 1896년) 홍수전(1814년 - 1864년) 흥선대원군(1820년 - 1898년) 19세기 열강들의 국제관계(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Great Powers (1814–1919)) 3C 정책 - 영국 * 아프리카 종단 정책 - 3C 정책중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부분정책 3B 정책 - 독일 아프리카 횡단 정책 - 프랑스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 (, 약칭 브리튼 () 또는 연합 왕국 (聯合 王國, , U.K.) 혹은 영국 (英國)은 유럽 북서부 해안의 브리튼 제도에 위치한 국가이다. 북해, 영국 해협, 아일랜드해 및 대서양에 접하여 있으며 그레이트브리튼섬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및 아일랜드섬 북부의 북아일랜드로 네 개의 구성국이 연합해 형성한 단일 국가이다. 수도는 런던이고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의 수도는 각각 에든버러, 카디프, 벨파스트이다. 아일랜드섬의 영국령인 북아일랜드는 아일랜드 공화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해외 영토까지 포함 시 스페인(영국령 지브롤터), 키프로스(아크로티리 데켈리아)와 국경을 공유하고 있다. 케이맨 제도, 버뮤다와 같이 해외 본토의 일부는 아니나 영국의 군주의 지배 하에 있는 영토들도 있다. 해외 영토 거주민들과 영국 본토를 비롯한 유럽 연합의 국민들은 서로의 지역에 거주할 권리가 없으며 상호간의 이민도 자유롭지 않다. 영국은 입헌군주제를 기본으로 하여 근대적 의회제도와 의원내각제를 전 세계로 전파시킨 국가이며 산업혁명의 발원지로 제일 먼저 산업화가 된 나라이자 19세기와 20세기 초반 세계 인구와 영토의 1/4을 차지한 유일의 초강대국이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쇠퇴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세계에 경제, 문화, 군사, 과학, 정치적인 영향을 끼치는 강대국 중 하나로 남아 있으며 특히 대중 음악은 비틀즈와 롤링 스톤스, 레드 제플린, 퀸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세계에 막대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핵무기 보유국이고 2018년 기준으로 군사비 지출은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크다. 2018년 명목 국내총생산은 세계 5위였으며, 시가총액 기준 세계 50대 기업 중 로열 더치 쉘, BHP 빌리튼, 보다폰, HSBC, BP,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유니레버가 영국 기업이었다. 대졸자 초봉은 2010년 기준으로 약 25000파운드(한화 약 3,671만7,500원)이다. 정식명칭은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이며, 약칭으로 브리튼 이라고 한다. 대한민국에서 영국 이라 부르는 것은 연합왕국의 구성국인 잉글랜드의 한자 표기에서 나온 것으로 다른 한자 문화권에서도 수용된다. 영(英){중국어발음은 잉(병음 Yīng)}은 잉글랜드(England)의 잉(Eng-)을 음역(音譯)한 것이고, 국(國)은 랜드(-land)를 의역한 것이다. 한자 문화권에서 이 이름은 연합왕국 전체를 통칭하는 경우가 많지만 문맥에 따라서 여전히 잉글랜드만을 뜻하기도 하여 중의적 의미가 있다. 일본에서는 잉글랜드를 뜻하는 포르투갈어 잉글레스()의 음역인 이기리스 ( 또는 )로도 쓰인다. 잉글랜드 왕국 및 스코틀랜드 왕국은 따로 나뉜 주권자와 독립한 나라로서 그들 자신의 군주와 정치적인 구조를 가지며 9세기부터 존재해 왔다. 일단 웨일스 공국이 1284년에 러들랜 법(Statute of Rhuddlan)에 따라 잉글랜드 왕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603년부터 왕국연합(Union of the Crowns)이라는 동군연합 상태였던 잉글랜드(웨일스를 포함한)는 1707년 연합법(Acts of Union 1707)에서 스코틀랜드와 합병하였다. 이로써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의 형태로 정치적 연합이 이루어졌다. 1800년 연합법(Act of Union 1800)은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에 아일랜드 왕국을 병합시켰다. 당시 아일랜드는 리머릭 조약(Treaty of Limerick)에 따라 1541년부터 1691년까지 점차 잉글랜드의 지배를 받아 가던 상태였다. 그에 따라 1801년에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이 성립하였다. 1922년 아일랜드 공화국 독립은 2년 전에 아일랜드 섬의 분할에 따른 결과며, 얼스터 지방(province)의 9개 주(county) 가운데 6개 주가, 1927년에 현재 이름으로 바뀐 영국령으로 남겨졌다. 영국은 철학적이고 과학적인 정보 및 유력한 문학과 연극의 전통을 가진 계몽시대의 중요한 국가였다. 그 다음 세기 내내 영국은 문학, 예술 및 과학에 획기적으로 공헌한 의회 민주주의와 같은 서양 사상의 발전에서 주역이 되었다. 초기 대영 제국의 부는 다른 강국처럼 역시 1750년 이후에 있었던 노예무역의 산업화를 포함한 식민 착취에 의해 그 일부는 생성되었다. 18세기 영국의 노예 매매는 세계에서 가장 강력했던 영국 함대가 아프리카 노예를 아메리카 대륙으로 보내는 악명 높은 삼각무역의 일부였다. 그러나 19세기 초에 영국은 노예무역법을 만들어, 영원히 노예 무역을 금지하는 첫 번째 국가가 되었다. 영국은 미국의 시카고, 클리블랜드, 디트로이트, 피츠버그, 필라델피아, 뉴욕, 볼티모어, 보스턴, 워싱턴 D.C., 애틀랜타 등을 차지했다가 18세기 말에 독립시켰다. 산업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나폴레옹을 격파한 뒤에, 19세기 영국은 세계의 주요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대영 제국이 전성기일 때 영국의 영토는 지구의 약 4분의 1(1/4)까지 커졌었고, 인구도 세계 인구의 약 4분의 1(1/4)이었다. 이는 역사에서 가장 큰 인구와 영토였다. 당시 대영 제국은 그 영토가 지구 널리 퍼져있어서 해가 지지 않는 나라 라고 일컬어졌다. 1910년대 후반에는 이라크까지 점령하였다. 19세기 내내 영국은 다당제의 출현과 투표권의 확장을 통해 부분적으로 의회 민주주의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과학과 예술의 발달은 18세기에 이루어진 아이작 뉴턴 등의 업적을 계승하거나 부분적으로 더 오래된 문학의 전통에 영향을 받았다. 영국은 탁월한 강대국으로 남았고, 1921년에는 제1차 세계 대전 뒤에 국제 연맹 위임 통치령이 되었던 독일 제국과 오스만 제국의 식민지를 획득하여 최대로 넓어졌다. 전쟁에서 벗어난 뒤에 세계 최초로 거대한 국제 방송망인 BBC가 생겨났다. 영국의 노동 운동은 19세기 후반부터 확장해 왔고, 1924년에 제1차 노동당 내각이 집권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영국은, 캐나다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를 포함한 영국 연방과 연합하여, 그리고 나중에는 연합국과 연합하여 나치 독일과 싸웠다. 전시 지도자 윈스턴 처칠과 그의 후임 클레먼트 애틀리(Clement Attlee)는 3대 강국의 한 축으로 전후 세계를 계획한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영국에 재정적인 타격을 주었다. 경제적으로 비싼 전시 대부금, 미국과 캐나다에서 1945년에 빌려준 대부금이 전후에 미국의 마셜 플랜 원조와 합쳐져서 영국은 복구되기 시작하였다. 영국 공군의 스핏파이어. 영국 공군은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이겼고,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서유럽에서의 독일의 우세를 종료시켰다. 1945년에 영국은 세계 최초면서 가장 광범위한 의료 제도를 포함한 복지국가의 출현을 알렸고, 정부 정책의 변화는 영국 연방 도처에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다민족 국가로서의 영국을 만들 수 있게 하였다. 전후 영국의 정치적 역할의 한계가 1956년 수에즈 사태에서 보여졌지만, 영어의 국제적 통용과 1960년대 영국 대중 문화의 해외 전파는 영문학이나 영국 문화가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했다. 1970년대의 국제 경제의 하향세와 산업 쟁의의 시대에 뒤이어 1980년대는 북해 유전의 수익과 경제발전이 있었다. 마거릿 대처 수상의 지도력은 전후 정치적, 경제적 합의의 전환을 이끌었다. 이러한 경향이 1997년 부터 토니 블레어수상의 지도 아래 계속되었다. 영국은 1973년 이후로 유럽 경제 공동체의 구성원이 되었고, 1992년에는 마스트리흐트 조약에 서명하여 12개국으로 이루어진 유럽 연합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 오늘날 보수당 내각의 태도는 EU에서의 몇몇권리와 자격반환으로, 노동당은 EU와의 통합으로 그리고 자유민주당은 현재 정책의 지지쪽으로 기우는 경향을 보였으나 현재는 브릭시트 투표로 인하여 탈퇴하였다. 영국의 지형도 북대서양과 북해 사이에 위치하며, 브리튼 제도와 아일랜드섬의 북동부에 자리잡은 북아일랜드로 이뤄진 섬나라이다. 서쪽으로 대서양이, 동쪽으로는 북해가 자리 잡고 있으며 남쪽의 도버 해협을 사이에 두고 프랑스와 인접해 있다. 남북으로는 북위 49도에서 52도(세틀랜드 제도은 62도)에 이르며 동서로는 동경 2도에서 서경 8도사이에 놓여 있다. 국토는 그레이트브리튼섬과 아일랜드섬의 1/6을 차지하는 북아일랜드 및 그 주위에 분포되어 있는 몇 개의 속도군(屬島群)과 해외령을 포함한다. 맨섬과 채널 제도는 왕실속령으로서 영국 정부의 국방 및 외교 관할을 받는다. 잉글랜드는 그레이트브리튼섬의 남부 저지대로 면적은 섬 전체의 약 56.7%인 130,410km2이다. 스코틀랜드는 북부 고지대로 78,789km2이며, 서부 고지대인 웨일스는 20,758km2, 북아일랜드는 14,160km2이다. 지형적으로는 동남부의 저지와 북서부의 고지로 크게 나뉜다. 이 둘의 경계는 동부 해안 중앙부의 티스강 하구와 남부 해안의 라임만을 연결하는 선이다. 고지라고 해도 대부분은 고도 1,000m 이하의 낮은 산맥 및 구릉으로서 영국의 최고봉 벤네비스 산도 1,343m에 지나지 않는다. 고지는 지형과 지질이 다른 다음과 같은 지괴(地塊)로 나뉜다. 스코틀랜드 고지와 북아일랜드는 주로 캄브리아계의 가장 오랜 변성암으로 되어 있으며, 스코틀랜드 남부 산지, 캄브리아 산지(호수 지방) 및 웨일스는 주로 고생대 실루리아계의 변성암으로 되어 있다. 페나인 산맥과 스코틀랜드 중앙 지구대는 고생대의 석탄계와 중생대 삼첩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석탄층이 있어 영국의 탄전(炭田)을 형성한다. 웨일스 남부와 데번 코른월 지괴는 고생대 데본계로 되어 있다.한편 저지는 잉글랜드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해발 300m 이하의 낮은 구릉과 평야로 되어 있다. 구릉은 백악계와 제3계의 느리게 주름잡힌 새 지층으로 이뤄져 각지에 케스타 지형이 보인다. 영국은 제4기 홍적세에 유럽 대륙에서 뻗친 대륙 빙하에 덮여 있었으므로 산지에는 빙식(氷蝕) 지형이 많으며, 황토에 뒤덮인 황무지와 습지가 많다. 더구나 북쪽의 스코틀랜드 제도에는 피오르드 해안이 발달해 있다. 템스 강(전체길이 350km)을 비롯하여 이 나라의 하천은 모두 짧으며 또 산지도 낮으므로 하천의 충적(沖積)작용은 크지 않다. 그래서 템스강 하구부, 브리스틀 해협, 포스만 등처럼 묻혀 버린 삼각강이 많으며, 해안선은 굴곡이 많고 하천의 경사가 완만하므로 향항과 가항하천(可航河川)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중위도 대륙 서해안의 해양성 기후로서 멕시코 만류(灣流)와 편서풍 때문에 위도에 비해서는 따뜻하다(1월의 기온 6∼3°C). 그러나 겨울에는 간혹 섭씨 영하 10도까지 기온이 떨어지기도 하며 여름에는 섭씨 35도까지 오르기도 한다. 비는 서해안에는 많으나 동해안에는 적다. 또 습기가 많기 때문에 안개가 많으며 런던에서는 스모그가 1년에 90일간 생겨서 ‘안개의 도시’라고도 불린다. 연평균 강수량은 서부와 북부의 산간 지방에서는 1600mm 이상이지만 중부와 동부 지역에서는 800mm 미만이다. 비는 연중 고루 내리는 편이지만 평균적으로 3월부터 6월까지가 비가 가장 적고 9월부터 1월까지가 가장 많은 시기이다. 영국의 행정 구역은 꽤 복잡하다. 우선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의 구성 국가들로 나뉜다. 각 구성 국가마다 자체적인 행정 구역 체제가 나뉜다. 잉글랜드의 행정 구역 잉글랜드는 9개의 지역(region)으로 나뉘어 있다. 각 지역은 다시 48개의 주(county)로 나뉜다. 스코틀랜드의 행정 구역 스코틀랜드는 32개 주(council area)로 나뉜다. 웨일스의 행정 구역 웨일스는 22개 주(unitary authority)로 나뉜다. 북아일랜드의 행정 구역 북아일랜드는 26개 구(district)로 나뉜다. 그 밖에 해외 영토(overseas territory)들과 왕실령(crown dependency)들이 존재하나, 이 지역들은 형식적으로는 영국 영토로 간주되지 않는다. 근대 의회민주주의의 발상지이며 오래간 모범적인 양당 정치를 구현해온 나라로서 오늘날 민주주의를 발전시킨 나라이다. 정치체제는 입헌군주제로, ‘군주는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다’는 원칙에 의해, 군주의 권한 행사는 내각의 조언에 의하여 행해지고 있다. 성문(成文)화된 헌법은 없으며, 정치의 기본은 전통·관례·약간의 기본법(대헌장, 인권선언, 의회법 등)에 의하여 운영되고 있다. 의회는 상원(The House of Lords)과 하원(The House of Commons)의 양원제로 되어 있고 선거에 의해 선출되며, 상원은 약 1,190명의 의원으로, 하원은 651명의 의원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상원은 최근까지 귀족들을 위한 의회 였으나 1997년 토니 블레어 총리 집권 이후 이탈리아와 같이 직능 대표 단체로 만들기 위해 법적, 제도적 장치들이 계속 생겨나고 있다. 특징으로선 3대 정당제를 들 수 있다. 과거에는 보수당과 자유당이 양당 체제를 이루었으나, 1900년에 노동당이 등장하였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자유당의 세력이 줄어들면서 대신 노동당이 크게 성장하여 3당체제가 성립되었다. 현대에는 극우 정당인 영국 국민당, 우익 정당인 영국 독립당 등이 등장했으나 기본적인 3당체제의 틀은 아직 유지되고 있다. 현재 국가원수는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이다. 한편 영국은 정치학적으로 연방 국가가 아니라 단일 국가이다. 지방자치가 잘 발달되어 스코틀랜드, 웨일즈, 북아일랜드는 독자적인 의회와 행정부를 가지고 있으나, 의회주권의 원칙에 따라 최종적인 주권은 웨스트민스터의 영국 의회가 가지며 각 지방정부들은 헌법적 사항을 단독 결정할 수 없다. 2015년 5월의 영국 국회의원(하원) 총선거에서 10석 이상 확보한 정당을 순서대로 정렬했다. 보수당(50.9%, 331석)-지도자 테레사 메이. 전통적 중도우파정당. 현재 제1여당, 최근 환경정책에도 주력.브렉시트 관련 협상 중. 노동당(35.7%, 232석)-지도자 제레미 코빈. 현재 야당(제2당), 전통적 중도좌파정당. 제3의 길 최초 발상지. 영국은 의원 내각제, 즉 의회가 곧 내각이 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선거제도는 소선거구제만 채택하여 각 선거구마다 1명만을 뽑는 First-past-the-post 방식으로 모든 의원을 선출한다. 법상 최장 5년마다 열리는 선거에서 의석수의 과반 이상을 확보한 당이 집권당이 되며, 이들이 내각(Cabinet)을 구성한다. 야당은 예비 내각(Shadow Cabinet)을 구성하여 집권시 어떤 정책을 실시할 것인가를 국민이 미리 알 수 있어 정치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보장하고 있다. 데이비드 캐머런은 이 총선 승리 이후 총리로 재임명되었다. 브렉시트 결정 이후 책임을 지고 물러나 현재 테레사 메이가 총리이다. 영국의 군주제(君主制)는 적어도 1,100년 전에 시작되었다. 현 여왕 엘리자베스 2세는 829년 잉글랜드를 통일한 에그버트 왕의 직계 후손이다. 군주제의 역할은 수세기를 내려오면서 변화되었다. 초기 군주들은 절대 권력을 행사했지만 이는 의회와 사법부의 발달로 축소되었다. 왕과 의회의 권력 투쟁으로 1689년 제한된 입헌 군주제가 확립되었다. 현대 민주주의 정치 제도의 확립과 함께 19세기 말에는 정치면에서 군주의 능동적 역할이 최소화되었다. 오늘날의 군주로서 현재 왕은 국가 원수의 역할을 한다. 법적으로 왕은 행정부와 사법부의 수반, 전군 최고 사령관, 영국 성공회(말 그대로 Church of England 곧 영국 성공회임. 그 외 지역 성공회 교회들은 자치적이고 독립적인 교회임)의 수장(명예상의 수장으로 의회에서 제출한 성직자 후보명단에 근거하여 성직자 임명권한이 있음.)이다. 그러나 정치적 결정은 각료들이 내린다. 영국은 왕의 이름하에 왕국 정부가 통치하는 국가이다. 왕은 상징적 중요성을 지닌 정부의 몇가지 역할을 아직 수행하고 있다. 왕은 의회를 소집, 해산하며 법안을 재가한다. 또 총리와 각료들을 포함한 주요 관리들을 공식적으로 임명한다. 왕의 임무 수행 불가능시를 대비하여 섭정을 임명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섭정은 왕의 영국의 왕세자 격인 프린스 오브 웨일스(prince of wales)가 되며 그 다음 순위는 왕위 계승 서열에 따르지만 18세 이상이어야 한다. 왕이 부분적으로 임무 수행이 불가능해지거나 해외 여행으로 부재 중인 경우에는 왕의 어떤 임무를 임시 섭정들(국왕의 배우자-현재는 여왕의 남편인 에딘버러 공-, 그 다음 왕위 계승 서열이 되는 4명의 성인(成人)들, 국왕의 모후)에게 위임할 수 있다. 그러나 임시 섭정들은 의회를 해산시키거나 작위를 수여할 수 없다. 군주제의 한가지 특징은 공식적인 면과 비공식적인 면이 결합된다는 점이다. 전통적 의식은 아직도 중요한 일부이다. 왕실의 결혼식과 장례식은 국가 행사이다. 6월에 공식적으로 열리는 여왕 탄신 기념식 때 여왕 근위병의 열병식인 군기 분열식이 행해진다. 외국의 국왕이나 국가 원수가 영국을 방문하면 공식 연회가 베풀어지며 작위나 훈장 수여식은 버킹엄 궁전과 스코틀랜드 홀리루드 궁전에서 열린다. 군주제는 TV를 통해 또는 국민들과의 직접 접촉을 통해 더 친근해졌으며 왕족들이 일반인들을 만나기 위해 거리를 걷는 것도 왕실의 중요한 특징이다. 매년 왕과 왕가의 구성원들은 영국 곳곳을 방문한다. 그들은 또한 많은 자선 단체들의 사업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프린스 오브 웨일스는 중소기업과 도시 빈민가의 자영업을 장려하기 위해 설립된 프린시스 트러스트(Prince s Trust)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왕은 에딘버러 공과 함께 외국 정부를 공식 방문하며 영연방 국가들을 순시하기도 한다. 왕가의 다른 구성원들도 외국을 방문하며 이때 왕을 대신하여 방문하는 경우도 있다. 영연방은 느슨한 국가 연합이다. 53개 영연방 회원국 모두는 영국 여왕을 영연방의 수장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그 회원국들 중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자메이카, 바하마, 바베이도스 등 다수 국가들의 여왕이기도 하다. 여왕은 2년마다 열리는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에 참석하며 각국의 국가 수반으로 총독과 사적인 대화를 갖는다. 224,000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차 420대, 전술기 1,663대, 군함 99척 등을 보유하여 세계 5위의 군사력을 가지고 있다. 핵 보유 국가이기도 하다. 영국은 세계 3위의 국방비를 지출하고 있다. 또한 항공모함 1척, 이지스함 3척 등을 보유하여 강력한 해군을 보유하고 있다. 잠수함들도 있다. 그리고 유럽에서 네덜란드와 함께 유일하게 토마호크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영국은 육군 전력이 많이 약한 상태이다. 또한 해군 전력도 추가로 항공모함을 건조 중이다. 헌법에 의하여 1960년부터 모병제를 실시하였다. 2차 대전 후부터 1960년까지 평시 징병제가 시행된 적이 있었는데, 영국인들은 이를 National Service 로 부르고 있다. 영국은 예로부터 해군이 강한 국가로 알려져 있다. 공군인 Royal Air Force와 해군인 Royal Navy가 잘 알려져 있다. 근대국가의 출현과 동시에 징병제를 도입한 유럽 대륙과 다르게 영국은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나서야 징병제를 도입하였다. 트라팔가 해전 당시 영국 해군은 모집군이었지만 프랑스군은 징집병으로 구성되었었다. 이와 같은 경험 때문에 영국의 부속령 국가 및 옛 식민지 상당수는 징병제를 실시한 적이 없거나 그 경험이 상대적으로 일천한 편이다. 최근 범죄자를 이라크로 보내자(send criminals to Iraq) 등 일부에서 징병제 부활을 논의하고는 있지만(가끔은 유희적으로) 범죄자 등에 대한 훈육차원에서 논의될 뿐이며, 이 징병제 관련 논의가 진지하게 정치적으로 문제제기된 바는 없다. 세계 5위의 군사력이며 전략 원자력 잠수함들을 보유하고 있다. 핵 전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스키점프대 형태의 HMS 일러스트리어스 한척을 운용중이다. 함재기로 수직이착륙 기능의 시 해리어를 운용했으나 지금은 모두 퇴역시키고 각종 헬기위주의 항공단이 구성됐다. 또 차기 항공모함 2척을 건조 중이다. 무인항공기 항공모함 UXV가 2020년에 실전배치된다. 영국군은 국방개혁, SDSR (전략적 국방안보 검토서)에 의해, 조직개편을 하고 있다. 영국 신속대응군의 핵심전력인 영국 해병대는 현 영국 국방개혁을 통해 조직편성과 역할이 강화되고 있다. 소폭으로 병력이 증가했으며, 장비와 편성이 개편되고 있다. 참고 영국의 국방개혁, SDSR (전략적 국방안보 검토서, Strategic Defence and Security Review) 냉전체계 이후 안보환경 변화와 국가 재정 위기에 직면한 영국은 국방비 삭감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 현 국방력과 미래 안보환경 등을 전면 재검토하여 삭감, 퇴역 장비, 도입 장비 등을 새로 결정하게 된다. 이에 총리실 주재하, 5개월간의 검토기간으로 2010월 10월, SDSR(전략적 국방 안보 검토서 Strategic Defence Security Review)이 발표된다. SDSR은 신안보 위협을 등급별로 분류하고, 사이버전, 테러 등과 같은 우선순위 위협에 대한 자원을 더 배분하는 대신 대규모 재래전에 소요되는 장비(기갑, 전투기, 함정, 대형장비 등) 등을 퇴역시킨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SDSR을 바탕으로하는 현 영국군 국방개혁은 영국군 장군들의 반발과 국민 찬반 논란 속에 진행되고 있다. 현재 영국은 부분 징병제 국가이다. 버뮤다 지역 시민을 징집하며, 영국 왕실과 이에 속한 귀족들인 왕실의 친.외가 친인척들의 남.여들은 영국군 장교로 복무하도록 영국 병역법에 규정되어 있다. 영국은 UN 안보리의 상임 이사국이며, G8과 나토, EU의 회원국이다. 2016년 6월 24일 영국은 국민투표를 실시해 EU를 탈퇴하기로 결정하였다. 영국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 다른 유럽 나라들과 우호 관계를 지속하고 있다. 영국은 1973년 유럽 경제 공동체 회원국이 되었다. 영국과 미국은 특별한 관계(Special Relationship)에 있다. 미국과 유럽 외 영국은 영국 연방, 아일랜드 그 밖에 영어 사용 국가들과 친밀한 관계에 있다. 영국의 세계적인 존재와 영향력은 무역관계와 군사력 때문에 더 증폭되는데, 전 세계에 80여개의 군사 기지와 기타 파견군을 유지하고 있다. 중세 이후로, 프랑스와 영국은 유럽대륙의 주도권 및 식민지 쟁탈을 놓고 서로 적대국인 경우가 많았으나 때로는 동맹을 맺기도 하였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와 프랑스가 앙탕트 코르디알() 정책을 펴면서, 러일 전쟁 이후 프랑스 및 러시아와 동맹(삼국 협상)을 맺게 된다. 영국과 미국의 관계는 대략 400년 정도 소급된다. 1607년 영국은 "제임스타운"이라고 명명된 북미 대륙 최초의 상주 식민지를 세우기 시작하였고, 오늘날 영국과 미국은 가까운 군사적 동맹체다. 양국은 문화적으로 유사할 뿐만 아니라 군사적 연구와 정보 기구를 공유한다. 영국은 미국으로부터 토마호크 미사일이나 트라이던트 미사일과 같은 무기를 구입했고 미국은 영국으로부터 해리어(Harrier)와 같은 장비를 구매했다. 또한 영국에 대규모 군대를 주둔하고 있다. 최근 영국의 총리와 미국의 대통령은 매우 친밀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가령 토니 블레어와 빌 클린턴 및 이후 조지 W. 부시 대통령 간의 관계, 1980년대 마거릿 대처와 로널드 레이건 등의 관계가 그러하다. 현재 영국의 정책은 혈맹 미국과의 관계는 영국의 "가장 중요한 2자간 관계"임을 표명한다. 영국은 1883년 처음으로 한국과 통상조약을 맺었다. 그 후, 한국 전쟁에 임하여 참전 16개국 중의 하나로서 군사·경제지원 등을 통해서 한국에 대한 공헌이 지대했을 뿐 아니라, 유엔을 비롯한 기타 많은 국제기구에서의 활동을 통해서 한국의 지위향상·보전 및 우호증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계속한 나라다. 한국에 있어서 영국은 프랑스와 더불어 한국의 대서구제국 관계사에서 중추적인 존재이며, 적어도 전통적으로 대서구 외교전개의 2대 거점국이자 우방국이다. 1883년 우호통상조약이 조인되고 영국과 조선에 각각 영사 또는 공사를 파견하였다가, 일본에 의하여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다가 1949년에 양국은 재수교하였다. 한편 영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도 외교관계가 있다. 1999년 4월에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한영 수교 116년 만에 국가 원수로써 최초로 방한하였으며, 2004년 12월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영국을 최초로 국빈 방문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한국에서도 영국에서 선수로 뛰는 축구 선수들이 많은데, 박지성을 시작으로 이청용, 기성용, 손흥민 등의 축구 선수들이 영국의 프로 축구 팀에서 뛰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는 아시아나항공과 대한항공이 매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영국 런던으로 가는 논스톱 직항편을 운항하고 있으며, 2012년부터 영국항공도 인천국제공항과 런던 히드로 공항을 연결하는 직항편을 운항하고 있다. 2011년부터는 영국의 일부 학교에서는 한국어 수업이 개설되었다. 영국은 1715년, 청나라로부터 상관 설치를 허락받으며 제한된 범위에서나마 청나라와 무역을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청나라는 영국에 차, 도자기 등을 수출하고 영국은 청나라에 인도산 상아, 모직물을 수출하였다. 그러나 1840년, 청나라가 제1차 아편 전쟁에서 패배해 난징 조약을 체결하였고, 1860년에는 애로호 사건을 빌미로 영국, 프랑스 연합군과 북경 조약을 체결하여 영국과 중국 간의 사이가 나빠졌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에서는 영국군과 함께 싸워 승전국이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중화민국과 연합국측에서 같이 싸웠으며, 국교가 수립되었으나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자 1950년 중화민국과 단교,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였다. 그리고 1997년, 영국은 난징 조약에서 떼어간 홍콩을 중국에 반환하였다. 태국은 1826년 영국과 맺은 친선·통상 조약(Treaty of Amity and Commerce)으로 최초로 동남아시아 지역 서양 열강의 등장을 인정했다. 라마 5세 출라롱콘대왕(재위 1868년~1910년)은 쇄국제도를 풀고 개국하여 1855년 영국과 통상우호조약을 맺었다. 태국은 영국에게는 말레이 인종이 거주하는 말레이 반도의 크다(Kedah), 프를리스(Perlis), 트렝가누(Terengganu), 클란탄(Kelantan) 을 할양하여야 했다. 1909년의 영국-시암 조약은 시암과 영국령 말라야 사이의 국경을 정했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국경이 되었다. 이때 말라야의 토후국 파타니와 크다의 일부였던 파타니(Pattani) 주와 얄라(Yala) 주, 나라티왓(Narathiwat) 주, 사뚠(Satun) 주가 태국령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태국이 추축국에 가입하면서 양국 관계가 악화된 적이 있으나, 종전 후 원상복귀되었다. 프랑스와 스코틀랜드는 오울드 얼라이언스(Auld Alliance)를 통해 중세 말에 군사적 동맹을 맺고 있었다. 중세 이후로, 프랑스와 잉글랜드는 유럽대륙의 주도권 및 식민지 쟁탈을 놓고 서로 적대국인 경우가 많았으나 때로는 동맹을 맺기도 하였다. 17세기말, 영국과 프랑스는 모두 5대 강국에 속했고 이들 5대 강국이 유지하고 있었던 세력균형원칙은 나폴레옹 전쟁으로 크게 위협받게 되었다. 나폴레옹이 유럽 전체를 지배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이 유럽에 팽배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앙탕트 코르디알(entente cordiale) 정책을 펴면서, 러일 전쟁 이후 프랑스는 영국 및 러시아와 동맹(삼국 협상)을 맺게 된다. 1940년 프랑스 공방전에서 영국이 프랑스를 버렸다는 인식도 있으나, 양국은 현재까지 대체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제1차,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관계에서는 보조를 함께 하기 시작했다. 유럽 연합의 미래에 대한 것은 양국간의 해묵은 논쟁 거리이다. 샤를 드 골 대통령 치세의 프랑스는 영국이 유럽 경제 공동체에 가입하는 것을 여러 번 반대하였다. 드 골은 영국이 유럽 이외의 지역 특히 미국과 지나친 동맹 관계라는 점을 내세웠다. 영국이 유럽 경제 공동체에 가입한 후, 영국의 마거릿 대처 수상은 유럽 경제 공동체의 분담금을 줄이는 데 노력하고 이를 얻어냈다.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는 프랑스의 경제 정책에 대하여 회의적인 시각을 나타낸 바 있다. 그러나, 프랑스의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과 동맹 관계를 구축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모두 식스 네이션스에 참가하고 있다. 크림 반도에서 일어난 크림 전쟁 때에는 오스만 제국의 편을 들어주었지만, 현재에는 조금씩 양호적으로 풀리고 있으며, 수교는 1992년경에 실시하였다. 영국과 폴란드는 15세기부터 교류가 시작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때 주요 동맹국으로 참전했다. 현재 영국에는 많은 폴란드 노동자들이 일하고 있다. 영국은 19세기 중반, 인도의 무굴 제국을 멸망시킴으로써 영국이 인도를 지배하게 되어 빅토리아 여왕은 영국 여왕 직위와 인도 황제의 직위에 앉게 되었다. 영국은 인도에 소금채취 금지법 등 부당한 법제도를 제정하여 인도 국민들에게 엄청난 피해를 주었다. 오늘날 인도의 영웅이라고 추상되는 마하트마 간디는 인도의 독립을 위해 노력한 독립운동가이다. 그 결과 인도는 1947년, 독립하였고 영국과 우호 조약을 맺어 우호 관계를 지속하고 있다. 흔히 이베리아족으로 지칭되는 대서양 연안 구석기 인들이 최초로 영국에 정착한 제민족인 것으로 추측된다. 그 이후 대륙으로부터 선진 기술을 지닌 켈트족이 정착하며 선주민과의 혼혈이 이뤄졌고 그레이트브리튼섬의 켈트화가 진행되었다. 로마 제국의 브리튼 정복 이후 소수의 로마인들이 건너왔다. 로마의 행정과 군사 체계가 붕괴되기 시작한 5~6세기 경부터 라인 강 하류, 플랑드르, 윌란반도에서 게르만 민족의 일파(一派)인 앵글인, 색슨인, 유트인 등이 그레이트브리튼섬을 침략했다. 초기 이들 민족은 선주민과의 혼혈을 엄격히 금지했던 것 같으나 결과적으로 혼혈이 진행되어 오늘날 영국인이 형성되었다. 바이킹이 선주민을 거의 대체했다는 주장이 오랫 동안 믿어져 왔지만 근래 분자생물학적, 유전학적 연구에 따르면, 바이킹 이주민의 숫자가 선주민을 대체할 정도로 많지 않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다. 근래에는 구 영국 식민지였던 남아시아 (인도, 파키스탄)와 카리브해, 아프리카 (특히 가나, 나이지리아 등 서부 아프리카) 출신 이민자들이 영국 사회의 새로운 구성원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등 동유럽에서 온 주민도 소수로 존재한다. 영어가 쓰이고 있다. 그 외에 웨일스어, 스코트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얼스터 스코트어, 아일랜드어, 콘월어가 소수에 의해 쓰이고 있다. 종교를 가진 국민의 대다수가 기독교도이고, 국교는 잉글랜드 성공회이다. 종교별 분포도는 다음과 같다. 잉글랜드 성공회(Church of England) 영국 기독교인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영국의 국교이기도 하다. 흔히 성공회(Anglican)를 영국 국교 또는 영국국교회라고 하는데 영국국교회 또는 영국국교는 잉글랜드 성공회만을 말한다. 영국 종교개혁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분리되었다. 전세계 성공회(Anglican Church또는 Episcopal Church)들이 대등한 위치에서 상통하는 세계성공회공동체(Anglican Communion)의 모태다. 로마 가톨릭교회 영국 기독교인들의 소수를 차지하며 영국교회와 아일랜드 교회가 휘트비 회의로 합병된 5세기부터 영국 종교개혁이전까지 영국 교회를 지배하였다. 개신교 역사적으로 장로교회(스코틀랜드 종교개혁으로 형성되었으며, 스코틀랜드의 국교다.) 감리교, URC(United Reformed & Methodist Church) 등이 있다. 성공회의 역사 1936년 11월 2일 BBC 텔레비전 서비스 (現 BBC One)이 개국하고, 이후 1955년에 ITV가 개국함으로써 경쟁 체제로 돌입했고, 이후 BBC Two에서 1967년 유럽최초의 컬러 방송 실시를 거쳐서 현재 영국 방송은 공영 방송인 BBC와 ITV, 채널 4, 채널 5 등의 지상파 방송국, BskyB의 위성 방송으로 구성되어 있다. BBC는 국민으로부터 시청료를 받는 대신 광고를 보내지 않고 있다. 그 외 방송국에서는 광고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영국인들에게 인기있는 스포츠는 축구, 럭비, 크리켓, 골프, 테니스 등이다. 영국은 "축구 종가"라는 별칭 그대로 축구의 발상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영국은 월드컵 예선이나 본선, 국가대표 경기, 청소년대표 경기 때에는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로 나눠 출전한다. 현재 영국은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를 포함해 2부 리그인 잉글랜드 챔피언쉽 리그 등 7부의 실업 축구 승강제를 택하고 있으며 구단을 제외하지 않은 아마추어 축구회까지 도합 24부의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영국에서 농구는 인기있는 스포츠는 아니지만 12개의 프로 팀이 영국 프로 농구인 BBL에 참가하고 있다. 법정 휴일 일자 이름 1월 1일 설날 1월 2일 설날 (스코틀랜드에 한함) 3월 17일 St Patrick s Day (북아일랜드에 한함) 부활절 직전 금요일 성 금요일 부활절 다음날(월요일) 부활절 연휴 (스코틀랜드 제외) 5월 첫째 월요일 May Day 5월 마지막 주 월요일 Spring Bank Holiday 7월 12일 Battle of the Boyne - Orangemen s Day (북아일랜드에 한함) 8월 첫째 월요일 Summer Bank Holiday (스코틀랜드에 한함) 8월 마지막 주 월요일 Summer Bank Holiday (스코틀랜드 제외) 11월 30일 St Andrew s Day (스코틀랜드에 한함) 12월 25일 크리스마스 12월 26일 박싱 데이 (크리스마스 연휴) 중세시대부터 전통을 가진 옥스퍼드 대학교나 케임브리지 대학교 등이 대표적이다. 의무교육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11년이며(1972년 이후) 한국의 고등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12, 13학년의 경우는 의무는 아니지만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매주 국가로부터 지원금을 받게 된다. 대학 교육은 스코틀랜드는 전액 무상이나 잉글랜드를 포함한 나머지 국가들은 연간 9000파운드에 달한다. 다만 무이자 대출을 받을 수 있으며 연봉이 21000파운드 이하일 경우 갚게 될 의무가 없고, 이상일 경우 소득의 9%를 매년 납부하게 된다. 대학과정은 대부분 3년 과정이며 대학원 석사 과정은 2종류로 학습 과정과 연구 과정으로 각 1년씩이다. 박사과정은 대체로 3년 과정이나 실제 박사취득은 4년-5년이 걸린다. 일부 대학은 경영학 석사 과정과 같은 특성화 과정을 2년제로 운영하기도 한다. 대학의 학기는 우리나라의 연간 2학기제와 달리 연간 3학기제로 운영된다. 옥스퍼드 대학교나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같은 대학교는 대체적으로 대학 즉 단과대학의 연합체이다. 대학교를 대표하는 총장이 있으나 실제 대학교의 운영은 단과대학이 자체적으로 결정한다. 단과대학들은 각자 독자적인 학생 모집과 학과목을 운영하며, 같은 학과가 여러 단과대학에 있기도 하다. 단과대학의 연합으로 운영해야 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공동과정을 진행한다. 일례로 옥스퍼드 대학교는 "경영대학원"이 있으나 이는 공동 과정으로 대학원에 다니는 학생들은 단과대학에서 일종의 파견으로 와서 서로 다른 단과대학 소속이다. 이 나라는 다른 여러 나라에 앞서서 산업혁명을 성취하여 오랫동안 세계 경제에 군림해 왔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유럽 대륙과 북아메리카의 공업이 급속도로 발달하여 1차대전 이후 세계 경제에 있어서의 지위는 차차 저하했다. 해외 투자로부터의 수입으로 경제의 안정을 꾀했으나 2차대전에 의해 큰 타격을 받고 재편성하기에 이르렀다. 그것은 기간산업의 국유화를 비롯한 계획경제의 도입으로 국제수지를 개선하고 사회보장제도를 확충하여 복지 국가의 실현을 꾀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경제 체제이다. 그러나 높은 고용수준을 유지하면서도 대외적으로는 국제 수지의 악화, 대내적으로는 코스트 인플레이션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영국은 1961년부터 유럽경제공동체(EEC) 가입을 신청했으나 프랑스의 거부로 실현을 보지 못하다가 1971년 6월 마침내 수출입정책 및 파운드화(貨) 문제에 매듭을 짓고 영·불 양국간에 최종 합의에 도달함으로써 1973년 1월부터 정식 가입(경과기간 5년을 계산하면 실질적인 가입은 1978년부터가 됨)하게 되었다. 19세기 중반까지는 농산물을 자급자족했으나 신대륙에서 수입이 시작되면서부터는 축산과 원예 작물에 중점을 두게 되어 식량의 절반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수확량(收穫量)으로는 감자·사탕무·귀리 등이 많으나 금액으로는 축산물이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경지 비율이 높은 지방은 동부의 앵글리아·켄트·링컨셔 등이고, 잉글랜드 중앙부와 북부, 웨일스, 스코틀랜드에서는 목초지의 비율이 크다.수산업은 북해와 아이리시해(海)를 중심으로 한 근해 어업과 아일랜드, 그린란드, 노르웨이 북해안 등지의 원양어업으로 나뉜다. 1995년의 어획고는 242만 2,000 t에 달하고 있으며, 스코틀랜드에서는 주요 산업의 하나로 되어 어업 종사자는 2만 2,000명이며, 이 밖에 계절적으로 약 6,000명이 종사하고 있다. 2차대전 후 기계공업과 화학공업이 발전하여 전통을 지닌 목면공업이 저하했다. 1955년에 철광생산은 449만 t, 선철 1,213만 t, 조강 2,150만 t 등이다. 대표적인 공업지역인 런던의 남동부지역은 기계(機械)·금속·보석·고무공업이 발달되어 있다. 랭커셔 지역은 면업 대신에 기계공업이 발달하였고, 요크셔 지역은 현재도 양모공업의 중심지이다. 남웨일스, 잉글랜드 북동, 스코틀랜드 중앙 지역은 철강·금속·조선 등이 발달했다. 석탄업이나 전력사업, 가스사업 등 에너지관리는 국유화되어 있다. 석유는 1990년 정제량이 6억7,900만 배럴이었다. 1967년 발견된 북해유전은 1975년부터 본격적인 생산을 개시하였는데, 매장량은 약 30억t 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천연가스의 매장량도 무시할 수 없어 자원이 부족한 영국의 에너지정책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국내 자원은 결핍되었으나 생활수준이 높으므로 무역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종래 영연방 국가와의 교역이 많았으나, 1973년 EC 가입 후 유럽 국가와의 무역 비중이 높아졌다. 제2차 세계대전 직전, 영국은 미국 다음 가는 수출국이었으나 전쟁 후 서독 등의 부상으로 영국이 세계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줄어들어 EU 국가 내에서도 독일·프랑스·네덜란드·이탈리아에 이어 5위에 머무르게 되었다. 2009년에는 수출액이 세계 9위로까지 추락하였고, 계속해서 영국의 수출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지위는 저하되고 있다. 주요 수출품목은 기계·자동차·항공기이다. 수입액은 수출액을 훨씬 초과하여 무역적자가 계속되고 있으며, 금액에서 식료와 원료가 70%를 차지하고 밀·설탕·옥수수·육류·석유·알루미늄·목재·양모·면화 등이 중요한 수입품목이다. 파운드화는 과거에 기축통화였지만 대영제국의 쇠퇴와 함께 그 지위는 미국에게 물려주었다. 현재 미국 달러와 유로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외환 보유액을 자랑한다. 1파운드는 100펜스이다. 영국의 고소득자 소득세율은 약 50%다. 한국 돈으로 연간 2억원 이상인 소득자부터 적용된다. 해운국으로서의 지위는 대전 전에 비하면 크게 후퇴했으나 보유 선박은 3,292만 t(1976)으로서 세계 제3위를 차지하며 세계 해운 시장의 일대 중심지로 되어 있다. 런던을 비롯하여 사우댐프턴·리버풀·맨체스터·글래스고 등이 대표적인 항구이며, 템스강 하구, 클라이드 강구, 맨체스터 운하에는 10만 t급 탱커를 넣는 터미널이 완성되어 있다. 철도의 총연장은 약 2만km로서 세계 제2의 밀도(密度)이다. 1947년 이후 국유화했으나, 철도 발상지인 만큼 낡은 시설이 많은 데다가 자동차의 보급으로 큰 결손이 누적되고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합리화 계획을 실시하였으나 해결되지 않거나 오히려 더욱 큰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이다. 도로 연장은 약 36만 6,000km로서 거의 포장이 되어 있다. 간선도로는 운수성(運輸省) 직할로 운영되며, 그 밖의 것은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고 있다. 항공은 원월드의 주축 항공사 영국항공과, 저비용 항공사의 대표주자인 이지젯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버진 애틀랜틱 항공 등 유수의 항공사가 존재한다. 런던 히드로 국제공항은 세계 3위이자 유럽에서 가장 붐비는 공항이기도 하다. 우편물의 항공수송 서비스도 발달되어 있다. 한편 다년간 국내외의 주목을 받아왔던 영국과 프랑스를 잇는 유러터널(영국해협터널)은 1994년 5월 개통되었다. 영국의 국가는 《하느님 여왕을 지켜주소서》이다. 이외에 비 공식 국가로 《룰 브리타니아》 등이 있다. 뉴스 소재지 영국 정부 공식 홈페이지 영국 관광청 홈페이지 주영국 대한민국 대사관 재영국 한인회 분류:영어권 분류:섬나라 분류:입헌군주국 분류:G7 회원국 분류:G8 회원국 분류:G20 회원국 분류:유엔 회원국 분류:유럽 평의회 회원국 분류:유럽 연합 회원국 분류: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 분류:경제 협력 개발 기구 회원국 분류:영국 연방 회원국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 (Both Realms).svg|섬네일|400px|왼쪽에 있는 문장은 영국의 왕실 문장으로서, 1837년 빅토리아 즉위 이래 내려오는 것이다. 4등분으로 나뉜 방패의 좌측 위와 우측 아래는 잉글랜드의 왕실 문장이며, 우측 위는 스코틀랜드의 왕실 문장, 좌측 아래는 아일랜드의 국장이다. 그리고 오른쪽의 문장은 스코틀랜드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국장이다. 영국의 군주 목록 은 그레이트브리튼 왕국부터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영국)의 군주들을 다루고 있다. 1603년 잉글랜드 왕국의 엘리자베스 1세가 사망한 후, 스코틀랜드 왕국의 제임스 6세가 잉글랜드의 왕위를 이어받아 제임스 1세로 즉위하였다. 이때부터 1707년까지 잉글랜드의 군주가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군주를 겸직했다. 그러다가 1707년 연합법에 의해 잉글랜드 왕국과 스코틀랜드 왕국이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1801년 연합법에 의해 그레이트브리튼 왕국과 아일랜드 왕국이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으로 통합되었다. 그러나 1922년 12월 6일 아일랜드 자유국이 독립함에 따라, 1927년 4월 12일 나라 이름을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으로 개정하였다. 앤 여왕은 1702년 3월 8일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여왕으로 즉위하였으며, 1707년 연합법이 제정됨에 따라, 잉글랜드 왕국과 스코틀랜드 왕국이 통합된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즉 영국의 첫 번째 군주가 되었다. 이름 초상화 탄생 배우자 죽음 계승 권리 앤 1707년 5월 1일 ~1714년 8월 1일 100px 1665년 2월 6일세인트제임스 궁전제임스 2세(7세)와 앤 하이드의 딸 덴마크의 조지세인트제임스 궁전1683년 7월 28일자녀 없음 1714년 8월 1일켄징턴 궁전향년 49세 제임스 2세(6세)의 딸(동계 상속; 1689년 권리 장전);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통합(연합 조약과 1707년 연합법) 잉글랜드 의회에서 1701년 왕위 결정 법이 통과되면서, 하노버 왕가가 왕위 계승권을 갖게 되었지만, 가톨릭 신자는 왕위 계승권에서 제외되었다. 1707년 스코틀랜드 의회에서도 하노버 왕가의 왕위 계승권을 비준하였다. 앤 여왕이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서거하자, 그와 가장 가까운 친척이자 제임스 1세(6세)의 증손녀인 팔츠의 조피의 아들인 데다가, 가톨릭 신자가 아니었던 조지 1세가 왕위를 이어받게 되었다. 이름 초상화 탄생 배우자 죽음 계승 권리 비고 조지 1세 조지 루이스(게오르크 루트비히)1714년 8월 1일 ~1727년 6월 11일 100px 1660년 5월 28일라이네 궁전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선제후 에른스트 아우구스트와 팔츠의 조피의 아들 첼레의 조피 도로테아1682년 11월 21일1남 1녀 1727년 6월 11일오스나브뤼크향년 67세 제임스 1세(6세)의 증손자 조지 2세 조지 오거스터스(게오르크 아우구스트)1727년 6월 11일 ~1760년 10월 25일 100px 1683년 10월 30일헤렌하우젠조지 1세와 첼레의 조피 도로테아의 아들 안스바흐의 캐롤라인1705년 8월 22일3남 5녀 1760년 10월 25일켄징턴 궁전향년 76세 조지 1세의 아들 조지 3세 조지 윌리엄 프레더릭(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1760년 10월 25일 ~1820년 1월 29일 100px 1738년 6월 4일노퍽 하우스웨일스 공 프레더릭과 작센고타의 아우구스타의 아들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샬럿세인트제임스 궁전1761년 9월 8일9남 6녀 1820년 1월 29일윈저 성향년 81세 조지 2세의 손자 조지 4세 조지 오거스터스 프레더릭(게오르크 아우구스트 프리드리히)1820년 1월 29일 ~1830년 6월 26일 100px 1762년 8월 12일세인트제임스 궁전조지 3세와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샬럿의 아들 (1) 마리아 피츠허버트파크레인1785년 9월 15일(2) 브라운슈바이크의 캐롤라인세인트제임스 궁전1795년 4월 8일1녀 1830년 6월 26일윈저향년 67세 조지 3세의 아들 윌리엄 4세 윌리엄 헨리 (빌헬름 하인리히)1830년 6월 26일 ~1837년 6월 20일 100px 1765년 8월 21일버킹엄 궁전조지 3세와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샬럿의 아들 작센마이닝겐의 아델레이드큐 궁전1818년 7월 13일2녀 1837년 6월 20일윈저 성향년 71세 조지 3세의 아들 빅토리아 알렉산드리나 빅토리아1837년 6월 20일 ~1901년 1월 22일 100px 1819년 5월 24일켄징턴 궁전켄트와 스트래선의 공작 에드워드와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녀 빅토리아의 딸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세인트제임스 궁전1840년 2월 10일4남 5녀 1901년 1월 22일오스본 하우스향년 81세 조지 3세의 손녀 에드워드 7세는 빅토리아의 아들이자 후계자이긴 하지만, 부친의 가문 이름을 물려받았기 때문에, 그가 즉위하면서 왕가의 이름이 바뀌었다. 이름 초상화 탄생 배우자 죽음 계승 권리 비고 에드워드 7세 앨버트 에드워드1901년 1월 22일 ~1910년 5월 6일 100px 1841년 11월 9일버킹엄 궁전빅토리아와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의 아들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세인트조지 경당1863년 3월 10일3남 3녀 1910년 5월 6일버킹엄 궁전향년 68세 빅토리아의 아들 제1차 세계 대전 시기에 영국에 반독일 감정이 커지자 1917년 왕가의 이름을 윈저로 개명하였다. 이름 초상화 탄생 배우자 죽음 계승 권리 비고 조지 5세 조지 프레더릭어니스트 앨버트1910년 5월 6일 ~1936년 1월 20일 100px 1865년 6월 3일말보로 하우스에드워드 7세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의 아들 테크의 메리세인트제임스 궁전1893년 7월 6일5남 1녀 1936년 1월 20일샌드링엄 하우스향년 70세 에드워드 7세의 아들 에드워드 8세 에드워드 앨버트 크리스천조지 앤드루 패트릭 데이비드1936년 1월 20일 ~1936년 12월 11일(자진 퇴위함) 100px 1894년 6월 23일화이트로지조지 5세와 테크의 메리의 아들 윌리엄 심슨캉데 성1937년 6월 3일자녀 없음 1972년 5월 28일뇌이쉬르센향년 77세 조지 5세의 아들 조지 6세 앨버트 프레더릭 아서 조지1936년 12월 11일 ~1952년 2월 6일 100px 1895년 12월 14일샌드링햄 하우스조지 5세와 테크의 메리의 아들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웨스트민스터 사원1923년 4월 26일2녀 1952년 2월 6일샌드링햄 하우스향년 56세 조지 5세의 아들 엘리자베스 2세 엘리자베스 알렉산드라 메리1952년 2월 6일 ~현재| 1926년 4월 21일메이페어조지 6세와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의 딸 그리스와 덴마크의 필립웨스트민스터 사원1947년 11월 20일3남 1녀| 조지 6세의 딸 왕위계승서열 이름 사진 탄생 배우자 계승권리 1위 웨일스 공 찰스 Prince Charles,Prince of Wales찰스 필립 아서 조지 100px 1948년 11월 14일버킹엄 궁전엘리자베스 2세와필립 마운트배튼의 아들 (1) 다이애나 스펜서세인트 폴 대성당1981년 7월 29일2남(2) 카밀라 파커 볼스세인트 조지 성당2005년 4월 9일자식 없음 엘리자베스 2세의 장남 2위 케임브리지 공작 윌리엄 Prince William,Duke of Cambridge윌리엄 아서 필립 루이스 100px 1982년 6월 21일세인트 메리 병원웨일스 공 찰스와다이애나 스펜서의 아들 캐서린 미들턴웨스트민스터 사원2011년 4월 29일2남1녀 엘리자베스 2세의 손자 3위 케임브리지 공자 조지 Prince George of Cambridge조지 알렉산더 루이스 2013년 7월 22일세인트 메리 병원케임브리지 공작 윌리엄과캐서린 미들턴의 아들 엘리자베스 2세의 증손자 4위 케임브리지 공녀 샬럿 Princess Charlotte of Cambridge샬럿 엘리자베스 다이애나 2015년 5월 2일클래런스 하우스케임브리지 공작 윌리엄과캐서린 미들턴의 딸 엘리자베스 2세의 증손녀 5위 에식스 공작 해리 Prince Henry, Duke of Essex헨리 찰스 앨버트 데이비드 100px 1984년 9월 15일세인트 메리 병원웨일스 공 찰스와다이애나 스펜서의 아들 엘리자베스 2세의 손자 6위 요크 공작 앤드루 Prince Andrew,Duke of York앤드루 앨버트 크리스찬 에드워드 100px 1960년 2월 19일버킹엄 궁전엘리자베스 2세와필립 마운트배튼의 아들 사라 퍼거슨웨스트민스터 사원1986년 7월 23일2녀 엘리자베스 2세의 차남 7위 요크 공녀 베아트리스 Princess Beatrice of York베아트리스 엘리자베스 메리 100px 1988년 8월 8일포틀랜드 병원요크 공작 앤드루와사라 퍼거슨의 딸 엘리자베스 2세의 손녀 8위 요크 공녀 유제니 Princess Eugenie of York유제니 빅토리아 헬레나 100px 1990년 3월 23일포틀랜드 병원요크 공작 앤드루와사라 퍼거슨의 딸 엘리자베스 2세의 손녀 9위 웨식스 백작 에드워드 Prince Edward,Earl of Wessex에드워드 앤서니 리처드 루이스 100px 1964년 3월 10일버킹엄 궁전엘리자베스 2세와필립 마운트배튼의 아들 소피 리스 존스세인트 조지 성당1999년 6월 19일1남 1녀 엘리자베스 2세의 삼남 10위 세번 자작 제임스 James, Viscount Severn제임스 알렉산더 필립 테오 2007년 12월 17일프림리 파크 병원웨식스 백작 에드워드와소피 리스 존스의 아들 엘리자베스 2세의 손자 11위 레이디 루이즈 윈저 Lady Louise Windsor루이즈 앨리스 엘리자베스 메리 2003년 11월 8일프림리 파크 병원웨식스 백작 에드워드와소피 리스 존스의 딸 엘리자베스 2세의 손녀 12위 프린세스 로열 앤 Anne, Princess Royal앤 엘리자베스 앨리스 루이즈 100px 1950년 8월 15일클래런스 하우스엘리자베스 2세와필립 마운트배튼의 딸 (1) 마크 필립스웨스트민스터 사원1973년 11월 14일1남 1녀(2) 티머시 로런스크레디 장로교회1992년 12월 12일자식 없음 엘리자베스 2세의 장녀 영국 영국의 군주 배우자 영국의 총리 목록 독일의 대통령 목록 독일의 총리 목록 프랑스의 대통령 목록 잉글랜드 국왕 스코트인의 왕 분류:군주 목록
2004년 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1월 3일 - 이집트 민간 항공사 플래시 에어의 보잉 737 전세기가 홍해에 추락, 탑승자 148명이 전원 사망하다. 1월 5일 - 부룬디의 후투족 무장 조직인 FNL(fr)이 2003년 12월 31일 발표한 선전 포고를 철회하고 도미티앵 은다이제예(fr) 대통령과 협상할 것을 받아들이다. 1월 11일 - 열린우리당은 전당대회를 열어 정동영 의원을 당의장으로 선출하다. 2월 4일 - 안상영 부산 시장이 구치소에서 자살하다. 2월 8일 - 러일 전쟁 개전 100주년 3월 11일 - 알 카에다 국제테러단체가 스페인에서 마드리드의 아토차역에서 동시다발테러사건을 일으킴. 3월 12일 -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하다. 3월 20일 - 중화민국 총통 선거에서 천수이볜 총통이 재선되다. 3월 31일 - 4월 1일 KTX가 개통 됨으로써, 통일호가 종운 되었다. 이후 남은 열차는 통근열차로 명칭을 변경함으로써 지금까지 운행중이다. 4월 15일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다. 4월 22일 - 룡천 열차폭발 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용천에서 가연성 물질을 싣고가던 열차가 폭발하였다. 3000여 명의 사상자를 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4월 28일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녹동역~상무역 구간이 개통하였다. 5월 1일 - 유럽 연합 확장 라트비아·리투아니아·몰타·슬로바키아·슬로베니아·에스토니아·체코·키프로스·폴란드·헝가리 가입하다. 5월 5일 - 개기월식이 일어나다. 5월 14일 - 헌법재판소가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안을 기각하다. 5월 25일 - 탄핵소추 기간 동안 대통령직을 맡았던 고건 총리가 사임하다. 5월 26일 - 제1차 남북장성급군사회담이 개최되다. 5월 28일 - 이야드 알라위가 이라크 임시정부 총리에 선출되다. 5월 29일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 임기 종료. 5월 30일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 임기 시작. 5월 31일 - 이라크에서 김선일이 알 자르카위가 이끄는 무장단체에 피랍되다. 6월 9일 - 불량 만두 파동이 일어나다. 6월 22일 - 이라크에서 김선일이 알 자르카위가 이끄는 무장단체에 의해서 피살되다. 6월 28일 * 이라크 연합국 임시행정처가 이라크 임시정부에 주권을 이양하다. * 리비아가 미국과 재수교하다. 6월 30일 - 이해찬이 국무총리에 취임하다. 7월 4일 - 태풍 가 대한민국에 상륙하다. 7월 18일 - 연쇄살인범 유영철이 체포되다. 7월 27일 - 탈북자 468명 집단 입국하다.(~28일) 8월 25일 - 김영란이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법관에 임용되다. 8월 31일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방화범 김대한이 진주교도소에서 지병으로 사망하다. 9월 1일 - 러시아 북오세티야공화국 베슬란 시의 한 학교에서 체첸 반군에 의한 인질 사태가 벌어지다. (~3日) 인질 1000여 명 이상 사상. 9월 4일 - 대한민국의 유명 사극 불멸의 이순신이 첫 방송 되었다. 9월 5일 - 야구선수와 연예인들에 대한 병역비리 수사가 시작됐다. 여기서 송승헌, 한재석, 장혁 등의 연예인이 연루되었으며, 한재석은 11월 15일, 송승헌과 장혁은 11월 16일 군에 입대했다. 9월 9일 - 북한 양강도에서 수력 발전소 건설을 위한 폭파가 원자력 발전소 폭파로 잘못 포착되어 언론에 보도되다. 9월 23일 - 성매매 특별법이 시행되다. 10월 21일 - 2004년 대한민국 행정수도 이전 헌법재판소가 행정수도 이전법을 위헌 판결하다. 10월 23일 - 일본 니가타현에서 지진이 일어나다. 10월 26일 - 강원도 중부전선에서 DMZ 3중철책 절단사건이 벌어지다. 10월 30일 - 기초단체장 재·보궐 선거가 실시되다. 인도양 지진 해일 사태. 11월 2일 - 2004년 미국 대통령 선거 공화당 소속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다. 12월 8일 - 대한민국군 이라크 파병 노무현 대통령, 이라크 파견 자이툰부대 방문. 12월 11일 - 중화민국 6대 입법원 총선거에서 야권이 승리하다. 12월 26일 *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사태 * 우크라이나의 빅토르 유셴코 후보가 대통령선거 결선 재투표에서 승리하다.(오렌지 혁명) 1월 1일 - 한국철도시설공단 출범. 1월 16일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7의 판매와 지원을 중단했다. * 분당선 이매역이 개통되었다. 2월 2일 - K리그의 안양 LG 치타스가 서울특별시로 연고이전을 하여 FC 서울로 변경됐다. 2월 27일 - 한국방송공사 어린이 드라마의 최장수 프로그램인 매직키드 마수리가 496회를 끝으로 종영되었다. 3월 1일 - 서울방송(SBS)이 여의도시대를 마감하고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에 신사옥으로 자리를 옮겼다. 3월 23일 - MBC 드라마 대장금이 종영했다. 3월 31일 - 통일호 열차 49년 만에 운행 완전 종료. 4월 1일 - 한국고속철도(KTX)(동대구~경주, 울산 경유 부산 구간 제외)가 개통되고 통일호가 폐지되었다. 4월 28일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일부 구간(녹동 ~ 상무)이 개통되었다. 5월 1일 - 서울광장 개장. 5월 10일 * 명탐정 코난 2기가 한국에서 투니버스를 통해 새로 방영되다. * 아따맘마가 한국에서 투니버스를 통해 첫 방영되다. 5월 24일 - 대한민국 국회방송 개국. 6월 12일~7월 4일 - 유로 2004 대회가 에서 개최되었다. (우승 그리스) 6월 15일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시노드에서 한국 정교회를 수도 대교구로 승격시켰다. 6월 20일 - 소티리오스 트람바스 수도 대주교가 초대 한국 정교회 수도 대주교로 착좌했다. 6월 23일 - 경남도립미술관이 개관하였다. 6월 24일 - 대한민국 천주교 의정부교구가 설정되었다. 6월 30일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우 NT 4.0과 인터넷 익스플로러 3의 모든 지원을 중단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0의 메인스트림 지원을 중단했다. 7월 1일 - 서울특별시 버스 교통개편. 8월 5일 -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개항. 8월 13일~8월 29일 - 2004년 하계 올림픽이 아테네에서 개최되었다. 9월 10일 ~ 11월 13일 - 2004 광주비엔날레. 9월 19일~9월 28일 - 2004년 하계 패럴림픽이 아테네에서 개최되었다. 9월 24일 - 분당선 구룡역이 개통되었다. 10월 11일 - 이한택 주교가 초대 천주교 의정부교구장에 착좌하였다. 11월 1일 - 한국시리즈 9차전 끝에 현대 유니콘스가 우승하였다. 11월 17일 - 대한민국,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실시하다. 11월 26일 - 분당선 보정역이 개통되었다. 12월 15일 - 개성공단에서의 남북 협력 첫 생산품인 리빙아트 냄비 세트가 서울 롯데백화점에서 첫 판매되었다. 12월 31일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우 NT 4.0 서버와 인터넷 익스플로러 4의 모든 지원을 중단했다. * 경인방송이 개국한지 7년여만에 방송위원회의 재허가 추천거부로 TV 방송이 중단되었다. 언론통폐합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교수신문이 정한 2004년의 사자성어 黨同伐異 1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안서현. 1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영은. 2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류한비 2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효제 2월 19일 - 잉글랜드의 배우 밀리 보비 브라운 3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은미. 4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수정. 4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현빈 5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송이 5월 4일 - 일본의 배우 타니 카논 5월 13일 - 미국의 배우 겸 성우 에이바 에이커스 6월 8일 - 미국의 배우 프란체스카 카팔디 6월 9일 - 대한민국의 쌍둥이 송예담, 송예준. 6월 15일 - 미국의 배우 스털링 제린스 6월 17일 - 일본의 배우, 가수 스즈키 후쿠. 6월 23일 - 일본의 배우, 가수 아시다 마나. 7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준원. 7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디엘 8월 5일 - 미국의 배우 앨버트 차이 8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태용. *8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장원영 (아이즈원) 9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은찬 9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구승현 10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민상 10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권수.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다인. 11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수연. 12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현도. 율리아나 로널드 레이건 레이 찰스 말런 브랜도 크리스토퍼 리브 야세르 아라파트 베른하르트 왕자 1월 25일 - 헝가리의 축구 선수 페헤르 미클로시 1월 26일 - 대한민국의 언어학자 허웅. 2월 4일 - 부산시장 안상영 (구치소에서 목을 매 자살). 2월 13일 - 이츠케리아 체첸 공화국의 2대 대통령 젤림한 얀다르비예프. 2월 21일 - 영국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존 찰스. 3월 11일 - 대우건설 사장 남상국 (노무현의 기자회견에 실망해 한강에 투신자살). 3월 20일 - 네덜란드의 여왕 율리아나. 4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미경. 4월 29일 - 제33대 전남도지사 박태영 (검찰 수사 중 한강 투신자살). 5월 5일 - 캐나다의 화제인물 데이비드 라이머 5월 24일 - 김정은의 모친 고용희 5월 25일 - 미국의 활동가, 저술가 데이비드 델린저. 6월 4일 - 대한민국 파주시장 이준원 (검찰 수사 중 한강 투신자살). 6월 5일 - 미국의 제40대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 6월 10일 - 미국의 솔 가수 레이 찰스. 6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일우. 6월 22일 - 가나무역 직원 김선일. 7월 1일 - 미국의 배우 말런 브랜도. 7월 19일 - 일본의 정치가, 총리대신 스즈키 젠코. 7월 20일 - 대한민국의 제10대 대통령 영부인 홍기. 8월 4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정은임. 8월 9일 - 대한민국의 모델 오지혜. 8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서재호. 8월 14일 - 폴란드의 시인·소설가 체스와프 미워시. 8월 31일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방화범 김대한. 9월 13일 - 멕시코의 화학자, 경구피임약 발명가 루이스 미라몬테스 9월 24일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레이 트레일러. 9월 28일 - 러시아의 극작가 빅토르 로조프 10월 9일 - 프랑스의 철학자 자크 데리다. 10월 10일 - 미국의 영화배우 크리스토퍼 리브.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성우 장정진. 11월 9일 - 스웨덴의 언론인, 작가 스티그 라르손. 11월 11일 - 팔레스타인의 정치가 야세르 아라파트. 12월 1일 - 네덜란드의 베른하르트 왕자. 12월 7일 - 미국의 기업인, 암웨이의 창립자 제이 밴앤덜 12월 8일 - 미국의 기타리스트 다임백 대럴 12월 9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맹기,대한민국의 전 외무부장관 김동조,대한민국의 정치인 이민우 경제학상 핀 쉬들란, 에드워드 프레스콧 문학상 엘프리데 옐리네크 물리학상 데이비드 그로스, 데이비드 폴리처, 프랭크 윌첵 생리학 및 의학상 리처드 액셀, 린다 버크 평화상 왕가리 마타이 화학상 어윈 로즈, 아론 치카노베르, 아브람 헤르슈코 작품상 반지의 제왕-왕의 귀환 감독상 피터 잭슨(반지의 제왕-왕의 귀환) 남우주연상 숀 펜(미스틱 리버) 여우주연상 샬리즈 시어런(몬스터) 남우조연상 팀 로빈스(미스틱 리버) 여우조연상 러네이 젤위거(콜드 마운틴) 음력월 월건 대소 음력 1일의양력 월일 음력 1일간지 1월 병인 소 1월 22일 경자 2월 정묘 대 2월 20일 기사 윤2월 소 3월 21일 기해 3월 무진 대 4월 19일 무진 4월 기사 대 5월 19일 무술 5월 경오 소 6월 18일 무진 6월 신미 대 7월 17일 정유 7월 임신 소 8월 16일 정묘 8월 계유 대 9월 14일 병신 9월 갑술 소 10월 14일 병인 10월 을해 대 11월 12일 을미 11월 병자 소 12월 12일 을축 12월 정축 대 2005년 1월 10일 갑오
한국은 지형학상 산지가 국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북쪽에서 남쪽으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고저의 차가 심하다. 대한민국의 영토인 한반도에 위치한 산 중에서 가장 높은 산은 백두산이며, 남한에서는 한라산이 가장 높다(남한 내륙에서는 지리산이 가장 높다). 산의 고도는 90% 이상이 2000미터 미만이다. KOSIS의 국가통계포털 국토지리정보현황 자료에 의하면 남한의 산은 8751개 이다. 한반도는 산지 면적이 전국토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높은 편은 아니다. 대부분의 산지의 높이는 2,000m 이하이며, 가장 높은 백두산이 2,750m, 남한의 최고봉인 한라산도 1,950m에 불과하다. 해발 1,000m 이상의 고지대는 국토의 약 10%이며, 200 ~ 500m의 저산성 산지가 약 40% 이상을 차지한다. 남한 본토(내륙)에서 가장 높은 산은 지리산 천왕봉으로 높이가 1,915m 이다. 산지의 높이는 북쪽과 동쪽으로 감에 따라 높아지고 험하다. 따라서 한반도의 산지는 북쪽과 동쪽의 높은 산지와 서쪽과 남쪽의 비교적 낮은 구릉성 산지로 구분되며, 남서쪽으로 완만히 기울어지는 경동성 지형 을 이루고 있다. 한반도는 오랫동안 침식을 받아 전반적으로 낮고 편평했으나, 단층 요곡 운동과 함께 융기 운동을 받아 현재와 같은 지형이 형성되었다. 특히 북동쪽은 융기가 크게 나타나 높고 험한 산지를 이루었다. 비교적 높은 곳에 융기 이전의 평탄한 면인 고위 평탄면 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오랫동안 산이 깎이고 쌓여서 준평원이 다시 지각 운동으로 인하여 몇 차례 솟아오르며, 단단한 부분이 그대로 굳어 버린 것으로 개마고원 지대에 가장 넓게 분포한다. 그리고 태백산맥의 대관령 부근과 삼척 부근을 비롯한 여러 곳에 남아 있다. 가덕산 · 가령산 · 가리산 (포천) · 가리산 (강원) · 가리왕산 · 가산 (칠곡) · 가섭산 · 가야산 (광양) · 가야산 (나주) · 가야산 (충청남도) · 가야산 · 가엽산 · 가지산 (경상도) · 가지산 (전라남도) · 가창산 · 각산 ㆍ 각호산 (충청북도) · 각호산 (황해도) · 각흘산 · 각화산 · 각희산 · 간월산 · 갈기산 (경기도/강원도) · 갈기산 (충청북도) · 갈산 · 감악산 (거창) · 감악산 (원주) · 감악산 (파주) · 갑산 · 갑장산 · 강천산 · 개인산 · 개화산 · 객산 거류산 ㆍ 거마산 · 거망산 · 거문산 (평창) · 거문산 (부산) · 건지산 (용인) · 건지산 (평양) · 검단산 · 검마산 · 견두산 · 경각산 · 계관산 · 계룡산 (공주) · 계룡산 (거제) · 계명산 (충청북도) · 계명산 (평안남도) · 계방산 (강원도) · 계방산 (경남) · 계양산 · 계족산 (대전) · 계족산 (영월) · 계족산 (구례) · 계족산 (순천) 고고산 · 고대산 (경기 연천/강원 철원) · 고대산 (함경남도) · 고동산 · 고두산 · 고래산 ·고루포기산 · 고산 (고창) · 고양산 · 고헌산 · 곤천산 · 괘관산 · 괘령산 · 괘방산 · 공덕산 (경상북도) · 공덕산 (자강도) · 공작산 · 관문산 · 관모봉 · 관모산(인천) 관악산 · 관음산 · 광교산 · 광덕산 (강원 경기) · 광덕산 (충남) · 광려산 · 광석산 · 광제산 구곡산 (경남) · 구나무산 · 구룡산 (서울) · 구룡산 (영월) · 구룡산 (원주) · 구만산 · 구름산 · 구병산 · 구봉대산 · 구봉산 (강원도) · 구봉산 (대전) · 구봉산 (부산) · 구봉산 (전라남도) · 구봉산 (전라북도) · 구월산 · 구절산 (강원도) · 구절산 (고성) · 구천산 · 구학산 · 국망봉 · 국지산 · 군자산 · 굴봉산 금강산 · 금강산 (전라남도) · 금단산 · 금당산 · 금련산 · 금물산 · 금산 (경상남도) · 금산 (전라도) · 금병산 (대전) · 금병산 (춘천) · 금성산 (경상남도) · 금성산 (전라남도) · 금수산 (충청북도) · 금수산 (평양) · 금오산 (경남 밀양/양산) · 금오산 (경남 하동) · 금오산 (경북 구미) · 금오산 (전라남도) · 금오산 (경북 경주) · 금원산 · 금적산 · 금전산 · 금정산 · 금주산 · 금학산 · 금확산 ㆍ 금대산 기룡산 · 기백산 · 기양산 · 기우산 · 깃대봉 (홍도) 낙가산 · 낙산 · 낙영산 · 남군자산 · 남덕유산 · 남병산 · 남산 (경주) · 남산 (충주) · 남산 (서울) · 남산 (순천) · 남한산 · 낭산 · 내동산 · 내연산 · 내장산 · 냉산 · 노고단 · 노목산 · 노음산 · 노추산 · 뇌암산 · 뇌정산 · 눌의산 · 능동산 다남산 · 다락산 · 단석산 · 단풍산 · 달마산 (남포) · 달마산 (전라남도) · 달마산 (황해남도) 대금산 · 대덕산 (강원도) · 대덕산 (경상북도-전라북도) · 대덕산 (량강도-함경북도) · 대덕산 (평안남도) · 대덕산 (함경남도) · 대덕산 (황해남도) · 대둔산 (충남/전북) · 대둔산 (전라남도) · 대룡산 · 대모산 · 대모산 (양주) · 대미산 ㆍ 대봉산 · 대성산 (강원) · 대성산 (평양) · 대암산 (인제) · 대야산 · 대우산 · 대운산 · 대지산 (경기) · 대학산 덕가산 (강원도) · 덕가산 (충북) · 덕가산 (경북) · 덕고산 · 덕두산 · 덕수산 · 덕유산 · 덕절산 · 덕태산 · 덕항산 도덕산 · 도드람산 · 도라산 · 도락산 · 도마치봉 · 도명산 · 도봉산 · 도비산 · 도솔산 · 도장산 (강원도) · 도장산 (경상북도) · 도정산 · 도화산 동대산 (강원) · 동림산 · 동산 (산) · 동산 (충청북도) · 동악산 두무산 · 두류산 (대구) · 두류산 (화천) · 두륜산 · 두타산 (강원도) · 두타산 (충청북도) · 둔덕산 · 둔철산 · 등곡산 랑림산 마니산(강화군) · 마니산 (영월) · 마당재산 · 마대산 · 마미산 · 마산 (고성) · 마이산 · 만경봉 · 만덕산 · 만수산 · 만악산 · 만어산 · 만월산 (강원도) · 만월산 (인천) · 만인산 · 만행산 망경대산 · 망대암산 · 망운산 · 망월산 · 망이산 · 망진산 · 매봉산 (가평) · 매봉산 (삼랑진) · 매봉산 (영월) · 매화산 · 매화산 (강원) · 매화산 (경남) · 맹부산 면산 · 면봉산 · 멸악산 · 명성산 · 명지산 모락산 · 모란봉 · 모악산 · 모후산 · 목우산 · 뫼봉산 · 모담산(김포) 묘향산 무갑산 · 무등산 · 무량산 · 무룡산 · 무성산 · 무이산 · 무척산 · 무학산 · 문복산 · 문수산· 문수산 (경기) · 문암산 (함경도) · 문학산 · 문형산 (경기) 미녀산 · 미륵산 (강원도) · 미륵산 (경상남도) · 미륵산 (전라북도) · 미숭산 · 민둥산 (강원도) · 민둥산 (경기도) · 민주지산 바래봉 · 바위산 (춘천) · 박달산 (괴산) · 박월산 · 박지산 · 반론산 · 반암산 · 반야봉 · 발교산 · 발왕산 · 방어산 · 방장산 · 방태산 배방산 · 배봉산 · 배산 · 백년산 · 백덕산 · 백두산 · 백련산 · 백마산 · 백병산 · 백석산 · 백아산 · 백악산 · 백암산 (강원도) · 백암산 (경상북도) · 백암산 (량강도) · 백암산 (전라도) · 백암산 (충청남도) ·백우산 · 백운산 (원주/제천) · 백운산 (전남 광양) · 백운산 (정선/평창) · 백운산 (포천/화천) · 백운산 (함양/장수) · 백이산 · 백적산 · 백화산 (충청남도) · 백화산 (충북 영동/경북 상주) · 백화산 (충북 괴산/경북 문경) 번암산 · 벌매산 · 법화산 (경기) · 법화산 (경남) · 벽도산 · 벽방산 · 벽암산 · 변산 (산) · 별유산 · 병풍산 (전남) 보련산 · 보문산 · 보배산 · 보해산 · 보현산 · 복계산 · 복두산 · 봉복산 · 봉래산 (부산) · 봉래산 (영월) · 봉명산 (개풍) · 봉명산 (문경) · 봉명산 (사천) · 봉미산 · 봉수산 · 봉화산 (김해) · 봉화산 (마산) · 봉화산 (서울특별시) · 봉화산 (춘천 남산면) · 봉화산 (춘천 북산면) · 봉화산 (평양직할시) · 봉화산 (황북 서흥) · 봉화산 (황북 신계) · 봉황산 부귀산 · 부용산 (강원) · 북바위산 · 북배산 · 북악산 · 북암산 · 북주산 · 북한산 · 분성산 · 불갑산 · 불곡산 (경기 양주) · 불곡산 (경기 성남/광주) · 불명산 · 불모산 (창원) · 불암산 부모산 비계산 · 비룡산 (봉화) · 비봉산 · 비슬산 · 비음산 · 비학산 사금산 · 사달산 · 사명산 · 사자산 · 산방산 (경상남도) · 산방산 (제주도) 삼각산 (평안북도) · 삼도봉 (민주지산) · 삼도봉 (지리산) · 삼방산 · 삼봉산 · 삼성산 (경상북도) · 삼성산 (서울/경기) · 삼악산 · 삼정산 · 상운산 서기산 · 서대산 · 서리산 · 서운산 · 석기암산 · 석룡산 · 석병산 · 선각산· 선달산· 선도산 · 선바우산 · 선불산 · 선운산 · 선자령 · 설봉산 (이천시) · 설성산 · 설악산 · 설화산 · 성거산 · 성산 · 성수산 · 성인봉 · 성주산 소리산 • 소래산 · 소백산 · 소요산 · 소요산 (고창) · 속리산 · 송악산 (개성) · 송악산 (제주) · 송학산 수도산 · 수락산 · 수리산 · 수봉산 · 수양산 (대전) · 수양산 (완주) · 수양산 (황해도) 승두산 · 승달산 시랑산 · 신불산 · 식장산 아미산 (충남) · 아미산 (홍천) · 아차산 · 안산 (인제) · 안산 (서울) · 안산(서초구) · 안수산 · 앞산 · 약산 · 약수산 · 양각산 · 양성산 · 양을산 · 양자산 어답산 · 어래산 · 어비산 · 억산 · 언진산 · 엄광산 · 여분산 · 여항산 · 연석산 · 연엽산 · 연인산 · 연점산 · 연화산 (고성) · 연화산 (언양) · 연화산 (자강도/함경남도) · 연화산 (함남 허천군/단천시) · 영장산 (경기) · 영축산(울산) · 영취산(전남) · 예봉산ㆍ연하봉 오가산 · 오대산 · 오도산 · 오두산 · 오봉산 (강원도) · 오봉산 (대전) · 오봉산 (전라북도) · 오봉산 (평안북도) · 오봉산 (춘천) · 오봉산 (평안남도) · 오봉산 (평안북도) · 오서산 · 옥갑산 · 옥마산 · 옥석산 · 올산 · 옹강산 · 옹성산 · 와룡산 · 완택산 · 왕방산 · 왕산 용두산 (대구) · 용두산 (부산) · 용두산 (충북) · 용마산 (경기광주) · 용마산 (제천) · 용문산 (양평) · 용문산 (예천) · 용문산 (평안도) · 용봉산 · 용악산 · 용암산 (전남) · 용왕산 · 용화산 우두산 · 우면산 · 우암산 · 우장산 · 운길산 · 운교산 · 운달산 · 운동산 · 운무산 · 운문산 · 운악산 · 운암산 · 운장산 · 운제산 · 울련산 · 우산봉 (대구) · 우산봉 (독도) 유달산 · 유명산 · 유현덕산 · 유학산 · 육백산 원등산 · 원적산 · 위령산 · 위봉산 월미산 · 월봉산 · 월아산 · 월악산 · 월여산 · 월출산 ·월경산 (장수/함양) 응복산 · 응봉산 (삼척) · 응봉산 (서울) · 응봉산 (홍천) 인등산 · 인왕산 · 일월산 · 일출봉 · 입암산 (목포) · 입암산 (전라도) · 입암산 (북부지방) 자굴산 · 작성산 · 장락산 · 장령산 · 장미산 (강원도) · 장미산 (충북) · 장산 (강원도) · 장산 (부산) · 장병산 · 장수산 · 장안산 · 장암산 · 재약산 · 재암산 적근산 · 적상산 · 적석산 · 적성산 · 적오산 · 절개산 · 점봉산 · 정각산 · 정방산 · 정족산 (강화도) · 정족산 (경남) · 제왕산 조계산 · 조두산 · 조령산 · 조항산 · 존제산 · 종남산 · 종자산 (강원도) · 종자산 (경기도) · 종현산 · 주금산 · 주론산 · 주미산 · 주왕산 · 주읍산 · 주흘산 · 중미산 · 중왕산 · 중원산 지등산 · 지룡산 · 지리산 · 지리산 (통영) · 지억산 · 지장산 · 진악산 · 진악산 · 집현산 천관산 · 천등산 (경상북도) · 천등산 (전라남도) · 천등산 (전라북도) · 천등산 (충청북도) · 천마산 (개풍) · 천마산 (남양주) · 천마산 (문경) · 천마산 (양산) · 천마산 (평안북도) · 천보산 · 천삼산 · 천성산 · 천왕봉 · 천주산 (문경) · 천주산 (경남) · 천태산 (경상남도) · 천태산 (충청도) · 천황산 (경남/울산) · 천황산 (경남 합천) · 천호산 · 철마산 (남양주시) 청계산 (가평포천) · 청계산 (상주) · 청계산 (서울) · 청계산 (양평) · 청량산 (서울/경기) · 청량산 (경상북도) · 청량산 (인천) · 청명산 (수원/용인) · 청옥산 (강원도) · 청옥산 (경상북도) · 청우산 · 청태산 · 청화산 · 최정산 추애산 · 추월산 · 축령산 (경기) · 축령산 (전남) · 축서산 · 취서산 치악산 · 칠갑산 · 칠보산 (경상북도) · 칠보산 (경기도) · 칠보산 (전라북도) · 칠보산 (충청북도) · 칠보산 (함경북도) 칼봉산 태기산 · 태백산 · 태조산 · 태화산 (공주) · 태화산 (경기광주) · 태화산 (영월/단양) · 토함산 · 통고산 팔각산 · 팔공산 · 팔공산 (장수) · 팔달산 · 팔봉산 (고원) · 팔봉산 (서산) · 팔봉산 (홍천) · 팔영산 · 팔음산 · 포암산 · 폭산 · 피래산 · 필봉 팔용산 하설산 · 학가산 · 한라산 · 한우산 · 함라산 (전라북도) · 함박산 (경기) · 함백산 · 함월산 · 해협산 · 향로산 · 향수산 (경기) · 향적산 (평안북도) · 향적산 (충청남도) · 현성산 호구산 · 호명산 · 호암산 · 홀통골산 ·화산 (경상북도) · 화악산 (경상도) · 화악산 (경기도/강원도) · 화왕산 · 화야산 · 화학산 황금산 · 황령산 · 황매산 · 황병산 · 황석산 · 황악산 · 황장산 · 황정산 · 황학산 회문산 · 회봉산 · 흑석산 · 흑성산 · 흥정산 · 희아산 · 희양산 · 흰봉산 백두대간 한국의 산맥 한국의 고개 오름 분류:한반도 분류:산 목록
한국의 산맥 (韓國-山脈)은 주향에 따라서 한국 방향·중국 방향·랴오둥 방향의 산계로 나눈다. 한국 방향 마천령·낭림·ads-남남동으로 한반도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며, 단층 구조를 이루어 동해사면은 경사가 급하고 황해사면은 경사가 완만하다. 랴오둥 방향 강남·함경·적유령·묘향·언진·멸악산맥 등과 같이 동북동-서남서의 방향이며, 주로 습곡구조이다. 특히 북부지방에 잘 발달되어 있다. 중국 방향 광주·차령·소백·노령산맥 등과 같이 북북동-남남서로 뻗은 산맥이다. 주로 습곡 구조이며 대개 노년기 산지로 곳곳에 잔구가 남아 있다. 다음은 고토 분지로에 의한 분류이다. 랴오둥 방향 * 강남산맥 * 함경산맥 * 적유령산맥 * 묘향산맥 * 언진산맥 * 멸악산맥 중국 방향 * 마식령산맥 * 광주산맥 * 차령산맥 * 소백산맥 * 노령산맥 한반도 방향 * 마천령산맥 * 낭림산맥 * 태백산맥 # 백두대간 # 장백정간 # 청북정맥 # 청남정맥 # 해서정맥 # 임진북예성남정맥 # 한북정맥 # 한남금북정맥 # 한남정맥 # 금북정맥 # 금남호남정맥 # 금남정맥 # 호남정맥 # 낙남정맥 # 낙동정맥 한국의 산 산경표 분류:한반도
한국은 지형학적으로 산이 국토에 차지하는 면적이 매우 큰 까닭으로 산악 지형의 한 특징인 동굴을 적지 않게 찾아 볼 수 있다. 한반도의 산맥 형성이 북쪽과 동쪽에서 남서쪽으로 펼쳐지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동굴은 남한에서는 강원도에 밀집하여 있다. 그리고 화산에 의해 생긴 제주도에 역시 긴 동굴들을 찾아 볼 수 있다. 더군다나 몇몇 동굴들에서는 오늘날 한국의 선사시대의 유적이 발견되고 있다. 아래 목록은 한국의 동굴들을 지역별로 분류한 것이다. 그러나 이 목록에 기재되지 않은 동굴도 많으므로 정확하지 않다. 고씨동굴 영월군 대야동굴 동대동굴 백룡동굴 평창군 비룡동굴 비선동굴 서대동굴 성류동굴 울진군 연하동굴 옥계동굴 강릉시 용연동굴 월둔동굴 용담동굴 저승동굴 초당동굴 삼척시 화암동굴 활기동굴 만장동굴 김녕동굴 협재동굴 빌레못동굴 미천동굴 쌍용동굴 용천동굴 고수동굴 단양군 노동동굴 단양군 천호동굴 익산시 화순동굴 익산시 빌레못 동굴 제주도 화순동굴 전라북도 익산시 한국 동굴 연구소 홈페이지
한국의 주요 강 한국의 하천 은 분수령이 동해안 쪽으로 치우쳐 있어서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은 짧고 급류가 많으나, 서쪽 또는 서남쪽으로 흐르는 하천은 완만하고 길다. 대개 하천은 노년곡과 준평원상을 흘러 경사가 극도로 완만한 평형 하천을 이루며, 오랫동안의 침식으로 중류와 하류에 침식 분지와 범람원·자연제방 등이 발달하고, 상류에는 하안단구를 이루는 곳이 많다. 계절에 따른 강수량 분포가 고르지 못하여 우량의 변화가 매우 커서 하천의 개발 이용이 곤란하며 특히 하기의 집중적인 호우로 화강암 산지에서 풍화된 토사의 유출이 많아 이것이 하저에 퇴적되어 하상을 높여 잦은 홍수를 유발한다. 대한민국에서 하천은 하천법에 의한 국가하천과 지방하천, 그리고 소하천정비법에 의한 소하천으로 구분하고 있다. 국가하천 국가하천은 국토보전상 또는 대한민국 국민 경제상 중요한 하천으로, 국토교통부장관이 아래 사항 중 하나에 해당하면 국가하천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 유역면적 합계가 200km2 이상인 하천 # 다목적댐의 하류 및 댐 저수지로 인한 배수영향이 미치는 상류의 하천 # 유역면적 합계가 50km2 이상 200km2 미만인 하천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하천 ## 인구 20만명 이상의 도시를 지나거나 범람구역 안의 인구가 1만명 이상인 지역을 지나는 하천 ## 다목적댐, 하구둑 등 저수량 500만m3 이상의 저류지를 갖추고 국가적 물 이용이 이루어지는 하천 ## 상수원보호구역, 국립공원,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문화재보호구역, 생태·습지보호지역을 지나는 하천 ## 그 밖에 범람으로 피해가 일어나는 지역을 지나는 하천 지방하천 지방하천은 지방의 공공이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하천으로서 시장 또는 도지사가 그 명칭과 구간을 지정하는 하천을 말하며, 시장 또는 도지사가 하천을 관리한다. 지방하천을 지정할 때는 국가하천과 연결될 경우 국가하천의 종점과 지방하천의 기점이 일치해야 하며, 지방하천이 다른 지방하천과 연접할 경우 연접하는 다른 지방하천의 기점과 종점이 일치해야 한다. 또한 하나의 하천을 2개 이상의 명칭으로 지정할 수 없으며, 공유수면의 매립 등으로 해안선이 변경될 경우 하천의 종점이 변경된다. 만약 기존 지방하천이 국가하천으로 지정될 경우 지방하천의 효력을 잃게 된다. 소하천 소하천은 국가하천 또는 지방하천으로 지정되지 않은 하천으로, 일시적이 아닌 유수(流水)가 있거나 또는 있을 것이 예상되는 구역으로서 평균 하천 폭이 2m 이상이고 시점에서 종점까지 전체길이가 500m 이상인 하천을 말한다. 소하천은 국가하천과 지방하천과 달리 하천법의 적용을 받지 않으며 소하천 만을 다루는 소하천정비법을 따른다. 소하천의 지정은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또는 자치구 구청장이 할 수 있으며, 만약 기존 소하천을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가 지방하천으로 지정할 경우 소하천의 효력을 잃게 된다. *길이 순 * 압록강 (808km) * 두만강 (525km) * 낙동강 (517km) * 한강 (514km) * 대동강 (430km) * 금강 (401km) * 섬진강 (212km) *황해로 흐르는 강 **금강 **대동강 **남강 **예성강 **한다리내 **정자천 **루천 **오조천 **재령강 **동진강 **만경강 **발안천 **안성천 **압록강 **영산강 **황룡강 **임진강 **한탄강 **청천강 **대령강 **한강 **경안천 **능원천 **양지천 **운학천 **공릉천 **나진포천 **남한강 **섬강 **복하천 **청미천 **달천 **동강 **서강 **평창강 **북한강 **홍천강 **소양강 **안양천 **도림천 **중랑천 **청계천 **창능천 **탄천 **양재천 **여수천 **분당천 **풍덕천 *동해로 흐르는 강 **관성천 **금야강 **남강 **남대천 **두만강 **북대천 **성천강 **수성천 **신명천 **어랑천 **어물천 **방방천 **오십천 **왕피천 **외황강 **청량천 **두왕천 **남천 **장안천 **용소천 **정자천 **무룡천 **태화강 **국수천 **대곡천 **구량천 **미호천 **동천강 **송정천 **동천 **명촌천 **양정천 **진장천 **무법천 **상천천 **작천천 **가천천 **여천천 **척동천 **하서천 **형산강 **기계천 **북천 **회야강 **남창천 **대북천 **주남천 **천곡천 **효암천 **화산천 *남해로 흐르는 강 **남강 **경호강 **밀양강 **서낙동강 **영강 **황강 **섬진강 **보성강 *만주 방향으로 흐르는 강 **삼도백하 **백두천 대한민국의 국가하천 목록 강 분류:강 목록
한국의 섬 목록 은 대한민국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섬의 목록이다. 출처 해양수산부 연안포탈 면적 단위 (km²) 광역시/도 해안선 연장 (km²) 도서부 유인도서 계 유인 도서 무인 도서 가구수 (가구) 인구수 개소 면적 개소 면적 개소 면적 인천광역시 880.30 154 687.02 42 680.91 112 6.11 33,046 94,172 경기도 303.57 65 44.57 11 43.74 54 0.83 2,768 7,215 충청남도 1,204.60 261 163.01 37 150.48 224 12.54 6,867 20,26 전라북도 301.70 109 37.95 26 35.31 83 2.64 1,985 6,468 전라남도 5,554.90 2210 1,836.49 278 1,790.55 1,688 45.92 78,071 219,542 경상남도 2,173.64 428 930.05 82 918.21 346 11.84 99,673 313,551 부산광역시 313.92 82 75.80 6 69.16 76 6.64 119,402 384,366 울산광역시 135.83 8 0.09 - - 8 0.09 - - 경상북도 428.00 47 73.73 4 73.60 43 0.13 3,840 10,426 강원도 318.10 32 0.26 - - 32 0.26 - - 제주특별자치도 419.95 63 15.45 8 13.80 55 1.65 2,232 5,98 총계 12,035 3,215 3,824 494 3,736 2,721 89 347,884 1,061,984 출처 2012년 지적통계연보 면적 단위 (km²) 순위 섬 이름 소재지 면적 1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1,833.162 2 거제도 경상남도 거제시 379.233 3 진도 전라남도 진도군 374.981 4 강화도 인천광역시 강화군 302.582 5 남해도 경상남도 남해군 300.935 6 안면도 충청남도 태안군 113.460 7 영종용유도 인천광역시 중구 97.480 8 완도 전라남도 완도군 90.074 9 울릉도 경상북도 울릉군 72.861 10 돌산도 전라남도 여수시 70.307 11 거금도 전라남도 고흥군 64.765 12 지도 전라남도 신안군 54.703 13 창선도 경상남도 남해군 54.127 14 자은도 전라남도 신안군 52.193 15 백령도 인천광역시 옹진군 51.086 16 압해도 전라남도 신안군 49.232 17 안좌도 전라남도 신안군 48.923 18 교동도 인천광역시 강화군 47.141 19 비금도 전라남도 신안군 46.249 20 고금도 전라남도 완도군 45.558 21 도초도 전라남도 신안군 43.398 22 석모도 인천광역시 강화군 42.344 23 임자도 전라남도 신안군 40.049 24 암태도 전라남도 신안군 37.251 25 청산도 전라남도 완도군 32.963 26 보길도 전라남도 완도군 32.142 27 신의도 전라남도 신안군 31.668 28 신지도 전라남도 완도군 30.832 29 조약도 전라남도 완도군 28.701 30 금오도 전라남도 여수시 27.508 가덕도 거금도 고금도 교동도 금오도 금호도 내나로도 노화도 대흑산도 덕적도 도초도 백령도 보길도 비금도 사옥도 석모도 소안도 신의도 신지도 안좌도 암태도 압해도 영도 영흥도 외나로도 임자도 자은도 장산도 조약도 증도 죽도 지도 창선도 청산도 팔금도 평일도 하도 하의도 하조도 한산도 흑산도 최동단 - 독도 최서단 - 백령도 최남단 - 마라도 최북단 - 백령도 한강 * 서울특별시 - 여의도, 밤섬, 노들섬, 선유도, 서래섬, 난지도 * 강원도 - 남이섬, 붓꽃섬, 중도 낙동강 * 부산광역시 - 을숙도 국도(國島, 통천군) 삼도(三島) 송도(松島, 고성군) 초도(椒島, 남포시) 덕도(德島, 남포시) 상취라도(上吹螺島, 온천군) 피도(避島, 남포시) 하취라도(下吹螺島, 온천군) 가도(椵島, 철산군) 납도(蠟島, 선천군) 대감도(大甘島, 곽산군) 대화도(大和島, 철산군) 반성열도(盤城列島, 철산군) 삼차도(參瑳島, 철산군) 소감도(小甘島, 곽산군) 소랍도(小蠟島, 선천군) 소화도(小和島, 철산군) 신미도(身彌島, 선천군) 애도(艾島, 정주시) 우리도(牛里島, 철산군) 운무도(雲霧島, 정주시) 탄도(炭島, 철산군) 압록강 * 관마도(官馬島, 의주군) - 구리도(九里島)의 부속섬. 섬의 서쪽에 소관마도(小官馬島, 새알섬)가 있다. * 구리도(九里島, 의주군) * 다지도(多智島, 북부 의주군, 남부 신의주시) - 옛 검동도 (黔同島), 난자도(蘭子島), 다지도(多智島), 마도(麻島) 등이 퇴적으로 합쳐진 섬. * 동류초도(東柳草島, 신의주시) * 류초도(柳草島, 신의주시) * 비단섬(緋緞島, 신도군) - 신도(薪島)와 마안도(馬鞍島) 등을 1958년에 둑으로 연결하여 만든 인공섬. ** 마안도(馬鞍島, 신도군) - 한국의 가장 서쪽 땅. * 수구도(水口島, 의주군) - 섬의 동서쪽 양 끝이 중국 영토와 붙어 있다. * 어적도(於赤島, 의주군) - 옛 어적도와 승아도(勝阿島)가 퇴적으로 합쳐진 섬. * 위화도(威化島, 신의주시) - 조선 태조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으로 정권을 잡고 조선 왕조를 개창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 임도(荏島, 신의주시) - 옛 임도와 그 서쪽의 신도(薪島)가 퇴적으로 합쳐진 섬. * 황금평(黃金坪, 신도군) - 옛 이름은 황초평(黃草坪)으로, 중국 영토와 붙어 있다. 금초도(金椒島) 대저도(大猪島) 마양도(馬養島) 소저도(小猪島) 신도(薪島) 여도(麗島) 웅도(熊島) 화도(花島) 황토도(黃土島) 난도(卵島) 대초도(大草島) 소초도(小草島) 쌍도(雙島) 양도(洋島) 적도(赤島) 피도(避島) 두만강 * 큰섬 (라선특별시) * 류다섬(柳多島, 경원군) * 매기도(每基島, 경원군) 기린도(麒麟島) 대수압도(大睡鴨島) 마합도(麻哈島) 무도(茂島) 석도(席島) 소수압도(小睡鴨島) 순위도(巡威島) 어화도(漁化島) 용매도(龍媒島) 용호도(龍湖島) 월내도(月乃島) 창린도(昌麟島) 한국의 해안 하중도 분류:섬 목록
한국의 명절 은, 같은 한자 문화권에 속하는 중국·베트남·일본의 명절과 겹치는 날이 많다. 한자 문화권의 다른 명절처럼 중양(重陽)에 드는 때가 많다. 양(陽)이란 수(數)에서 홀수를 가리키며, 중(重)은 수가 겹칩을 뜻한다. 이에 따라 중양(重陽)은 1월 1일 및 3월 3일, 5월 5일, 7월 7일, 9월 9일을 가리키며, 특히 음력 9월 9일을 중양절이라 한다. 또한 보름달이 뜨는 날을 명절도 삼은 때도 역시 많아서 1월, 6월, 7월, 8월, 10월의 보름이 명절이다. 이와 같은 명절은 대개 보름마다 한 번씩 있는 절기(節氣)와는 구분되는 것으로 계절에 따라 뜻깊은 날을 정한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음력 1월의 설과 대보름, 음력 8월의 추석 외에는 대부분 명절의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이것은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옮겨옴에 따라 생겨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아래는 한국의 명절 목록이다. 설날 음력 1월 1일 정월 대보름 음력 1월 15일. 상원(上元) 영등날 음력 2월 1일 삼짇날 음력 3월 3일 부처님 오신 날 음력 4월 8일 단오 음력 5월 5일 유두 음력 6월 15일 칠석 음력 7월 7일 백중날 음력 7월 15일. 중원(中元) 추석 음력 8월 15일 중양절 음력 9월 9일 시월보름 음력 10월 15일. 하원(下元) 동지 양력 12월 22일경. 음력 11월에 들며, 24절기 가운데 하나이다. 섣달그믐 음력 12월 29일 또는 30일. 대한민국에서는 섣달그믐 이튿날이 설날이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주로 설 연휴의 첫째 날이다. “까치 설날”이라고도 부른다. 세시(歲時)가 명절과 관련을 가지기도 한다. 중화절 음력 2월 1일. 한해 농사를 시작하는 날. 원래 당나라의 명절이다. 머슴날 음력 2월 1일 또는 음력 7월 7일. 노비일이라고도 하며, 오늘날 노동절과 비슷하게, 주인이 노비에게 하루 휴식을 주고 잔치를 벌여준다. 2월 1일의 경우 하리아드랫날이라고도 부른다. 한식 보통 4월 5일 또는 4월 6일이며,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24절기 가운데 하나이다. 음력 2월의 명절로 오해되기도 한다. 복날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있는 세 번의 절기로서 경일(庚日)이다. 말날 음력 10월 중의 오일(午日). 강신일(降神日) 음력 10월 중 천신이 내려왔다는 날. 납일(臘日) 동지 뒤의 셋째 미일(未日). 납향일(臘享日) 또는 납향날, 납평(臘平), 납(臘)으로도 불린다. 납향은 농사 등의 일을 천지신명에게 고하는 제사이다. 또한 설날과 복날, 납일을 아울러 “세시복랍”(歲時伏臘)이라고도 부른다. 명절증후군은 며느리들이라면 누구나 한번씩은 경험한다. 명절증후군의 대표적인 신체 증상으로는 소화불량, 구역감, 식욕 저하와 두통·어지러움 등의 신경계 증상 및 불안, 두근거림, 답답함, 불면, 초조, 걱정, 무기력감 등이 있다. 명절 이후에 이혼이 급증하는 현상이 있다. 가족 내의 재산 분배나 경제적 문제가 이슈가 되면 첨예한 갈등이 표출될 수도 있다. ‘결혼 언제하니?’, ‘취직은 했니?’등 친지가 무심코 던진 말도 상처가 된다. 취업난, 실직 등의 경제적 어려움으로 더욱 과민해지고 가족 간 갈등이 증가하고 있어 명절증후군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소크라테스 (, Socrates, 기원전 470년 경 – 기원전 399년 5월 7일)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기원전 469년 고대 그리스 아테네에서 태어나 일생을 철학의 제 문제에 관한 토론으로 일관한 서양 철학의 위대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그는 멜레토스, 아니토스, 리콘 등에 의해 신성 모독죄 와 청년들을 타락시킨 죄 로 기소당하고 기원전 399년에 71세의 나이로 사약을 마셔 사형을 당했다. 흔히 공자, 예수, 석가와 함께 세계 4대 성인으로 불린다. 실존철학의 거장인 카를 야스퍼스의 저서 위대한 사상가들에서도 그렇게 보고 있다. 영국의 철학자인 화이트헤드는 "서양의 2000년 철학은 모두 플라톤의 각주에 불과하다." 라고 말했으며, 시인 에머슨은 "철학은 플라톤이고, 플라톤은 철학" 이라 평하였는데,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수제자이다. 플라톤이 20대인 시절, 스승 소크라테스가 민주주의에 의해 끝내 사형당하는 것을 보고 크게 분개했으며, 이는 그의 귀족주의(철인정치) 지지의 큰 계기가 되었다. 알렉산더 대왕은 소크라테스의 증손 제자로, 플라톤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스승 플라톤과 달리 민주주의를 지지했다. 역사상의 소크라테스와 그의 철학적 관점에 대한 정확한 설명은 상당한 논쟁거리이다. 이 문제를 소크라테스 문제라고 한다. 소크라테스는 철학적인 글을 쓴 적이 없다. 소크라테스 자신과 생애, 철학에 대한 지식은 그의 제자들과 당대 사람들의 기록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플라톤의 기록이며, 그 밖에도 크세노폰,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파네스도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런 저작들은 정확한 사실이 아닌 철학 또는 극적인 글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 소크라테스를 알기는 어렵다. 당대 고대 그리스에서 투퀴디데스(일반적으로 소크라테스나 철학자들에 대해 언급한 바가 없다)를 제외하고는, 소크라테스 시대를 사실에 입각해서 서술하는 한 사람들은 어떤 기록도 남기지 않았다. 그리하여 역사가들은 소크라테스의 삶과 업적에 대하여 정확하고 일관성있는 역사를 쓰기 위해 당대 인물들이 쓴 여러 사료들을 일치시켜야 하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는 반드시 사실적이지는 않으며 다만 일관성을 갖추었을 따름이다. 일반적으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삶과 철학에 대해 가장 믿을 만하고 유용한 지식을 제공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동시에 일부 저작에서 플라톤은 자신이 저작속에서 구현한 "소크라테스"의 모습을 실제 소크라테스의 언행보다 더욱 미화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저작이나 유물을 통해서 소크라테스가 단지 플라톤이 날조한 인물은 아님이 드러난다. 크세노폰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증언과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구름 은 플라톤의 저작에 나오는 일반적인 소크라테스의 모습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플라톤에 따르면 소크라테스는 조각가인 소프로니코스를 아버지로, 해산술을 업으로 하던 파이나레테를 어머니로 하여 아테네의 서민가정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아버지를 따라 조각을 하면서 다른 청년들처럼 철학·기하학·천문학 등을 배웠고, 중장보병에 편입되어 세 번이나 전투에 참가하였다. 기원전 406년, 500명 공회의 일원이 되어 1년간 정치에 참여한 일이 있고, 40세 이후에는 교육자로 청년들의 교화에 힘썼다. - The Death of Socrates.jpg|섬네일|300px|right|소크라테스의 죽음, 자크루이 다비드, 1787년 그는 자연 철학을 배웠으나, 그 기계론적 세계관에 불만을 품었다. 그때는 아테네의 몰락기였으므로 보수적·귀족적인 정신과 진보적·개인주의적·비판적 정신이 소용돌이치는 시대였다. 그도 이러한 경향을 지니게 되었으나 당시의 소피스트들처럼 궤변으로 진리를 상대적·주관적인 것으로 해석하는 태도를 배격하고, 객관적이고 보편 타당한 진리를 찾아서 이상주의적, 목적론적인 철학을 수립하려고 하였다. 그는 지혜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정의·절제·용기·경건 등을 가르쳐 많은 청년들에게 큰 감화를 끼쳤으나, 공포정치 시대의 참주였던 크리티아스 등의 출현이 그의 영향 때문이라는 오해를 받게 되어 청년을 부패시키고 국가의 여러 신을 믿지 않는 자 라는 죄명으로 고소되고, 배심원들의 투표 결과 40표로 사형이 언도되었다. 그는 도주할 수도 있었으나 태연히 독배를 들어 마시면서 자신이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닭을 빚졌다며 자신 대신 갚아 달라고 친구에게 당부하였다. (아스클레피오스는 의학의 신으로 그의 신전에서 치료받은 사람은 닭을 대가로 바쳐야 했다고 한다.) 아무런 저서도 남긴 바 없는 소크라테스의 확실한 사상을 알기는 어려우나 아리스토텔레스, 디오게네스, 라이르티우스, 크세노폰, 특히 플라톤의 저서 등에 언급된 것을 보면 그는 델피의 신탁인 "만인 중에 소크라테스가 제일 현명하다."는 말을 들었다. 스스로의 무지를 자처하던 소크라테스는 신의 신탁이 사실인가 확인 하기 위해 의아심을 품고 여러 현명한 사람을 찾아다녔다고 한다. 그러나, 그 어느 누구도 자신의 말을 확실히 알고 언표하는 사람이 없었다. 소크라테스는 소크라테스 이전에 활동하던 소피스트의 상대주의와 회의주의에 맞서, 소크라테스는 장인이 아레테(ἀρετή, 훌륭함, 탁월함이라는 뜻)을 발휘하려면 자신의 기술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하듯, 인간으로서의 아레테, 즉 덕을 발휘하려면 덕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 방법으로 제논의 변증법을 활용하여 논변을 진행시키는 사이에 잘못된 판단의 모순을 깨우치고 다시금 옳은 판단으로 유도시켰는데, 이것이 유명한 산파술 이다. 그는 합리주의자였으나, 때로는 초경험적인 내심의 소리, 즉 다이몬의 소리 를 경청하고, 때로는 깊은 명상에 잠기기도 하였다.(다이몬은 일종의 귀신에 포함됨) 덕은 인간에 내재한다고 믿고 사람들에게 이를 깨닫게 하기 위해 온갖 계층의 사람들과 대화를 나눔으로써 사람들에게 자신의 무지함을 일깨워 주고 용기나 정의 등에 관한 윤리상의 개념을 설교하고 다녔다.그는 대화를 통해 누군가를 가르치지 않고 질문을 함으로써 자신에게 무엇이 잘못인지 깨닫게 해주었다. 그러나 이 때문에 젊은이를 타락시키고 신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부당한 고발을 당해 사약을 마시게 되었다. 그의 탁월한 지적·도덕적 성격에 의해 비단 철학자뿐만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을 감화시켜 인류 최대의 교사 로 불리고 있다. 소크라테스가 살았던 시대는 전반적으로 아테네 민주주의가 부패하던 시기였고, 이로 인한 개인윤리 타락이 극심한 시대였다. 그는 여러 악덕을 무지 에 기인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따라서 그에 의하면, 덕은 이성적 사고의 기초 하에 생겨난다. 또한, 덕의 확대는 사회를 더 이성적인 상태로 만들 수 있는 절대적인 기준점이다. 또한, 이성의 냉소로 인한 부덕함이란 개념 자체를 비판했다. 그는 악덕한 자는 필연적으로 앎이 부족한 무지한 상태에 있다고 봤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냉소적 이성 은 성립할 수 없다고 봤다. 그의 이러한 지행합일론은 그가 윤리·도덕적인 측면을 강조하게 만드는 데 일조했다. 실제로 그는 일상 생활에서도 절제를 추구했으며, 자신의 가르침을 필요로 하는 청년들을 무료로 가르쳤다. 그리고 선 을 중시하여 토론 과정에서도 관련된 질문을 많이 던졌다. 그의 이러한 관점은 사후 스토아학파 에 의해 계승됐으며, 기독교의 윤리관에도 큰 영향을 줬다. 그러나 이는 근거가 없는 주장이다. 왜냐하면 그리스 철학이나 소크라테스의 철학은 기독교 윤리관과 본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는 육체-영혼 이원론자였다. 그는 육체는 객관적으로 존재하지만, 그저 껍데기일 뿐이고, 만 지식은 영혼 안에 내재된 개념이라고 봤으며, 영혼은 불멸한다고 봤다. 인간은 영혼을 소유한 존재이지만, 육체의 감각적 요소에 의해 영혼에 내재된 진리를 통찰하는 것을 계속 방해 당한다고 봤으며, 그는 이를 극복하면 만 지식을 얻게 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 극복 방법은 바로 이성적 사고에 기초한 산파술로 감각으로 인해 얻은 여러 오류 를 하나씩 잡는 것에 있다고 봤다. 이러한 신념에 기초하여 그는 죽음 이란 영혼이 육체에서 탈출하는 것으로 봤기 때문에 죽음 을 긍정하기도 했다. 악법도 법이다 ()라는 말이 회자되지만, 소크라테스가 직접 이런 말을 했다는 증거가 없다. 이 경구가 처음 등장한 것은 로마시대이며 말한 사람은 도미티우스 울피아누스로 기록되어 있다.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의 《변론》에서 법정이 철학을 포기한다면 석방해주겠다는 제안을 하더라도 자신이 철학을 하는 이유는 하늘의 명령이기 때문에 그러한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그 외에도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법 이상의 철학적 원칙과 신념에 기초하여 의사결정을 했던 몇가지 사례들이 있다. 반면 《크리톤》에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에게 독배를 내린 법률에 대해 자신이 국외 추방을 제의하지 않음으로써 소극적으로 동의한 절차적 정당성을 뒤늦게 훼손할 수 없다고 친구인 크리톤에게 밝힌다. 그러나 《크리톤》에서 소크라테스는 평소의 냉정한 변증법적·이성적 논법을 구사하지 않고 정서적이고 감성적인 모습으로 크리톤을 설득하고 있기에 이는 진의를 모두 파악하기 어려운 책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변론》과 《크리톤》의 이런 모순적인 모습 중 《크리톤》에 실린 모습이 과장되어 《변론》에 담긴 법령 불복종자로서의 모습을 누르고 지금까지 이어져왔는데 소크라테스의 일관된 삶과 철학에 비추어 볼 때 이런 말은 결코 성립할 수 없는 것이다. 진정한 철학자는 진리조차도 회의하고 가짜로 드러나는 순간 바로 폐기시키는 엄중함이 있는데, 기껏해야 인위적인 실정법을 무조건 옹호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는 철학과 법의 기본 성격조차 모르는 무지의 소치였다. 소크라테스는 구두언어 - 흔히 당대에 로고스(Logos)라 불리던 - 의 형식으로 질문을 던지는 것 자체에 큰 의미를 두었다. 그는 구두언어는 지(知)의 매개인 정신을 다른 상대방에게 전하는 유일한 운송 수단으로 봤다. 즉, 그에게 있어서 구두언어는 현대의 관점에서 말하는 단순한 규칙적인 음파의 개념이 아닌, 발화자의 사유 자체를 어떠한 오류도 없이 밖으로 내보내서, 듣는 이의 사유에 영향을 주는 절대적인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그는 다양한 사람들과 토론했는데 제자들이 던진 질문에 즉각적인 답을 주는 것보단 거꾸로 질문을 던지는 것을 선호했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의견이 무지에 기인한 의견 또는 그에 준하는 단견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는 자신이 만 지식을 알지 않는 한 단견으로 토론을 중지시켜서 앎의 변증 을 멈추는 것은 비이성적인 행위라고 생각했다. 그는 자신이 질문에서 확신할 수 없는 것에 대해 끝 없이 질문했으며, 이러한 변증의 과정을 통해 진리에 가까워지려고 노력했다. 소크라테스는 미학적인 범주를 적어도 세 가지로 나누었다. 그 세 범주는 부분의 조립을 통해 자연을 표현하는 이상적인 미 , 시선을 통해 영혼을 표현하는 정신적인 미 , 그리고 유용한(혹은 기능적인) 미 이다. 그의 사상은 그의 제자들에게 전해져 메가라 학파, 키니코스 학파, 키레네 학파 등을 이루고, 특히 수제자인 플라톤의 관념주의로서 피어나, 그 후의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기독교 수도원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는 일생을 통해 자신이 직접 책을 쓴 일이 없고 또한 문학적 흥미도 지닌 바 없으나 그가 철학의 방법으로 취한 대화는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걸작 대화집을 낳았다. 또한 그의 독창적 개성과 비극적인 죽음은 전기문학의 소재가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분류:기원전 469년 태어남 분류:기원전 399년 죽음 분류:고대 아테네의 철학자 분류:인문주의자 분류:윤리학자 분류:인식론 학자 분류:종교 비평가 분류:반어법 이론가 분류:독살된 사람 분류:강제로 자살한 사람 분류:이단죄 사형수 분류:기원전 5세기 그리스 사람 분류:기원전 5세기 철학자 분류:한국어 전집이 출간된 저자
중화인민공화국 ( )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다. 줄여서 중국 (中國이라고도 한다. 수도는 베이징(北京)이고, 최대 도시는 상하이(上海)이다. 주요 도시로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난징, 시안, 푸저우, 칭다오, 톈진, 옌타이, 항저우 등이 있다. 세계 최대의 인구와 넓은 국토 때문에 중국 대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949년 10월 1일 국공 내전에서 공산주의 세력의 중심인 마오쩌둥이 승리하여 건국되었고 초대 국가주석이 되었다, 지금까지 중국 공산당의 일당제로 통치되고 있으며, 건국 이후 크게 실패한 것으로 평가받는 대약진 운동과 수많은 국가적 피해와 민간인 피해를 남긴 것으로 평가받는 문화대혁명 등이 벌어지고, 경제적으로 뒤떨어진 중국이었으나, 덩샤오핑의 지도로 개혁개방을 시행하면서 현재 국내 총생산 기준으로 세계 2위 규모이다. 국명의 약칭은 중국 ()이고 미화해서 중화 ()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밖에도 국외에서는 중공 (中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공은 본래 중국 공산당의 약칭이지만,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에서 중국 공산당을 중화인민공화국의 집권 정당이라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공산당 정부”의 의미로도 사용한다. 건국 초기에는 1949년 이전의 시대를 구중국 (舊中國),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를 신중국 (新中國)으로 구분해 부르기도 하였다. 1949년 국공 내전 이후 중화민국 정부는 분단국가로서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중국의 합법 정부는 자국임을 표방하므로, 중화인민공화국의 독립적 지위를 인정하지 않는다. 황하 황하 문명 탄생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하나라, 상나라, 주나라 이래 약 5000년 동안 수많은 왕조가 흥망을 반복해 왔다. 그 동안 중국은 동아시아의 맹주였다. 하지만 북방 이민족에 침략되어 지배받는 역사도 매우 길었다. 한나라 때 중화민족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족의 기틀을 세웠고, 송나라 때에는 중국 중세 문화가 전성기를 이루었다. 명나라, 청나라 시대 때 최대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그러나 19세기에 들어서 제1차 아편 전쟁과 제2차 아편 전쟁에서 청나라가 대영 제국에 패배한 결과, 중국 대륙은 서구 열강의 반식민지로 전락했고 홍콩은 대영 제국에 넘어갔으며 마카오는 포르투갈에 넘어갔다. 청나라의 무능에 반발하여 태평 천국 운동이 일어났으나 진압되었다. 그 후 한족의 개혁파 관료들에 의해 양무 운동과 변법 자강 운동이 차례로 일어났으나 열강의 간섭으로 실패했다. 한편 서태후 등 보수파의 사주로 반외세 운동인 의화단 운동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그 후 신해혁명이 일어나 1912년에는 아시아 최초의 공화제 국가 중화민국()이 탄생했다. 하지만 각지의 군벌에 의한 내전이나 몽골, 티베트의 독립 운동 등으로 말미암아 중화민국은 분열되었다. 또한 1930년대에는 국공 내전(중국에서는 보통 “해방 전쟁”이라 칭함)과 중일 전쟁(중국에서는 보통 “항일전쟁”이라 칭함)이 발발하여 중국 각지가 전장이 되었다. 이 시기에는 중앙 정부가 2개 이상인 때에도 있었다. 그 후 중일 전쟁 중에 세력을 늘려 온 중국 공산당이 1945년의 일본(日本) 패배 이후 국공 내전에서 승리를 거두어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를 세웠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매년 10월 1일을 국경절(건국일)로 정하고 이를 기념한다. 한편 내전에서 패한 중국 국민당의 총통 장제스정권은 타이완섬으로 도피하여 중화민국 정부를 유지하였으나, 공식적으로 중화민국의 정통성을 계승하였다고 주장하는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중화민국 정부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또한, 1992년 8월 24일에는 중화민국이 대한민국과 단교되면서 아시아계 수교국을 모두 중화인민공화국에게 빼앗기고 완전히 고립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역사는 국가 지도자의 지도 이론이나 정책 등에 따라 마오쩌둥 시대 (1949년~1978년), 화궈펑 시대 (1978년~1979년), 덩샤오핑 시대 (1979년~1997년)와 같이 5개 시대로 분류할 수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을 선포하고 있다. 1949년 10월 1일 베이징(北京)의 천안문(톈안먼, 天安門) 광장에서 마오쩌둥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을 공식 선언하였다. 이 날을 궈칭제라고 한다. 그해 마오쩌둥(모택동)는 “5억 중국 인민이 분연히 일어나 혁명을 이룬 만큼 국가 건설의 과제를 달성하는 데 매진해야 한다”고 선언하였다. 그러나 혁명에 성공한 마오쩌둥은 이른 시일 내에 온전한 국가를 건설해야 한다는 조급증에 시달리게 된다. 마오쩌둥 시대의 중국은 공산주의 사회 건설을 추진하면서 인민공사(人民公社)와 전국적인 대약진 운동(大躍進運動)을 실시했다. 그러나 중국의 현실을 무시하고 무리하게 진행된 급진적이고 무모한 정책 운용은, 농촌부의 황폐화로 인해 식량난과 대량의 아사자를 발생시키며 결국 실패로 끝났다. Richard and Pat Nixon on Great Wall.png|섬네일|left|미국 대통령으로서 처음으로 방중한 닉슨 부부가 만리장성을 여행하고 있다. 그 후 경제를 재건할 방법으로 마오쩌둥과 류샤오치가 대립하였고, 마오쩌둥은 권력 탈환을 위해 문화 대혁명(文化大革命)을 일으켰다. 혁명 중 마오쩌둥으로부터 “반혁명파”라고 규정된 많은 사람이 탄압당하거나 학살당하여, 국내는 일시 내란 상태가 되었다. 또 불상 등의 중국 각지의 귀중한 전통 문화재도 “반혁명”적인 존재로서 파괴되었다. 문화 대혁명은 마오쩌둥의 죽음과 함께 종결되었고, 일단 화궈펑(華國鋒)이 마오쩌둥의 뒤를 이었다. 그러나 곧바로 덩샤오핑(鄧小平)이 중국의 실권을 잡았다. 한편 당시 타이완의 중화민국 정부는 문화 대혁명의 반 전통적인 면을 비판하였다. 1930년대까지만 해도 중국의 문맹률은 80%에 달하였다. 즉 5명 중 글을 아는 사람은 1명밖에 없었다. 이에 마오쩌둥은 중국의 문맹률이 높은 이유를 어려운 한자 때문이라고 판단하여 한자를 간략화한 간체자를 만들어 보급하였다. - Shinrya - Shanghai Skyline HDR.jpg|섬네일|right|상하이 고층건물들의 야경 덩샤오핑 시대의 중국은 중국 공산당의 일당 독재 체제를 견지함과 동시에, 시장경제를 도입하는 등 경제 개방 정책을 실시하여 중국의 현대화를 진행했다. 실제로 덩샤오핑은 프랑스 유학 시절 르노자동차에서 근무함으로써 서유럽의 시장 경제를 경험한 사람이다. 그 결과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라고 할 만큼 경제가 급발전했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급격한 경제성장의 부작용으로 빈부 격차의 확대와 환경 파괴가 문제가 되고 있다. 또 중국은 공산주의 정치 체제를 위협하는 활동이나 중국의 분열을 촉진할 수 있는 움직임에 대해서는 하나의 중국을 내세우며 강경한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이는 1989년 톈안먼 사건 진압과 2005년 반분열국가법 성립 등으로 구체화하고 있다. 2009년 건국 60주년, 2011년 신해혁명 100주년을 맞으면서 신해혁명을 일으킨 쑨원을 중국의 민족 지도자의 영웅으로 추앙하고 있다. 2010년에는 중국의 류샤오보가 노벨 평화상을 수상받았다. 대륙의 위성 사진 중화인민공화국의 면적은 9,596,961 km²이며 2015년 11월4일 러시아로부터 아편전쟁 시기 러시아에 할양했던 4.7km2의 영토를 반환받아 중화인민공화국의 면적은 9596.965.7 km²로 확장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유라시아 대륙 동부에 있다. 국경은 총 22,117km로, 국경이 세계에서 가장 긴 국가이다. 북동쪽으로 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조선, 북한), 북쪽으로 러시아, 몽골, 서쪽으로는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남서쪽으로는 히말라야 산맥을 경계로 남아시아의 네팔, 부탄, 아프가니스탄, 인도, 파키스탄과 접하며, 남쪽으로는 동남아시아의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과 접한다. 해상으로는 황해를 사이에 두고 대한민국, 동중국해를 사이에 두고 일본, 타이완 해협을 사이에 두고 중화민국과 접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상당히 넓은 영토를 가지고 있으므로 지방마다 기후 등 지리 특색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지형은 서고동저(西高東低)로 동쪽에는 화베이 평원()과 둥베이 평원() 등의 평지가 있고, 서쪽에는 티베트 고원(), 톈산 산맥() 등의 험준한 산지가 많다. 중국에서 가장 높은 곳은 티베트 자치구에 위치한 에베레스트 산(주무랑마 봉)으로 높이는 8,850m이다. 가장 낮은 곳은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에 위치한 투르판 분지()로 높이는 -154m이다. Hall Of The People At Night.JPG|섬네일|left|인민대회당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당시에는 정당·정파·인민해방군·기타 개인 등으로 구성된 인민정치협상회의가 중화인민공화국 정권을 탄생시킨 모체로서 국가권력기관의 핵심을 이루었으나 사실상 공산당의 절대우위가 인정되었고 1954년 이후에는 공산당이 정치권력의 전면에 등장하였다. 1949년 공동강령 (임시 헌법)의 채택 이래 1982년까지 4차의 개정을 거치는 동안 국가권력기관·인민해방군에 대한 권력구조 조정작업이 수반되었다. 헌법상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원수는 국가주석 이고, 현재 국가주석은 시진핑이다. 최고권력기관은 전국인민대표대회 (全人代)이나 국가주석은 군통수권도 없고 요직을 겸할 수도 없는 의전상의 지위에 지나지 않으며 전인대 역시 공산당이 우위에 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총서기·정치국·군사위원회 주석)에 정치권력이 집중되어 있다. 3권 분립을 특징으로 하는 서구의 정치와 달리 전국인민대표회의 가 사법과 행정을 감독하도록 하는 민주집중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중국공산당에 의한 사실상의 일당독재 체제이다(혹은 일당 집권, 다당 협상 체제라 일컫는다). 그 외에 8개의 정당(‘민주제당파(民主諸黨派)’라 부름)이 존재하지만 중국공산당의 지도를 따르고 있으므로 사실상 정치적인 영향력을 거의 갖지 못한다. 다만 2017년 민주주의 지수 기준으로 공산당원 추천하에는 선거의무가 마지막으로 생겼다(기존0에서 0.07상승) 형식적으로는 최고 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全國人民代表大會)에 권력이 집중되는 민주집중제를 취한다. 전국인민대표대회는 서구의 의회에 상당하는 기구로 32개의 성, 자치구, 직할시, 홍콩 특구 및 인민해방군에서 선출되는 대표로 구성된다. 헌법의 개정과 헌법 실시, 감독 및 기본 법률을 제정, 개정하며 국가 주석과 부주석을 선출하고, 국가 경제, 사회 발전 계획 및 진행 상황에 대한 보고를 받고 심의, 비준한다. 산하의 상무위원회가 소집하는 권한을 갖고 있다. 중국의 인민대표는 18세 이상의 중국 공민에 의하여 선출되는데, 향과 현2급의 인민대표는 직접선거를 거쳐 선출되지만, 그 상위의 대표들은 간접으로 선출된다. 전국인민대표대회의 대표들은 성급인민대표들의 선거로 선출된다. 국가 주석은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선출하며, 임기는 5년으로 2회를 초과하여 연임할 수 없다. 국가주석은 국내외에 국가를 상징적으로 대표하며, 법률을 공포하고, 총리, 부총리, 국무위원, 각 부장, 각 위원회 주임, 국무원 비서장을 임명한다. 하지만 2018년 3월 11일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헌법에 국가주석 임기를 폐지하고 개헌하게 되면서 시진핑 국가주석은 장기집권하게 된다 총리가 수장인 국무원은 전국인민대표회의의 집행기관으로 법률에 근거한 행정법규 및 명령을 제정, 공포한다. 인민 경제, 사회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국가 예산을 편성하고 집행한다. 인민검찰원은 중국 최고 검찰기관으로 지방의 각급 인민검찰원과 전국인민검찰원의 활동을 지도한다. 전국인민대표회의와 상무위원회의 감독을 받는다. 실제로 국정을 움직이는 것은 ‘당(黨)’이며, 당의 최고 지도집단인 정치국이 있고 정치국안에 상설집행기관인 정치국 상무위원회(政治局常務委員會)가 권력을 장악하는 구조이다. 중국공산당은 중앙뿐만 아니라 말단 행정기구까지 장악한다. 말단행정기구 역시 중앙과 같은 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각급 지방 행정기구는 해당 지역 공산당 서기가 실력자이며 공산당 부서기인 장이 행정을 관리한다. 경제가 성장하고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민주화 요구도 확대되어 공산당의 일당 독재 체제에 대한 반대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1989년 톈안먼 사건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국내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이 거의 없지만, 국외에서는 미국의 화교 매체인 대기원시보가 중국 공산당을 비판하는 사설 ‘구평공산당(九評共産黨)’을 발표하는 등의 활동이 벌어지고 있다. 2010년 중화인민공화국의 반체제 인사 류샤오보(劉曉波)가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1997년 영국에서 반환받은 홍콩과 1999년 포르투갈에서 반환받은 마카오는 고도의 자치권을 가진다. 입법부의 일부 의원은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 이 자치권은 일국양제라 불리는데 홍콩인들과 마카오인들은 리보실종사건 등의 발생을 보며 지켜지지 않는 일국양제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현재 홍콩같은 경우는 독립을 주장하는 본토주의가 유행할 정도이다. 타이완은 청나라 때 중국의 영토였다가, 일본과 청·일전쟁에서 진 후, 센카쿠열도(중국명:댜오위다오)와 타이완반도를 일본에 넘겨줬다가 나중에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전쟁에서 무조건적인 항복으로 패망하자, 중국영토에 다시 편입되었다. 그러나 1945년부터 49년까지 중국 공산당을 이끄는 모택동(마오쩌둥)과 중국 국민당을 이끄는 장제스(한국명:장개석)두 세력이 국공내전을 하다가 국민당을 이끄는 장제스가 패하여 타이완반도로 내려와 중화민국인 대만을 다시 세웠다. 그러나 중국 공산당은 베이징에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을 1949년 10월 건국하여 정식국가로 인정받았으나, 세계 여러나라들과 중국, 한국 등은 장제스가 타이완 섬에 세운 중화민국을 정식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타이완도 원래 중국영토라고 중국정부는 하나의 중국, 중화사상을 내세워 주장하고 있다. 중화민국은 독립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중국 본토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중화민국에서 떨어져 나왔다고 하면서 중국(중화인민공화국)과 대만(중화민국)의 각각의 정부는 여전히 분쟁 중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행정기관은 국무원으로 즉 중앙인민정부이다. 국무원은 내정, 외교, 재정, 경제, 문화, 교육, 위생, 공공사업 등 행정사무를 조직하고 관리하여 행정결정과 명령을 반포하고, 전국 지방 각급 국가행정기관의 사업을 통일적으로 지도한다. 국무원은 총리, 부총리, 국무위원, 각 위원회 주임, 각부부장, 심계서 계장, 비서장으로 구성된다. 현재 28의 부서로 조직되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은 22개의 성(省), 5개의 자치구(), 4개의 직할시(), 3개의 특별행정구()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홍콩, 마카오,타이완를 제외한 지역을 중국 대륙(; 중국 본토)으로 칭한다. 아래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통치하에 있는 지역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간쑤 성(甘肅省) 광둥 성(廣東省) 구이저우 성(貴州省) 랴오닝 성(遼寧省) 산둥 성(山東省) 산시 성(山西省) 산시 성(陝西省) 쓰촨 성(四川省) 안후이 성(安徽省) 윈난 성(雲南省) 장시 성(江西省) 장쑤 성(江蘇省) 저장 성(浙江省) 지린 성(吉林省) 칭하이 성(靑海省) 푸젠 성(福建省) 하이난 성(海南省) 허난 성(河南省) 허베이 성(河北省) 헤이룽장 성(黑龍江省) 후난 성(湖南省) 후베이 성(湖北省)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충칭(重慶) 톈진(天津) 마카오 특별행정구(澳門特別行政區) 홍콩 특별행정구(香港特別行政區) *타이완 특별행정구(臺灣特別行政區) 광시 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 내몽골 자치구(內蒙古自治區 네이멍구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寧夏回族自治區) 티베트 자치구(西藏自治區 시짱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중화인민공화국은 아직까지 사법부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아서, 사법 절차에서 자백을 얻기 위한 고문, 영장 없는 자의적인 체포 등의 인권 유린이 발생하기도 한다. 중화인민공화국 의 현대법은 1949년 소련 법률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형성되었고, 1979년 이후 경제 현대화 과정에서 미국과 유럽 등지의 투자에 발맞추기 위해 새로운 법안들이 통과되고 있다. Jintao Bush.jpg|섬네일|250px|오른쪽|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주석 중화인민공화국은 세계 거의 대부분의 국가들과 외교 관계를 맺고 있다. 1950년 5월 9일 스웨덴이 서방 국가로서는 최초로 중화인민공화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외교에 있어서 특필해야할 것은 분단국가인 중화민국에 대비하여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스스로를 "중국의 정통한 정부"라고 하고 있는 점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냉전 구조 하에서, 건국 당초에는 완전히 동측 진영에 편입되어 있었다. 그러나, 스탈린 사후의 중소 대립을 거쳐, 1964년 1월에 프랑스와 수교한 이후, 1979년 1월 1일부터 미국과 수교하는 등 서방 측과의 관계 회복을 이루고, 동시에 중화민국을 대신하여 유엔 안보리의 상임이사국이 되었다. 또한, 냉전 하에 있어서 서방측 여러나라와 소련과의 대립 관계의 미묘한 밸런스의 중간에서 , "중국을 대표하는 정당한 정부는 중화민국이 아니라 중화인민공화국이다"라는 기정 사실을 서방측의 다수 국가로부터 확인받아 하나의 중국 정책도 성공을 거두었다. 1989년 소련의 대통령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함으로써 소련-중국 간의 오랜 원한이 종지부를 찍었다. 1978년부터 시작된 경제개혁 이후부터 경제 면에서의 민주주의인 여러 나라와의 관계도 강화하고, 2001년에는 세계무역기구에도 가맹하였다. 우크라이나는 1992년경에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 한 것으로 보인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을 자국 영토로 간주하고 ‘하나의 중국’이라는 사상을 내세워 타이완을 실효적으로 통치하는 중화민국 정부를 절대로 인정하지 않는다. 중화민국을 승인하는 국가와는 외교관계를 수립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UN 회원국 중 22개국(바티칸은 준회원국)은 중화민국을 승인하고 있고, 부탄은 중화인민공화국 및 중화민국 모두와 외교관계가 없다. 폴란드는 1949년 10월 5일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고, 양국은 10월 7일 대사급 외교 관계를 맺었다. 중국은 1949년 마오쩌둥이 천안문(天安門 廣場)광장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을 1949년 10월 1일 건국 및 선포를 하고, 1950년 6.25전쟁(한국전쟁)때, 한국군과 UN군이 10월 1일에 단독으로 38선으로 돌파하여 북진통일을 할 수 있던 순간에 10월 25일, 중국 공산군(중공군)의 60만 대군이 밀고 들어오면서 인해전술과 각가지의 전술로 한국군과 UN군에게 막대한 인명, 물자 피해를 남겨주면서 전쟁의 양상이 새로 바뀌어졌다. 대한민국은 6.25전쟁이후, 중국과 국교가 정식으로 단절되었다. 그러나 중국의 덩샤오핑은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도입하고, 개방을 추진하면서, 단절되었던 민주·자본주의 국가들과 다시 수교했다. 대한민국 정부와 중국(중화인민공화국)정부는 1992년 8월 24일자로 국교를 수교하면서 물적 교류가 활발해졌고, 2015년 최근들어 일본의 아베총리를 중심으로 한 일본 우익세력들이 역사교과서를 왜곡과 편찬, 과거사에 대한 부정·왜곡과 영유권 억지 주장으로 인해 중국과 한국이 서로 상호 협력하는 단계로 발전되고 있다. 북방 정책에 대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은 소련에 비하여 그다지 매력적으로 느끼지 않았다. 소련에 비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은 1980년대에 경제 분야에서 대한민국을 별로 필요로 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국은 상호 보완적인 경제적 필요성과 지리적 접근성으로 인하여 활발한 교역을 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공식적인 관계의 부재는 양국의 교역을 증대시키는 데 걸림돌이 되었다. 공산주의 국가인 중화인민공화국과 공식적 관계를 맺기 이전의 대한민국은 합법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한국 사람과 중화인민공화국에 진출한 기업들의 이익을 보호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소련과 비교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정치적으로 더 가까웠기 때문에, 중화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간의 무역량 증대에도 불구하고 정치관계의 향상은 더디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북한과 미국간, 북한과 일본간의 중재, 북한, 대한민국, 미국 3자간의 대화를 시작하도록 노력하였다. 1980년대 중공민항기 사건 이후,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간의 민간 계약은 더욱 활발해졌다. 양국은 1980년대 말이 되면 자유롭게 상호 방문을 허락하여 학술, 언론, 특히 이산가족 교류가 가능해졌다. 200만명에 가까운 한민족(조선족)들, 특히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한민족(조선족)들은 대한민국과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적 소동이 중화인민공화국-대한민국 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판단하기는 어렵다. 1989년 톈안먼 사건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예상대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억압적인 조치를 도왔다. 이와 반대로, 대한민국은 더욱 침묵했으나 1989년 톈안먼 사건을 부추긴 것도 그렇다고 비난한 것도 아니었다. 양국의 교역은 더욱 증가하고 있었다. 서울에는 중국인 (요우커)들이 많이 오는데, 이들이 많이 찾는 곳은 명동, 동대문시장, 남대문시장, 롯데월드 등이다. 1989년 12월 냉전 종식이 선언되고, 1989년 5월에 소련의 고르바초프가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중-소관계가 정상화된 것은 한-중 수교의 중요한 계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아울러 노태우 정부의 한-소 수교의 성공이 중화인민공화국에게도 영향을 미쳐 한중 수교를 앞당겼다고 할 수 있다. 1992년 8월에 대한민국은 중화민국과 단교하고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였다. 수교와 동시에 많은 문화교류를 통해서 한류 및 중류(中流)가 각국으로 퍼져나갔다. 그러나 2008년 4월 27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성화 봉송 행사에서 재한 중국인 및 중국인 유학생들의 폭력 사태로 인해 한국인 및 외국인이 부상을 당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2008년 중국인 성화봉송 폭력시위 사건) 이 때문에 각국 사이에 반한·반중 감정이 생겨나는 등 위화감이 조성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중화인민공화국 수출은 1168억3783만USD, 중화인민공화국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715억7360만USD(각 2010년)에 달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의 수출, 수입국이다. 한편, 대한민국의 대(對)홍콩 수출은 252억9434만USD, 홍콩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9억4593USD(각 2010년)에 달하여, 홍콩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4위의 수출국, 제32위의 수입국이다. 양국 사이에는 대한항공이 중국 내 20개 도시에서 26개 노선을, 아시아나 항공은 22개 도시 30개 노선을 각각 운항 중이다. 2010년 8월, 대한항공은 83%, 아시아나항공은 83.6%의 탑승율을 기록했다. 8월 한달 동안, 각각 35만2천명과 29만4천명의 탑승객을 운송하였다. 대한민국 남자들의 국제결혼을 아내의 출신지 별로 볼 때,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의 여자가 가장 많다. 2000년 3,566건 (전체 6,945건 중 51%)에서 2008년 13,203건(전체 28,163 건 중 46.8%)으로 증가하였다. 2016년 9월 북한이 5차 핵실험을 단행했고, 탄도 미사일 탑재용 소형 핵탄두를 최초로 핵폭발 실험을 하면서, 한반도 사드 배치(THAAD)가 가속화 되었다. 2016년 12월 방한한 천하이 중국 외교부 부국장은 한국 외교부의 연기 요청을 거부하고, 일방적으로 입국한 뒤, "소국이 대국에 대항해서 되겠냐"며 한국의 위상을 폄훼했고, 또 "너희 정부가 사드 배치를 하면 단교 수준으로 엄청난 고통을 주겠다"는 협박성 발언까지 했다. 2017년 1월 9일, 중국 폭격기 등 군용기 10여대가 사전 통보 없이 대한민국 제주도 남방 이어도 인근 동해상에 진입하자 대한민국 공군 전투기가 급출격해 맞불 대응에 나섰다. 중국 군용기들이 대한민국 제주도 남방 이어도 인근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대거 기습 침범하며 동해에 진출한 것에 대해 중국 관영 매체가 중국군이 커져서 활동 영역의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한반도 사드 배치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중국이 러시아판 사드를 도입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북한 핵도발 대응책인 한국 사드에 보복하고 있다. 러시아가 개발한 사드 S-400은 미국의 사드와 매우 유사한 러시아판 사드이다. 대한민국 전역을 감시할 수 있는 레이다망에 항공기와 탄도미사일은 물론, 스텔스 전투기까지 요격할 수 있다. 중국은 러시아판 사드 2개 포대를 도입해 2017년부터 실전 배치한다. 레이다망 사거리가 400km로 미국판 사드보다 길어서 한반도와 대만 인근에서 작전을 하는 미국 스텔스 전투기를 위협한다. 러시아판 사드가 중국 산둥반도에 배치 된다면 유사시 한반도 지역에서의 한미 군용기 활동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한반도 사드 배치는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는 중국이 국가의 주권과 안전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며 러시아판 사드를 실전 배치 한 것이다. 중국은 러시아판 사드 S-400을 1포대를 2017년에 도입할 예정이고 S-400의 중국판인 HQ-19도 자국의 기술로 개발 중이다. 중국이 대한민국 전역을 감시할 수 있는 러시아판 사드를 실전 배치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북한 핵도발 대응책인 한반도 사드 배치를 중국이 반대하는 것은 적반하장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중일 전쟁 당시 중국 난징에 주둔한 일본군 병사와 중국인(1937년)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의 관계는 과거사 문제로 인해 소원하였으나 동아시아에서의 영향력을 위해 서로 협력을 꾀하고 있다. 1960년대까지는 과거사 문제와 체제 문제 때문에 정상 수교를 맺는데는 어려움을 겪었으나 미국-중화인민공화국의 접근에 자극을 받은 일본 국내에서는 일-중 국교 수립을 위한 움직임이 가속화되었다. 당시 사토 에이사쿠 총리는 기본적으로 대중 자세를 바꾸지 않았으나, 이윽고 자민당의 총재 선출에서 일·중 국교정상화를 공약으로 내걸었던 다나카 가쿠에이가 승리하였다. 다나카 총리는 오히라 마사요시 외상과 함께 1972년 9월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과 회견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는 것으로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이로써 타이완의 중화민국과는 외교관계를 단절하였다. 국교 정상화에 즈음하여 공동성명이 발표되었는데, 일본측은 "전쟁을 통하여 중국 국민에게 중대한 손해를 끼친데 대하여 책임을 통감하고, 깊이 반성한다"고 서술하였고, 중화인민공화국 측은 일본에 대한 전쟁 배상의 포기를 선언하였다. 2006년 10월의 아베 총리의 방중 때에, 일-중 간에는, "전략적 호혜관계"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합의되었다. 공통의 전략적 이익에 기준을 둔 호혜관계가 그것이다. 종래, 일-중 간의 관계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전략"이라고 하는 표현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은 특기할 만 하다. 양국이 "전략"이라고 하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에 합의한 배경에는 일-중 관계를 2국간관계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 대국적인 관점에서 구축하고자 하는 의욕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중 양국이 아시아 및 세계의 평화와 발전을 위해서 함께 건설적인 공헌을 할 것을 통하여, 공통 이익을 확대시키고, 양국 관계를 발전시키려는 것이 목적이다. "전략적 호혜관계"는 2007년의 원자바오 총리의 방일, 후쿠다 총리의 방중, 2008년의 후진타오 방일에서도 이어지고 있어, 중일관계의 기본축이 되고 있다. 2009년 4월에 중국 전역에서 개봉한 《난징!난징!》과 《라베일기》두 편의 전쟁영화가 극장가 흥행열풍을 주도하면서 중·일 양국의 외교관계에까지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두 영화는 모두 난징 대학살을 소재로 삼고 있다. 문제가 되고 있는 센카쿠 열도에 속하는 우오쓰리 섬 영토 *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은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가 각각 자신의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중화민국도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가 타이완 성에 속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은 인도의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북부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고, 인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점령한 아크사이친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중화인민공화국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는 중화민국도 아루나찰프라데시와 아크사이친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이어도와 파랑초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서는 이어도와 파랑초 문제가 놓여 있다. (중국 이어도 도발) * 기타 영토 문제 그 외에도 남중국해에 있는 남사군도와 서사군도 문제도 있다. 예전에는 소비에트 연방과 중소 국경 분쟁이 일어났다. 하지만, 1991년 5월 16일에 체결된 중소 국경 협정으로 양측은 이들 섬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라는 것에 합의했다. * 백두산 일부 지역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에 있는 백두산 일대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이 영유한 일부 지역에 대해 대한민국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백두산을 장백산이라고 부르면서 북한 땅을 흡수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은 각각 상대방의 영토 전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역사 분쟁 * 둥베이(동북공정)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서 동북공정이 대표적인 외교 분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고조선과 고구려, 발해를 중국의 역사라고 주장하고 있다. * 다른 나라와의 갈등 중화인민공화국은 베트남, 몽골 등 주변의 이웃 국가와도 역사 문제로 서로 대립하고 있다. 특히 중화인민공화국은 내몽골 자치구에 칭기스칸의 묘를 만들어 몽골의 역사를 왜곡하기도 했다. * 타이완 문제 타이완 문제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간에 벌어지고 있는 문제이다. 1970년대 이전, 국제사회가 공산주의 혁명과 전쟁의 시대에 놓여있다고 인식하고 전쟁이 필연적이라고 생각했던 마오쩌둥 중심의 대외정책이 그런 상황에서 우방인 소련과의 전쟁을 막기위한 동맹정책이었다면, 마오쩌둥 사망부터 1991년 소련 붕괴 전 덩샤오핑와 장쩌민 중심의 대외정책은 국제사회가 평화의 발전 단계에 놓여있으며 전쟁은 피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독립자주 비동맹정책을 고수하는 대신 분쟁의 평화적 해결과 국가이익을 중시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소련 붕괴 이후 기존의 군사적 위협보다 정치, 경제, 사회적 위협이 증가하자 장쩌민은 전통적 안보위협요인에만 주목하는 기존의 안보관이 아닌 신안보관을 주요 안보정책의 기조로 활용하게 되었다. 인민해방군의 훈련 모습 헌법상 중화인민공화국의 군대는 국가(정부)의 군대가 아닌 당의 군대이다. 따라서 군대의 정식 명칭은 ‘중국군’이 아닌 ‘중국 인민해방군’이다. 과거에는 징병제였으나, 현재는 경제발전과 인력의 고급화로 인하여 실질적인 모병제로 운용하고 있다. 현역병이 2,285,000명이다. 전차 7,470대, 전투기 4,092대, 전함 562척을 보유하고 있다. 조만간 러시아를 제치고 세계 군사력 순위 2위의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현재 중국은 러시아의 T-72를 개량한 99식 전차를 주전차로 사용하며, IL-28이라는 구형 폭격기를 보유하고 있다. 숫자만 많고 약하다고 무시당하던 중국인민해방군은 현대화로 해군·공군 및 사이버·위성 전력을 크게 확대하고 러시아의 쿠즈네초프 항공모함을 사들여 강력해지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일본, 중화민국, 필리핀, 베트남 등은 국가안보에 위협을 느끼고 있다. 상하이 증권거래소 중화인민공화국은 농업을 중심으로 한 대생산국으로 특히 1949년 정부수립 후 각종 산업의 생산고가 점차 증가일로를 걸어왔다. 제2차세계대전 후 중화인민공화국의 산업·경제의 발전단계는 # 1949~52년의 경제부흥기 # 1953~57년의 제1차 5개년계획기 # 1958~60년의 제2차 5개년계획기 (2년 앞당겨 달성) # 1961~63년의 조정기 # 1966~70년의 제3차 5개년계획기 # 1971~75년의 제4차 5개년계획기 # 1976~85년의 경제발전 10개년계획 을 착수했으나 결함이 노출되어, 1979~81년의 경제조정기를 거쳐 1986~90년의 제7차 5개년계획에 이어 2010년까지 제9차 5개년계획에 들어갔다. 주요 쇼핑가 난징루의 야경 이들 각 시기의 특징은, 경제부흥기에는 1952년에 이미 전전의 최고생산고에 도달하여 문자 그대로 경제재건에 성공했고, 제1차 5개년 계획기(1953~57년)에는 소련의 원조로 중공업의 확충이 단행되었다는 점 등이다. 그러나 이 시기의 말기에는 (a) 중공업의 중시와 농업의 경시, (b) 중공업 편중, 경공업 경시, (c) 대규모화·기계화의 무리한 목표설정에서 오는 자금의 낭비와 국내기술의 부실, (d) 공업의 내륙편중 등의 결함이 노정되었다. 1958년에 시작된 제2차 5개년계획(대약진운동)에서, 마오쩌둥 전 주석의 정책으로 계획경제를 발전시키고자 했다. 경제부흥기의 미해결문제의 해결을 위해 (a) 농업과 지방공업, (b) 경공업과 중공업, (c) 중앙공업과 지방공업, (d) 대규모 공업과 소규모 공업, (e) 재래식 생산과 외래식 생산의 조화를 지향했고, 이 기간중 공업생산 증가율은 40%에 달했다. 그러나 공업발전은 내용적으로 극히 불건전하여 (a) 생산품이 품질조악으로 사용가치가 적었고, (b) 재래식 생산 방식은 원료, 노동력, 연료의 낭비를 초래했고, (c) 기술문제가 등한시되었기 때문에 사고의 발생률이 높았으며, (d) 공업부문의 균형적 발전이 저해되었다. 농촌을 현대화시키기 위해 1958년부터 인민공사가 조직되었다. 소위 대약진기라는 이 시기에 이어 1959~61년에 걸친 연속적인 자연재해로 인민공사에 대한 회의가 고개를 들어 농업생산은 크게 줄고 공업원료는 부족하여 경공업생산도 그 파급으로 타격을 입는 등 농·공 사이의 균형이 크게 문제가 되고 게다가 1960년 7월 국경 분쟁으로 인한 중·소대립의 악화로 소련의 공업전문가들이 본국으로 돌아가고 소련의 무상원조, 자재지원도 중단되어 심각한 경제위기가 찾아들었다. 그래서 1961년부터는 경제조정기가 시작되어 농업재해, 대약진의 실패, 소련의 원조중단 등에서 온 위기를 극복하는 데 노력이 집중되었다. 1961년에는 조정·공고화·충실·생산제고 등의 목표로 정책이 전환되어 공업의 규모는 대폭 축소되었다. 1962년부터 농업생산이 호전하여 경제 전반이 회복되기 시작했다. 같은 해에는 농업, 경공업, 중공업의 순차적인 발전이 도모되어 공업의 위치가 2차적인 것이 되었으며 공업구조 내부의 조정이 중시되었고, 농업 지원도의 재고로 공업의 내적 충실화가 모색되었다. 3차 5개년계획(1966~70년) 실시 이후 독립되고 거의 완전한 근대공업체제의 건설단계에 들어갔다. 1967년 이후 홍위병 난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각종 산업, 특히 광공업 부문에서 생산이 상당히 저하했다. 중국의 산업건설의 기본방향은 농업을 기초로 하고 광공업에 선도구실을 시키려는 것인데, 1968년 이후 홍위병 난동이 수습단계에 들어가면 생산도 다시 호전의 기미를 보였다. 결국, 국가 성립 후 1970년대 중반까지의 경제는 대약진정책의 실패와 문화대혁명에 의하여 뒤떨어져 있었다. 1978년에는 경제발전 10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4개 현대화에 착수했으나 각종 누적된 결함이 노출되어, 1979년 조정방향이 설정되면서 본격적인 개방과 개혁정책이 추진되었다. 1980년초에는 기업의 자율화, 외국기업의 투자 보강, 금융의 자율화, 세제 도입 등의 조치를 단계적으로 취한 후, 1984년 대규모 경제개혁을 단행했다. 이에 1985년 인플레와 과열경기현상이 나타났고, 1986년 4월 안정과 균형에 기저를 둔 지속적 성장을 목표로 한 제7차 5개년계획(1986~90년)을 채택했다. 덩샤오핑에 의한 자본주의 경제제도 도입 등의 개혁 개방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경제는 급속히 발전하여 ‘세계의 공장’이라고도 불리고 있다.세계무역기구(WTO)의 발표로는, 2003년의 대 중국 직접투자는 535억 달러가 되어 미국을 제치고 실질적으로 세계 최대의 직접투자 수입국이 되었다. 세계 최대의 인구와 강한 경제력 덕분에 중국 경제는 아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런데 중화인민공화국 국내 노동자들은 연안부나 대도시 근교를 제외하면 지방 인민의 대다수가 아프리카 여러 나라와 동일한 정도의 빈민층이며, 농업을 할 수 없는 계절에 도시 지역에 유입되어 객지에서 노동하고 있다. 그들은 매우 저렴한 임금으로 도시 지역에서 일하기 때문에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값싼 노동력을 목적으로 미국, 서구나 대한민국·일본의 기업 진출도 번성하여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릴 정도가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서도 대한민국에 무역 사무소를 개설하는 등 외국 기업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경제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는 점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은 내년 경제성장률을 8.5%로 예상하였다. 다른 나라인 인도 역시 경제성장률을 6.3%로 큰 폭으로 예상하였다. 이용하여 농사를 짓는 모습 중화인민공화국의 국토는 신석기(新石器) 시대에 이미 경작되어 있었고, 경지도 널리 분포해 있어 각지의 토지 이용이나 농업 경영방식은 지역별 자연조건이라든가 사회환경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 중국인 학자들과 함께 치밀한 현지조사를 한 로싱백은 화이허(淮河)와 친링(秦嶺)선에서 수도(水稻)지역과 소맥(小麥) 지역으로 크게 둘로 나누고, 나아가서 다시 소맥지역을 창장(長江)수도 소맥구, 쓰촨(四川)수도구, 수도·차(茶)구, 서남수도구, 수도 2기작구(二期作區)로 세분하고, 한편 북부의 소맥지대를 겨울보리·수수구, 겨울보리·조구, 봄보리구로 구분했다. 이러한 지역구분은 주변 지대로의 확대도 가능하여 동북지구를 콩·수수구로 보고 내몽골 지방과 티베트 및 칭하이(靑海) 지방을 목축구로, 타이완과 하이난섬(海南島)을 2기작구로 볼 수도 있다.종래 중화인민공화국의 농가는 주로 자급용기의 곡물과 콩 종류를 재배하고, 여력이 있으면 판매용 작물을 길렀다. 수도(벼)는 기온이 높고 강우량이 많은 화이허 이남에서 주로 생산되는데 특히 광둥·푸젠(廣東·福建) 양성(兩省) 연해 지방은 이모작(二毛作)이 가능하다. 쌀의 총생산량은 17,825만t(1994년 기준)으로 방글라데시에 이어 세계 제2위이지만 국내소비가 많기 때문에 수출은 소량이다. 소맥(밀)은 중국본토 북부와 동부지구 북부를 중심으로 하며 화이허와 양쯔강에 연하여 평야지대에서도 제2기작으로서 재배된다. 산시(陜西), 산시(山西) 북부에서 옌산(燕山)산지 북서에 걸치는 지방에서는 기후가 한랭한 관계로 춘경보리가 재배된다. 총생산 3,200만t(1994년 기준)으로 만주, 바오즈 등을 주식으로 하기 때문에 대부분 국내에서 소비된다. 고구마는 산둥(山東), 허베이(河北), 허난(河南)에서 재배되고 조, 수수 등은 동북과 화북의 평야 및 쓰촨(四川) 분지에서 많이 산출된다. 옥수수는 랴오둥반도, 황하 이북의 후베이(湖北)평야, 산시·산시의 남부에서 쓰촨에 걸치는 지대에서 많이 나는데 식량과 사료로 쓰인다. 콩은 둥베이 평원과 산둥 반도에서 많이 나오는데 총생산고는 약 1,212만 t이다.면화는 랴오허(遼河) 하류의 평야에서부터 후난(湖南), 쓰촨, 구이저우(貴州)의 각 성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해 있으며 허베이 평야지대, 산시·산시의 남부, 후난, 장쑤(江蘇), 안후이(安徽), 후베이(湖北)의 제성이 그 생산 중심이 되어 있다. 면화는 관개작물로 결실기의 건조한 기후가 양질의 작물을 낳는다. 가축은 돼지, 닭, 오리 외에 노력과 배료원으로서 나귀, 노새(밭농사지대), 소, 물소(수전지대), 말(초원지대) 등이 많으며 양은 식육 및 모(毛) 자원으로서 동북지구, 내몽골 지방, 신장·위구르 지방, 티베트 등 변경 지대에서 많이 사육된다. 중화인민공화국에는 고도 경제 성장의 이면에, 농업의 저생산성, 농촌의 황폐, 농민의 저소득이라는 3농 문제가 심각하여 경제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도시와 농촌의 수입격차가 계속 확대하면서 토지 수용에 과한 쟁의도 빈발한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농업생산진흥책과 농업세의 폐지 등에 열의를 보여서, 2007년 3월의 제10기 전인대 제3회 회의에서는, 물권법을 제정하여 토지사용권의 물권화를 인정하고 농촌대책비를 긴급 증편하여, 농촌의 의료와 교육에 대한 보조금의 증액을 결정하였다. in China at Yangtze River.JPG|섬네일|left|양쯔 강 유역의 공장 지대 2차대전 전의 중화인민공화국의 공업 분포는 일본이 지배했던 동북지구와 함포(艦砲) 외교 아래 열강이 투자한 연해 지역·대하천 유역에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중일 전쟁이 1937년에 발발하면서 국방상의 배려로 공업이 내륙지방으로 소개되고, 또 전후에는 공업의 적정재배치가 단행되어 종래의 공업 편재상은 상당히 수정되었다. 전전 동북지구의 안산 벤시후를 비롯해 허베이, 산시, 쓰촨, 후베이 등지가 중심이 되었던 제철·제강업은 전후 기간산업으로서 중요성을 더하여 우한(武漢), 바오터우(包頭) 등지에 거대한 철강공업 기지가 신설되었다. 중기계공업을 보면, 광산·야금기계가 타이위안(太原), 선양(瀋陽), 치치하얼(齊齊哈爾) 등지에서, 발전기가 상하이(上海), 하얼빈(哈爾賓) 등지에서, 그리고 정유기계가 란저우(蘭州)에서 제조되고 있다. 중형 기계공업으로는 방직기계가 유위츠(楡次), 상하이, 칭다오(靑島) 등지에서, 조선(造船)이 뤼다(旅大), 상하이 등지에서, 철도 차량이 뤼다, 치치하얼, 칭다오 등지에서 자동차가 장춘(長春), 뤄양(洛陽), 정밀기계가 상하이, 하얼빈, 샤먼(廈門), 염료·의약품이 상하이에서, 비료가 난징(南京)에서 생산되고 있다.전전(戰前) 중화인민공화국의 공업은 경공업 위주였는데 특히 방적업이 성한 톈진(天津), 칭다오와 면방직이 성한 상하이, 우시(無錫), 난퉁(南通) 등 양쯔강 연안의 여러 도시가 그 중심이 되어 있었다. 전후(戰後) 상하이의 면방직공장이 확충되고 면화지대인 스자좡(石家莊), 한단(邯鄲), 정저우(鄭州), 시안(西安), 셴양(咸陽), 우한(武漢), 우루무치(烏魯本齊) 등지에 대공장이 건설되는 등 내륙의 원료 산지로의 공업 진출이 활발하다.식품공업은 전전 상하이, 칭다오 등지가 중심이 되어 연초가공, 제분, 육류가공, 양조 등이 성했는데 전후에는 유류(乳類)를 가공하는 대공장이 하이라얼(海拉爾), 시닝(西寧)에, 육류가공공장이 우한(武漢)·청두(成都)에 건설되고 또 상하이로부터 이전한 방푸(蚌埠)의 일용품공업이나 뤄양(洛陽)의 제분·착유공업도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동북지구는 유지·제당, 본토 북·동부는 제분·연초·유지·남부는 제당으로 각각 알려져 있다. 개혁 개방 이후의 활발한 경제 발전의 이면에는 국민의 80%를 차지하는 농민과 도시 지역 사람들과의 소득 격차 문제가 있으며, 이는 평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산주의로부터의 일탈을 의미한다. 이 빈부 격차 문제는 향후의 중국 경제의 방향을 결정하는 요소이며, 새로 출범한 후진타오 정권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농촌과 도시 지역 간의 빈부 격차 문제 해소를 논의하는 등 긴급하게 대응하고 있다. 2005년 3월의 전인대 이후, 후진타오 지도부는 "조화로운 사회 건설"의 건설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는 경제성장의 이면에, 빈부의 격차, 치안, 실업, 부패 등의 문제가 심각하게 되었다. 생활고 및 토지수용이나 독직 등 당국에의 불만으로부터 중국 각지에서 데모와 폭동이 빈발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사태의 악화를 염려하며, "조화로운 사회"의 건설을 중요과제로서 제기하였다. 그 실현을 위해서는, 부의 재분배 시스템을 확립하고, 빈부의 격차의 해소에 노력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기득권층의 이해에도 저촉하기 때문에, 그 실현에는 곤란이 뒤따르고 있다. 1990년 빈곤율은 50%이나, 최근 많이 줄었다. 또한, 열악한 노동 환경도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이다. Terminal 3.jpg|섬네일|right|아시아에서 제일 바쁜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중화인민공화국의 교통 은 1949년부터, 특히 1980년대 초반부터 크게 발전하였다. 공항, 도로, 철도 건설은 2010년대에 대규모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운송 수단으로서 중요한 철도는 20세기 중반이래 2배의 길이로 늘어났고, 전국을 잇고 있다. 주요 대도시들은 전철 시스템을 운영 또는 건설중이거나 계획 단계에 있다. 고속도로와 도로 체계도 급속히 성장하였고 그 결과 중국 전역에서 자동차도 급속히 증가하였다. 중국의 교통 체계는 방대한 국토에 걸쳐 넓은 교통 교차점의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차점들은 비교적 경제적으로 발달한 해안 지대와 주요 강을 따라 발달한 도시들에 집중되어 있다. 중국 교통 기반시설의 물적 상황과 그 이용 실태는 지리에 따라 매우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시골 지역에서는 아직도 비기계적인 운송 수단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반면, 상하이와 푸동 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자기부상열차도 건설되었다. 중국은 역사적으로, 각지의 도로, 수로를 정비하였을 뿐만 아니라, 진시황제의 고대 도로, 수나라의 대운하, 당나라의 실크로드, 명나라 정화에 의한 해로 원정 등, 세계 역사상 유명한 교통의 정비와 확보를 행해 왔다. 티베트의 말과 중국의 녹차를 주로 교환한 것에서 유래한 전통적인 차마고도 (윈난 성 ~ 티베트)도 지금은 국도와 고속도로, 티베트 철도로 대체되어, 이제는 관광객들이 일부 이용할 뿐이다. 현재 중국의 교통 체계의 상당수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에 만들어진 것이다. 중국은 현재 교통 인프라의 업그레이드를 광범위하게 진행하고 있는 중이다. 최근까지, 중국의 경제는 인프라 개발 부족에 불구하고, 교통 인프라를 개발할 여력이 부족했었다. 그러나 이제 중국 정부는 경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물자를 수송하고 사람을 이동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하였다. 세계 은행의 1990년대 중반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열악한 교통 인프라로 인하여 손실되는 물류량이 중국 GDP의 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물류 비용은 생산 원가의 20%로서 미국의 10%, 기타 선진국의 5%와 크게 대비된다. 중국의 항구는 수로의 이용을 위해 크게 개선되고 있으며 공항 설비도 향상되고 있다. 건설 장비, 엔지니어링, 콘테이너 보안, 전자산업, 안전 도구와 같은 교통 관련 산업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베이징 역 철도는 동북지구와 북부에 편재해 있다. 철도는 중국에 있어서 현대 운수의 근간을 이룬다. 중국 철도의 총 길이는 2009년에 86,000km로 연장되었다. 철도 밀도는 89.6km/10,000km2로, 이웃한 대한민국에 비하여 0.29배에 불과하다. 여객 수송은 연간 215억명/km, 철도선은 60여개를 헤아리고, 수송량은 전수송량의 85%에 이르고 있다. 새로운 도로의 적극적인 건설로 1978년에는 자동차의 통행이 가능한 도로의 총연장이 89만km에 이르렀다. 항공 교통이 1990년대 말부터 비약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지만, 철도 교통은 여전히 가장 이용객이 많은 교통 수단이다. 1990년부터 시작된 정부의 노력으로 중국의 고속도로는 2009년 기준으로 65,000km를 넘는다. 이것은 길이 기준으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자랑하는 수치이다. 1,200여개의 하천은 예로부터 가장 중요한 교통로로 이용되고 경제적 동맥이 되어 왔으며, 특히 창 강은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예부터 중국에서 남선북마(南船北馬)라 일컬은 것은 창 강 수계가 차지하는 경제적 의의를 설명하는 것이다. 수나라 때부터 화중의 농산물을 화북으로 운송할 목적으로 건설된 대운하는 현재는 국부적으로 이용될 뿐이고, 남북간의 물자 수송은 경한선·진포선 등의 철도로 하고 있다. 주 강, 쑹화 강도 주요한 하천이다. 1956년 중국의 민간항공로의 총 연장은 1만7,194km 였다. 베이징을 중심으로 모스크바, 평양, 하노이, 양곤, 울란바타르 등지에 정기항로가 개설되어 있고 국내 주요도시를 연결하는 항공망도 정비되어 있다. 영토가 광대한 중국에서는 항공 발전은 큰 의미를 가진다. 예컨대 철도편으로 10~15일이 소요되는 베이징 우루무치간의 거리는 항공로로 8~10시간이면 갈 수 있다. 중국과 대한민국 사이에는 대한항공이 중국 내 20개 도시에서 26개 노선을, 아시아나 항공은 22개 도시 30개 노선을 각각 운항 중이다. 2010년 8월, 대한항공은 83%, 아시아나항공은 83.6%의 탑승율을 기록했다. 8월 한달 동안, 각각 35만2천명과 29만4천명의 탑승객을 운송하였다. 설날, 청명, 노동절, 단오, 추석, 국경절 등에 연휴가 있지만 그렇다고 모두 노는 것도 아닌 게 바로 전이나 그 다음 주말에 출근하는 대체평일제 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중국이 영토가 매우 넓은 대신 비행기 등을 이용할 능력이 되는 사람이 적어서 연휴를 짧게 하면 고향 방문이나 여행을 제대로 못 하기 때문에 연휴를 길게 하는 대신 주말근무로 때우는 방식을 채택했기 때문이다. 중국 전체의 인구는 2015년 말에 13억 5569만 명이다. 인구의 55.6%(2015년)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인구증가율은 0.52%(2010년~2015년)이며 1995년 이후 1% 미만의 낮은 증가율을 지속하고 있다. 유엔추계에 의하면 2050년에 약 16억 명의 최고점에 도달하고 이후에는 점진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1979년부터 인구 억제책으로서 한 부부에 한 자녀라고 하는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1자녀 가정에는 장려금, 학교에의 우선 입학 등의 혜택이 주어지나, 위반한 자에게는 반대로 벌금이 부과된다. 그러나 농촌 지역에서는 다(多)자녀가 다복이라는 전통적 가치관이 근본적으로 강하여, 정책이 형해화된 지역도 많다. 중위 연령은 37.0세이며 2015년 노인 인구 비율이 9.55%로 고령화 사회에 해당한다. 2040년경에는 65세 이상의 노령 인구가 20%에 달하고, 초고령 사회가 도래하고 있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이것을 반영한 것인지, 정부는 2002년 9월 1일에 "인구와 계획 출산법"을 시행하여, 조건부로 1자녀 정책을 완화하였다. 중국은 56개 민족이 거주하는 다(多)민족 국가이다. 한족(漢族)이 전체 인구의 92%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55의 소수 민족 56개 족들이 8%를 차지하고 있다. 소수 민족 중 인구가 100만 명 이상인 민족은 좡족(壯族), 몽골족(蒙古族), 조선족(朝鮮族), 티베트족(藏族), 위구르족(維吾爾族), 만주족(滿洲族, 滿族), 후이족(回族) 등 18개 민족이다. 반대로 뤄바족(珞巴族) 등 인구가 3천 명 이하인 민족이나, 민족을 구별할 수 없는 73만 명(2000년 시점)의 사람들도 있다. 어뤄스족도 있는 편인데, 이들은 러시아계의 후손이다. 소수 민족은 주로 동북(東北), 서북(西北), 서남(西南), 각 자치구의 스텝이나 산악 지대, 고원에 살고 있으며, 이들의 거주지는 중국 전 국토의 60% 이상이다. 국내에서 가장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성(省)은 서남부의 윈난 성(雲南省)으로, 35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다만, 오늘날에는 1970년대 말부터 시행된 개혁, 개방 정책과 1997년, 1999년의 홍콩, 마카오 반환 등으로 말미암아 56개 민족 이외의 민족도 상당수 거주한다. 전통적으로는 부계 중심의 가족, 확대 가족이며 조상 숭배를 강조한다. 아들의 출산을 통해 가족의 혈통을 계승하려 한다. 효도를 중시하며, 결혼은 가문의 관심사이자 대(代)를 잇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현재는 핵가족화 추세이나 농촌은 대가족 제도를 계속 유지한다. 연애 결혼과 중매 결혼이 공존하며, 가족 중심적이고 이혼율이 증가 추세에 있다. 그러나 다른 나라들보다는 낮은 편이다. 공용어는 표준 중국어(普通話)로, 중국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다. 표준 중국어는 중국 대륙 뿐만 아니라 타이완이나 국외에서 거주하는 화인(華人)들도 사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세계에서 가장 사용자가 많은 언어가 되었다. 중국어는 여러 가지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북방방언(北方方言), 오어(吳語, 상하이어 등), 광둥어(廣東語), 푸젠어(福建語), 객가어(客家語)의 5개로 대별되며 그 방언들 간에는 서로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다. 중국 전 지역에서 통용되는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화(北京話)의 발음을 표준음으로 하고 북방어를 기초로 하여 현대백화(現代白話, 구어)의 문장을 문법 규범으로 하고 있다. 중국어를 표기하는 한자는 총 6만 자 가량으로, 그 중 2,500자가 상용한자로 선정되어 있다. 한자 간략화 정책 때문에 중국 대륙에서는 대한민국의 한국어 한자(정자; 正字)와 다른 간체자(簡體字)가 통상 사용되고 있다. 소수민족은 대부분 각 민족 언어와 표준 중국어를 병용한다. 소수 민족 언어로는 좡어, 티베트어, 위구르어 등이 널리 쓰인다. 또, 55개의 소수민족 중에서 21개 민족은 자신의 문자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에는 나시족(納西族)의 동파 문자(東巴文)와 같은 표의 문자도 있다. 다만 후이족(回族), 만주족(滿洲族) 등 3개 민족은 민족 문화가 한족화(漢族化)된 영향으로 일상적으로 표준 중국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 키르기스족, 먀오족(苗族) 등의 34개 민족은 자신들의 문자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 다만, 중국 국내에서 역사적으로 거주해 온 민족의 언어 이외에는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지역이 한정되어 있다. 외국어로는 영어, 러시아어, 한국어, 일본어 등이 널리 사용되며, 1990년대 말에 반환된 홍콩, 마카오에서는 중국 대륙의 공용어인 표준 중국어뿐만 아니라 광둥어와 영어(홍콩), 포르투갈어(마카오)도 공용어로 지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국가 전체의 문맹률은 미국 CIA 조사를 따르면 약 9.1%로, 중간 이하이다. 도시 지역에서는 문맹률이 많이 낮아졌으나 티베트 자치구나 신장 위구르 자치구 등 서부 지방에서는 아직도 문맹률이 높다. 2003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국민들의 의무 교육 기간을 초등학교 까지의 6년에서 9년(중학교까지)으로 확대하였다. 학년은 9월에 시작해서 이듬해 7월쯤 끝난다. 중국에서는 고등학교 수학에서 미적분을 아예 다루지 않고 있는 대신 복소평면과 역삼각함수를 다루고 있다. 또한 중국의 대학 입시는 가오카오라고 부르며, 고급중학(한국의 고등학교에 해당) 3학년 말인 6월 7일과 6월 8일에 치른다. 과목은 어문, 수학, 문과종합, 이과종합, 외국어. 국영통신으로는 신화통신이 있다. 신화통신은 1931년에 장시 성 루이진에서 홍색중앙통신사 로 처음 발족했고, 1934년에는 대장정에 마오쩌둥과 함께 올랐으며 1937년에는 옌안에서 신화통신사 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고 현재에 이른다. 이곳은 《인민일보》, 중국중앙방송의 기사를 보내고 있다. 또 이 통신사에서 발간하는 간행물로는 《신화매일전신》, 《참고신문》, 중국신화방송 등이 있는데, 《참고신문》은 주로 공산당원이 많이 읽는다. 중화인민공화국의 대표적인 신문은 《인민일보》로써, 공산당 중앙위원회 기관지이다. 이 신문은 1948년에 창간되었다. 이 신문은 당보인 것처럼 중국공산당의 입장, 정책설명, 당의 공보 등을 발표하고 있으며, 영어판과 한국어 서비스를 비롯해 7개의 외국어판을 발행하고 있다. 이 외에 《해방군보》, 《광명일보》, 《공인일보》를 발행하며, 《중국일보》는 외국인들을 위한 영문판 일간지이다. 외국어판 신문인 《베이징타임스》는 재미있는 기사와 강렬한 천연색 사진을 편집하여 외국인과 중국인에게 많은 인기를 독차지하고 있다. 방송은 국영방송인 중국중앙방송(CCTV)과 북경TV방송, 홍콩스타TV방송 등이 있으며, 중국중앙전시대는 원래 광고편성을 하지 않았으나, 1980년대에 광고를 시작했다. 중국정부에서는 언론을 검열하므로 BBC를 들을 수 없다. 중국 각지에서 대기오염, 수질오염, 고형 폐기물, 소음, 사막화, 산성비, 물부족 등의 환경문제가 심각하게 되었다. 1973년에 제1회 전국환경보호회의가 개최된 이래, 환경보전에 대한 조직적 대응이 시작되어, 1979년의 환경보호법(시행) 채택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1983년에는 환경보전을 기본 국책으로 위상을 높였다. 1988년에 환경보호법이 수정되어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기업에게 벌칙이 강화된 이외에, 1997년의 형법 개정으로 자원환경파괴죄가 신설되었다. 또한 1998년의 국무원 개혁으로 1984년에 설치되었던 국가환경보호국이 국가환경보호총국으로 격상되었고, 2008년 3월에는 환경보호성으로 승격되었다. 이러한 대책에도 불구하고, 환경문제는 의연히 악화경향에 있다. 이것은 환경개선에의 기술적, 자금적인 문제도 있으나, 환경보호단체를 비영리단체로서 조직하는 것이 규제되고 있는 등, 일반시민에게 환경보전의식이 침투하기 어렵다고 하는 정치체제에 기원하는 것도 크다. 미국 국무부에 따르면 중화인민공화국은 최악의 인신매매 국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여성이 행하는 매춘은 세계 1위의 매춘율을 보인다. 중국은 다른 국가보단 늦었던 경제 개방으로 인해 빠른 경제 성장을 했지만 극심한 빈부격차와 물질 만능주의로 인한 중국 여성들의 매춘과 얼나이 문제등이 중국에 큰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의 공식적인 중국 여자 매춘부의 인구는 4천만명에 달하며 비공식적 여성 민간 단체에 의하면 1억명이 넘는다고 한다.특히 중국 정부의 공식적인 중국 여자 매춘부의 인구는 4천만명에 달하며 홍콩의 여성 민간 단체에 의하면 1억명에서 4억명이 넘는다고 한다. 또한 가난과 별개로 물질 만능주의가 퍼져 일반인 중국 여성들이 외국인 남자들의 얼나이를 자처하며 아르바이트 형식으로 돈을 벌며 화장품과 명품등을 구입하며 외국에 유학생 또는 일을 핑계로 해외에 나아가 매춘을 하며 적발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에도 유학하는 중국 여학생들과 대만 여학생들이 노래방등에서 매춘을 하다가 적발되었는데 그 이유가 "화장품을 구입하기 위해 매춘을 한다"고 하였다. 또한 중국에서는 차 위에 페트병을 올려 놓는 매춘 방법도 생기고 있다. 또한 중국 각지에 매춘업이 성행하고 있으며 외국인 전용 카라오케등도 생기고 많은 중국 여성들이 해외로 나가 매춘으로 벌어들이는 수익이 중국의 GDP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만리장성이나 자금성 등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문화재가 중국 영토 곳곳에 많이 존재하고 있다. 영은사(링인쓰) 1982년 제정된 〈공산주의 종교법〉에서 중국 정부는 인민들과의 협조를 위한 공산당원의 종교 활동을 인정하는 등 종교 활동에 대한 자유를 인정하고 있지만, 만 18세 미만 미성년자에 대한 선교 활동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으며, 불교, 도교, 이슬람교, 천주교, 개신교 등 5개 제도성 종교(制度性宗教)는 각각 중국불교협회(中国佛教协会), 중국도교협회(中国道教协会), 중국이사란교협회(中国伊斯兰教协会), 중국천주교애국회(中国天主教爱国会), 중국천주교교무위원회(中国天主教教务委员会), 중국천주교주교단(中国天主教主教团), 중국기독교삼자애국운동위원회(中国基督教三自爱国运动委员会), 중국기독교협회(中国基督教协会) 등 8개 관방 종교 단체로 통합되어 있다. 중국 정부의 종교 정책은 자치(自治, 스스로 다스림), 자양(自養, 스스로 키움), 자전(自傳, 스스로 전파시킴)을 중점으로 하는 삼자 정책이라고 하는데, 이는 외세를 배격하는 자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책이다. 로마 교황청과의 교류가 단절되어 있다. 2006년에는 쉬저우 교구장인 천위룽 주교가 로마 교황청과의 협의없이 천주교 주교 서품을 집전하여 교황청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현재 중국 공산당에서 인정하는 천주교 단체는 다음 3개이다. 중국천주교애국회(中国天主教爱国会, 약칭 애국회) – 중국 공산당의 영도에 따르는 천주교회 단체이다. 1942년부터 중화민국과 외교관계를 가지고 있던 로마 교황청은 국공 내전 이후인 1951년에 중국 공산당이 주중 교황사절을 추방하고 천주교회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자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는 악화일로에 들었으나, 중국 대륙에서의 천주교 전파를 위해 중국 천주교애국협회의 천주교회에 대한 정책을 존중할 생각이라는 피에트로 삼비 바티칸 대사의 말을 예샤오원 중국 국가종교사무국장이 전하는 등 로마 교황청과의 관계가 어느정도 개선되고 있으며 교황청은 신임 베이징 주교 임명을 승인한 바도 있다. 현재 바티칸 교황청 홈페이지에는 중국어 웹페이지도 개설되어 있다. 하지만 종교의 자유가 없는 중국 내 종교상황에 대한 개선 등의, 중국 공산당 정부가 해결해야 할 숙제들도 있다. 중국천주교교무위원회(中国天主教教务委员会) 중국천주교주교단(中国天主教主教团) 현재 중국 공산당에서 인정하는 개신교 단체는 다음 2개이다. 삼자애국운동과 중국기독교협회를 중국기독교양회(中国基督教兩会)로 통칭하기도 한다. 주요 정책 발표 등이 공동의 명의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중국기독교삼자애국운동위원회(中国基督教三自爱国运动委员会) - 중국 개신교회는 특정한 교파 구분 없이, 1957년 중국기독교삼자애국운동위원회로 통일되었다. 성공회(聖公會)도 여기에 속해있다. 중국기독교협회(中国基督教协会) – 중국 개신교회가 외부와 단절하지 않았다는 뜻으로 현재 세계 교회 협의회(WCC)에서 활동하고 있다. 기독교양회에 속하지 않은 가정교회에서 종교생활을 하는 사람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가정교회는 비공인된 것으로 탄압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기독교양회와 마찬가지로 중국에서 발전한 토착적인 교리를 중요시하며, 반외세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 최근엔 정부에 협력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중국 공안부가 사교(邪教)로 지정해 탄압하는 기독교 계열 종교들이 있다. 널리 알려진 단체로는 호함파(지방교회), 전능하신 하나님 교회(동방번개) 등이 있다. 일부 단체는 중국내에서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지리적으로 가까운 대한민국으로 전도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중국의 법률은 외국 개신교 단체의 중국 내 선교를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의 선교 단체에서 선교사를 파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전국인민대표대회 하나의 중국 중화민국의 외교 홍과 전 국가자본주의 중화인민공화국의 사상개조( Thought reform in the People s Republic of China) 중화인민공화국의 검열( Censorship in China) 중화인민공화국의 언론매체( Media of China) 중화인민공화국의 인터넷 검열(금순공정/만리방벽)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선전( Propaganda in the People s Republic of China) * 환구시보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 공식 홈페이지 (중국어 간체자/번체자, 영어) 주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관 주 부산 중화인민공화국 총영사관 주 광주 중화인민공화국 영사사무실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공식 홈페이지 중국망 주 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국가정보, 중국 (외교통상부) 주 광저우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 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 선양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 청두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 칭다오 대한민국 총영사관 미국 CIA의 중화인민공화국의 자료(영어) China Travel Information (영어) 론리플래닛의 정보 중국 개요 - 세계선교네트워크의 정보 중국에 대하여 모두 투어의 정보 중화인민공화국 신발끈 여행사의 정보 해외정보(중국편) - 하나투어 닷컴 *중화인민공화국 분류:중국어권 분류:1949년 설립 분류:공화국 분류:냉전기의 정체 분류:사회주의 국가 분류:공산주의 국가 분류:유엔 회원국 분류:G20 회원국 분류:상하이 협력 기구 회원국‎
+ 중국 , 국가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수도 베이징 시 타이베이 시 면적Km² 9,596,960or 9,835,186 35,980 or 11,089,130 지도자 최고권력자 시진핑 국무원총리 리커창 총통 차이잉원 부총통 첸젠런 화폐 CNY NTD 시간대 UTC+8 중국 (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다. 1949년에 국공내전에서 승패가 갈리면서 두 국가로 된 이래 현재까지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즉 두 개의 중국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각자는 하나의 중국을 주장하며 상대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유엔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만을 합법 국가로 인정하고 있다. 사람들마다 개인별로 차이가 있으나 중화인민공화국만을 지칭하는 경우가 중화민국을 지칭하는 경우보다 훨씬 많아졌고, 문맥에 따라서는 둘을 포괄하여 지칭되기도 한다. 때로는 중화권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장강 문명(長江文明) 황하 문명(黃河文明) 하(夏) (기원전 21세기 - 기원전 17세기) 논란할 여지는 있으나 중국에서는 실존했었던 국가로 인정한다. 상(商) (기원전 17세기 - 기원전 11세기 중반) 은허로 천도하고서 은(殷)이라고도 부르며, 한때 신화로 알려졌었지만, 은허의 유적 발굴 이후 실존했던 국가로 인정되었다. 주(周) 본래 상(은)나라의 제후국이었으나 상(은)나라 말기 주왕(紂王)의 폭압으로, 상(은)나라를 무너뜨리고 패권을 잡은 나라다. 춘추전국시대 * 춘추시대 주나라의 여러 제후국이 주 왕실을 존중하고 각자의 세력을 다투던 시기로, 세력이 강한 여러 제후국 중에 주 왕실의 이름으로 천하를 호령한 제(齊)-환공(桓公), 진(晉) 문공(文公), 초(楚) 장왕(莊王), 오(吳) 합려(闔閭), 월(越) 구천(勾踐)의 5나라를 춘추 오패라고 부른다. * 전국시대 주 왕실을 향한 충성마저 약화하기 시작한 시기로서 주의 제후국인인 진(秦), 한(韓), 제(齊), 위(魏), 조(趙), 연(燕), 초(楚)가 차례로 왕을 칭하고 오로지 천하통일을 목적해 질주하였다.(초는 춘추시대 후반기부터 칭왕하였다) 진(秦) (기원전 221년 - 기원전 207년) 전국 칠웅 중 진(秦)나라가 주 왕실과 여타 6국을 멸하고 중국을 통일하고서 진 왕 영정이 중국 최초의 황제인 시황제라고 자칭하였다. 한(前漢) (기원전 206년 - 서기 9년) 진(秦)나라의 무리한 통치와 폭압으로 각지에서 반란하였다. 그 뒤 진나라는 멸망하였고 초나라의 항우와 한나라의 유방이 대립하다가 유방의 승리로 한나라가 중국을 통일한다. 한나라는 200년 넘게 유지된 중앙집권 국가로서 서양에 최초로 이름이 알려진 나라이기도 하다. 25년에 세워진 한나라(후한)와의 구분하고자 전한 이라고 부른다. 신(新) (9년 - 23년) 한나라(전한)의 외척이었던 왕망이 황위를 찬탈하여 세운 나라이나 급격한 개혁이 민중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각지의 반란으로 망하였다. 후한(後漢) (25년 - 220년) 한나라(전한)를 계승한 국가로 통일국가를 다시 유지하였으나 화제 이후 어린 황제의 즉위와 황권은 환관과 외척으로 말미암아 크게 약화하였다. 삼국 시대(三國時代) * 위(魏) 후한의 황제에게 제위를 직접 선양받은 국가로서 중원 지역을 차지하였다.조조가 세운 국가로,조조의 아들 조비가 후한 말의 후한 헌제를 몰아내고, 황제를 자칭하였다.그 후 조예,조방,조모,조환순으로 6대로 제위가 이어진다. 위 (삼국)의 제상이었던 사마의의 손자사마염이 세운 진 (위진)에 의해 멸망한다. * 촉(蜀) 후한 황실의 후예 유비가 세운 나라로 세력권은 서남 지방(쓰촨성)에 한정되었다. 중국에서 무신으로 칭송받는 관우를 포함한 오호대장군(장비,마초,황충,조운),재상 제갈량과 같은 훌륭한 장수를 많이 배출하였다. 명재상이었던 제갈량이 죽자, 얼마 버티지 못하고, 2대 황제 유선 대에 멸망한다. * 오(吳) 독자성을 띤 세력으로서 장강 이남(현재의 저장 성,장쑤 성을 중심으로 한)지역을 차지하였다. 후한의 장수손견을 중심으로 하던 세력이 손책,손권으로 이어져,손권대에 조조와의 대전인 적벽대전에서 승리한 후 세력을 구축하였으며,조조와 유비가 황제를 자칭하자 스스로 황제가 되었다. 손량,손휴,손호로 4대째 이어지며, 사마염의 진 (위진)에 의해 멸망한다. 서진(西晉) (265년 - 316년) 위나라의 제위를 다시 양위받은 국가이다. 초기부터 황실 분란인 팔왕의 난으로 혼란스럽다가, 흉노족의 전조에게 멸망당한다. 오호 십육국 시대(十六國時代) (316년 - 439년) 서진의 멸망 이후 서진이 있던 양자강 이북지역에 비한족인 흉노족 갈족 저족 강족 선비족의 국가 16개가 들어서 패권을 겨뤘다. 전조, 후조, 전진이 한때 큰 세력권을 과시했으나 결국 북위로 통합된다. * 비한족 전조(前趙)·후조·전연(前燕)·후연· 남연, 관중(關中)에 있던 전진(前秦)·후진·서진과 하투(河套)의 하(夏), 사천(四川)의 성한(成漢), 하서(河西)의 후량·북량·남량. * 한족 북연, 하서(河西)의 전량(前涼), 서량. 동진(東晉) 서진 황실을 계승한 국가로서 세력권은 주로 장강 이남으로 한정되었다. 서진의 영토를 되찾으려고 여러 차례 노력했으나 모두 실패한다. 남북조 시대(南北朝時代) (439년 - 589년) * 북조 양자강 이북 지역의 16국 시대의 혼란이 북위로 통일되어서 계승된 시대. ** 북위(北魏) 선비족 탁발씨의 국가로서 제3대 태무제의 시기에 화북을 통일하였다. ** 북위가 국가 이 개로 분리 *** 동위(東魏) ⇨ 북제(北齊) *** 서위(西魏) ⇨ 북주(北周) * 남조 양자강 이남 지역의 동진을 계승한 여러 국가가 이어진 시대이다. ** 송(宋)=유송(劉宋) ** 제(齊)=남제(南齊) ** 양(梁) ** 진(陳) 수(隋) (581년 - 618년) 북조의 외척인 양견이 건국한 나라로서 남조의 진을 멸망시키고 통일하나 무리한 원정과 과도한 세금 징수 탓에 건국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멸망하였다. 당(唐) (618년 - 907년) 수나라를 멸망시키고 등장한 국가로서 실크로드를 이용한 교역을 활성화시켜 국제성을 띤 문화를 이루었다. * 무주(武周) (690년 - 705년) 당나라의 황후이던 측천무후가 조정을 장악하고 아들인 당의 황제를 황태자로 격하시키고 세운 국가. 측천무후가 반대파를 대규모로 숙청하는 공포 정치를 펼쳤으나 인재를 중심으로한 정치도 펼쳐서 백성의 삶이 어느 정도 안정되었다. 오대십국 시대(五代十国时代) (907년 - 960년) 화북의 정권을 다투던 대국 5개와 나머지 소국 10개가 혼재했던 시기이다. 요(遼) (916년 - 1125년) 내몽골 지역과 만주 지역을 다스렸던 국가로서 거란족이 세운 국가이다. 송(宋) (960년 - 1279년) * 북송(北宋) 5대 10국의 혼란을 수습하고 등장한 통일국가이나 요나라에 의거해 베이징 이북의 많은 지역을 빼앗기고 요나라와 서하에 조공을 납부하면서 별 위세를 떨치지 못하다가, 금나라에게 화북 지방을 빼앗기고 멸망한다. * 남송(南宋) 북송의 황실을 계승한 국가로서 몽골 제국과 함께 금나라를 멸망시키는 데에는 성공하지만, 몽골 제국을 계승한 원나라에 멸망한다. 금(金) (1115년 - 1234년) 거란의 요나라 지배하에 있던 여진족이 요나라를 전복하고 세운 국가로서 북송을 멸망시키고 화북 지방을 차지한다. 몽골 제국과 남송의 연합군에 멸망한다. 원(元) (1271년 - 1368년) 만주, 중앙아시아, 서남아시아, 동유럽까지 지배한 몽골 제국의 적장자인 쿠빌라이 칸이 몽골고원, 만주, 화북을 아우르는 지역의 한족식으로 세운 국가로서 남송을 멸망시키고 중국 대륙을 장악한다. 명(明) (1368년 - 1644년) 원나라를 몽골 고원으로 몰아내고 건국된 한족의 왕조이다. 초기에는 외국과 교류하며 선진 문물을 과시했으나 후기로 갈수록 임진왜란을 위시한 외부 원정의 부담과 문화 침체로 쇠퇴하다가 사르후 전투 패배와 숭정제의 실책으로 멸망한다. * 남명(南明) (1644년 - 1662년) 명나라의 왕실을 계승한 나라로서 명의 부흥을 기도하였으나 청나라에 망하였다. 청(淸) (1616년 - 1912년) 금나라의 후예인 만주족이 후금을 세워 중국을 통일한 왕조이다. 초기에는 한족을 정책상으로 차별했으나 전체에 걸친 제도나 왕조의 분위기는 명나라와 유사하였다. 양무 운동을 이용해 근대국가 진입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고 서구 열강의 이권 침탈이 심화되면서 더욱 쇠퇴하였다. 결국 1911년에 신해혁명으로 멸망한다. 중화민국 (1912년 - ) 신해혁명으로 건국된 최초의 공화국이다. 중일 전쟁에서 승리하여 만주와 타이완을 흡수하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이사국이 되었지만, 국공 내전으로 인하여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자 중국 대륙을 잃고 정부를 타이완으로 옮기게 되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진영의 지지를 받아 발전을 이룩했으나, 1971년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에 의해 중화인민공화국이 유엔에서 상임이사국 지위는 물론 모든의석을 가져가게 된 사건을 계기로 세계적으로 고립될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1949년 - ) 국공 내전 중에 중국 공산당이 건국한 공화국이다. 결국 중화민국의 영토를 동중국해의 몇 가지 섬으로 축소시켜 유리한 입지에 섰지만, 1950년 한국 전쟁에서 침략국으로 규정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원하기 위해 개입한 사실 때문에 서방세계의 주도로 국제적인 고립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점차적으로 국력이 성장하여 1971년에는 유엔에서 중화민국 대신 모든 의석과 지위를 차지하였고, 1972년 미국 닉슨 정부와의 핑퐁외교로 급물살을 탔다. 영국의 식민지였던 홍콩과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마카오를 중화민국이 아닌 중화인민공화국에게 차례로 반환되었다. 1992년에는 한국전쟁의 적성국이었던 대한민국과도 전격적으로 수교하였다. 미국 국무부 조사에 따르면 중국은 최악의 인신매매국가이며 중국 여성대만 여성포함들의 해외 성매매율은 전세계 국가중 1위의 최악의 매춘대국이다. 1990년대부터 1인당 GDP 900달러 수준의 최빈국이였던 중국은 다른 국가보단 늦었던 경제 개방으로 인해 빠른 경제 성장을 했지만 극심한 빈부격차와 물질 만능주의로 인한 중국 여성들의 매춘과 얼나이 문제 등이 중국에 큰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에서 대한민국에 국제결혼을 하러 온 중국 한족 여성대만한족여성포함들이 결혼 생활을 하며 남편 몰래 성매매를 하고 이를 중국 가족에게 송금하는 일이 있으며 한국 남자와 결혼한 중국여성들과 중국타이완 여성들이 3천명이 한 도시에서 조직적으로 매춘을 벌이기도 하였다. 특히 중국 정부의 공식적인 중국 여자 매춘부의 인구는 4천만명에 달하며 홍콩의 여성 민간 단체의 조사에 의하면 중국인 성매매 종사 여성은 1억명에서 4억명이 넘는다고 한다. 또한 가난과 별개로 물질 만능주의가 퍼져 일반인 중국 여성들이 외국인 남자들의 얼나이를 자처하며 아르바이트 형식으로 돈을 벌며 화장품과 명품등을 구입하며 외국에 유학생 또는 일을 핑계로 해외에 나아가 매춘을 하며 적발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에도 유학하는 중국 여학생들과 대만 여학생들이 노래방등에서 매춘을 하다가 적발되었는데 그 이유가 "화장품을 구입하기 위해 매춘을 한다"고 하였다. 또한 중국에서는 차 위에 페트병을 올려 놓는 매춘 방법도 생기고 있다. 또한 중국 각지에 매춘업이 성행하고 있으며 외국인 전용 카라오케 등도 매우 많이 생겨 중국 여자들의 매춘이 성행하고 있으며 많은 중국 여성들이 해외로 나가 매춘으로 벌어들이는 수익이 중국의 GDP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여러 가지 정치상 문제로 말미암아 완벽한 통일국가를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정부가 존재한다. () 타이완, 펑후 제도, 진먼 섬, 마쭈 열도를 통치하는 정부 (혹은 국가). 1911년 신해혁명 이후, 난징 시에서 건국하였으며, 장제스의 북벌로 중국 대륙을 통일하고서 1949년까지 중국 대륙에 존속하였다. 본토인(本土人)들은 1949년 이전의 중화민국을 구중국 (舊中國) 혹은 민국시대 (民國時代)라고 칭하며, 1949년 이후의 중화민국은 ‘타이완 정권’(臺灣政權)이라고 한다. ( 중국 대륙과 부속 도서 대부분을 통치하는 정부 (혹은 국가). 국제사회에서는 ‘중국’으로 통용되고 국공 내전에서 승리한 중국 공산당을 주축으로 1949년 베이징에서 건국했다. * 특별행정구 ( 1997년 영국으로부터 이양받음. 가우룽, 신제, 홍콩 섬을 포함한다. 광둥 성 선전 시와 접한다. * 특별행정구 ( 1999년 포르투갈서 이양받았다. 마카오 반도, 마카오 낙도, 코타이로 구성됨. 광둥 성 주하이 시와 접한다. 중화인민공화국과 중국대륙에서 타이완섬으로 건너와 세운 정권인 중화민국 모두 하나의 중국(One China) 정책을 강하게 천명하여{물론 중화인민공화국 이전부터 타이완에서 살던 타이완인들은 중국과의 영원한 결별(타이완독립)을 원한다. 타이완 공화국 참고}, 자국과 수교하는 모든 국가는 중국의 다른 정부와 수교하는 것을 원칙상으로 금지한다. 예컨대 1992년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한 대한민국은 중화민국과 단교해야 했다. 유엔과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승인받은 정부인 중화인민공화국은 이 정책을 내세워 중화민국이 국제사회에서 주권국을 암시하는 ‘중화민국’(Republic of China)이나 타이완의 독립을 암시하는 ‘타이완 (대만)’(Taiwan)이라는 두 가지 명칭 모두 사용하지 못하게 압력을 행사해서 중화민국은 비공식 명칭으로 국제사회에서 ‘타이완’으로 불리고거나 스스로 그렇게 부르더라도, 국제 기구에서는 반드시 묵시로 합의된 국가명인 중화 타이베이 (中華臺北)를 사용해야 한다. 국제사회에서 중화민국의 국기, 중화민국의 국가를 위시한 중화민국의 상징물 사용은 하나의 중국 정책 위반이고 특히 중화인민공화국 영토 내에서 불법성을 띤 사용은 반분열국가법에 제재받는다.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은 중화민국을 독립국으로 인정하지 아니하고 타이완 지구를 자국의 영토로 간주하듯이, 제한되게 승인받았지만 국가 대부분에 ‘사실상 독립국’ (sovereign de facto) 으로 ‘간주’되는 중화민국 정부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를 인정하지 않으며, 공식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을 일컫는 말로 ‘중국 대륙’ 혹은 ‘본토’,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를 일컫는 말로 중국 공산당 정부라는 뜻의 ‘중공정부’를 쓰는데도 양안 관계가 호전되어 본토인들이 타이완을 ‘타이완’이라고 부르며 타이완인들이 본토를 ‘중국’이라고 부르는 현상이 자연스러워지기도 하였다. 중화민국은 1992년부터 양안 컨센서스(92共識)에 의거해 3불(三不)정책(不統, 不獨, 不武. 통일이나 독립을 추구하지 않으며 무력을 사용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지킨다. 조직 참여 명의 국제올림픽위원회 Chinese Taipei Olympic Committee (Chinese Taipei; TPE)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중화 타이베이; TPE) Sports Federation and Olympic Committee of Hong Kong, China (Hong Kong SAR; HKG)중국 홍콩 체육 협회 올림픽 위원회 (홍콩특별행정구; HKG) Chinese Olympic Committee (China; People s Republic of China; CHN)중국올림픽위원회(중국; 중화인민공화국; CHN) 세계무역기구 Separate Customs Territory of Taiwan, Penghu, Kinmen and Matsu (TPKM; Chinese Taipei)타이완·펑후·진먼·마쭈 개별 관세 영역 (TPKM; 중화 타이베이) Hong Kong, China중국 홍콩 China (People s Republic of China)중국 (중화인민공화국)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 Chinese Taipei중화 타이베이 Hong Kong, China중국(령) 홍콩 People s Republic of China (China)중화인민공화국 (중국) 아시아개발은행 Taipei, China (TAP)중국 타이베이(TAP) Hong Kong, China (HKG)중국 홍콩(HKG) People s Republic of China (PRC)중화인민공화국(PRC) 한편 마카오는 세계무역기구에 중국 마카오 (Macao, China라는 이름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국제올림픽위원회,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 아시아 개발은행에는 참여하고 있지 않다.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모두 허베이 성에서 쓰이는 표준 중국어인 푸퉁화(普通話) 혹은 궈위(國語)가 사용되나 소수민족이 사용하는 다른 언어도 있다. 중국어의 경우 같은 표준 중국어(푸퉁화)와 상호의사소통성이 없는 방언이 여러 가지 있다. 소수민족의 언어로는 한국어, 몽골어, 좡어, 위구르어, 티베트어, 후이어 등이 있다. 중국의 기 목록 브리태니커(중국편) 분류:중국어권 분류:분단된 지역
실시간 운영 체제 () 또는 RTOS (←) 는 실시간 응용 프로그램을 위해 개발된 운영 체제이다. 운영 체제의 기능 중 CPU 시간 관리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되었다. 실시간 운영 체제는 프로그래머가 프로세스 우선 순위에 더 많은 제어를 할 수 있게 한다. 응용 프로그램의 우선 순위가 시스템 프로그램의 우선 순위를 넘어설 수도 있다. 시스템 코드의 임계 구역을 최소화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 요청을 정해진 시간 안에 처리해 줄 수 있다. 실시간 운영체제의 핵심은 응용 프로그램 테스크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는 정도에 있다. 처리 시간의 변동폭은 지터( jitter )(실제 신호와 기준점과의 시간 편차)라 부른다. 경성( hard ) 실시간 운영 체제와 연성( soft ) 실시간 운영 체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자가 후자에 비해 지터가 적다. RTOS의 주된 설계 목표는 높은 처리율(throughput)이 아니라, 실시간 성능 보장에 있다. 실시간 시스템의 데드라인을 대체로 맞추는 RTOS를 연성 실시간 운영체제라 하고, 데드라인을 결정론적 알고리즘(deterministic algorithm)에 의해 만족하는 경우를 경성 실시간 운영체제라 한다. 규모가 큰 실시간 운영 체제의 초기 예는 "제어 프로그램"이었는데, 이는 아메리칸 항공(American Airlines)과 IBM이 세이버(Sabre) 항공 예약 시스템을 위해서 개발한 것이었다. 두 가지 기본적인 설계 방식이 존재한다. 이벤트 구동(event-driven) 방식 우선 순위 기반 스케줄링 또는 선점형 스케줄링 이라고 부른다. 태스크(task) 전환이 현재 수행중인 태스크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이벤트가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에 일어난다. 시분할(time-sharing) 스케줄링 방식 클럭 인터럽트나 라운드 로빈과 같은 주기적인 이벤트가 발생할 때 태스크의 전환이 일어난다. 엄밀히 말해, 시분할 스케줄링 방식은 실제 필요한 것보다 더 자주 태스크 전환이 일어난다. 하지만 이러한점 덕분에 좀 더 자연스럽고, 예측하기 쉬운 멀티태스킹을 제공하며, 하나의 프로세스나 한명의 사용자가 장치를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때문에 이 방식이 좀 더 나은 멀티태스킹 방식처럼 보일 수 있다. 전통적인 설계 방식에서, 태스크는 수행(running), 대기(ready), 블록(blocked)의 세 가지 상태(state) 중 한 가지 상태로 존재한다. 대부분의 태스크가 블록상태이고, 오직 1개의 태스크만 수행상태이다. 간단한 시스템 일수록 대기 상태의 태스크 목록이 짧으며, 많은 경우도 2~3개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스케줄러 대기 태스크 목록의 데이터 구조는 스케줄러의 임계 구역 (CPU의 선점이 금지되며, 어떠한 경우에는 모든 인터럽트가 비활성화된다.) 에서 소비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설계 한다. 하지만, 데이터 구조의 선택은 대기 리스트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 태스크의 숫자에도 좌우된다. 만약 대기 목록에 2~3개 정도에 적은 수의 태스크만 존재하는 구조라면, 단순히 이중 연결 리스트 구조로 대기 목록을 구현 하는 것도 효율적이다. 반면, 통상 적은 수에 태스크만 존재하지만 가끔 그보다 많은 수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태스크를 실행할 때마다 전체 목록을 뒤져 우선 순위가 높은 태스크를 찾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하지 않도록 우선 순위를 기준으로 미리 정렬하거나 높은 우선 순위의 태스크를 낮은 우선 순위의 태스크보다 먼저 대기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즉, 대기 목록을 검색하는 동안 CPU의 선점을 금지하지 않거나 긴 임계 구역을 작게 나누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 말은 낮은 우선 순위의 태스크를 리스트에 추가하는 동안이라도, 높은 우선 순위의 태스크를 대기 상태로 만드는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높은 우선 순위의 태스크를 먼저 대기 목록에 추가하고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태스크가 생성되면 이 태스크는 일단 대기 상태가 된다. 스케줄러는 현재 수행중인 태스크 역시 대기 상태로 변경하고, 두 개의 태스크를 대기 상태 태스크 목록에 집어 넣는다. 그 후,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태스크를 다시 수행하는데 이 전체 과정에 걸리는 시간을 중요 응답 시간(critical response time) 혹은 플라이백 타임 (flyback time) 이라고 부른다. 잘 설계된 실시간 운영 체제의 경우, 새로운 태스크를 대기 상태로 만드는 데 3-20개의 명령어를 사용한다. 또,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대기 태스크를 수행 상태로 변경하는데 5-30개의 명령어를 사용한다. 고급 실시간 운영 체제에서는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태스크들이 실시간으로 동작하지 않는 태스크들과 컴퓨터 자원을 공유한다. 따라서 대기 리스트는 상당히 길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스케줄러 대기 리스트를 간단한 연결 리스트(linked list)로 구현하는 것은 알맞지 않다. 일반적으로 RTOS에서 사용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에는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협력형 스케줄링 (cooperative scheduling) 선점형 스케줄링 (pre-emptive scheduling) * 라운드 로빈 스케줄링 (Round-robin scheduling) * 고정 우선순위 선점형 스케줄링 (fixed priority pre-emptive scheduling) 멀티태스킹 시스템은 여러 개의 태스크 사이에 공유되는 데이터와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해 주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두 개 이상의 태스크가 동시에 같은 데이터나 하드웨어 자원에 접근하는 것은 위험하다. ("위험"하다는 것은 한 태스크가 복수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중일 경우, 결과가 일관성이 없고 예측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다른 태스크가 이 데이터들에 접근해도 되는 시점은 갱신이 시작하기 전이나 완전히 종료된 후 뿐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보통 사용되는 3가지 방식을 소개한다. 범용 운영 체제에서는 사용자가 인터럽트를 마스크(비활성화)하지 못한다. 그 이유는 사용자의 프로그램이 운영 체제의 핵심 자원인 CPU를 너무 긴 시간동안 점유하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현재 사용되는 대다수의 CPU들은 사용자 모드 코드가 인터럽트를 비활성화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지 않는다. 하지만, 많은 임베디드 시스템과 실시간 운영 체제들은 응용 프로그램이 운영 체제의 간섭 없이 시스템 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커널 모드에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만약 응용 프로그램이 현재 커널 모드로 동작하고, 인터럽트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면, 대개 인터럽트 비활성화야말로 두 개 이상의 태스크가 동시에 공유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주는 최고의 기법이다. 인터럽트가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현재 돌고 있는 태스크는 다른 태스크나 인터럽트가 CPU를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배타성"을 띠며, 따라서 임계 구역은 보호 받는다. 태스크가 임계 구역에서 벗어나게 되면, 대기중인 인터럽트가 있다면 실행되도록 인터럽트를 다시 활성화시켜야 한다. 일시적으로 인터럽트를 비활성화하는 것은 임계 구역의 가장 긴 경로가 인터럽트 대기 시간보다 짧은 경우 유효한 전략이다. 그렇지 않다면 이 방법을 통하여 시스템의 최대 인터럽트 대기 시간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임계 구역이 단지 몇 개의 명령어로 이루어졌거나, 반복구문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세마포어는 잠기거나 풀려있다. 잠겨 있을 때 작업들의 대기는 세마포어(가 풀리기)를 기다린다. 세마포어 디자인들이 가지는 문제점들은 잘 알려져 있다 우선 순위 역전과 교착 상태이다. 우선 순위 역전은 높은 순위의 작업이 낮은 순위의 세마포어를 가지는 작업을 기다리는 상황이다. 대표적인 해결법은 세마포어를 가지는 작업이 최우선 순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교착에서는 두 개의 작업이 두 개의 세마포어를 역순으로 잠근다. 이것은 대개 대기열을 구현할 때 면밀하게 설계하거나 또는 floored semaphores(정해진 상황에서 세마포어의 제어권을 높은 순위의 작업에 넘기는)를 추가함으로써 해결된다. 다른 해결책은 작업들이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게 하는 것이다. 이것 또한 똑같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작업이 낮은 우선 순위의 메시지를 수행하느라 in-box에 있는 더 높은 순위의 메시지를 무시할 때 우선 순위 역전이 일어난다. 두 개의 작업이 서로 상대방의 응답을 기다릴 때 교착이 일어난다. 실시간 동작은 세마포어 시스템의 경우보다는 덜 분명하지만, 메시지 기반 시스템들은 자체적으로는 고정적이지 않아 일반적으로 세마포어 시스템들보다는 더 잘 동작한다. 인터럽트 핸들러는 실행중인 가장 높은 우선의 태스크 조차도 중단 시킬 수 있으며, 실시간 운영 체제는 스레드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럽트 핸들러의 기능은 가능한 최소화되기 마련이다. 실시간 운영 체제의 동적 메모리 할당은 일반 운영 체제보다 엄격한 조건이 요구된다. 먼저, 할당 속도가 중요하다. 표준 메모리 할당 방식은 알맞은 크기의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 블록을 찾기 위해서 연결 리스트를 검색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방식은 정해진 시간 안에 메모리 할당이 일어나야 하는 실시간 운영 체제에는 맞지 않는다. 또한, 메모리의 공간을 분할하여 사용하 보면 단편화(Fragmentation)가 발생한다. 따라서 메모리 자체는 충분하더라도 메모리를 확보할 수 없어, 프로그램이 멈추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데스크톱 컴퓨터에서는 자주 다시 시동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단편화가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임베디드 시스템은 몇 년 동안 다시 시동하지 않고 동작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단편화가 허용될 수 없다. 간단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단순한 고정 크기 블록 알고리즘도 잘 동작한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메모리 할당을 참조. 몇몇의 RTOS(임베디드 운영 체제)는 XIP (즉석에서 실행)를 지원한다. 커널과 응용 프로그램들이 코드를 RAM으로 먼저 전송하지 않고 ROM에서 직접 실행된다. 운영 체제의 필요한 RAM 크기와 ROM 크기 사이의 교환을 제공한다. 국방/항공용 실시간 운영체제 NEOS BeOS ChorusOS CsLEOS eCos FreeRTOS ITRON LynxOS MicroC/OS-II Nucleus RTOS OS-9 OSE OSEK/VDX pSOS QNX RMX RSX-11 RT-11 RTOS-UH ThreadX VRTX Velos VxWorks 윈도 CE RTLinux RTAI 많은 회사들이 리눅스에 실시간 기능을 가미한 버전을 판매하고 있다. 2004년 10월 8일 몬타비스타는 리눅스 커널 메일링 리스트를 통해 리눅스에 실시간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실시간 패치를 공개했다. 분류:임베디드 운영 체제 분류:운영 체제 기술
자연보호 (自然保護)는 20세기 중반부터 점차로 비중을 가지고 토론되고 제기 된 사회문제의 하나이다. 현대문명이 공업 기계화 됨과 함께 인간생존의 필수적 요건인 자연과 주변환경의 오염은 급속한 현대 문명발달이 가져온 커다란 해악의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자연환경의 보호 문제는 이제 어느 개별국가의 문제가 아니라 전 인류가 함께 한 마음로 진지하게 이상하고 또한 현대의 문명이 가진 문제점과 관련하여 생각해야할 인류의 공동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ㅣ.ㅢㅏㄷ어ㅏ추뎌ㅜ채댜가토력ㄷ투ㅗㅕ워퍝ㄷ ㅗㅊㅅ포ㅜㅠㅛㅗㅜ숓ㅌ 산성비는 수소이온 농도 5.6 이하일 때를 말하며 화석연료가 연소할 때 나오는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이 빗물에 섞여 강산성을 띠게 된다. 산성비는 눈을 자극하고 식물체를 고사시키거나 문화재를 부식시켜 수명을 단축시키고 전철의 전선을 부식시켜 대형사고를 유발시킬수도 있다. 지구온난화는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CO₂) 메탄(CH₄), 오존(O₃), 이산화질소(N₂O), 수증기(H₂O) 등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지구온도가 서서히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 지구전역의 강수량의 변화가 일어나며 해면 기압과 토양수분의 변화가 일어나며 이로 인한 각종 기상재해가 일어날 가능성이 커지고 지구온도가 상승하면서 남극과 북극의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게 되면 0.5미터 ~ 2미터 정도 상승하여 10억명의 환경난민이 발생하게 되고 농업생태계의 변화로 재배 작물 생육이 불가능하게 된다. 환경호르몬에 의한 식품오염물질과 장염비브리오균, 살모넬라균, 리스테리아균, 캄필로박토균, 황색포도상구균, 장관출혈성대장균, 보툴리누스균 등에 의한 식중독, 알레르기는 환경오염으로 비롯된다.
엔트로피 인코딩 혹은 엔트로피 부호화 ()는 심볼이 나올 확률에 따라 심볼을 나타내는 코드의 길이를 달리하는 부호화 방법이다. 보통 엔트로피 인코더는 모든 심볼에 대해 같은 길이를 갖는 코드를 심볼이 나올 확률값의 음의 로그에 비례하는 서로 다른 길이의 코드로 바꾸어 부호화한다. 즉 가장 자주 나오는 심볼에 대한 코드가 가장 짧다. 새넌 정리(Shannon s source coding theorem)에 따르면, 가장 좋은 코드 길이는 b 를 부호화할 진수(2진수로 부호화 할 경우에는 b=2가 된다), P 를 심볼이 나올 확률이라고 할 때 −log bP 라고 한다. 엔트로피 코딩 중에 가장 자주 쓰이는 세 가지는 허프만 부호화, 범위 부호화와 산술 부호화이다. 이 부호화 기술들은 입력 데이터의 값 분포에 따라 할당 방법이 동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별도로 분포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거나 보내 주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데이터 스트림의 대략적인 엔트로피 성질을 미리 알고 있을 때에는(특히 신호 압축에서) 범용 부호 기술로서 단항 부호, 엘리어스 감마 부호, 피보나치 부호, 골롬 부호, 라이스 부호등을 쓰기도 한다. 정보 이론 데이터 압축 분류:정보 엔트로피 분류:무손실 압축 알고리즘
유리 알렉세예비치 가가린 (, 1934년 3월 9일 - 1968년 3월 27일)은 소비에트 연방의 우주비행사, 군인으로, 1961년 4월 12일에 인류로서는 최초로 지구 궤도를 도는 우주 비행을 하였으며, 6번이나 우주 비행에 성공하였다. 가가린은 그 공적으로 각국으로부터 메달을 수상하였다. 1968년 3월 27일, 7번째 우주비행 훈련 중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가가린은 1934년 3월 9일 소비에트 연방 스몰렌스크의 집단 농장에서 출생하였다. 1961년 4월 12일 인공 위성 보스토크 1호로 무중력 상태의 우주권에 돌입하여 1시간 48분 동안 지구를 일주한 뒤 예정지에 귀착하여 인류 최초로 우주 비행에 성공하였다. "지구는 푸른 빛깔이었다"고 한 그의 말은 유명하다. 그 후에도 5번(총6번)이나 우주비행에 성공하였다. 가가린은 우주 비행 뒤 중위에서 소령으로 2계급 특진하였으나 이후 1968년 3월 27일 미코얀구레비치 MiG-15의 시험 비행 훈련 중에 연습기 추락으로 사망하였다. 1961년 4월 12일, 가가린은 보스토크 3KA-2 (보스토크 1) 안에서 우주를 비행하고 돌아온 최초의 인간이 되었다. 비행시 그의 호출부호(콜사인)는 Kedr(히말라야 삼목) 이었다. 비행하는 동안 가가린은 조국은 듣고, 조국은 안다(러시아어:Родина слышит, Родина знает) 라는 노래를 휘파람으로 불었다. 조국은 듣는다, 조국은 안다. 그의 아들이 어느 곳을 날고 있는지. 나라별 최초의 우주인 유리 가가린 우주비행사 훈련 센터(GCTC) 스타시티 (러시아)( Star City, Russia) Lost Cosmonauts 분류:1934년 태어남 분류:1968년 죽음 분류:러시아의 비행사 분류:러시아의 탐험가 분류:러시아의 동방 정교도 분류:소련의 우주인 분류:소련의 공군 장교 분류:소련의 동방 정교도 분류:레닌 훈장 수훈자 분류:소비에트 연방영웅 분류:우주 개발 선구자 분류:스몰렌스크주 출신 분류:항공 사고로 죽은 비행사 분류:1961년 우주 개발
패션 (Fashion)은 현재의 (끊임없이 변하는) 유행으로 이루어진다. 논리적이거나 추상적인 이유보다는 사소한 취향에 따라서 변한다. 종종 옷이나 모습에 쓰이곤 하지만, 패션의 개념은 음악, 예술, 정치 그리고 심지어는 수학과 프로그래밍 기술의 선택까지도 포함한다. 주로 의복의 유행을 가리켜 쓰이곤 하지만 가구, 공예, 건축, 인테리어, 액세서리등 광범위한 범위에 적용되어 쓰이기도 한다. 패션은 미학과 혁신의 틈에 있는 것이다. 패션 (Fashion)은 행위나 활동하는 것(doing) 또는 만드는 것(making)을 뜻하는 라틴어의 팩티오(factio)에서 유래한 것으로, 사전적 의미는 양식, 방식, 형, 유행, 관습, 습관 등 다양하며, 실제로 모든 생활양식 그 자체가 패션이라 할 수 있다. 패션 산업은 현대의 산물이다. 19세기 중반 이전에 대부분의 옷은 주문 제작 되었다. 즉, 옷은 개인에 의해 또는 재봉사와 재단사로부터 주문에 의해 수작업 되었다. 20세기가 시작하면서 재봉틀과 같이 새로운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전 세계적 자본주의와 공장제도가 발달하면서 백화점 아울렛이 급증하였고 옷은 점점 더 표준치에서 대량생산되고 고정된 가격에서 팔리기 시작했다. 패션산업은 유럽과 미국에서 처음으로 발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5년 현재에 국제적이고 매우 세계화된 산업이 되었다. 한나라에서 디자인되어 다른 나라에서 제조되고 또 전 세계로 팔렸다. 예를 들어 미국의 한 패션 회사는 중국에서 천은 얻어 베트남에서 제조된 옷을 가지고 이탈리아에 팔았고 이 옷들은 국제적인 소매 판매점에 분배하기 위해 다시 미국의 창고로 옮겨졌다. 패션산업은 오랫동안 미국의 가장 거대한 고용주들 중 하나가 되어왔고 21세기 또한 그럴 것이다. 하지만 미국의 고용은 생산이 점점 해외로 특히 중국으로 옮겨짐에 따라 상당하게 감소하였다. 패션산업의 자료는 전형적으로 국제적 경제에 의해 보고되고 산업의 많은 세분화된 분야에 관해 표현되기 때문에 직물과 옷의 세계적인 생산에 관한 총계수치는 얻기 어렵다. 하지만 틀림없이 의류 산업은 세계 경제 산출에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패션 산업은 네 개로 구성된다 # 가죽이나 털 뿐만 아니라 주로 섬유와 직물 등의 가공되지 않은 물질로 생산 # 디자이너, 제조업자, 계약자 그 외에 의해 패션 상품 생산 # 소매영업 # 다양한 형태의 광고와 홍보 이 단계들은 많이 세분화 되어있지만 상호의존적이다. 이 분야들은 직물 디자인과 생산, 패션 디자인과 생산, 패션 소매업, 마케팅과 상업, 패션쇼, 그리고 매체와 마케팅으로 나뉜다. 각각의 분야는 이익에 맞게 운용되는 산업에서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하에 옷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헌신한다. 패션 디자인 헤어스타일 드레스 코드( Dress code) 패션 폴리스( Fashion Police (TV series)) 메이크오버( Makeover) The Fashion Xchange Fashion Forum
국가인민군 (國家人民軍은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의 군대다. 국가인민군(이하 NVA)은 1956년 3월 1일에 창설되었다. NVA의 뿌리는 1952년에 창설된 병영화된 인민경찰(KVP) 이다. NVA는 직업군인으로 일하는 모병제가 1962년 1월 24일, 징병제 발표 이전까지까지 시행되었다. 징병은 18세에서 26세의 성인 남성을 위주로 징병했으며, 최소 복무기간은 18개월이었다. 과감히 구 나치독일이나 귀족들의 잔제를 청산하면서도 나치독일의 군복과 철모를 조금 변환해서 사용하는 등 구 독일군의 문화를 많이 유지했다. 창설 첫해에 동독군 장교의 27%가 구 독일 국방군 출신이였고 6년동안은 모병제를 유지해오다가 징병제를 통해서 1962년에 17만명의 병력을 보유하게 되었다.60년대에 2차대전에 참전했던 경험이 있던 병력들은 퇴역하게되었다. 동독군은 공산권과 관련한 전투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진 않았지만 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당시 바르샤바 조약군의 진압 임무를 지원했으며 아프리카에 군사 고문단을 파견하였다. 프라하의 봄당시 동독은 7전차사단과 11차량화소총사단을 파견해 소련군을 지원할 계획을 세웠지만 2차대전 이후 처음으로 독일 군대가 타국을 침공했다는 국제적 비난이 우려되어서 실행되지는 않았다. 대신 소련군의 병참을 지원하였다. 70년대부터 80년대까지 동독군은 전투 준비(Gefechtsbereitschaft)에 들어갔는데 북대서양 조약 기구가 잠수함발사 탄도유도탄과 같은 막강한 병기들을 잇달아 전개했기 때문이다. 결국 동독군의 85%는 끊임없는 경보에 시달리며 25~30분 안에 그들의 주둔지에서 5~7km를 벗어나는 훈련을 했다.동원령은 이틀안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1970년대 초에 주동독 소련군 최고 사령부는 전시 동독군의 서베를린 점령에 할당했다. 작전명 도심 으로 명명된 작전에서는 두개 사단으로 이루어진 32000여명의 병력들이 주동독 소련군 6독립근위차량화소총여단과 함께 서베를린을 장악하자는 내용이였다. 390여대의 전차,400여대의 장갑차,400여기의 대전차화기,450여문의 포병전력이 동원될 것으로 짜였으며 해당 작계는 1988년까지 갱신되었다. 1980년부터 벌여진 폴란드의 노동운동으로 1981년에 동독군은 소련의 폴란드 침공시 소련군을 지원할 계획을 했지만 1981년 12월 13일 폴란드 수상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가 계엄령을 선포하면서 일단락되었다. 동독군이 비상 전투태세를 발령했을 때는 1961년 베를린 장벽건설,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1968년 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그리고 1989년이였다. 동독에서는 종교적 이유 이외에는 군복무를 대체할 만한 근무는 없었으나, 1964년 바우졸다텐 (건설단)이 대체근무를 할 수 있도록 창설되었다. 건설단은 주로 군사시설 건설에 동원되었고, 몇몇은 병원이나 기타 사회 봉사에 동원되었다. 그러나 건설단으로 군복무 하게 되면, 일하는 동안은 물론 군복무를 마치고 나서도 불이익이 많았다. 신념에 의한 병역 거부 또한 불법이었고, 군복무 기간만큼 복역해야 했다. 때로 그들은 신념에 의한 병역거부를 허용하는 서독으로 탈출하기도 했다. 1990년, NVA는 서독의 독일연방군 (Bundeswehr)에 편입되었다. 하지만 1:1 통합은 아니어서 대다수의 현역 장교들은 그들의 임무를 중단해야 했고, 설사 편입된다 하더라도 대부분 1 계급 강등과 함께 임금도 삭감되는 불이익을 받았다. 대부분의 막사는 폐쇄되었고, 많은 동독군의 장비는 다른 국가의 군대로 수출되었다. 1990년 당시 구 동독군의 장비와 수량은 다음과 같다. 767대의 항공기(MiG-29전투기 24대 포함) 208척의 군함 2761대의 전차 13만 3900대의 차륜형 차량 2199문의 포병 137만 6650정의 화기 30만 3690톤의 탄약 1만 4335톤의 연료와 세제 동독군은 4개의 주요 편제가 있었는데, 다음과 같다 12만의 국가인민군 육군(Landstreitkräfte) 16,300명의 인민해군(Volksmarine) 39,000명의 국가인민군 공군/영공수비대(Luftstreitkräfte/Luftverteidigung) 50,000명의 독일민주공화국 국경부대(Grenztruppen der DDR/해병대는 없고 국경수비대는 있다.) 군기 Flag of the National People s Army 나치스를 상징하는 하켄크로이츠 등의 휘장이 폐지되고, 간부용 정모 크라운의 디자인이 소련식을 참고한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 외에는 대체로 나치스 시대 독일 국방군 군복 디자인을 유지하였다. 독특한 형태로 유명한 철모 또한 2차대전 말기에 독일 국방군이 시험적으로 일부 도입했던 철모 디자인을 사용한 것이다. 독일 통일 이후 중고품으로 방출된 동독 군복이 나치스 시대 군복으로 개조되어 군사 매니아들에게 팔리는 일이 종종 있다. 동독군의 장군계급 원수 대장 상장 중장 소장 65px 65px 65px 65px 65px 동독군의 장교계급 대령 중령 소령 대위 상위 중위 소위(하급중위) 75px 75px 75px 65px 65px 65px 65px 동독군의 준사관계급 1등상급준위 2등상급준위 3등상급준위 준위 65px 65px 65px 65px 동독군의 하사관계급 참모상사 상급상사 상사 중사 하사 75px 75px 75px 75px 75px 동독군의 병사계급 참모병장 병장 병 75px 75px 75px 중부에서 동독군이 소련군과 함께 루르 지역과 프랑스의 알자스-로렌 지방까지를 목표로 진격하기로 했다.동독군은 보고서에 의하면 타 바르샤바 조약 가맹군에 비해서 나토 가맹국들을 상대할 때 상대적으로 전투의지가 크다고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서독군을 상대할 때는 사기가 매우 저하된다고 예측되었다. 국가인민군 공군 국가인민군 육군 인민해군 동독 국경부대 동독의 신념에 의한 병역거부자 노동자 전투단 국가인민군 공로메달 인민해군 주동독 소련군 AHF - 국가인민군 (NVA) kamouflage.net > 유럽 > 독일민주공화국 분류:1956년 설립 분류:1990년 폐지 분류:동독의 군사 분류:해산된 육군
잠정적인 다이나북(Dynabook) GUI 알토에서 구동 중인 스몰토크-76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입출력 등의 기능을 알기 쉬운 아이콘 따위의 그래픽으로 나타낸 것이다.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화면 위의 물체나 틀, 색상과 같은 그래픽 요소들을 어떠한 기능과 용도를 나타내기 위해 고안된 사용자를 위한 컴퓨터 인터페이스이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어떤 요소를 제어하려면 그 요소에 해당하는 그래픽을 직접 조작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2차원의 공간에서 그 기능을 은유적 혹은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픽으로 요소를 꾸미고 이를 선택, 이동, 복사하여 작동한다. 이를테면, X자와 같은 형태의 그래픽 요소는 이를 선택하면 삭제하거나 취소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어떤 파일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어느 위치에서 다른 하드 디스크의 장소를 나타내는 공간으로 이동하면 복사가 된다. 컴퓨터 자판의 명령어 입력이 요구되는 명령 줄 인터페이스(CLI)의 가파른 학습 곡선에 대응하여 GUI가 도입되었다. GUI의 동작은 일반적으로 그래픽 요소의 직접 조작을 통해 수행된다. 컴퓨터를 넘어 GUI는 MP3 플레이어 등,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 게이밍 장치, 스마트폰, 소형 가전, 사무 및 산업 제어 등 수많은 휴대용 모바일 장치에 사용된다. 윈도와 리눅스, OS X을 비롯한 대부분의 현대 운영 체제들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는 X 윈도 시스템을 주로 사용하며, 모티프, Qt, GTK+ 등의 툴킷으로 확장할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아이디어는 1960년대에 제안되었다. 이반 서덜랜드가 1963년에 개발한 스케치패드는 컴퓨터 지원 설계(CAD) 소프트웨어의 조상이자 최초로 완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것이었으며, 비슷한 시기에 더글라스 엥겔바트를 비롯한 SRI 인터내셔널의 연구자들은 하이퍼링크를 기반으로 마우스를 사용하는 NLS(On-line System)를 개발하였다. NLS의 하이퍼링크 개념은 제록스 파크에서 그래픽으로 확장되었으며, 1973년에 개발된 제록스 알토 컴퓨터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최초의 컴퓨터가 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기본적으로 이 인터페이스로부터 유래했으며, 어떤 사람들은 이들을 ‘파크 사용자 인터페이스(PUI)’라 부르기도 한다. 파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윈도, 메뉴, 아이콘, 라디오 단추, 체크 상자 등의 그래픽 요소들을 사용하며,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를 키보드와 함께 사용한다. 이후 애플 컴퓨터는 제록스 파크에서 만든 이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고 당시 비상장이었던 애플의 주식 액면가 100만 달러 어치를 지불하고 기본적인 기술을 전수받았다. 1981년에 개인용 컴퓨터인 1983년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컴퓨터 리사(LISA)를 출시했지만 값이 너무 비싼 탓에 실패하였다. 그러나 이후 1984년에 나온 애플의 매킨토시는 상업적인 성공을 이뤘다. 한편 매킨토시가 이러한 성공을 거두자 마이크로소프트사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를 개발하였다. 이는 매킨토시의 아이디어를 다시 모방한 것이었으며 이후 법정소송을 거치기도 하였다. 1995년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윈도 95를 출시하여 성공을 거둠으로써 본격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중화를 이루었다. 한편 CUI(character user interface, 위키백과:명령 줄 인터페이스) OS인 유닉스(UNIX)와 그 계열의 리눅스에서는, X 윈도 시스템을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킨 GUI 위젯 분류:미국의 발명품 분류:소프트웨어 구조
음정 (音程, interval)은 음악이론에서 두 음의 높이 차이, 즉 두 음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두 음이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울리는 것을 선율적 음정, 동시에 울리는 것을 화성적 음정이라고 한다. 음이름에 준하여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가에 따라서 도수가 결정되고, 같은 도수 안에서도 실제 음과 음의 간격에 따라서 도수 앞에 성질을 표기한다. 즉, 완벽한 음정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 성질 + 도수 " 로 표기되어야 하며, 한글로는 완전5도, 장3도, 증4도, 단2도 와 같이 표기, 영어로는 Perfect 5th, Major 3rd, Augmented 4th, minor 2nd 와 같이 표기한다. (영문의 앞글자를 따서 P5, M3, A4, m2 등으로 축약하여 쓰기도 한다.) 보통 음악가들간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쓰이는 음악이론의 기초이며, 대개 화성학에서 초반부에 다룬다. 음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12음계에 대해 알아야 한다. 악보(오선지)를 볼 줄 알아야 한다. 음이름과 계이름, 그리고 그 둘의 차이를 알아야 한다. 음 사이의 간격에 대한 도수 는 음이름 에 따라 결정되는데, C D E F G A B 의 순번에 준한다. 도수 C 를 기준으로 했을 때, C 는 첫번째 순번이자 같은 음이므로 C - C 의 도수는 1도, C 를 기준으로 했을 때, D 는 두번째 순번이므로 C - D 의 도수는 2도, C 를 기준으로 했을 때, E 는 세번째 순번이므로 C - E 의 도수는 3도, C 를 기준으로 했을 때, F 는 네번째 순번이므로 C - F 의 도수는 4도, C 를 기준으로 했을 때, G 는 다섯번째 순번이므로 C - G 의 도수는 5도, C 를 기준으로 했을 때, A 는 여섯번째 순번이므로 C - A 의 도수는 6도, C 를 기준으로 했을 때, B 는 일곱번째 순번이므로 C - B 의 도수는 7도, C 를 기준으로 했을 때, (한 옥타브 위) C 는 여덟번째 순번이므로 C - (한 옥타브 위) C 의 도수는 8도이다. 이렇게 음과 음 사이의 도수가 정해졌을 때, 그 정해진 도수를 기반으로 정확한 간격을 나타내기 위해 도수 앞에 성질을 표시해야 하는데, 장음계의 계이름을 기준으로 두 음 모두 샾(#)이나 플렛(b)이 붙지 않았을 경우, 2, 3, 6, 7도 간격의 경우에는 장(Major) 성질을 붙여서 표기하며, 1, 4, 5, 8도 간격의 경우에는 완전(Perfect) 성질을 붙여서 표기한다. 여기서 기준음, 혹은 비교대상으로 하는 음에 샾(#) 이나 플렛(b) 이 붙게되어 음 사이의 간격이 더 넓어지거나 좁아지면, 도수는 변하지 않으나, 장(Major) 성질이었던 음정은 단(minor), 감(diminished), 증(Augmented) 과 같은 성질로 변화하게 되고, 완전(Perfect) 성질이었던 음정은 감(diminished), 증(Augmented) 과 같은 성질로 변화하게 된다. 예제 도 - 미 의 도수는 3도이며 샾(#) 이나 플렛(b) 이 없으므로 성질은 장(Major) 이다. (장3도) 도 - 미b 는 장3도 였던 도 - 미 에서 반음만큼 간격이 좁아졌으므로 성질이 단(minor) 이 된다. (단3도) 도# - 미b 는 단3도 였던 도 - 미b 에서 반음만큼 간격이 더 좁아졌으므로 성질이 감(diminished) 이 된다. (감3도) 도 - 솔 의 도수는 5도이며 샾(#) 이나 플렛(b) 이 없으므로 성질은 완전(Perfect) 이다. (완전5도) 도 - 솔# 은 완전5도 였던 도 - 솔 에서 반음만큼 간격이 넓어졌으므로 성질이 증(Augmented) 이 된다. (증5도) 도b - 솔# 은 증5도 였던 도 - 솔# 에서 반음만큼 간격이 더 넓어졌으므로 성질이 겹증(Doubly Augmented) 이 된다. (겹증5도) 음정의 성질변화 이와같은 음정의 성질변화는, 위와같은 그림을 통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설명하곤 한다. 음정을 계산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3가지 계산법이 많이 사용되며, 계산하는 사람이 상대음감이냐, 절대음감이냐에 따라 어떤 계산법을 선호하는지가 달라지기도 한다. 상대음감의 경우 음정을 계산할 때 계이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만약 F 음과 어떤 다른 음의 음정을 계산해야 한다면, 기준음 F 음을 도 , 미 로 보고 음정을 계산한다. 만약 B 음과 어떤 다른 음의 음정을 계산해야 한다면, 기준음 B 음 또한 도 , 미 로 보고 음정을 계산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준음을 미 로 보고 음정을 계산하는 것이 더 편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이름 기준 B - F 의 음정을 계산할 때는 계이름 도 - 솔♭ 보다 미 - 시♭ 가 계산하기 더 편하다고 느껴질 수 있는데, 이는 피아노의 검은건반보다 흰건반 위주로 생각하는 것을 더 편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이것이 장음 관계일 경우, 기준음을 장음계 으뜸음인 도 로 생각해놓고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단음 관계일 경우, 기준음을 장음계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음계 으뜸음인 미 로 생각해놓고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장음계에서는 도 - 레 - 미 - 파 - 솔 - 라 - 시 - 도 이므로 장음계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음계에서는 미 - 파 - 솔 - 라 - 시 - 도 - 레 - 미 절대음감의 경우 음정을 계산할 때 음이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절대음감을 가진 사람들 앞에서 피아노로 F 음을 치면서 "도~" 라고 노래하면, 귀에서는 파 가 들리는데 앞에 있는 사람이 "도" 라고 말하는 것 또는 피아노로 B 음을 치면서 "미~" 라고 노래하면, 귀에서는 시 가 들리는데 앞에 있는 사람이 "미" 라고 말하는 것 때문에 굉장히 혼란스러워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절대음감을 가진 사람들은 음정을 계산할 때도 기준음을 계이름 도 로 생각하고 계산하는 것보다 음이름 F 그대로 계산하며 기준음을 계이름 미 로 생각하고 계산하는 것보다 음이름 B 그대로 계산한다. C를 기준으로 할 때 다 장조 음계 (C Major Scale) 는 C - D - E - F - G - A - B - C 이므로 2, 3, 6, 7음을 반음 내리면 C - D♭ - E♭ - F - G - A♭ - B♭ - C G를 기준으로 할 때 사 장조 음계 (G Major Scale) 는 G - A - B - C - D - E - F♯ - G 이므로 2, 3, 6, 7음을 반음 내리면 G - A♭ - B♭ - C - D - E♭ - F - G D를 기준으로 할 때 라 장조 음계 (D Major Scale) 는 D - E - F♯ - G - A - B - C♯ - D 이므로 2, 3, 6, 7음을 반음 내리면 D - E♭ - F - G - A - B♭ - C - D A를 기준으로 할 때 가 장조 음계 (A Major Scale) 는 A - B - C♯ - D - E - F♯ - G♯ - A 이므로 2, 3, 6, 7음을 반음 내리면 A - B♭ - C - D - E - F - G - A E를 기준으로 할 때 마 장조 음계 (E Major Scale) 는 E - F♯ - G♯ - A - B - C♯ - D♯ - E 이므로 2, 3, 6, 7음을 반음 내리면 E - F - G - A - B - C - D - E 이렇게 하면 완전음정에는 G - D - A 또는 A - D - G 가, 장음정에는 B - F♯ 가, 단음정에는 F - B♭ 가 반드시 사용된다. 장음계의 계이름을 떠올리는 것, 또는 기준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Diatonic Scale (Major Scale) 을 떠올리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나, 암기능력과 속셈에 자신있는 사람들은 음정을 계산할 때 기준음과 비교대상으로 하는 음 사이에 반음이 몇개 들어있는지를 계산해서 암기해놓은 음정을 도출해내는 계산법을 쓰기도 한다. 반음 개수가 0 개일 때 완전1도 또는 감2도 반음 개수가 1 개일 때 단2도 또는 증1도 반음 개수가 2 개일 때 장2도 또는 감3도 반음 개수가 3 개일 때 단3도 또는 증2도 반음 개수가 4 개일 때 장3도 또는 감4도 반음 개수가 5 개일 때 완전4도 또는 증3도 반음 개수가 6 개일 때 증4도 또는 감5도 반음 개수가 7 개일 때 완전5도 또는 감6도 반음 개수가 8 개일 때 단6도 또는 증5도 반음 개수가 9 개일 때 장6도 또는 감7도 반음 개수가 10 개일 때 단7도 또는 증6도 반음 개수가 11 개일 때 장7도 또는 감8도 반음 개수가 12 개일 때 완전8도 또는 증7도 하지만 이렇게 계산해 낸 것이 꼭 정확한 값이라고 볼 수는 없다. 피아노 건반을 기준으로 생각하자면 C♯ - D♯ 은 반음 개수가 2개이므로 장2도가 맞지만, 만약 악보(오선지) 에 표기되어있는 음들을 비교할 때 C♯ 과 E♭ 이라고 적혀있는 경우에는 장2도가 아니기 때문이다. C♯ 과 E♭ 을 피아노로 쳐보면 반음 개수가 2개이므로 장2도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C♯ 과 E♭ 은 도수를 3도로 해석해야하기 때문에 장2도가 아니라 감3도가 맞다. 때문에 반음 개수 계산법이 사실 정확한 계산법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하지만 음정을 공부하는 목적이 문제풀이에서 정답을 맞추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음악가들끼리 음정단위를 통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느냐 하는 언어학적 목적인 경우에는 이런 계산법을 사용하는 것이 꼭 틀렸다고 비판할 수는 없다. 1cm 와 10mm 는 표기법이 다르지만 같은 간격을 나타내듯이 장2도와 감3도는 표기법이 다르지만 사실 같은 음을 지칭하므로 의사소통엔 큰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계이름 계산법이나 음이름 계산법으로 계산할 때 계이름과 음이름에 대한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 채 음정을 계산하면, 음정의 성질을 잘못 계산할 수 있다. 계이름이라는 것은 원래 조성에 따라 음이름이 달라진다. F Major Key (바장조) 에서 계이름 도 와 F Major Key (바장조)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음계에서 계이름 미 는 실제 음이름이 F 이고, B Major Key (나장조) 에서 계이름 도 와 B Major Key (나장조)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음계에서 계이름 미 는 실제 음이름이 B 이다. 예를 들어, F Major Key (바장조) 에서의 계이름인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는 실제 음이름으로 봤을 때 F G A B♭ C D E 가 되므로 F Major Key (바장조)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음계의 계이름인 미 파 솔 라 시 도 레 는 실제 음이름으로 봤을 때 F G♭ A♭ B♭ C D♭ E♭ 가 되며 B Major Key (나장조) 에서의 계이름인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는 실제 음이름으로 봤을 때 B C♯ D♯ E F♯ G♯ A♯ 가 되므로 B Major Key (나장조)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음계의 계이름인 미 파 솔 라 시 도 레 는 실제 음이름으로 봤을 때 B C D E F♯ G A 가 된다. 따라서 F - B 가 도수만 놓고 봤을 때는 4도가 맞지만, 완전4도는 아니다. 실제로 F 와 B 가 완전4도 이려면 B 가 B♭ 로 또는 F 가 F♯ 로 바뀌어야만 F - B♭ 또는 F♯ - B 가 되어 완전4도가 되며 B - F 가 도수만 놓고 봤을 때 5도가 맞지만, 완전5도는 아니다. 실제로 B 와 F 가 완전5도 이려면 F 가 F♯ 로 또는 B 가 B♭ 로 바뀌어야만 B - F♯ 또는 B♭ - F 가 되어 완전5도가 된다. 예제 음이름 기준 F - F 는 계이름 기준 도 - 도, 미 - 미 이므로 완전1도 또는 완전8도이다. 음이름 기준 F - G♭ 는 계이름 기준 미 - 파 이므로 단2도이다. 음이름 기준 F - G 는 계이름 기준 도 - 레 이므로 장2도이다. 음이름 기준 F - A♭ 는 계이름 기준 미 - 솔 이므로 장3도이다. 음이름 기준 F - A 는 계이름 기준 도 - 미 이므로 장3도이다. 음이름 기준 F - B♭ 는 계이름 기준 도 - 파, 미 - 라 이므로 완전4도이다. 음이름 기준 F - B 는 계이름 기준 도 - 파♯ 이므로 증4도이다. 음이름 기준 F - C♭ 는 계이름 기준 미 - 시♭ 이므로 감5도이다. 음이름 기준 F - C 는 계이름 기준 도 - 솔, 미 - 시 이므로 완전5도이다. 음이름 기준 F - D♭ 는 계이름 기준 미 - 도 이므로 단6도이다. 음이름 기준 F - D 는 계이름 기준 도 - 라 이므로 장6도이다. 음이름 기준 F - E♭ 는 계이름 기준 미 - 레 이므로 단7도이다. 음이름 기준 F - E 는 계이름 기준 도 - 시 이므로 장7도이다. 음이름 기준 B - B 는 계이름 기준 도 - 도, 미 - 미 이므로 완전1도 또는 완전8도이다. 음이름 기준 B - C 는 계이름 기준 미 - 파 이므로 단2도이다. 음이름 기준 B - C♯ 는 계이름 기준 도 - 레 이므로 장2도이다. 음이름 기준 B - D 는 계이름 기준 미 - 솔 이므로 단3도이다. 음이름 기준 B - D♯ 는 계이름 기준 도 - 미 이므로 장3도이다. 음이름 기준 B - E 는 계이름 기준 도 - 파, 미 - 라 이므로 완전4도이다. 음이름 기준 B - E♯ 는 계이름 기준 도 - 파♯ 이므로 증4도이다. 음이름 기준 B - F 는 계이름 기준 미 - 시♭ 이므로 감5도이다. 음이름 기준 B - F♯ 는 계이름 기준 도 - 솔, 미 - 시 이므로 완전5도이다. 음이름 기준 B - G 는 계이름 기준 미 - 도 이므로 단6도이다. 음이름 기준 B - G♯ 는 계이름 기준 도 - 라 이므로 장6도이다. 음이름 기준 B - A 는 계이름 기준 미 - 레 이므로 단7도이다. 음이름 기준 B - A♯ 는 계이름 기준 도 - 시 이므로 장7도이다. 1, 4, 5, 8도 음정의 경우에는 "장/단" 표기를 절대 사용하지 않고, 2, 3, 6, 7도 음정의 경우에는 "완전" 표기를 절대 사용하지 않는데, 이는 음 과 음 사이의 조화로운 울림에 영향을 끼치는 배음 과 관계가 있다. 사인파 를 제외한 모든 음(音)은, 실제로 하나의 음이 아닌 여러개의 음이 같이 울리는데, 이와 같이 함께 울리는 음들을 배음이라고 부르며, 인간은 그 배음들 중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잘 들리는 1배음을 주로 듣기 때문에 음을 하나로 느끼는 것이다. 이 배음들을 근음인 1배음 부터 12배음까지 나열해봤을 때, 각각의 배음들의 음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배음 근음 C2 와 1배음 C2 는 완전1도이다. 1배음 C2 와 2배음 C3 는 완전8도이다. 2배음 C3 와 3배음 G3 는 완전5도이다. (실제로 정확한 3배음은 G3 에서 +2 센트만큼 높은 음이다.) 3배음 G3 와 4배음 C4 는 완전4도이다. 4배음 C4 와 5배음 E4 는 장3도이다. (실제로 정확한 5배음은 E4 에서 -14 센트만큼 낮은 음이다.) 5배음 E4 와 6배음 G4 는 단3도이다. (실제로 정확한 6배음은 E4 에서 +2 센트만큼 높은 음이다.) 6배음 G4 와 7배음 Bb4 는 단3도이다. (실제로 정확한 7배음은 Bb4 에서 -31 센트만큼 낮은 음이다.) 7배음 Bb4 와 8배음 C5 는 장2도이다. 8배음 C5 와 9배음 D5 는 장2도이다. (실제로 정확한 9배음은 D5 에서 +4 센트만큼 높은 음이다.) 9배음 D5 와 10배음 E5 는 장2도이다. (실제로 정확한 10배음은 E5 에서 -14 센트만큼 낮은 음이다.) 10배음 E5 와 11배음 F#5 는 장2도이다. (실제로 정확한 11배음은 F#5 에서 -49 센트만큼 낮은 음이다.) 11배음 F#5 와 12배음 G5 는 단2도이다. (실제로 정확한 12배음은 G5 에서 +2 센트만큼 높은 음이다. 음정에는 센트 (음악) 라는 단위가 있는데, 이것은 음정에서 유니즌을 제외한 가장 낮은 음정단위인 단2도 보다 더 좁은 간격, 즉 12음계를 벗어난 그 사이사이의 미세한 간격을 측정할 때 쓰는 단위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5센트까지의 차이는 잘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4배음까지의 울림에서는 부조화를 느끼지 못해서 완전한 울림이라고 불리었고, 5배음부터는 울림의 부조화를 느꼈기 때문에 완전 대신 장/단 을 쓰기 시작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몇가지 음정의 경우에는 " 성질 + 도수 " 의 표기법을 벗어나 하나의 단어로 바꿔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5가지 경우가 있다. 완전1도 (Perfect 1st) 의 경우에는 유니즌(Unison) 이라고 부른다. 단2도 (minor 2nd) 의 경우에는 반음(Semitone, half tone, half step) 이라고 부른다. 장2도 (Major 2nd) 의 경우에는 온음(Tone, whole tone, whole step) 이라고 부른다. 증4도 (Augmented 4th) 와 감5도 (diminished 5th) 는 도수의 해석은 다르나 음과 음 사이의 실제 간격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데, 이 음정을 셋온음(Tritone) 이라고 부른다. 완전8도 (Perfect 8th) 의 경우에는 옥타브(Octave) 라고 부른다. 다음의 음악은 해당 음정으로 시작한다. 음정 약자 높아짐 낮아짐 단2도 m2 신세계 교향곡 4악장, 모차르트의 자장가 (잘자라 우리아기) 엘리제를 위하여, 아침 이슬 장2도 M2 생일 축하합니다, 학교종, 아리랑, 고요한 밤, 루돌프 고드름, 군밤타령, 비행기, 개똥벌레 단3도 m3 따르릉, 봄(엄마엄마 이리와) 개나리, 산토끼, 나비야, 설날, 그대로 멈춰라, 뽀뽀뽀 장3도 M3 딩동댕 종소리, 똑같아요, 바둑이 방울, 우리들은 일학년, 곰 세마리 운명 교향곡, 수업 종소리 완전4도 P4 애국가, 결혼행진곡, 고기잡이, 어린 음악대, 과수원 길 산중호걸, 파란마음 하얀마음(우리들 마음에 빛이 있다면), 경찰차 싸이렌 트라이톤 TT 더 심슨 주제곡, 마리아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완전5도 P5 반짝반짝 작은별, 스타워즈 메인 테마 바흐 미뉴에트(솔 도레미파 솔 도 도), 플린스톤, 수퍼맨 단6도 m6 러브스토리, 엔터테이너 장6도 M6 오빠 생각, 등대지기, 스승의 은혜, 코끼리 아저씨, 징글벨(흰 눈 사이로), 새싹들이다, Ich liebe dich 청혼 (이소라) 단7도 m7 스타트랙, 난 행복해, 금지된 사랑 장7도 M7 노라존스의 Don t know why 완전8도 P8 썸웨어 오버 더 레인보우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의 Bulls on Parade 기타 리프. 분류:음악 용어
점근 표기법 (asymptotic notation)은 어떤 함수의 증가 양상을 다른 함수와의 비교로 표현하는 수론과 해석학의 방법이다.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단순화할 때나 무한급수의 뒷부분을 간소화할 때 쓰인다. 대표적으로 다음의 다섯 가지 표기법이 있다. 대문자 O 표기법 소문자 o 표기법 대문자 오메가(Ω) 표기법 소문자 오메가(ω) 표기법 대문자 세타(Θ) 표기법 이 중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는 것이 대문자 O 표기법으로, 란다우 표기법이라고도 한다. 특히,알고리즘의 복잡도를 나타내는 용어로는 "계산 복잡도 이론" 또는 "시간복잡도"로 대문자 O 표기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함수 , 에 대해 가 라는 것은 상한 점근 에 관한 다음의 동치인 정의와 같다. 를 만족하며 충분히 큰 모든 에 대하여 가 성립하도록 하는 양의 실수 과 실수가 존재한다. 를 만족하는 에 대하여 가 성립하도록 하는 양수 와 이 존재한다. 이를 혹은 로 표기하기도 한다. 두 다항식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이때 이 된다. 증명은 다음과 같다. (일 때) (와 같은 방법) 라는 표현에서, 등호는 원래의 등호와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 어떤 함수가 이면 이므로 로 표기할 수는 있지만, 와 같이 쓰는 것은 잘못된 표기이다. 이 때, 등호 표기는 일반적인 표기법과 다르게 사용된 기호의 남용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를 원래 정의에서 해당하는 함수들의 집합으로 정의하는 경우도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과 같이 표기할 수 있고, 이것은 기호의 원래 정의와 잘 맞아 떨어진다. 대문자 O 표기법과 비슷하게, 다음의 표기법들이 사용된다. 표기법 설명 수학적 정의 상한 점근 하한 점근 상한/하한 점근 또한 Õ 표기법은 대문자 O 표기법의 일종으로, 는 (는 임의의 상수)를 의미한다. 이 표기법은 함수의 로그 증가 비율을 무시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분류:수학 표기법 분류:점근 해석 분류:알고리즘 분석
ISO 는 다음을 뜻한다. ISO 는 국제 표준화 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통칭이다. * 필름과 디지털 카메라의 감광 속도. 필름의 경우 ISO 5800:1987 표준에,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ISO 12232:1998 표준에 따르는 값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ISO 는 국제 설탕 기구(International Sugar Organization)의 약어이다. .iso 는 ISO 9660 및 UDF 형식을 가진 디스크 이미지의 확장자이다. 이소
도메인 네임 시스템 (Domain Name System, DNS )은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특정 컴퓨터(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임의의 장치)의 주소를 찾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식별 번호(IP 주소)로 변환해 준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흔히 "전화번호부"에 비유된다. 인터넷 도메인 주소 체계로서 TCP/IP의 응용에서, www.example.com과 같은 주 컴퓨터의 도메인 이름을 192.168.1.0과 같은 IP 주소로 변환하고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인터넷은 2개의 주요 이름공간을 관리하는데, 하나는 도메인 네임 계층, 다른 하나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공간이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도메인 네임 계층을 관리하며 해당 네임 계층과 주소 공간 간의 변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터넷 네임 서버와 통신 프로토콜은 도메인 네임 시스템을 구현한다. DNS 네임 서버는 도메인을 위한 DNS 레코드를 저장하는 서버이다. DNS 네임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쿼리의 응답 정보와 함께 응답한다. 호스트의 숫자 주소 대신 더 단순한, 더 기억하기 쉬운 이름을 사용하는 일은 ARPANET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스탠퍼드 연구소(현재의 SRI 인터내셔널)는 ARPANET의 컴퓨터들의 숫자 주소와 호스트 이름을 매핑하는 HOSTS.TXT라는 이름의 텍스트 파일을 관리하였다. 할당 번호 목록(Assigned Numbers List)이라 불리던 숫자 주소들은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정보과학연구소 소속(소속팀은 SRI와 함께 밀접하게 일했음) 존 포스텔에 의해 관리되었다. 도메인 이름 공간은 도메인 이름을 트리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트리의 각 노드는 0개 이상의 리소스 레코드(resource record) 를 가진다. 트리는 루트 존(root zone)에서 시작하여 여러 개의 하위 존으로 나뉜다. 각 DNS 존은 하나의 권한 있는 네임 서버(authoritative name server) 에 의해 관리되는 노드들의 집합이다. (하나의 네임 서버가 여러 개의 존을 관리할 수도 있다.) 관리 권한은 분할되어서 새로운 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기존의 도메인 이름 공간의 일부분이 서브도메인 형태로 다른 네임 서버에 권한이 위임 된다고 한다. 그리고 기존의 존은 새로운 존에 대한 권한을 잃게 된다. 도메인 이름 형성에 관한 규칙은 RFC 1035, RFC 1123, RFC 2181에 정의되어 있다. 도메인 이름은 한 개 이상의 부분(레이블)로 이루어지고, 점으로 구분하여 붙여 쓴다.(예 example.com) 가장 오른쪽 레이블은 최상위 도메인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메인 이름 www.example.com은 최상위 도메인 com에 속한다. 도메인의 계층 구조는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내려간다. 왼쪽의 레이블은 오른쪽의 서브도메인이다. 예를 들어, 레이블 example은 com 도메인의 서브도메인이며, www는 example.com의 서브도메인이다. 서브도메인은 127단계까지 가능하다. 각 레이블은 최대 63개 문자를 사용할 수 있고, 전체 도메인 이름은 253개 문자를 초과할 수 없다. 실제로는 도메인 레지스트리에 더 짧은 제한을 가질 수 있다. 도메인 이름은 기술적으로 옥텟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RFC 3696). 그러나 DNS 루트 존과 대부분의 서브도메인에서는 제한된 형식과 문자들만 허용한다. 레이블에 사용될 수 있는 문자는 아스키 문자 집합의 부분집합과 알파벳 a부터 z, A부터 Z, 숫자 0부터 9와 하이픈(-)을 포함한다. 이 규칙은 letter(문자), digit(숫자), hyphen(하이픈)의 첫글자를 따서 LDH 규칙이라고 한다. 도메인 이름은 대소문자 구분없이 해석되고, 레이블은 하이픈으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없다. DNS를 잘못 설정할 경우 인터넷 이용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신뢰할 수 없는 DNS는 해킹, 파싱 등에 노출되므로, 신뢰할 수 있는 DNS 서버만 이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운영주체 기본 DNS 보조 DNS 기타 KT 168.126.63.1 168.126.63.2 열린 주소창이 작동하던 주소였으나 현재는 열린 주소창이 작동하지 않음. 211.45.150.201 211.45.151.201 열린 주소창이 작동하지 않는 주소였음. 현재는 사용 불가. LG유플러스 164.124.107.9 203.248.242.2 SK브로드밴드 210.220.163.82 219.250.36.130 CJ헬로비전 180.182.54.1 180.182.54.2 구글 8.8.8.8 8.8.4.4 구글 Public DNS 시만텍 199.85.126.10 199.85.127.10 노턴 ConnectSafe DNS 코모도 8.26.56.26 8.20.247.20 코모도 Secure DNS Cloudflare 1.1.1.1 1.0.0.1 Cloudflare DNS IBM Quad9 9.9.9.9 149.112.112.112 IBM Quad9 DNS SprintLink 206.228.179.10 144.228.254.10, 144.228.255.10 SprintLink DNS 213.206.128.130 217.147.96.130, 217.149.32.130 203.222.32.130 203.222.36.130, 203.222.38.130 204.117.214.10 199.2.252.10 기본적으로 통신사가 제공하는 DNS는 서버가 한국에 소재하여 빠른 응답 속도를 보여준다. 구글과 시만텍의 DNS는 한국에 서버가 소재하진 않지만, 인접국인 일본에 서버가 소재하고 있어, 40ms 미만의 응답 속도를 보여준다. 분류:인터넷 표준 분류:인터넷 프로토콜
새 또는 조류 (鳥類)는 크게 발달된 수각류 공룡을 의미하며, 보통 비행이 가능하다. 계통적으로는 석형강 공룡상목 조강 (鳥綱)에 속한다. 새는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심장이 2심방 2심실이며, 허파로 호흡하는 항온동물이다. 날짐승 이라고도 한다. 분류에 따라 8,800 ~ 10,200 종이 분포한다. 가장 작은 종은 벌새이며, 가장 큰 종은 타조이다. 보통 공룡의 멸종기인 6천600만년전 이후 조류가 생겨났다고 인식되는 경우가 많으나, 1877년에 독일 졸로호펜에서 발굴된 시조새와 중국에서 발견된 안키오르니스의 화석을 통해 수각류 공룡이 약 1억 5,000만 년 전부터 조류의 형태로 진화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고, 현재까지 살아남은 유일한 수각류에 속한다. 각질의 깍지로 덮여 있는 부리와 비늘이 있는 다리, 날개 이외의 뼈대 구조 등은 파충류와 비슷하나 체표가 깃털에 싸여 있는 점과, 앞다리가 날개로 변화해 있는 점은 현생하는 다른 동물 무리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이다. 조류는 대체로 머리에 비해 눈알이 크고, 망막의 시신경이 발달해 있어 시력이 예민하다. 부엉이 등의 야행성 종에서는 시세포가 간상세포만으로 되어 있으나, 주행성 종에서는 원추세포가 발달해 사람이 느끼는 색상을 대부분 감지할 수 있다. 귀는 머리 부분의 좌우에 한 쌍이 열려 있는데, 모두 깃털로 싸여 있기 때문에, 겉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청각도 잘 발달해, 시각과 함께 조류가 생활하는 데 가장 중요한 감각 기관이다. 반면 후각은 타조목·슴새목 외에는 예민하지 않으며, 미각도 그리 발달해 있지 않다. 철새같은 경우는 이동을 해야하는데 이 넓은 지구를 길한번 잃지 않고 간다. 지금도 과학자들은 이것에 대해 연구를 하고 있다. 대부분의 새는 낮에 활동하지만, 올빼미 등 맹금류는 야행성이다. 먹이는 종류에 따라 꿀, 나무 열매, 곤충, 쥐, 물고기, 작은 새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모든 종류가 비교적 적은 수의 알을 낳는데, 대부분 어미새가 몸의 열로 알을 데워 부화시킨다. 알은 다량의 난황을 포함하는 단황란으로, 미수정란의 난황 부분은 하나의 세포로는 동물 중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한다. 많은 종은 계절에 따라 이주하며, 이러한 새들을 철새라 부른다. 언제, 어느 곳에서 이주하느냐에 따라 여름철새, 겨울철새로 나뉜다. 또, 한 곳에 머무르며 서식하는 새를 텃새라고 하며, 먼 길을 가기 위해 한 곳에 잠시 머무르는 새를 나그네새라고 한다. 서식지나 이동 경로에서 벗어나 있는 새들은 미조나, 길잃은새라고 한다. 새의 성염색체는 ZZ-ZW형으로, 성염색체가 ZZ이면 수컷, ZW이면 암컷이다. 따라서, 새의 정자와 난자 중 성을 결정하는 것은 난자이다. 조강이 석형류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의 하위 분류와 조강에 속하는 목은 다음과 같다. 고악류 또는 고악하강 (Paleognathae) * 타조목 (Struthioniformes) - 타조 * 도요타조목 (Tinamiformes) - 도요타조(티나무) * 레아목 (Rheiformes) - 레아 * 키위목 (Apterygiformes) - 키위 * 화식조목 (Casuariiformes) - 화식조, 에뮤 신악류 또는 신악하강 (Neognathae) * 닭목 (Galliformes) - 닭, 꿩, 칠면조 등. * 기러기목 (Anseriformes) - 기러기, 오리 등. * Loons, Penguins & Petrels ** 슴새목 (Procellariiformes) - 바다제비, 신천옹 등. ** 아비목 (Gaviiformes) ** 펭귄목 (Sphenisciformes) - 펭귄. * Grebes & Flamingos to Storks ** 황새목 (Ciconiiformes) - 황새. ** 열대새목 (Phaethontiformes) - 열대새 ** 홍학목 (Phoenicopteriformes) - 홍학. ** 논병아리목 (Podicipediformes) - 논병아리 등. * Ibises to pelicans & cormorants ** 사다새목 (Pelecaniformes) - 펠리칸 등. ** 가다랭이잡이목 (Suliformes) - 가마우지 등. * 맹금류 (Raptors) ** 수리목 (Accipitriformes) - 독수리, 수리매 등. ** 매목 (Falconiformes) - 매 등. * 두루미류 (Bustards, Rails & Allies) ** 느시목 (Otidiformes) - 느시 등. ** 메사이트목 (Mesitornithiformes) - 메사이트 등 ** 느시사촌목 (Cariamae) - 느시사촌 등. ** 두루미목 (Gruiformes) - 두루미 등. ** 뱀눈새목 (Eurypygiformes) - 뱀눈새 등. * 도요류 (Shorebirds & Allies) ** 도요목 (Charadriiformes) * 비둘기류 (Sandgrouse & pigeons) ** 비둘기목 (Columbiformes) - 비둘기 등. ** 사막꿩목 (Pteroclidiformes) - 사막꿩 등. * 앵무류 (Parrots) ** 앵무목 (Psittaciformes) - 앵무새 등. * 뻐꾸기류 (Hoatzin, Turacos & Cuckoos) ** 부채머리목 (Musophagiformes) - 부채머리 등. ** 뻐꾸기목 (Cuculiformes) - 뻐꾸기 등. ** 호아친목 (Opisthocomiformes) - 호아친 * 올빼미류 (Owls) ** 올빼미목 (Strigiformes) - 부엉이, 올빼미 등. * 쏙독새류 (Nightjars) ** 쏙독새목 (Caprimulgiformes) * 칼새류 (Swifts, Hummingbirds & Allies) ** 칼새목 (Apodiformes) * 파랑새류 (Mousebirds to Hornbills) ** 비단날개새목 (Trogoniformes) ** 뻐꾸기파랑새목 (Leptosomatiformes) - 유일종 뻐꾸기파랑새 ** 쥐새목 (Coliiformes) ** 코뿔새목 (Bucerotiformes) - 코뿔새 등 ** 파랑새목 (Coraciiformes) - 후투티 * 딱따구리류 (Woodpeckers & Allies) ** 딱따구리목 (Piciformes) * 참새목 (Passeriformes) - 연작류.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한국관상조류협회 시조새 한국의 야생 새 목록 가금류 분류:동물 분류:공룡 분류:깃털공룡
위지위그 (, "보는 대로 얻는다")는 문서 편집 과정에서 화면에 포맷된 낱말, 문장이 출력물과 동일하게 나오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편집 명령어를 입력하여 글꼴이나 문장 형태를 바꾸는 방식과 구별된다. 현재 대부분의 워드 프로세서는 위지위그 방식을 쓰고 있으나 HTML이나 TeX는 편집 명령어를 통해 편집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이는 문서의 호환성, 범용성 때문이다. 위지위그 기법이 채택되기 전에, 레이아웃(여백, 공백 등)에 거의 관계 없이 시스템 표준 글꼴과 스타일을 사용하여 텍스트가 편집기들에 나타났다. 사용자들은 일부 텍스트가 굵게, 기울임을 써야 하는지, 또 어떠한 크기나 글꼴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지시하기 위해 특수한 비인쇄 제어 코드(현재는 마크업 코드 태그라고 함)를 입력해야 했다. 이 환경에서는 문서 편집기와 워드 프로세서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1974년 제록스 PARC에서 버틀러 램슨, 찰스 시모니 및 동료들이 개발한 알토용 문서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인 브라보가 일반적으로 위지위그 기술을 통합한 최초의 프로그램으로 간주되며 글꼴, 자간과 같은 형식으로 텍스트를 보여주었다. Ipsum - WYSIWYG en Latex - tekst als paden.svg|섬네일|300px|right|왼쪽은 문서 편집을 위한 위지위그 에디터 프로그램이다. 오른쪽은 왼쪽과 최대한 비슷한 모양을 얻을 있는 LaTeX 코드로서, 컴파일 과정을 거치면 왼쪽과 비슷해진다. 컴파일 과정을 거치는 경우 위지위그라 할 수 없다. 이 용어는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최종 문서와 이미지와 가장 근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레이아웃 명령의 이름을 꼼꼼히 기억하거나 입력할 필요 없이 문서 레이아웃의 수정을 말한다. 현대의 소프트웨어는 특정한 종류의 출력을 위해 화면 디스플레이를 최적화한다. 이를테면, 워드 프로세서는 일반 프린터의 출력물에 최적화되어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프린터의 해상도를 가상으로 구현하고 위지위그에 최대한 가깝게 만들어 준다. 그러나 그저 사용자가 작업한 것을 보여준다는 능력 자체가 위지위그의 주된 매력 포인트는 아니다. 여러 상황에서, "What You See Is What You Get"이라는 표현이 중요하지 않을 만큼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사실 응용 프로그램들은 다른 수준의 "현실주의"와 더불어 여러 개의 위지위그 모드를 제공하기도 한다. 복합 모드 레이아웃 모드 미리 보기 모드 위지위그 응용 프로그램들의 디자이너들이 보통 저마다 다른 기능을 갖춘 다양한 출력 장치를 고려하기 때문에, 수많은 문제가 비롯될 수 있다. 여러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라면, 여러 해결책을 포함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사용하는 것이 낫다. 위지위그 응용 프로그램의 설계 목표 특정 프린터에 높은 품질의 인쇄 출력을 제공한다. 다양한 프린터에 높은 품질의 인쇄 출력을 제공한다. 화면 위에 높은 품질의 출력을 제공한다. 인쇄된 화면과 최대한 비슷하게 볼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미리 보기 기능을 제공한다. 위의 모든 목표를 한 번에 이루는 것은 쉽지 않다. 주된 문제는 출력 해상도가 다양하다는 점에 있다. 2007년 쯤, 모니터들은 보통 한 인치에 92, 125 화소를 가지고 있다. 프린터는 한 인치에 보통 240에서 1440 화소를 가지고 있다. 일부 프린터의 수직 해상도는 저마다 다르다. 레이아웃 텍스트를 출력하려고 할 때 문제가 될 수 있는데 대부분의 출력 기술이 문자열들 사이에 공간(스페이싱)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결책은 다음을 포함한다 언제나 실현할 가능성이 있는 더 높은 해상도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레이아웃 처리한다. 낮은 해상도 장치에서 품질이 떨어질 수 있지만 고정된 레이아웃을 제공함으써 사용자의 문자열 가식성을 높여 준다. 어도비 어크로벳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사용하고 있는 프린터의 해상도로 텍스트를 레이아웃 처리한다. 화면에 보여 줄 때 품질을 떨어트리고, 문서가 다른 프린터에 출력된다면 레이아웃이 변경될 수도 있다. (높은 해상도의 프린터에서는 라운딩 문제가 더 적어지므로 이 문제가 일어날 가능성이 적다)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출력할 장치를 위한 해상도로 문자열을 레이아웃 처리한다. 화면 디스플레이에 인쇄 출력 화면의 레이아웃에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잘 쓰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위지위그 도구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잘 쓰인다. 보통의 가입형 블로그 가입자는 HTML을 모르는 사람이 태반이므로 글을 쓰기가 힘들다. 따라서 글을 쓸때에 위지위그 방식을 많이 이용한다. 국내의 네이버 블로그, 다음 블로그, 이글루스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등은 모두 지원하며, 또한 HTML로 바로 쓸수도 있다. 보는 것 은 사용자가 입력한 것, 얻는 것 은 출력되는 것을 가리킵니다.S는 ㅅ으로 풀이하였으며 ㅈ로도 읽힐수 있습니다. 이름 영문 풀이 영어풀이 해설 위시몰위그 WYSIMOLWYG 네가 보는 것은 네가 얻는 것과 대략 비슷하다. what you see is more or less what you get 대부분의 WYSIWYG의 구현이 불완전함을 짚음 위시아위그 WYSIAWYG 네가 보는 것은 네가 얻는 것과 거의 일치한다 what you see is almost what you get 위시몰위그와 비슷하다. 위시아그 WYSIAYG 네가 얻을 수 있는건 네가 보는것 뿐이다. what you see is all you get WYSIWYG UI의 한계로 전문가를 위한 옵션들이 제한됨을 꼬집음. 위시윔 WYSIWYM 너가 보는 것은 너가 뜻하는 것이다 what you see is what you mean 위지위그가 완벽하지 못하다는 점에서 새로 등장한 용어. 위키위크 WYCIWYG 너가 캐시한 것은 너가 얻는 것이다 what you cache is what you get "wyciwyg://" 가 가끔 파이어폭스 같은 게코 기반 브라우저에서 캐시로 나타나고는 한다.파이어폭스 15에서 수정되었다고 합니다. 위지위스 WYGIWYS 너가 얻는 것은 너가 보는 것이다 what you get is what you see 이 표현은 제이콥 닐센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7의 리본 기능을 표현하기 위해 쓰였다고 합니다. 위시윈 WYSIWYN 너가 보는 것은 네게 필요한 것이다 what you see is what you need 사용자가 정말 원하는 것만 볼수 있다는 뜻. 위시휘그 WYSYHYG 너가 보는 것은 너가 얻기 바라는 것이다 what you see you hope you get 1991년 Microsoft Windows video collection에서 사용됨. 위시피그 WYSIPWYG 너가 보는 것은 아마 너가 얻을 것이다 what you see is probably what you get HTML과 마크업에 관련됨. 위시위스 WYSIWYS 너가 보는 것은 너가 뜻하는 것이다 what you see is what you sign 디지털 소프트웨어와 관련됨. 사용자가 원하는 것은 어떠한 숨겨진 것 없이 보인다는 말. 미리 보기 HTML 편집기 목록 분류:워드 프로세서 분류: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라톤 (, Plátōn , "넓은, 어깨 폭이 넓은";, 기원전 428년/기원전 427년 또는 기원전 424년/기원전 424년 ~ 기원전 348년/기원전 347년)은 다양한 서양 학문에 영향력 있는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사상가다. 그는 소크라테스의 제자였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이었고, 현대 대학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고등 교육 기관인 ‘아카데메이아’를 아테네에 세운 장본인이기도 하다. 플라톤은 아카데메이아에서 폭넓은 주제를 강의하였으며, 특히 정치학, 윤리학, 형이상학, 인식론 등 많은 철학적 논점에 관해 저술하였다. 플라톤 저술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게 그의 《대화편》이다. 비록 일부 편지는 단지 그의 이름을 붙여서 전해지지만, 플라톤이 쓴 진짜 《대화편》은 모두 온전하게 전해진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현재 학자들 합의에 따라, 그리스인들이 플라톤의 것으로 생각하는 ‘알키비아데스 I과 ‘클레이토폰’ 등과 같은 《대화편》은 의심스러우며 ‘데모도코스’와 ‘알키비아데스 II’ 등과 같은 대화편은 대개 위조되었다고 판단한다. 대개 편지는 거의 모두 위조되었다고 여기며, 예외로 일곱 번째 편지만 위조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의 《대화편》에 자주 등장하는 주요 등장인물이었다. 이는 플라톤의 《대화편》에 있는 내용과 주장 가운데 무엇이 소크라테스의 것이고 플라톤의 것인지에 관해 많은 논쟁 있었다. 왜냐하면 소크라테스는 남긴 저술이 없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종종 ‘소크라테스의 문제’라고 부른다. 그러나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가르침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게 확실하다. 따라서 수많은 플라톤의 아이디어, 적어도 그의 초기 연구는 소크라테스에게서 가져오거나 발전시켰을 것이다. 그가 이성 우위의 전통을 가진 서양 철학에 미친 영향은 더할 수 없이 크다. 영국 철학자인 화이트헤드는 “서양의 2000년 철학은 모두 플라톤의 각주에 불과하다”라고 말했으며, 시인 에머슨은 “철학은 플라톤이고, 플라톤은 철학이다”라고 평했다. 플라톤은 아테네의 명문 가정에서 태어났다. 젊었을 때 소크라테스에게 배우고 결정적인 영향을 받았는데, 그의 저서는 모두 소크라테스가 주인공으로 된 변증론에 관한 《대화편》이어서 그와 스승과의 학설을 구별하기 힘들다. 스승 소크라테스의 죽음에 큰 충격을 받은 그는 정치가로서의 꿈을 버리고 정의를 가르치기로 결심하였다. 이탈리아를 여행하여 키레네 학파로부터 이데아와 변증법의 기초를 얻었고, 피타고라스 학파를 접하며 실천적 정신과 실생활에의 흥미를 얻어 그의 독자적인 사상을 반성하게 되었다. 그 사이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라케스〉 등을 쓰고, 40세에 귀국하여 〈고르기아스〉, 〈대(大)히피아스〉, 〈소(小) 히피아스〉를 썼다. 그는 그의 이상 국가를 실현해 보고자 친구인 디온의 권고로 시켈리아의 참주 디오니시오스 1세의 초청에 응하였으나, 그의 과두 정치를 비난함으로써 분노를 얻어 노예로 팔리기까지 하였다. 후에 그의 저작을 본 퀴레네 사람 덕분에 구출되어 귀국할 수 있었다. 이후 아카데메이아 학원을 건립하고 제자 양성에 전력하면서 저작에 몰두하였다. 〈향연〉, 〈파이돈〉, 〈국가〉, 〈파이드로스〉 등 주요 저술이 여기서 이루어졌고, 이 학원은 529년까지 계속되었다. 대학교의 초기 형태인 ‘아카데미’( Academy )라는 말은 여기에서 비롯된다. 기원전 357년 디오니시오스 2세의 간청을 받자 망설이던 끝에 다시 시켈리아로 가서 이상 정치를 펴보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1년 만에 귀국하여 〈법률〉 등 몇 개의 저서를 더 쓴 뒤 81세에 세상을 떠났다. 플라톤은 ⟪파이돈⟫부터 스승 소크라테스의 사상에서 독립하여 이데아론이라고 불리는 독자적인 학설을 제창하였다. 우리가 삼각형을 생각할 경우에 현실적으로 삼각형을 아무리 정확하게 그린다고 해도 어느 하나도 완전하게 그려 낼 수 없다. 그것은 이미 한 변의 직선마저 완전하게 긋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완전한 직선, 완전한 삼각형이 있음을 부정하지 않으면 그 존재를 인정하고 계산도 하여 해답한다. 결국 현실에 있어서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그 존재를 인정하고 있는 셈이다. 현실의 삼각형은 이 이데아를 인정하는 까닭에 삼각형으로 인식할 수가 있다고 하겠다. 수학의 대상뿐만 아니라 선(善)의, 미(美)의, 용기의 이데아라는 것도 거기에서 생각해 낼 수 있다. 현실적으로는 완전한 선은 좀처럼 찾아볼 수가 없겠으나 완전한 선의 이데아는 틀림없이 있을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그것보다 이것이 낫다고 하는 비교는 할 수 없게 된다. 아름다운 꽃은 조락(凋落)하고 아름다운 경치가 폐허가 되어도 아름다움 자체는 그것 때문에 없어지지 않는다. 이것이 미의 이데아이다. 이 미의 이데아에 현실의 개체가 의탁될 때에 비로소 아름다운 개체가 된다. 즉 미의 이데아는 아름다운 개체의 원인이다. 사람의 영혼은 원래 이러한 이데아계(界)에 있었는데 육체를 갖추고 이데아를 망각하여 지상으로 내려왔다고 그는 말한다. 그러므로 진·선·미를 인식하는 것은 영혼이 원래 살던 이데아계를 상기하는 것과 같다는 상기설을 주장하였다. 그는 인간의 영혼이 육체와 결합된 충동적이며 감각적 욕망을 추구하는 정욕과, 육체와 결합되지 않으며 불사적인 순수한 이성으로 되어 있다고 하고, 이성 은 매우 순수한 것이지만 이 세계의 배후에 있는 완전 지성 실체계인 이데아를 직관할 수 없으며 세상에 탄생하여 육체 속에 듦으로써 이데아를 잊고 있다. 이 잊었던 이데아를 동경하는 마음이 에로스이며, 현상을 보고 그 원형인 이데아를 상기 하여(상기설), 인식하는 것이 진리라고 한다. 그리고 인간의 이성적 부분의 덕이 지혜이며, 정욕적 부분의 덕을 절제,이성의 명령에 복종하여 정욕을 억압하는 기개의 덕을 용기라고 하는 것이다. 올바름(dikaiosyne, 또는 정의 )란 여러 덕이 알맞게 그 기능을 발휘할 때의 상태를 말한다. 그는 이러한 덕론을 통하여 인간 개인의 윤리학을 논하였다. 그러나 정의의 실현은 개인의 덕을 달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여 사회 전체의 윤리설을 주장하였다. 그것이 그의 국가(Politeia) 다. 그는 국가를 개인의 확대로 생각하여 개인에 있어서의 정욕의 부분이 농·공·상업의 서민이며, 기개의 부분은 군인·관리, 이성의 부분은 통치자라고 하고, 이성은 당연히 선의 이데아를 인식하여야 하므로 "철학자가 왕이 되거나, 왕이 철학을 해야 한다"고 하는 유명한 철인 정치론을 전개했다. 이러한 통치자의 교육 제도와 방법에서 그의 교육학을 엿볼 수 있다. 플라톤은 교육을 5단계로 나누었다. 첫째 단계는 출생부터 17세까지로서, 이 시기는 기초적인 도야(陶冶)의 단계로 보아, 문예·음악·조형미술 등 비교적 수준이 낮은 지적 도야 및 일반적으로 정서적 방면에 해당되는 학예와 체육을 주로 하였다. 체육도 단지 육체의 단련만을 위한 것이 아니고 그 이상의 정신적 도야를 위한 것이었다. 이들 과목은 유희적인 방법으로 가르치게 하였고, 이런 자유로운 학습활동을 하는 가운데 각자의 개성이 발견되게 하였다. 둘째 단계는 17세부터 20세까지로, 이 시기의 교육은 군사훈련의 기초가 되게 하며, 어떤 곤경에도 참아낼 수 있는 강인한 심신을 기르기 위하여 체육만을 전수시킬 것을 주장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성적이 불량한 자는 생산자 계급으로 남게 했다. 셋째 단계는 20세에서 30세까지로, 이 시기에는 철학의 예비교과로써 수학·기하·천문·음악 이론을 체계적으로 배우게 했다. 이 시기에 성적이 불량한 자는 군인으로 남게 했다. 넷째 단계는 30세에서 36세까지로서, 이때에는 전적으로 협의(狹義)의 변증법을 배웠다. 이 시기에는 감각적인 것을 떠나 순수하게 관념적으로 사물의 본질을 취급하는 시기로 설정하였다. 다섯째 단계는 35세에서 50세까지로서, 이 시기를 플라톤은 동굴에 들어가는 시기 로 비유하였다. 이때가 되면 인간은 속세에 나와 군사와 정치를 실습·연구하고, 풍부한 경험과 견문을 쌓는다. 50세 이후에는 평생토록 변증법의 초보적인 대상인 선(善)의 이데아를 연구하고, 교대로 정치를 맡으며 후진을 교육한다. 플라톤이 주장했고 또한 아카데미아 에서 실행한 교육방법은 소크라테스적 방법이었다. 그것은 소피스트들의 논쟁술·궤변술에 빠지는 대화법이 아닌, 자기 성찰과 진리탐구를 위한 방법이며, 생명이 없고 또 문자에 의한 교육이 아닌 살아 있는 말을 존중하는 대화법이었다. 플라톤은 국가(the Republic)에서 인간발달에는 세 가지 국면이 있는데, 그것은 욕망, 정신, 그리고 신성이라고 하였다. 가장 낮은 수준의 욕망(desire)은 오늘날 본능, 욕구, 충동으로도 표현되며, Freud의 정신분석이론에서 말하는 원초아의 개념과도 비슷하다. 플라톤에 의하면 욕망은 주로 신체적 욕구만족과 관련되어 있다. 그 다음 수준인 정신은 용기, 확신, 절제, 인내, 대담과 같은 개념이며, 최고의 수준인 신성은 초자연적이고 영원하며 우주의 본질을 이룬다. 이것은 진정한 의미의 정신으로서 오늘날 이성으로 표현된다. 플라톤은 이미 그 시대에 인간이 성장함에 따라 낮은 수준이 높은 수준으로 대체되는 과정이 발달이라는 생각을 했다. 플라톤에 의하면 3세까지 유아는 공포나 고통, 슬픔의 감정을 경험해서는 안된다고 한다. “유아기는 그 어느 시기보다도 습관에 의해 성격이 뿌리를 내리게 된다.”(Platon, 1953)면서 유아에게 쾌락을 제공하는 것은 아이를 버려놓는 일이라고 주장하였다. 플라톤은 성격형성에 있어서 초기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지만, 살아가면서 여러 가지 경험에 의해 인간의 성격이 수정될 수 있다는 점 또한 인정하였다. 아동기에는 이성이 성숙되지 않기 때문에 아동교육은 주로 음악이나 스포츠 등에 중점을 두고 같은 또래와 어울림으로써 사회성발달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한다. 플라톤은 6세가 되면 “남자아이들은 남자아이들끼리 놀게 하고, 여자아이들은 여자아이들끼리 놀게 하라”고 하면서 성의 분리를 주장하였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전통 아동교육에서의 ‘남녀칠세부동석’ 개념과 유사하다. 청년기가 되면 최고의 국면인 이성이 비로소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때는 이성적,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을 과학이나 수학으로 대체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플라톤은 국가에서 교육철학의 개념을 발전시켰다. 그는 교육을 환경의 영향을 받는 정신의 발달이라고 해석하였다. 플라톤은 이미 그 때 개인차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우리 인간은 각기 다른 능력을 가지고 태어나므로, 각기 적성에 알맞은 일에 종사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Muuss, 1996). 철인 정치론을 전개한 플라톤은 기본적으로 엘리트에 의한 지배를 옹호한다. 일반적으로 귀족정은 평등사회가 아닌 신분사회를 옹호하는 데, 플라톤 또한 신분사회를 옹호한다. 그러나 그가 말하는 귀족정의 궁극적인 목적과 그 실현 양태는 일반적인 귀족정과는 다른 것이었다. 그가 말하는 귀족정에서의 왕은 ‘노블레스 오블리주’와 같은 높은 신분으로써의 도덕적 의무를 중시해야 하는 데, 그 실현은 한가지 예를 들면 왕의 사유재산의 형태로 나타난다. 플라톤은 왕의 사유재산은 오직 공익을 위해서만 쓰여야한다(공유해야 한다)고 했다. 그렇다고 그 밑의 귀족들까지도 사유재산을 공유하자는 것이 아니라, 가장 높은 신분의 상징인 왕이라면 그만큼의 도덕적 의무를 실천해야함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또한 정치 일선을 담당한 일선 ‘귀족’들은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무사 계급에 기반한 귀족 또는 세습에 의한 귀족이 아니라, 철학 지식이 충만한 철학자들을 가리킨다. 그는 ‘지식인에 의한 독재’를 줄곧 주장해왔으며, 시민 계급에 의한 토론 정치인 아테네의 민주정을 ‘우민 정치’라고 비판해 왔다. 뿐만 아니라 그의 ‘네가지 주된 덕’( cardinal virtues )에서는 ‘조화’라는 것을 엿볼 수 있는 데, ‘네가지 주된 덕’에 맞는 각각의 신분이 각자 맡은 일만을 해야하며 그것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서로 다른 일을 한다거나 서민이 전쟁을 한다는 것과 같은 용기를 보이는 것은 플라톤의 관점에선 ‘사회적 부조화’를 야기한다는 것이다. 오늘날 사회주의라고 하면 일컬어지는 마르크스주의 의 철학적 전제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만, 인간은 정치·사회적으로 독립될 수 없는 개인이며, 더 나은 정치·, 사회 체제를 만드려는 것이 인류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진리라고 설파했다. 또한 인간은 더 나은 사회를 구성하기 위해서 이성적 존재 가 되어야 하는 의무 가 부여된 존재라는 목적론적 인간관이란 개념을 만들었기 때문에 초기 관념적 사회주의 기조의 창시자라고 알려졌다. 이 개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으로 계승이 되기도 했다. 현존하는 저작의 대부분은 《대화편》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고, 플라톤의 스승인 소크라테스를 주요 해설자로 한다. 35편의 《대화편》과 13편의 서간은 전통적으로 플라톤의 것으로 여겨졌으나 현대 학자들은 최소한 일부 저작에 대해서는 진위 여부를 의심하고 있다. 플라톤의 저작은 여러 방식으로 간행된 바 있는데, 그에 따라 플라톤의 글을 명명하고 배열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가 되었다. 플라톤의 글을 분류하는 일반적인 방식은 16세기 앙리 에티엔(헨리쿠스 스테파누스)의 플라톤 판본에서 비롯되었다. 또 플라톤의 글을 배열하는 방식으로 4부극에 따르는 전통이 있었는데,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는 이 방식이 고대의 학자이자 티베리우스 황제의 궁정 점성가였던 트라쉬불로스의 것이라고 여겼다. 아래 플라톤의 저작 목록에서 학자간에 플라톤이 쓴 글인지 합의가 되어 있지 않은 책은 (1) 표시를, 그리고 일반적으로 플라톤의 저작이 아닌 것으로 여겨지는 책은 (2) 표시를 달았다. 표시가 없는 저작은 플라톤이 쓴 것으로 여겨진다. :I. 에우튀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II. 크라튈로스, 테아이테토스, 소피스트, 정치가 :III. 파르메니데스, 필레보스, 향연, 파이드로스 :IV. 알키비아데스 1 (1), 알키비아데스 2 (2), 히파르코스 (2), 에라스타이 (2) :V. 테아게스 (2), 카르미데스, 라케스, 뤼시스 :VI. 에우튀데모스, 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메논 :VII. 대 히피아스 (1), 소 히피아스, 이온, 메넥세노스 :VIII. 클레이토폰 (1), 국가, 티마이오스, 크리티아스 :IX. 미노스 (2), 법률, 에피노미스 (2), 편지들 (1) 그 밖에 저작은 플라톤의 이름을 빌었으나 상당수는 고대에 이미 위작으로 여겨졌으며, 트라쉴로스는 자신의 4부극식 저작 배열에서 이런 류를 넣지 않았다. 아래 작품은 "위작"(Notheuomenoi) 또는 "위서"(Apocrypha)라 불린다. 악시오코스 (2), 정의 (2), 데모도코스, 시, 에뤽시아스 (2), 할퀴온 (2), 올바름에 대하여 (2), 덕에 대하여 (2), 시쉬포스 (2) 소크라테스의 변명 * 《소크라테스의 변명》, 강철웅 역, 이제이북스, 2014년. * 《소크라테스의 변론》, 천병희 역, 숲, 2012년. 카르미데스 크리톤 * 《크리톤》, 이기백 역, 이제이북스, 2009년. * 《크리톤》, 천병희 역, 숲, 2012년. 에우튀프론 * 《에우튀프론》, 박종현 역, 서광사, 2003년. 고르기아스 * 《고르기아스》, 김인곤 역, 이제이북스, 2011년. 소 히피아스 대 히피아스 이온 * 《이온》, 천병희 역, 숲, 2014년 라케스 * 《라케스》, 한경자 역, 이제이북스, 2014년. 뤼시스 * 《뤼시스》, 강철웅 역, 이제이북스, 2007년. 프로타고라스 * 《프로타고라스》, 강성훈 역, 이제이북스, 2012년. 크라튈로스 * 《크라튈로스》, 김인곤 이기백 역, 이제이북스, 2007년. 에우튀데모스 * 《에우튀데모스》, 김주일 역, 이제이북스, 2008년. 메논 * 《메논》, 이상인 역, 이제이북스, 2009년. 파르메니데스 * 《파르메니데스》, 송영진 역, 철학과현실사, 2000년. * 플라톤의 다섯 대화편 - 테아이테토스 / 필레보스 / 티마이오스 / 크리티아스 / 파르메니데스, 천병희 역, 도서출판 숲, 2016년. 파이돈 * 《파이돈》, 전헌상 역, 이제이북스, 2013년. * 《파이돈》, 천병희 역, 숲, 2012년. 파이드로스 * 《파이드로스》, 김주일 역, 이제이북스, 2012년. 국가 * 《국가·정체(政體)》, 박종현 역, 서광사, 2005년 개정보증판. 향연 * 《향연》, 강철웅 역, 이제이북스, 2010년. * 《향연》, 천병희 역, 도서출판 숲, 2016년. 테아이테토스 * 《테아이테토스》, 정준영 역, 이제이북스, 2013년. 메넥세노스 * 《메넥세노스》, 이정호 역, 이제이북스, 2008년. 소피스트 * 《소피스트》, 이창우 역, 이제이북스, 2012년. 정치가 * 《정치가》, 김태경 역, 한길사, 2000년. 필레보스 * 《필레보스》, 박종현 역, 서광사, 2004년. * 《필레보스》, 이기백 역, 이제이북스, 2015년. 티마이오스 * 《티마이오스》, 박종현 역, 서광사, 2000년. 크리티아스 * 《크리티아스》, 이정호 역, 이제이북스, 2007년. 법률 * 《법률》, 박종현 역, 서광사, 2009년. * 《법률》, 천병희 역, 도서출판 숲, 2016년. 편지들 * 《편지들》, 강철웅 역, 이제이북스, 2009년. 알키비아데스 1 * 《알키비아데스 1》, 김주일 정준영 역, 이제이북스, 2007년. 알키비아데스 2 * 《알키비아데스 2》, 김주일 정준영 역, 이제이북스, 2007년. 분류:기원전 5세기 태어남 분류:기원전 4세기 죽음 분류:고대 아테네의 철학자 분류:고대 아테네의 시인 분류:고대 그리스의 물리학자 분류:그리스의 노예 분류:정치철학자 분류:사회철학자 분류:교육철학자 분류:예술철학자 분류:법철학자 분류:형이상학자 분류:인식론 학자 분류:윤리학자 분류:플라톤주의자 분류:소크라테스의 학생 분류:기원전 4세기 그리스 사람 분류:기원전 4세기 철학자 분류:기원전 4세기 시인 분류:고대 시라쿠사 분류:그리스 사화집
ISO 639 는 전 세계의 언어 명칭에 고유 부호를 부여하는 국제 표준이다. ISO 639 표준은 몇 개의 세부 표준으로 구성되는데, 이 가운데 두 가지가 현재 발표되어 있고 나머지는 아직 작업 중이다. 세부 표준은 다음과 같다. 표준 명칭 (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 ... ) 관리 기관 초판 작성 연도 최신판 작성 연도 목록 중 항목 수 ISO 639-1 Part 1 Alpha-2 code Infoterm 1967 (ISO 639로서) 2002 184 ISO 639-2 Part 2 Alpha-3 code 미국 의회도서관 1998 1998 450 이상 ISO 639-3 Part 3 Alpha-3 code for comprehensive coverage of languages SIL International 2007 2007 7704 + α ISO 639-4 Part 4 Implementation guidelines and general principles for language coding ISO/TC 37/SC 2 2010-07-16 2010-07-16 (목록 아님) ISO 639-5 Part 5 Alpha-3 code for language families and groups 미국 의회도서관 2008-05-15 2008-05-15 114 ISO 639-6(중단) Part 6 Alpha-4 representation for comprehensive coverage of language variants Geolang 2009-11-17 (중단) 21000+ 언어의 한국어 명칭에 따라 가나다순으로 정리되어 있다. Alpha-3 Alpha-2 한국어 명칭 영어 명칭 프랑스어 명칭 gaa 가어 Ga gay 가요어 Gayo lug lg 간다어 Ganda glg gl 갈리시아어; 갈레고어 galicien gem 게르만어파 (기타) Germanic languages gez 게에즈어 Geez gla gd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Gaelic; Scottish Gaeli got 고트어 Gothic gon 곤드어 Gondi grn gn 과라니어 Guarani guj gu 구자라트어 Gujarati grb 그레보어 Grebo grc 그리스어 (고대) (1453년 이전) Ancient Greek gre/ell el 그리스어 (현대) (1453년 이후) Modern Greek kal kl 그린란드어; 칼랄리수트 Greenlandic; Kalaallisut gba 그바야어 Gbaya gwi 그위친어 Gwich in mis 기타 언어 Miscellaneous languages Alpha-3 Alpha-2 한국어 명칭 영어 명칭 프랑스어 명칭 nav nv 나바호어 Navajo; Navaho nah 나우와틀어; 나와틀어 Nahuatl nau na 나우루어 Nauru ssa 나일사하라어족 (기타) Nilo-Saharan languages nap 나폴리어 Neopolitan sai 남아메리카 인디언 제어 (기타) South American Indian languages dut/nld nl 네덜란드어; 플라망어 Dutch; Flemish dum 네덜란드어 (중세) (1050년-1350년경) Middle Dutch new 네와르어; 네팔바사 Newari; Nepal Bhasa nwc 네와르어 (고전) Classical Newari; Old Newari nep ne 네팔어 Nepali nog 노가이어 Nogai non 노르드어 (고대) Old Norse nor no 노르웨이어 Norwegian nno nn 노르웨이어 (뉘노르스크); 신노르웨이어 Norwegian Nynorsk nob nb 노르웨이어 (보크몰); 덴마크-노르웨이어 Norwegian Bokmål nub 누비아어군 Nubian languages nya ny 니안자어; 체와어; 치체와 Chichewa; Chewa; Nyanja nym 니암웨지어 Nyamwezi nyo 니오로어 Nyoro niu 니우에어 Niuean nic 니제르코르도판어족 (기타) Niger-Kordofanian languages Alpha-3 Alpha-2 한국어 명칭 영어 명칭 프랑스어 명칭 dar 다르과어 ㅅDargwa day 다야크어 Dayak mul 다중 언어 Multiple languages dak 다코타어 Dakota dan da 덴마크어 Danish del 델라웨어어 Delaware doi 도그라어 Dogri dgr 도그리브어 Dogrib ger/deu de 독일어 German goh 독일어 (고대 고지) (750년-1050년경) Old High German gmh 독일어 (중세 고지) (1050년-1500년경) Middle High German dua 두알라어 Duala dyu 듈라어 Dyula dra 드라비다어족 (기타) Dravidian languages div dv 디베히어 Divehi language din 딩카어 Dinka language Alpha-3 Alpha-2 한국어 명칭 영어 명칭 프랑스어 명칭 lad 라디노어; 유대스페인어 Ladino rar 라로통가어 Rarotongan lao lo 라오어 Lao raj 라자스탄어 Rajasthani lav lv 라트비아어 Latvian lat la 라틴어 Latin rap 라파누이어 Rapanui lah 란다어 Lahnda lam 람바어 Lamba rus ru 러시아어 Russian lez 레즈긴어 Lezghian roh rm 로만슈어; 레토로망어; 라이티아 로망스어 Rhaeto-Romance roa 로망스어군 (기타) Romance languages jbo 로지반 Lojban loz 로지어 Lozi qaa-qtz 로컬 사용 예약 Reserved for local use rom 롬어; 로마니어; 집시어 Romany rum/ron ro 루마니아어 Romanian lua 루바룰루아어 Luba-Lulua lub lu 루바카탕가어 Luba-Katanga lus 루샤이어 Lushai rue 루신어 Rusyn luo 루오어 (케냐와 탄자니아) Luo (Kenya and Tanzania) lui 루이세뇨어 Luiseno ltz lb 룩셈부르크어 Luxembourgish; Letzeburgesch lun 룬다어 Lunda run rn 룬디어 Rundi smj 룰레 사미어 Lule Sami kin rw 르완다어; 키냐르완다어 Kinyarwanda lit lt 리투아니아어 Lithuanian lim li 림뷔르흐어 Limburgan; Limburger; Limburgish lin ln 링갈라어 Lingala Alpha-3 Alpha-2 한국어 명칭 영어 명칭 프랑스어 명칭 mag 마가드어; 마가히어 Magahi mno 마노보어군 Manobo languages mni 마니푸르어; 마니푸리어 Manipuri mlg mg 마다가스카르어 Malagasy mad 마두라어 Madurese mar mr 마라티어 Marathi mwr 마르와르어 Marwari chm 마리어 Mari mas 마사이어 Masai mah mh 마셜어 Marshallese myn 마야어족 Mayan languages mao/mri mi 마오리어 Maori mai 마이틸라어; 마이틸리어 Maithili mak 마카사르어 Makasar mac/mkd mk 마케도니아어 Macedonian mdr 만다르어 Mandar man 만데어; 만딩고어 Mandingo mnc 만주어 Manchu mal ml 말라얄람어 Malayalam may/msa ms 말레이어 Malay glv gv 맨어; 맹크스어 Manx men 멘데어 Mende mos 모시어 Mossi mdf 모크샤어 Moksha moh 모호크어 Mohawk mkh 몬크메르어파 (기타) Mon-Khmer languages cnr 몬테네그로어 Montenegrin mol mo 몰도바어 Moldavian; Moldovan mlt mt 몰타어 Maltese lol 몽고어 Mongo mon mn 몽골어 Mongolian hmn 몽어 Hmong mus 무스코지어; 크리크어 Creek mun 문다어파 Munda languages min 미낭카바우어 Minangkabau mwl 미란데어 Mirandese mic 미크맥어 Mi kmaq; Micmac und 미확인 언어 Undetermined Alpha-3 Alpha-2 한국어 명칭 영어 명칭 프랑스어 명칭 bai 바밀레케어계 Bamileke languages bas 바사어 Basa bak ba 바슈키르어 Bashkir baq/eus eu 바스크어 Basque vai 바이어 Vai bar 바바리아어 Bavarian bad 반다어 Banda bnt 반투어군 (기타) Bantu languages bal 발루치어 Baluchi ban 발리어 Balinese bat 발트어파 (기타) Baltic languages bam bm 밤바라어 Bambara bur/mya my 버마어 Burmese ber 베르베르어파 (기타) Berber languages bej 베자어 Beja vie vi 베트남어 Vietnamese ven ve 벤다어 Venda bel be 벨라루스어 Belarusian bem 벰바어 Bemba ben bn 벵골어 Bengali bos bs 보스니아어 Bosnian bho 보지푸르어; 보지푸리어 Bhojpuri vot 보트어 Votic vol vo 볼라퓌크 Volapük bug 부기어 Buginese bua 부리아트어 Buriat nai 북아메리카 인디언 제어 North American Indian languages bul bg 불가리아어 Bulgarian bra 브라지어 Braj bre br 브르타뉴어 Breton bla 블랙풋어; 식시카어 Siksika byn 블린어 Blin; Bilin bin 비니어 Bini bis bi 비슐라마어 Bislama bik 비콜어 Bikol bih bh 비하르어 Bihari Alpha-3 Alpha-2 한국어 명칭 영어 명칭 프랑스어 명칭 srd sc 사르데냐어 Sardinian sam 사마리아 아람어 Samaritan Aramaic smo sm 사모아어 Samoan sma 사미어 (남) Southern Sami smj 사미어 (룰레) Lule Sami sme se 사미어 (북) Northern Sami sms 사미어 (스콜트) Skolt Sami smn 사미어 (이나리) Inari Sami smi 사미어계 (기타) langues sami sas 사사크어 Sasak zap 사포텍어 Zapotec sad 산다웨어 Sandawe san sa 산스크리트어 Sanskrit sat 산탈어 Santali sag sg 상고어 Sango sal 살리시어족 Salishan languages chy 샤이엔어 Cheyenne shn 샨어 Shan srr 세레르어 Serer scc/srp sr 세르비아어 Serbian ceb 세부어; 세부아노어 Cebuano sel 셀쿠프어 Selkup sem 셈어파 (기타) Semitic languages sog 소그드어 Sogdian hsb 소르비아어 (고지) Upper Sorbian dsb 소르비아어 (저지) Lower Sorbian wen 소르비아어계 Sorbian languages som so 소말리어 Somali sot st 소토어 (남) Southern Sotho nso 소토어 (북) Pedi; Sepedi; Northern Sotho son 송가이어 Songhai sna sn 쇼나어 Shona sux 수메르어 Sumerian sus 수수어 Susu sio 수어족 Siouan languages suk 수쿠마어 Sukuma sgn 수화, 각종 Sign languages sun su 순다어 Sundanese ssw ss 스와티어 Swati swa sw 스와힐리어; 키스와힐리어 Swahili swe sv 스웨덴어 Swedish sco 스코트어 Scots spa es 스페인어; 에스파냐어; 카스티야어 Spanish; Castilian chu cu 슬라브어 (고대 교회); 고대 슬라브어; 교회 슬라브어; 고대 불가리아어 sla 슬라브어파 (기타) Slavic languages den 슬레이비어 (아타파스카) Slave (Athapascan) slo/slk sk 슬로바키아어 Slovak slv sl 슬로베니아어 Slovenian sit 시노티베트어족 (기타) Sino-Tibetan languages sid 시다모어 Sidamo syr 시리아어 Syriac scn 시칠리아어 Sicilian snd sd 신드어 Sindhi sin si 싱할라어 Sinhala; Sinhalese iii ii 쓰촨 이어 Sichuan Yi Alpha-3 Alpha-2 한국어 명칭 영어 명칭 프랑스어 명칭 ada 아당메어 Adangme ady 아디게어 Adyghe; Adygei arg an 아라곤어 Aragonese arw 아라와크어 Arawak arn 아라우칸어 Araucanian arp 아라파호어 Arapaho arc 아람어 Aramaic ara ar 아랍어 Arabic arm/hye hy 아르메니아어 Armenian ava av 아바르어 Avar ave ae 아베스타어 Avestan aah 아라페시어, 아부 Arapesh, Abu asm as 아삼어 Assamese ast 아스투리아스어; 바블리어 Asturian; Bable awa 아와드어 Awadhi ain 아이누어 Ainu aym ay 아이마라어 Aymara ice/isl is 아이슬란드어 Icelandic hat ht 아이티 크리올어 Haitian; Haitian Creole gle ga 아일랜드어 Irish sga 고대 아일랜드어 (900년 이전) Old Irish mga 중세 아일랜드어 (900년-1200년경) Middle Irish aze az 아제르바이잔어; 아제리어 Azeri; Azerbaijani ace 아체어 Achinese ach 아촐리어 Acoli akk 아카드어 Akkadian aka ak 아칸어 Akan ath 아타파스카어군 Athapascan languages aar aa 아파르어 Afar apa 아파치 제어 Apache languages afa 아프리카아시아어족; 함셈어족 (기타) Afro-Asiatic languages afr af 아프리칸스어 Afrikaans afh 아프리힐리어 Afrihili xaa 안달루시아 아랍어 عربية أندلسية alg 알공킨어파 Algonquian languages ale 알류트어 Aleut alb/sqi sq 알바니아어 Albanian alt 남부 알타이어 Southern Altai tut 알타이어족 (기타) Altaic languages amh am 암하라어 Amharic abk ab 압하스어; 압수아어 Abkhazian yao 야오어 Yao sah 야쿠트어 Yakut yap 야프어 Yapese myv 에르지아어 Erzya est et 에스토니아어 Estonian epo eo 에스페란토 Esperanto ewo 에원도어; 야운데어 Ewondo ewe ee 에웨어 Ewe eka 에카주크어 Ekajuk language efi 에피크어 Efik elx 엘람어 Elamite eng en 영어 English ang 영어 (고대); 앵글로색슨어 (450년-1100년경) Old English enm 영어 (중세) (1100년-1500년경) Middle English orm om 오로모어; 갈라어 Oromo ori or 오리야어 Oriya osa 오세이지어 Osage oss os 오세트어 Ossetian; Ossetic aus 오스트레일리아어족 Australian languages map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기타) Austronesian languages oji oj 오지브와어 Ojibwa oci oc 오크어; 옥시탕; 랑그도크어; 프로방스어 (1500년 이후) Occitan; Provençal oto 오토미어군 Otomian languages war 와라이어 Waray was 와쇼어 Washo wak 와카시어족 Wakashan languages wal 왈라모어; 월라이타어 Walamo wln wa 왈론어 Walloon yor yo 요루바어 Yoruba uga 우가리트어 Ugaritic udm 우드무르트어 Udmurt urd ur 우르두어 Urdu uzb uz 우즈베크어 Uzbek ukr uk 우크라이나어 Ukrainian umb 움분두어 Umbundu wol wo 월로프어 Wolof wel/cym cy 웨일스어 Welsh uig ug 위구르어 Uighur jrb 유대아랍어 Judeo-Arabic jpr 유대페르시아어 Judeo-Persian ypk 유피크어군 Yupik languages nbl nr 은데벨레어 (남) South Ndebele nde nd 은데벨레어 (북) North Ndebele ndo ng 은동가어 Ndonga nzi 은제마어 Nzima nyn 은콜레어; 니안콜레어 Nyankole ibo ig 이그보어 Igbo iku iu 이누크티투트어 Inuktitut ipk ik 이누피아크어; 북부 이누이트어 Inupiaq ido io 이도 Ido yid yi 이디시어 Yiddish ira 이란어군 (기타) Iranian languages iro 이로쿼이어족 Iroquoian languages iba 이반어 Iban ijo 이조어 Ijo egy 이집트어 (고대) Ancient Egyptian ita it 이탈리아어 Italian art 인공 언어 (기타) Artificial languages inh 인구시어 Ingush ind id 인도네시아어 Indonesian inc 인도아리아어군 (기타) Indic languages ine 인도유럽어족 (기타) Indo-European languages ina ia 인테르링구아 (국제보조어협회) Interlingua (International Auxiliary Language Association) ine ie 인테르링구에; 옥시덴탈 Interlingue ilo 일로코어; 일로카노어 Iloko jpn ja 일본어 Japanese Alpha-3 Alpha-2 한국어 명칭 영어 명칭 프랑스어 명칭 jav jv 자바어 Javanese znd 잔데어; 아잔데어 Zande nds 저지 색슨어; 저지 독일어 Low German; Low Saxon zen 제나가어 Zenaga geo/kat ka 조지아어 Georgian dzo dz 종카어 Dzongkha zha za 좡어 Zhuang; Chuang zun 주니어 Zuni zul zu 줄루어 Zulu chi/zho zh 중국어 Chinese cai 중앙아메리카 인디언 제어 (기타) Central American Indian languages Alpha-3 Alpha-2 한국어 명칭 영어 명칭 프랑스어 명칭 chg 차가타이어 Chagatai cha ch 차모로어 Chamorro cmc 참어군 Chamic languages chr 체로키어 Cherokee che ce 체첸어 Chechen cze/ces cs 체코어 Czech cho 촉토어 Choctaw tso ts 총가어 Tsonga chv cv 추바슈어 Chuvash chk 추크어; 트루크어 Chuukese tsn tn 츠와나어 Tswana chn 치누크 통상어 Chinook jargon chb 치브차어 Chibcha chp 치페위안어 Chipewyan tsi 침시아어 Tsimshian Alpha-3 Alpha-2 한국어 명칭 영어 명칭 프랑스어 명칭 kau kr 카누리어 Kanuri cad 카도어 Caddo krc 카라차이발카르어 Karachay-Balkar kaa 카라칼파크어 Kara-Kalpak kar 카렌어 Karen car 카리브어 Carib kbd 카바르디아어 Kabardian kab 카빌어 Kabyle kas ks 카슈미르어 Kashmiri csb 카슈브어 Kashubian kha 카시어 Khasi kaw 카위어 Kawi kaz kk 카자흐어 Kazakh kac 카친어 Kachin cat ca 카탈루냐어; 카탈란 Catalan cau 카프카스 제어 (기타) Caucasian languages kan kn 칸나다어 Kannada xal 칼미크어 Kalmyk; Oirat kam 캄바어 Kamba que qu 케추아어 Quechua cel 켈트어파 (기타) Celtic languages cos co 코르시카어 Corsican kom kv 코미어 Komi xho xh 코사어 Xhosa kus 코스라에어; 쿠사이에어 Kosraean khi 코이산어족 (기타) Khoisan languages cor kw 콘월어 Cornish kok 콘칸어 Konkani cop 콥트어 Coptic kon kg 콩고어 Kongo kua kj 콰냐마어 Kuanyama; Kwanyama kru 쿠루크어 Kurukh kur ku 쿠르드어 Kurdish kum 쿠미크어 Kumyk cus 쿠시어파 (기타) Cushitic languages kut 쿠테나이어 Kutenai scr/hrv hr 크로아티아어 Croatian kro 크루어 Kru cpe 크리올어 및 피진 (영어를 바탕으로 한 기타) English-based creoles and pidgins crp 크리올어 및 피진 (이외의 언어를 바탕으로 한 기타) other creoles and pidgins cpp 크리올어 및 피진 (포르투갈어를 바탕으로 한 기타) Portuguese-based creoles and pidgins cpf 크리올어 및 피진 (프랑스어를 바탕으로 한 기타) French-based creoles and pidgins cre cr 크리어 Cree crh 크림 타타르어; 크림 튀르크어 Crimean Turkish; Crimean Tatar khm km 크메르어 Khmer kpe 크펠레어 Kpelle tlh 클링온어 Klingon; tlhIngan-Hol kir ky 키르기스어 Kirghiz gil 키리바스어 Gilbertese kik ki 키쿠유어; 기쿠유어 Kikuyu; Gikuyu Alpha-3 Alpha-2 한국어 명칭 영어 명칭 프랑스어 명칭 tgl tl 타갈로그어 Tagalog tmh 타마셰크어 Tamashek tam ta 타밀어 Tamil tai 타이어군 (기타) Tai languages tgk tg 타지크어 Tajik tat tt 타타르어 Tatar tah ty 타히티어 Tahitian tha th 태국어 Thai tur tr 터키어; 튀르크어 Turkish ter 테레나어; 테레노어 Tereno tet 테툼어 Tetum tel te 텔루구어 Telugu tem 템네어 Timne tpi 톡피신어 Tok Pisin tog 통가어 (니아사) Tonga (Nyasa) ton to 통가어 (통가 제도) Tonga (Tonga Islands) tuk tk 투르크멘어 Turkmen tvl 투발루어 Tuvalu tup 투피어족 Tupi languages tyv 투바어 Tuvinian tum 툼부카어 Tumbuka ota 튀르크어 (오스만); 오스만 투르크어 (1500년경-1928년) Ottoman Turkish twi tw 트위어 Twi tli 틀링깃어 Tlingit tig 티그레어 Tigre tir ti 티그리냐어 Tigrinya tib/bod bo 티베트어 Tibetan tiv 티브어 Tiv Alpha-3 Alpha-2 한국어 명칭 영어 명칭 프랑스어 명칭 pus ps 파슈토어 Pushto paa 파푸아 제어 (기타) Papuan languages pap 파피아멘토어 Papiamento fat 판티어 Fanti pau 팔라우어 Palauan pal 팔레비어 Pahlavi pli pi 팔리어 Pali pam 팜팡가어; 카팜팡가어 Pampanga pag 팡가시난어 Pangasinan fan 팡어 Fang pan pa 펀자브어 Panjabi; Punjabi phn 페니키아어 Phoenician fao fo 페로어 Faroese per/fas fa 페르시아어; 파르시어 Persian peo 페르시아어 (고대) (BC 600년-BC 400년경) Old Persian por pt 포르투갈어 Portuguese fon 폰어 Fon pon 폰페이어; 포나페어 Pohnpeian pol pl 폴란드어 Polish ful ff 풀라어 Fulah; Fulani pra 프라크리트 제어 Prakrit languages fre/fra fr 프랑스어 French fro 프랑스어 (고대) (842년-1400년경) Old French frm 프랑스어 (중세) (1400년-1600년경) Middle French pro 프로방스어 (고대) (1500년 이전) Old Provençal fry fy 프리지아어 Frisian fij fj 피지어 Fijian 피지 힌디어 Fiji Hindi fin fi 핀란드어 Finnish fiu 핀우고르어파 (기타) Finno-Ugrian languages fil 필리핀어 Filipino; Pilipino phi 필리핀 제어 (기타) Philippine languages Alpha-3 Alpha-2 한국어 명칭 영어 명칭 프랑스어 명칭 haw 하와이어 Hawaiian hau ha 하우사어 Hausa hai 하이다어 Haida kor ko 한국어 Korean hun hu 헝가리어 Hungarian her hz 헤레로어 Herero kho 호탄어 Khotanese hup 후파어 Hupa hmo ho 히리 모투어 Hiri Motu him 히마찰어 Himachali heb he 히브리어 Hebrew hit 히타이트어 Hittite hin hi 힌디어 Hindi hil 힐리가이노어 Hiligaynon ISO 639에 관한 전반적 안내 #00639 분류:식별자 분류:국제화와 지역화
진주만 공격 (은 미국 하와이주 오아후 섬의 미국 해군 진주만 기지를 일본 해군이 기습한 공격이다. 1941년 12월 7일 아침, 일본 해군이 진주만에 대한 공격을 가했다. 하와이주 오아후 섬에 위치한 진주만에 대한 기습 공격은 미국 태평양 함대와 이를 지키는 공군과 해병대를 대상으로 감행 되었다. 이 공격으로 12척의 미 해군 함선이 피해를 입거나 침몰했고, 188대의 비행기가 격추되거나 손상을 입었으며 2,335명의 군인과 68명의 민간인 사망자가 나왔다. 야마모토 이소로쿠 사령관은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의 시작으로 폭격을 계획하였고, 나구모 주이치 부사령관이 지휘를 맡았다. 일본군은 이 작전에서 64명의 희생자를 내었다. 항구에 있지 않았던 태평양 함대의 항공모함 3척과 유류 보관소와 병기창 등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 미국은 이와 같은 자원을 이용해서 6개월에서 1년 사이에 원상복구를 할 수 있었다. 미국 국민들은 진주만 공격을 배신행위로 보고, 일본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일치단결하여 복구에 전력을 기울였으며, 이는 훗날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이어졌다. 진주만 공격은 진주만 폭격, 진주만 전투 등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진주만 공격 또는 단순히 진주만 이라고 더 자주 불린다. 일본은 만주를 점령한 몇 년 뒤인 1937년부터 중국과 전쟁을 하고 있었다(중일전쟁). 1941년에는 일본과 미국과의 오래된 긴장이 더 고조되었다. 미국과 영국은 일본에 무기 제조에 필요한 고철 수출을 금지했으며, 석유 수출 금지, 미국 내 일본 재산 동결, 일본 선박의 파나마 운하 통과 거부로 중국 내에서의 군사행동을 위축시키고자 했다. 1941년 11월 26일의 헐 노트를 마지막으로 외교적 노력은 절정에 다다랐고, 도조 히데키 수상은 자신의 각료들에게 이것이 최후통첩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석유 봉쇄는 유전이 없어서 대부분의 석유를 미국과 인도네시아에서 수입하던 일본에게 치명적인 위협이었다. 일본의 지도자들은 세 가지의 선택을 할 수 있었다. 미국과 영국의 요구에 응하여 중국에서 철수하는 것. 유류 부족이 군사력 약화를 가져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 충돌을 확대하여 동남아시아의 자원 획득을 시도하는 것. 일본의 지도자들은 이 세 가지 중에 마지막을 선택하였다. 진주만 공격의 목표는 미국의 태평양에서의 해군력을 무력화하여 전면전이나 동시 다발적인 준비된 공격을 잠시나마 막는 것이었다. 11월 26일은 일본의 연합 함대가 진주만을 향해 출정한 날이다. 일본은 미국이 제시한 헐 통지문 내용과 상관없이 그 이전부터 전쟁을 준비해 왔었다. 그 근거로 일본이 전쟁을 준비한다는 보고서를 주일 미국 대사관의 조지프 그루(Joseph Grew) 대사가 본국에 송신하였으나, 유럽 내 전쟁 문제에 몰두하던 미국 정부는 그것을 묵살하였다. 250px 일본군의 공격 임박설에 대한 사전 정보들은 많았으나, 아무도 이 정보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1941년 1월 주일대사 조셉 그류는 일본군의 진주만 공격 계획 정보를 입수했다. 공격개시 수시간 전에 진주만 외곽에서 한 대의 잠수함이 발견되고 다른 한 대는 원인 불명인 채 침몰되었으며, 오아우 북쪽 해안 레이다 기지에서는 거대한 비행물체가 포착되었다. 많은 관리들은 일본군의 공격임박설을 알고 있었으나, 그 대상이 일본으로부터 5,000 마일 떨어진 진주만이 아닌 필리핀이라고 생각했다. 1941년 진주만의 일요일 아침은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하루의 일과가 진행되었지만, 진주만 북쪽 200마일에서는 차가운 물살을 가르며 항진하는 항모 위에서 항공기들이 발진하고 있었다. 일본군 항공기의 라디오에는 하와이 방송국에서 흘러 나오는 달콤한 음악이 들려 오고, 하늘에는 구름 한점 없어서 공격 목표물을 훤히 볼 수가 있었다고 그 당시 공격에 참가했던 일본제국 해군 소좌 미쯔오 후지다(Mitsuo Fuchida)는 회고했다. 심지어, 레이다에 일본군 전투기와 폭격기가 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군은 당일 아침녘에 오기로 한 B-17 폭격편대로 오인하게 된다. 다만 당시 일본군 함재기는 항공모함의 위치가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크게 우회해 진주만의 북동쪽 방향에서 접근하였기 때문에 충분히 오인의 여지가 있었으며, 실제로 이후 군사재판에서도 당시 근무자들에 대한 태만을 적용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함명 종류 번호 기준 배수량 (톤) 비고 네바다 전함 BB-36 27,500 1942년 2월 12일 인양. 수리 후에 1942년 12월 전열 복귀 오클라호마 전함 BB-37 27,500 1943년 12월 28일 인양.1946년 12월 해체를 위해 본토로 이동 중 1947년 5월 17일 태풍으로 침몰 애리조나 전함 BB-39 32,100 인양포기. 1961년 침몰 위치에 기념관 설립 캘리포니아 전함 BB-44 37,000 1942년 3월 24일 인양. 수리 후 1943년 10월 전열 복귀 웨스트버지니아 전함 BB-48 32,600 1942년 6월 8일 인양. 수리 후 1944년 7월 전열 복귀 오글라라 기뢰 부설함 CM-4 3,746 1942년 7월 3일 인양. 수리 후 1944년 2월 28일 전열 복귀 유타 표적함 AG-16 21,825 인양 포기. 원래 전함이었으나 1931년 연습 표적함으로 개조 합계 7척 182,271톤 함명 종류 번호 기준 배수량 (톤) 비고 펜실베이니아 전함 BB-38 31,400 진주만에서 수리 후 1942년 8월 전열 복귀 테네시 전함 BB-43 37,000 진주만에서 수리 후 미국 본토에서 현대식으로 개장. 1944년 2월 전열 복귀 메릴랜드 전함 BB-46 32,600 1941년 12월 20일 인양되어 수리 후 전열 복귀 롤리 경순양함 CL-7 7,450 1942년 2월, 미국 본토로 이동하여 수리. 수리 후 전열 복귀 호놀룰루 경순양함 CL-48 10,000 1942년 1월 2일, 진주만에서 수리 후 전열 복귀 헬레나 경순양함 CL-50 10,000 1942년 1월 5일, 진주만에서 수리 후 전열 복귀 캐신 구축함 DD-372 1,500 미국 본토에서 수리 후 1944년 2월 전열 복귀 쇼 구축함 DD-373 1,500 미국 본토에서 수리 후 1942년 가을 전열 복귀 다운스 구축함 DD-375 1,500 미국 본토에서 수리 후 1943년 11월부터 전열 복귀 커티스 수상기 모함 AV-4 8,625 1942년 5월 말, 진주만에서 수리 완료 후 전열 복귀 베스탈 공작함 AR-4 8,100 1942년 2월 말, 진주만에서 수리 완료 후 전열 복귀 합계 11척 149,675톤 루즈벨트 대통령은 12월 7일을 치욕의 날로 선포했고, 그로부터 3일 뒤 미국 의회는 전쟁을 선포했으며 미국인들은 일본이 본토로 쳐들어 올 것을 대비해 전쟁 준비를 했고, 애국심에 군대에 자원하는 사람도 많아졌다. 한인들은 진주만 공격 이후 일본인에게 반감을 사게된 미국의 생각을 반겼으며 미 정부에 한인으로 구성된 미 육군부대를 훈련시켜줄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캘리포니아주 방위군 휴스 대령은 한인 중대를 조직하는데 협조해 주겠다는 약속을 해왔으며 이에 나이가 18세부터 64세까지인 한인들 50명이 지원했고 중국인들과 필리핀인들도 가세하여 동양인 대대가 구성 되었다. 이 대대의 이름은 맹호군 이었고 대대장은 김용성이었다. 맹호군의 정식 인가가 1942년 4월 26일에 나왔고 대대기가 수여되었다. 태평양 전쟁 발발과 관련하여 미국이 일본의 공격을 유도했다는 소위 “음모론”이 떠돌고 있고, 그중 하나가 진주만 공격 당시 미 해군이 일부러 격침되어도 상관없는 구식 전함들만을 배치했다는 주장이 있다. 실제로 애리조나호 등 정박 중이던 미군 전함들은 1941년 기준으로 취역한 지 30년 가까이 된 전함이었다. 가장 젊은 편인 애리조나호도 취역 연도가 1915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당시 상황을 모르는 오해에 불과하다. 미군은 1922년 워싱턴 군축 조약에 따라 1920년대 이후에 신형 전함을 한 척도 건조하지 못했다. 워싱턴 군축 조약 결과 미국을 비롯한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은 일정한 비율의 전함만을 보유할 수 있었을뿐더러 신형함 건조는 제한되었다. 이미 건조 중이던 전함 및 대형 중순양함은 1920년대에 항공모함으로 용도 변경되었다(1920년대와 30년대에 각국이 항공모함을 취역시킨 원인은 항공모함의 가치에 주목했기 때문이 아니었다). 일찌감치 군축 조약에서 탈퇴한 일본은 신형함 건조를 1930년대 초부터 진행해 왔으나, 미국은 1937년 이후부터 서둘러 신형함 건조를 시작했고, 1941년 12월까지 신규 건조된 최신형 전함은 단 2척이었다. 위의 피해 현황에도 나오지만, 전쟁 초기 군함이 부족했던 미국은 가능한 한 인양하여 수리한 후에 재투입했다. 문제가 된 구식 전함 가운데 애리조나호와 연습 표적함이던 유타호를 제외한 나머지 전함은 모두 일선에 복귀하였다. 뒤늦게 신형함 건조를 시작한 탓에 가용 가능한 군함은 구식함뿐이었던 미군이었지만, 일본군은 그 함대가 두려워 조기에 기습했던 것이다. 참고로 신형함 건조 시작 이후에도 미군은 전함이 모자라 진주만 공격 당시 파손된 구식 전함을 수리해서 다시 전투에 투입했다. 특히, 만약 미군이 일본의 공격을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었다면, 굳이 일본이 진주만을 습격하게 둘 필요도 없이 차라리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중간 해역에서 요격하여 참전 명분은 명분대로 얻고 훨씬 적은 피해로 일본을 무력화할 수 있었을 것이나, 실제로는 진주만이 궤멸만 간신히 면할 정도로 큰 타격을 입었다는 점에서도 미국이 일본의 공격을 유도했다는 설은 신빙성이 부족하다. 일본의 진주만 공격후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일본인들은 큰 반감을 사게 되었다. 미국 정부는 이들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일본인수용소를 만들었고, 전쟁이 끝날때까지 일본인들을 강제수용시켰다. 당시 미국 내에 거주하던 한국인들도 일본인으로 분류되어 강제수용되었다. 진주만에 있는 애리조나호 기념관(USS Arizona Memorial)은 진주만 공격때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애리조나호의 이름을따서 만들었다. 애리조나호는 그 당시 공격을 받은 지 불과 9분만에 침몰하였고, 총 인명피해 2403명중 1177명이 이곳에서 일어났다. 선체를 옮기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가 그 위에 기념관을 만들었다. 이 기념관을 설계한 사람은 알프레드 프레이스이고 2차 세계대전 당시의 대통령인 루즈벨트가 1958년에 기념관 창설을 허용해서 그로부터 3년 후에 완공되었다. 도라 도라 도라 진주만 일본의 비밀첩보원 - 진주만 공격후 미국에서 제작된 첫 반일(反日)영화 맥컬럼 메모 진주만 사전인지 음모론 헐 노트 리하르트 조르게 한길수 The Attack on Pearl Harbor An Illustrated History by Larry Kimmett and Margaret Regis is a careful recreation of the "Day of Infamy" using maps, photos, unique illustrations, and an animated CD. From the early stages of Japanese planning, through the attack on Battleship Row, to the salvage of the U.S. Pacific fleet, this book provides a detailed overview of the attack. At Dawn We Slept The Untold Story of Pearl Harbor by Gordon W. Prange is an extremely comprehensive account of the events leading up to the Pearl Harbor attack and is considered by most scholars to be the best single work about the raid. It is a balanced account that gives both the Japanese and American perspectives. Prange spent 37 years researching the book by studying documents about Pearl Harbor and interviewing surviving participants to attempt the most exhaustive account of what happened the Japanese planning and execution, why US intelligence failed to warn of it, and why a peace agreement was not attained. The book is the first in the so-called "Prange Trilogy" of Pearl Harbor books co-written with Donald Goldstein and Katherine Dillon, the other two being * Pearl Harbor The Verdict of History – a dissection of the various revisionist theories surrounding the attack. * 1941년 12월 7일 The Day The Japanese Attacked Pearl Harbor – a recollection of the attack as narrated by eyewitnesses. Day of Infamy by Walter Lord was one of the most popular nonfiction accounts of the attack on Pearl Harbor. Pearl Harbor Final Judgment by Henry C. Clausen and Bruce Lee tells of Clausen s top-secret investigation of the events leading up to the Pearl Harbor attack. Much of the information in this book was still classified when previous books were published. Pearl Harbor Countdown Admiral James O. Richardson by Skipper Steely is an insightful and detailed account of the events leading up to the attack. Through his comprehensive treatment of the life and times of Admiral James O. Richardson, Steely explores four decades of American foreign policy, traditional military practice, U.S. intelligence, and the administrative side of the military, exposing the largely untold story of the events leading up to the Japanese attack. Pearl Harbor Papers Inside the Japanese Plans , released by Goldstein and Dillon in 1993, used materials from Prange s library to further flesh out the Japanese perspective of the attack, including diaries from some officers and ship logs. Pearl Harbor The Seeds and Fruits of Infamy by Percy L. Greaves, Jr. The first part provides a detailed history of pre-war U.S.-Japan relations, documenting the sources of rising tension. The second part suggests that the attack on Pearl Harbor was neither unexpected nor unprovoked. 책 U.S. Government Documents Magazine articles (requires subscription) Online sources George Edward Morgenstern. Pearl Harbor The Story of the Secret War . (The Devin-Adair Company, 1947) . The detailed analysis and documentation of event and its many boards of enquiry set up at this time. James Dorsey. "Literary Tropes, Rhetorical Looping, and the Nine Gods of War Fascist Proclivities Made Real," in The Culture of Japanese Fascism , ed. by Alan Tansman (Durham & London Duke UP, 2009), pp 409–431. A study of Japanese wartime media representations of the submarine component of the attack on Pearl Harbor. McCollum memo A 1940 memo from a Naval headquarters staff officer to his superiors outlining possible provocations to Japan, which might lead to war (declassified in 1994). Gordon W. Prange, At Dawn We Slept (McGraw-Hill, 1981), Pearl Harbor The Verdict of History (McGraw-Hill, 1986), and 1941년 12월 7일 The Day the Japanese Attacked Pearl Harbor (McGraw-Hill, 1988). This monumental trilogy, written with collaborators Donald M. Goldstein and Katherine V. Dillon, is considered the authoritative work on the subject. Larry Kimmett and Margaret Regis, The Attack on Pearl Harbor An Illustrated History (NavPublishing, 2004). Using maps, photos, unique illustrations, and an animated CD, this book provides a detailed overview of the surprise attack that brought the United States into World War II. Walter Lord, Day of Infamy (Henry Holt, 1957) is a very readable, and entirely anecdotal, re-telling of the day s events. W. J. Holmes, Double-Edged Secrets U.S. Naval Intelligence Operations in the Pacific During World War II (Naval Institute, 1979) contains some important material, such as Holmes argument that, had the U.S. Navy been warned of the attack and put to sea, it would have likely resulted in an even greater disaster. Michael V. Gannon, Pearl Harbor Betrayed (Henry Holt, 2001) is a recent examination of the issues surrounding the surprise of the attack. Frederick D. Parker, Pearl Harbor Revisited United States Navy Communications Intelligence 1924–1941 (Center for Cryptologic History, 1994) contains a detailed description of what the Navy knew from intercepted and decrypted Japan s communications prior to Pearl. Henry C. Clausen and Bruce Lee, Pearl Harbor Final Judgment , (HarperCollins, 2001), an account of the secret "Clausen Inquiry" undertaken late in the war by order of Congress to Secretary of War Henry L. Stimson. Robert A. Theobald, Final Secret of Pearl Harbor (Devin-Adair Pub, 1954) Foreword by Fleet Admiral William F. Halsey, Jr. Albert C. Wedemeyer, Wedemeyer Reports! (Henry Holt Co, 1958) Hamilton Fish, Tragic Deception FDR and America s Involvement in World War II (Devin-Adair Pub, 1983) John Toland, Infamy Pearl Harbor and Its Aftermath (Berkley Reissue edition, 1986 ). Robert Stinnett, Day of Deceit The Truth About FDR and Pearl Harbor (Free Press, 1999) A study of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documents that led Congress to direct clearance of Kimmel and Short. Edward L. Beach, Jr., Scapegoats A Defense of Kimmel and Short at Pearl Harbor Andrew Krepinevich, (Center for Strategic and Budgetary Assessments) contains a passage regarding the Yarnell attack, as well as reference citations. Roberta Wohlstetter, Pearl Harbor Warning and Decision ,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2). Regarded by many as the most important work in the attempt to understand the intelligence failure at Pearl Harbor. Her introduction and analysis of the concept of "noise" persists in understanding intelligence failures. John Hughes-Wilson, Military Intelligence Blunders and Cover-Ups . Robinson, 1999 (revised 2004). Contains a brief but insightful chapter on the particular intelligence failures, and broader overview of what causes them. Douglas T. Shinsato and Tadanori Urabe, "For That One Day The Memoirs of Mitsuo Fuchida, Commander of the Attack on Pearl Harbor". (eXperience 2011) Seki, Eiji. (2006). Mrs. Ferguson s Tea-Set, Japan and the Second World War The Global Consequences Following Germany s Sinking of the SS Automedon in 1940. London Global Oriental. (cloth) Published by BRILL/Global Oriental, 2006. Previously announced as Sinking of the SS Automedon and the Role of the Japanese Navy A New Interpretation . Daniel Madsen, Resurrection-Salvaging the Battle Fleet at Pearl Harbor . U.S. Naval Institute Press. 2003. Highly readable and thoroughly researched account of the aftermath of the attack and the salvage efforts from 1941년 12월 8일 through early 1944. Takeo, Iguchi, Demystifying Pearl Harbor A New Perspective From Japan , I-House Press, 2010, ASIN B003RJ1AZA. "Remembering Pearl Harbor:The USS Arizona Memorial", a National Park Service Teaching with Historic Places (TwHP) lesson plan Hawaii War Records Depository, Archives & Manuscripts Department,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Library Pearl Harbor 1941년 12월 7일 – slideshow by Life magazine 7 December 1941, The Air Force Story The "Magic" Background (PDFs or readable online) The Congressional investigation 사이트 Guarding The United States And Its Outposts, in Guarding the United States and Its Outposts Official U.S. Army history of Pearl Harbor by the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War comes to Hawaii Honolulu Star-Bulletin , Monday, 1999년 9월 13일 미디어 자료 Video of first Newsreel from 1941년 12월 23일 attack on Pearl Harbor Attack on Pearl Harbor 1, Nippon News , No. 82. in the official website of NHK. Attack on Pearl Harbor 2, Nippon News , No. 84. in the official website of NHK. Historic footage of Pearl Harbor during and immediately following attack on 1941년 12월 7일 역사적 기록물 WW2DB US Navy Report of Japanese Raid on Pearl Harbor Second World War – USA Declaration of War on Japan. Collection of extensive Japanese preparation military documents 분류:1941년 미국 분류:1941년 일본 분류:1941년 분쟁 분류:미국의 전투 분류:일본의 전투 분류:태평양 전쟁의 전투 분류:미국-일본 관계 분류:하와이주의 역사 분류:태평양 전쟁의 해전 분류:1941년 12월
X11 색 이름 은 X 윈도 시스템에서 RGB 색에 대응하는 이름을 말한다. 아래 표는 CSS에서 사용되는 색상 이름 목록이다. 색 이름 256 복합수 16진수 코드 Snow 255 250 250 #FFFAFA GhostWhite 248 248 255 #F8F8FF WhiteSmoke 245 245 245 #F5F5F5 Gainsboro 220 220 220 #DCDCDC FloralWhite 255 250 240 #FFFAF0 OldLace 253 245 230 #FDF5E6 Linen 250 240 230 #FAF0E6 AntiqueWhite 250 235 215 #FAEBD7 PapayaWhip 255 239 213 #FFEFD5 BlanchedAlmond 255 235 205 #FFEBCD Bisque 255 228 196 #FFE4C4 PeachPuff 255 218 185 #FFDAB9 NavajoWhite 255 222 173 #FFDEAD Moccasin 255 228 181 #FFE4B5 Cornsilk 255 248 220 #FFF8DC Ivory 255 255 240 #FFFFF0 LemonChiffon 255 250 205 #FFFACD Seashell 255 245 238 #FFF5EE Honeydew 240 255 240 #F0FFF0 MintCream 245 255 250 #F5FFFA Azure 240 255 255 #F0FFFF AliceBlue 240 248 255 #F0F8FF lavender 230 230 250 #E6E6FA LavenderBlush 255 240 245 #FFF0F5 MistyRose 255 228 225 #FFE4E1 White 255 255 255 #FFFFFF Black 0 0 0 #000000 DarkSlateGray 47 79 79 #2F4F4F DimGray 105 105 105 #696969 SlateGray 112 128 144 #708090 LightSlateGray 119 136 153 #778899 Gray 190 190 190 #BEBEBE LightGray 211 211 211 #D3D3D3 MidnightBlue 25 25 112 #191970 NavyBlue 0 0 128 #000080 CornflowerBlue 100 149 237 #6495ED DarkSlateBlue 72 61 139 #483D8B SlateBlue 106 90 205 #6A5ACD MediumSlateBlue 123 104 238 #7B68EE LightSlateBlue 132 112 255 #8470FF MediumBlue 0 0 205 #0000CD RoyalBlue 65 105 225 #4169E1 Blue 0 0 255 #0000FF DodgerBlue 30 144 255 #1E90FF DeepSkyBlue 0 191 255 #00BFFF SkyBlue 135 206 235 #87CEEB LightSkyBlue 135 206 250 #87CEFA SteelBlue 70 130 180 #4682B4 LightSteelBlue 176 196 222 #B0C4DE LightBlue 173 216 230 #ADD8E6 PowderBlue 176 224 230 #B0E0E6 PaleTurquoise 175 238 238 #AFEEEE DarkTurquoise 0 206 209 #00CED1 MediumTurquoise 72 209 204 #48D1CC Turquoise 64 224 208 #40E0D0 Cyan 0 255 255 #00FFFF LightCyan 224 255 255 #E0FFFF CadetBlue 95 158 160 #5F9EA0 MediumAquamarine 102 205 170 #66CDAA Aquamarine 127 255 212 #7FFFD4 DarkGreen 0 100 0 #006400 DarkOliveGreen 85 107 47 #556B2F DarkSeaGreen 143 188 143 #8FBC8F SeaGreen 46 139 87 #2E8B57 MediumSeaGreen 60 179 113 #3CB371 LightSeaGreen 32 178 170 #20B2AA PaleGreen 152 251 152 #98FB98 SpringGreen 0 255 127 #00FF7F LawnGreen 124 252 0 #7CFC00 Green 0 255 0 #00FF00 Chartreuse 127 255 0 #7FFF00 MedSpringGreen 0 250 154 #00FA9A GreenYellow 173 255 47 #ADFF2F LimeGreen 50 205 50 #32CD32 YellowGreen 154 205 50 #9ACD32 ForestGreen 34 139 34 #228B22 OliveDrab 107 142 35 #6B8E23 DarkKhaki 189 183 107 #BDB76B PaleGoldenrod 238 232 170 #EEE8AA LtGoldenrodYello 250 250 210 #FAFAD2 LightYellow 255 255 224 #FFFFE0 Yellow 255 255 0 #FFFF00 Gold 255 215 0 #FFD700 LightGoldenrod 238 221 130 #EEDD82 goldenrod 218 165 32 #DAA520 DarkGoldenrod 184 134 11 #B8860B RosyBrown 188 143 143 #BC8F8F IndianRed 205 92 92 #CD5C5C SaddleBrown 139 69 19 #8B4513 Sienna 160 82 45 #A0522D Peru 205 133 63 #CD853F Burlywood 222 184 135 #DEB887 Beige 245 245 220 #F5F5DC Wheat 245 222 179 #F5DEB3 SandyBrown 244 164 96 #F4A460 Tan 210 180 140 #D2B48C Chocolate 210 105 30 #D2691E Firebrick 178 34 34 #B22222 Brown 165 42 42 #A52A2A DarkSalmon 233 150 122 #E9967A Salmon 250 128 114 #FA8072 LightSalmon 255 160 122 #FFA07A Orange 255 165 0 #FFA500 DarkOrange 255 140 0 #FF8C00 Coral 255 127 80 #FF7F50 LightCoral 240 128 128 #F08080 Tomato 255 99 71 #FF6347 OrangeRed 255 69 0 #FF4500 Red 255 0 0 #FF0000 HotPink 255 105 180 #FF69B4 DeepPink 255 20 147 #FF1493 Pink 255 192 203 #FFC0CB LightPink 255 182 193 #FFB6C1 PaleVioletRed 219 112 147 #DB7093 Maroon 176 48 96 #B03060 MediumVioletRed 199 21 133 #C71585 VioletRed 208 32 144 #D02090 Magenta 255 0 255 #FF00FF Violet 238 130 238 #EE82EE Plum 221 160 221 #DDA0DD Orchid 218 112 214 #DA70D6 MediumOrchid 186 85 211 #BA55D3 DarkOrchid 153 50 204 #9932CC DarkViolet 148 0 211 #9400D3 BlueViolet 138 43 226 #8A2BE2 Purple 160 32 240 #A020F0 MediumPurple 147 112 219 #9370DB Thistle 216 191 216 #D8BFD8 Snow1 255 250 250 #FFFAFA Snow2 238 233 233 #EEE9E9 Snow3 205 201 201 #CDC9C9 Snow4 139 137 137 #8B8989 Seashell1 255 245 238 #FFF5EE Seashell2 238 229 222 #EEE5DE Seashell3 205 197 191 #CDC5BF Seashell4 139 134 130 #8B8682 AntiqueWhite1 255 239 219 #FFEFDB AntiqueWhite2 238 223 204 #EEDFCC AntiqueWhite3 205 192 176 #CDC0B0 AntiqueWhite4 139 131 120 #8B8378 Bisque1 255 228 196 #FFE4C4 Bisque2 238 213 183 #EED5B7 Bisque3 205 183 158 #CDB79E Bisque4 139 125 107 #8B7D6B PeachPuff1 255 218 185 #FFDAB9 PeachPuff2 238 203 173 #EECBAD PeachPuff3 205 175 149 #CDAF95 PeachPuff4 139 119 101 #8B7765 NavajoWhite1 255 222 173 #FFDEAD NavajoWhite2 238 207 161 #EECFA1 NavajoWhite3 205 179 139 #CDB38B NavajoWhite4 139 121 94 #8B795E LemonChiffon1 255 250 205 #FFFACD LemonChiffon2 238 233 191 #EEE9BF LemonChiffon3 205 201 165 #CDC9A5 LemonChiffon4 139 137 112 #8B8970 Cornsilk1 255 248 220 #FFF8DC Cornsilk2 238 232 205 #EEE8CD Cornsilk3 205 200 177 #CDC8B1 Cornsilk4 139 136 120 #8B8878 Ivory1 255 255 240 #FFFFF0 Ivory2 238 238 224 #EEEEE0 Ivory3 205 205 193 #CDCDC1 Ivory4 139 139 131 #8B8B83 Honeydew1 240 255 240 #F0FFF0 Honeydew2 224 238 224 #E0EEE0 Honeydew3 193 205 193 #C1CDC1 Honeydew4 131 139 131 #838B83 LavenderBlush1 255 240 245 #FFF0F5 LavenderBlush2 238 224 229 #EEE0E5 LavenderBlush3 205 193 197 #CDC1C5 LavenderBlush4 139 131 134 #8B8386 MistyRose1 255 228 225 #FFE4E1 MistyRose2 238 213 210 #EED5D2 MistyRose3 205 183 181 #CDB7B5 MistyRose4 139 125 123 #8B7D7B Azure1 240 255 255 #F0FFFF Azure2 224 238 238 #E0EEEE Azure3 193 205 205 #C1CDCD Azure4 131 139 139 #838B8B SlateBlue1 131 111 255 #836FFF SlateBlue2 122 103 238 #7A67EE SlateBlue3 105 89 205 #6959CD SlateBlue4 71 60 139 #473C8B RoyalBlue1 72 118 255 #4876FF RoyalBlue2 67 110 238 #436EEE RoyalBlue3 58 95 205 #3A5FCD RoyalBlue4 39 64 139 #27408B Blue1 0 0 255 #0000FF Blue2 0 0 238 #0000EE Blue3 0 0 205 #0000CD Blue4 0 0 139 #00008B DodgerBlue1 30 144 255 #1E90FF DodgerBlue2 28 134 238 #1C86EE DodgerBlue3 24 116 205 #1874CD DodgerBlue4 16 78 139 #104E8B SteelBlue1 99 184 255 #63B8FF SteelBlue2 92 172 238 #5CACEE SteelBlue3 79 148 205 #4F94CD SteelBlue4 54 100 139 #36648B DeepSkyBlue1 0 191 255 #00BFFF DeepSkyBlue2 0 178 238 #00B2EE DeepSkyBlue3 0 154 205 #009ACD DeepSkyBlue4 0 104 139 #00688B SkyBlue1 135 206 255 #87CEFF SkyBlue2 126 192 238 #7EC0EE SkyBlue3 108 166 205 #6CA6CD SkyBlue4 74 112 139 #4A708B LightSkyBlue1 176 226 255 #B0E2FF LightSkyBlue2 164 211 238 #A4D3EE LightSkyBlue3 141 182 205 #8DB6CD LightSkyBlue4 96 123 139 #607B8B SlateGray1 198 226 255 #C6E2FF SlateGray2 185 211 238 #B9D3EE SlateGray3 159 182 205 #9FB6CD SlateGray4 108 123 139 #6C7B8B LightSteelBlue1 202 225 255 #CAE1FF LightSteelBlue2 188 210 238 #BCD2EE LightSteelBlue3 162 181 205 #A2B5CD LightSteelBlue4 110 123 139 #6E7B8B LightBlue1 191 239 255 #BFEFFF LightBlue2 178 223 238 #B2DFEE LightBlue3 154 192 205 #9AC0CD LightBlue4 104 131 139 #68838B LightCyan1 224 255 255 #E0FFFF LightCyan2 209 238 238 #D1EEEE LightCyan3 180 205 205 #B4CDCD LightCyan4 122 139 139 #7A8B8B PaleTurquoise1 187 255 255 #BBFFFF PaleTurquoise2 174 238 238 #AEEEEE PaleTurquoise3 150 205 205 #96CDCD PaleTurquoise4 102 139 139 #668B8B CadetBlue1 152 245 255 #98F5FF CadetBlue2 142 229 238 #8EE5EE CadetBlue3 122 197 205 #7AC5CD CadetBlue4 83 134 139 #53868B Turquoise1 0 245 255 #00F5FF Turquoise2 0 229 238 #00E5EE Turquoise3 0 197 205 #00C5CD Turquoise4 0 134 139 #00868B Cyan1 0 255 255 #00FFFF Cyan2 0 238 238 #00EEEE Cyan3 0 205 205 #00CDCD Cyan4 0 139 139 #008B8B DarkSlateGray1 151 255 255 #97FFFF DarkSlateGray2 141 238 238 #8DEEEE DarkSlateGray3 121 205 205 #79CDCD DarkSlateGray4 82 139 139 #528B8B Aquamarine1 127 255 212 #7FFFD4 Aquamarine2 118 238 198 #76EEC6 Aquamarine3 102 205 170 #66CDAA Aquamarine4 69 139 116 #458B74 DarkSeaGreen1 193 255 193 #C1FFC1 DarkSeaGreen2 180 238 180 #B4EEB4 DarkSeaGreen3 155 205 155 #9BCD9B DarkSeaGreen4 105 139 105 #698B69 SeaGreen1 84 255 159 #54FF9F SeaGreen2 78 238 148 #4EEE94 SeaGreen3 67 205 128 #43CD80 SeaGreen4 46 139 87 #2E8B57 PaleGreen1 154 255 154 #9AFF9A PaleGreen2 144 238 144 #90EE90 PaleGreen3 124 205 124 #7CCD7C PaleGreen4 84 139 84 #548B54 SpringGreen1 0 255 127 #00FF7F SpringGreen2 0 238 118 #00EE76 SpringGreen3 0 205 102 #00CD66 SpringGreen4 0 139 69 #008B45 Green1 0 255 0 #00FF00 Green2 0 238 0 #00EE00 Green3 0 205 0 #00CD00 Green4 0 139 0 #008B00 Chartreuse1 127 255 0 #7FFF00 Chartreuse2 118 238 0 #76EE00 Chartreuse3 102 205 0 #66CD00 Chartreuse4 69 139 0 #458B00 OliveDrab1 192 255 62 #C0FF3E OliveDrab2 179 238 58 #B3EE3A OliveDrab3 154 205 50 #9ACD32 OliveDrab4 105 139 34 #698B22 DarkOliveGreen1 202 255 112 #CAFF70 DarkOliveGreen2 188 238 104 #BCEE68 DarkOliveGreen3 162 205 90 #A2CD5A DarkOliveGreen4 110 139 61 #6E8B3D Khaki1 255 246 143 #FFF68F Khaki2 238 230 133 #EEE685 Khaki3 205 198 115 #CDC673 Khaki4 139 134 78 #8B864E LightGoldenrod1 255 236 139 #FFEC8B LightGoldenrod2 238 220 130 #EEDC82 LightGoldenrod3 205 190 112 #CDBE70 LightGoldenrod4 139 129 76 #8B814C LightYellow1 255 255 224 #FFFFE0 LightYellow2 238 238 209 #EEEED1 LightYellow3 205 205 180 #CDCDB4 LightYellow4 139 139 122 #8B8B7A Yellow1 255 255 0 #FFFF00 Yellow2 238 238 0 #EEEE00 Yellow3 205 205 0 #CDCD00 Yellow4 139 139 0 #8B8B00 Gold1 255 215 0 #FFD700 Gold2 238 201 0 #EEC900 Gold3 205 173 0 #CDAD00 Gold4 139 117 0 #8B7500 Goldenrod1 255 193 37 #FFC125 Goldenrod2 238 180 34 #EEB422 Goldenrod3 205 155 29 #CD9B1D Goldenrod4 139 105 20 #8B6914 DarkGoldenrod1 255 185 15 #FFB90F DarkGoldenrod2 238 173 14 #EEAD0E DarkGoldenrod3 205 149 12 #CD950C DarkGoldenrod4 139 101 8 #8B658B RosyBrown1 255 193 193 #FFC1C1 RosyBrown2 238 180 180 #EEB4B4 RosyBrown3 205 155 155 #CD9B9B RosyBrown4 139 105 105 #8B6969 IndianRed1 255 106 106 #FF6A6A IndianRed2 238 99 99 #EE6363 IndianRed3 205 85 85 #CD5555 IndianRed4 139 58 58 #8B3A3A Sienna1 255 130 71 #FF8247 Sienna2 238 121 66 #EE7942 Sienna3 205 104 57 #CD6839 Sienna4 139 71 38 #8B4726 Burlywood1 255 211 155 #FFD39B Burlywood2 238 197 145 #EEC591 Burlywood3 205 170 125 #CDAA7D Burlywood4 139 115 85 #8B7355 Wheat1 255 231 186 #FFE7BA Wheat2 238 216 174 #EED8AE Wheat3 205 186 150 #CDBA96 Wheat4 139 126 102 #8B7E66 Tan1 255 165 79 #FFA54F Tan2 238 154 73 #EE9A49 Tan3 205 133 63 #CD853F Tan4 139 90 43 #8B5A2B Chocolate1 255 127 36 #FF7F24 Chocolate2 238 118 33 #EE7621 Chocolate3 205 102 29 #CD661D Chocolate4 139 69 19 #8B4513 Firebrick1 255 48 48 #FF3030 Firebrick2 238 44 44 #EE2C2C Firebrick3 205 38 38 #CD2626 Firebrick4 139 26 26 #8B1A1A Brown1 255 64 64 #FF4040 Brown2 238 59 59 #EE3B3B Brown3 205 51 51 #CD3333 Brown4 139 35 35 #8B2323 Salmon1 255 140 105 #FF8C69 Salmon2 238 130 98 #EE8262 Salmon3 205 112 84 #CD7054 Salmon4 139 76 57 #8B4C39 LightSalmon1 255 160 122 #FFA07A LightSalmon2 238 149 114 #EE9572 LightSalmon3 205 129 98 #CD8162 LightSalmon4 139 87 66 #8B5742 Orange1 255 165 0 #FFA500 Orange2 238 154 0 #EE9A00 Orange3 205 133 0 #CD8500 Orange4 139 90 0 #8B5A00 DarkOrange1 255 127 0 #FF7F00 DarkOrange2 238 118 0 #EE7600 DarkOrange3 205 102 0 #CD6600 DarkOrange4 139 69 0 #8B4500 Coral1 255 114 86 #FF7256 Coral2 238 106 80 #EE6A50 Coral3 205 91 69 #CD5B45 Coral4 139 62 47 #8B3E2F Tomato1 255 99 71 #FF6347 Tomato2 238 92 66 #EE5C42 Tomato3 205 79 57 #CD4F39 Tomato4 139 54 38 #8B3626 OrangeRed1 255 69 0 #FF4500 OrangeRed2 238 64 0 #EE4000 OrangeRed3 205 55 0 #CD3700 OrangeRed4 139 37 0 #8B2500 Red1 255 0 0 #FF0000 Red2 238 0 0 #EE0000 Red3 205 0 0 #CD0000 Red4 139 0 0 #8B0000 DeepPink1 255 20 147 #FF1493 DeepPink2 238 18 137 #EE1289 DeepPink3 205 16 118 #CD1076 DeepPink4 139 10 80 #8B0A50 HotPink1 255 110 180 #FF6EB4 HotPink2 238 106 167 #EE6AA7 HotPink3 205 96 144 #CD6090 HotPink4 139 58 98 #8B3A62 Pink1 255 181 197 #FFB5C5 Pink2 238 169 184 #EEA9B8 Pink3 205 145 158 #CD919E Pink4 139 99 108 #8B636C LightPink1 255 174 185 #FFAEB9 LightPink2 238 162 173 #EEA2AD LightPink3 205 140 149 #CD8C95 LightPink4 139 95 101 #8B5F65 PaleVioletRed1 255 130 171 #FF82AB PaleVioletRed2 238 121 159 #EE799F PaleVioletRed3 205 104 137 #CD6889 PaleVioletRed4 139 71 93 #8B475D Maroon1 255 52 179 #FF34B3 Maroon2 238 48 167 #EE30A7 Maroon3 205 41 144 #CD2990 Maroon4 139 28 98 #8B1C62 VioletRed1 255 62 150 #FF3E96 VioletRed2 238 58 140 #EE3A8C VioletRed3 205 50 120 #CD3278 VioletRed4 139 34 82 #8B2252 Magenta1 255 0 255 #FF00FF Magenta2 238 0 238 #EE00EE Magenta3 205 0 205 #CD00CD Magenta4 139 0 139 #8B008B Orchid1 255 131 250 #FF83FA Orchid2 238 122 233 #EE7AE9 Orchid3 205 105 201 #CD69C9 Orchid4 139 71 137 #8B4789 Plum1 255 187 255 #FFBBFF Plum2 238 174 238 #EEAEEE Plum3 205 150 205 #CD96CD Plum4 139 102 139 #8B668B MediumOrchid1 224 102 255 #E066FF MediumOrchid2 209 95 238 #D15FEE MediumOrchid3 180 82 205 #B452CD MediumOrchid4 122 55 139 #7A378B DarkOrchid1 191 62 255 #BF3EFF DarkOrchid2 178 58 238 #B23AEE DarkOrchid3 154 50 205 #9A32CD DarkOrchid4 104 34 139 #68228B Purple1 155 48 255 #9B30FF Purple2 145 44 238 #912CEE Purple3 125 38 205 #7D26CD Purple4 85 26 139 #551A8B MediumPurple1 171 130 255 #AB82FF MediumPurple2 159 121 238 #9F79EE MediumPurple3 137 104 205 #8968CD MediumPurple4 93 71 139 #5D478B Thistle1 255 225 255 #FFE1FF Thistle2 238 210 238 #EED2EE Thistle3 205 181 205 #CDB5CD Thistle4 139 123 139 #8B7B8B gray11 28 28 28 #1C1C1C gray21 54 54 54 #363636 gray31 79 79 79 #4F4F4F gray41 105 105 105 #696969 gray51 130 130 130 #828282 gray61 156 156 156 #9C9C9C gray71 181 181 181 #B5B5B5 gray81 207 207 207 #CFCFCF gray91 232 232 232 #E8E8E8 DarkGray 169 169 169 #A9A9A9 DarkBlue 0 0 139 #00008B DarkCyan 0 139 139 #008B8B DarkMagenta 139 0 139 #8B008B DarkRed 139 0 0 #8B0000 LightGreen 144 238 144 #90EE90 분류:X 윈도 시스템 분류:색 이름
알브레히트 뒤러 (Albrecht Dürer, 1471년 5월 21일 - 1528년 4월 6일)는 독일의 화가, 판화가, 조각가다. 르네상스의 대표적 화가이며, 특히 목판화, 동판화 및 수채화 에서 독창적 재질을 보였다. 자신의 상의를 입은 모습을 새긴 뒤러의 목판화 at 13 by Albrecht Dürer.jpg|섬네일|왼쪽|위오른쪽|자화상 동판화 13세 때 뒤러가 그린 것이다, 1484. 뒤러의 자화상 (1493) 유화,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 뉘른베르크에서 금세공의 아들로 태어나, 처음에는 부친 아래서 금세공을 배웠으나 화가가 되기 위해 미하엘 볼게무트(Michael Wolgemut)의 문하생이 되었다. 1490년 부활절부터 1494년 오순절까지 알브레히트 뒤러는 오버라인 각지를 편력했다. 살아생전 했던 세 번의 장기 여행 가운데 첫 번째였던 이 여행의 여정은 알려지지 않았다. 아마도 그는 처음에는 네덜란드나 중부 라인 지역에 머물렀다가, 1492년에 엘사스 지역에 머물렀던 것 같다. 그는 자신에게 커다란 인상을 준 작품을 만든 마르틴 숀가우어(Martin Schongauer)를 방문하기 위해서 콜마르(Colmar)를 찾아갔지만, 숀가우어가 이미 1419년 2월 2일에 죽었기 때문에 그의 뜻을 이루지 못했다. 나중에 뒤러는 바젤에서 활동했는데, 그곳에서 세바스티안 브란트(Sebastian)의 책〈바보배Narrenschiff〉(1494년 초판 인쇄)에 실린 유명한 목판화를 제작했다. 여행에서 뉘른베르크로 돌아온 그는 1494년 아그네스 프라이(Agnes Frey)와 결혼하였다. 그녀는 오래되고 명망이 있는 뉘른베르크 가문의 출신이었지만, 그녀 사이 자식은 없었다. 그와 그의 두 형제 모두 자식을 얻지 못했기 때문에, 뒤러 가문은 대가 끊기고 사라졌다. 결혼하고서 약 3개월이 지난 1494년 10월 초순에 그는 신혼인 아내를 혼자 남겨 두고 베네치아로 여행, 이듬해인 1495년에 귀국하였다. 이 제1차 이탈리아 여행에서 당시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미술을 가까이 한 게 뒤러 자신에게서나, 또 후의 독일 회화 전체를 위해서도 커다란 의의 있는 일이었다. 그때 구체적인 성과는 그가 여행 도중 틈틈이 그린 몇 점의 수채화에 있었다. 여기에는 새로운 자연을 접할 때 느끼는 화가의 신선한 감동이 싱싱한 서정성과 날카로운 자연 관조를 바탕으로 하여 훌륭하게 표현했으며, 이른바 도나우 파의 작품과 더불어 그 후 유럽 풍경화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동방박사의 경배(Anbetung der Könige) (1504년) 알브레히트 뒤러는 1497년부터 독립을 했고, 1503년부터는 한스 쇼이펠라인(Hans Schäufelein), 한스 폰 쿨름바흐(Hans von Kulmbach), 한스 발둥 그리엔(Hans Baldung Grien)과 함께 작업장을 운영했다. 그는 뉘른베르크 알트슈타드에 있던 그의 작업장에서 아주 열심히 일했다. 이 시기 주로 초상화와 몇 점의 자화상을 만들었다. 〈아버지의 초상화〉(1498년 런던 내셔널 갤러리 소장), 〈자화상〉(1498년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소장), 린다우의 상인〈오스볼트의 초상화〉(1499년 바이어른 국립 회화 수집소 소장), 〈자화상〉(1500년 뮌헨 미술관 소장) 등 이 시기 그린 그림들이었다. 당시 이미 작가로서 뒤러의 명성은 꽤 높았으나, 그의 명성을 결정적으로 만든 게 오히려 판화였다. 특히 1498년 간행한 목판 연작 (1498년)은 뒤러의 삶 뿐만 아니라 유럽 목판화 역사에서도 기념비적 작품이 되었다. 이 작품을 이루는 16점 작품은 한 점씩마다 고도의 기술적 완성과 탁월한 화면 구성을 보여 주는데, 그 가운데서도 는 특히 널리 알려져 있다. 인문주의와 뒤러가 맺고 있는 관계는 콘라트 첼티(Conrad Celtis)의 책 〈지형학으로서의 사랑 quatuor libri amorum〉(1502년)을 위해서 뒤러가 제작한 삽화에 잘 드러나 있다. 첼티는 뒤러를 제2의 아펠레스(Apelles)라고 칭찬했다. 기사, 죽음 그리고 악마( Ritter, Tod und Teufel ) (1513년) 1505년 뒤러는 베네치아를 향해 두 번째 여행을 떠났다. 당시 베네치아에는 티치아노, 조르조네, 팔마 일 베키오가 활동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다른 누구보다도 조반니 벨리니가 그에게 강한 인상을 주었다. 한 편지에서 뒤러는 벨리니를 "회화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이라고 언급을 하기도 했다. 진지한 학구열, 근면함, 통찰력을 통해서 뒤러는 고향 도시 뉘른베르크에서도 정확한 소묘의 가치를 평가하는 법과 진실된 자연관을 배우기는 했지만, 이탈리아 여행을 통해서 그는 전혀 예감하지 못했던 색채가 지닌 힘을 발견하게 되었고, 이런 발견은 그의 작품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베네치아에 거주하는 독일의 상인들은 바르톨로메우스 교회를 위해서 커다란 크기의 그림 〈묵주〉를 주문했다. 후에 신성로마 제국 황제 루돌프 2세가 엄청난 금액을 지불하고 그 그림을 구입해서 프라하로 옮기도록 해서, 지금은 프라하의 국립 미술관에 보관되어 있다. 그 그림에는 두 명의 천사가 마리아에게 관을 씌워주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었다. 마리아가 황제에게, 아기 예수가 교황에게, 성 도미니크와 여러 천사들이 주변에 서 있는 사람들에게 묵주를 건네주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 그림에서 베네치아에서 받은 영향이 뚜렷하게 드러나 있다. 뒤러는 베네치아에서 상당한 인정을 받았고, 베네치아 시 위원회가 만약 그가 영구히 베네치아에 거주한다면 200두카트의 연금을 지급하겠다는 제의를 했지만, 그는 1506년 늦가을 고향 도시로 되돌아오는 여행길에 올랐다. 1509년부터 뒤러는 뉘른베르크 시위원회에 의해서 임명된 미술가가 되었다. 사람들은 도시의 예술 계획을 입안하는데 뒤러가 상당부분 관여를 했다고 가정을 한다. 이 시기 동안 작은 크기의 동판화와 목판화 이외에 중요한 목판화 연작을 간행했다. 작은 크기의 수난 연작(1509/1510년) 커다란 크기의 수난 연작(1510년) 마리아의 삶(1510/1511년) 성 삼위일체(1511년) 성 그레고르의 미사 성 그리스토프 안나와 함께 있는 성가족 묵주를 들고 있는 요하임 등을 언급할 수 있다. 그 당시 뒤러는 드라이포인트 기법을 이용해서 판화를 제작하려는 시도를 했다. 그렇게 해서 〈성녀 베로니카〉(1510년), 〈고통을 겪는 구세주〉(1512년), 〈참회하는 성 히에로니무스〉(1512년)가 제작되었다. 이 시기부터 뒤러의 작품에서는 목판화가 압도적으로 우세하게 되었고, 뒤러가 그린 회화는 점점 드물게 보게 되었다. 1512년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성모 마리아의 모습을 그린 유화가 있다. 작은 크기의 동판화 연작의 상당 부분이 이 해에 제작되었다. 그리고 뒤러는 막시밀리안 황제로부터 자신의 목판화와 동판화를 복제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는 특별한 권리를 얻었다. 뒤러는 여러 번 황제 막시밀리안 1세의 주문을 받아서 일을 했다. 늦어도 1510/1511년 이후부터는 관계가 이루어졌다. 뒤러의 친구인 빌리발트 피리크하이머(Willibald Pirckheimer)가 그 관계를 중재했다. 모든 작품은 간접적으로나마 황제의 결혼과 명성을 위한 것이었다. 또한 이 시기에 그의 유명한 동판화 〈기사, 죽음과 악마〉,〈서재의 성 히에로니무스〉,〈멜랑콜리아I〉이 제작되었다. 또한 〈파움가르트너 제단화〉도 이 시기에 제작된 작품이다. 그리고 어머니가 돌아가시기 2달 전에 뒤러는 목판화로 어머니의 초상화를 제작했는데, 이 그림은 서양 미술사에서 죽을 정도로 병약해진 인간을 그린 최초의 초상화였다. 이 시기에 뒤러는 집중적으로 비례학과 같은 이론적 작업에 몰두했다. 그는 1518년 뉘른베르크 시의 대표자로서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열렸던 제국회의에 참석했으며, 그곳에서 유명 인사들의 모습을 작품으로 남겼다. 1520년 6월 12일부터 뒤러는 아내와 함께 밤베르크,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쾰른을 거쳐서 안트베르펜과 네덜란드의 다른 도시들로 여행을 갔다. 네덜란드로의 여행은 진짜 개선행진과도 같았다. 도처에서 뒤러는 열렬하게 환영을 받았다. 안트페르펜의 시행정당국은 정착을 하도록 뒤러의 마음을 움직이기 위해서 300굴덴의 연금, 아름다운 저택, 무료 숙식과 공공 작업에 대한 보수를 지불하겠다는 제안을 내놓았지만, 시행정당국의 제안은 허사였다. 영주들, 각국의 대사들, 학자들 그리고 예술가들이 그를 열렬하게 찬양했고, 그를 자신들의 모임의 회원으로 받아들였다. 새로 신성로마제국의 황제로 선출된 카를 5세도 이전의 특권들을 다시 확인해주었다. 특권을 재확인받으려는 것이 이번 여행의 진짜 목적이었다. 네덜란드의 보물같은 예술품을 보고, 그곳의 예술가들과 교류를 할 수 있었던 것이 그에게는 상당히 중요했다. 수 많은 영주, 고위 성직자, 예술가들의 그림도 이번 여행의 결과물이었다. 1521년 7월 2일 그는 뉘른베르크로 돌아가는 여행길에 올랐다. 고향 도시로 돌아온 이후에 뒤러는 다시금 미술작품을 제작하는 데 몰두했다. 1520/1521년에 그는 뉘른베르크 시청사의 장식을 책임졌다. 그 장식은 오늘날에서 사라지고 없지만, 1530년에 제작된 모조품이 빈 알베르티나 미술관에 보관되어 전해지고 있다. 뮌헨의 알테 피나코텍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뒤러의 가장 중요한 작품에 속하는 두 점의 거대한 목판화가 1526년에 제작되었다. 이 목판화는 바오로, 베드로, 마르코 복음 저자, 요한 복음 저자의 실물 크기의 인물상이었으며, 동시에 4가지 체액을 믿는 이론을 형상화한 작품이었다. 뒤러는 원래 이 목판화를 뉘른베르크 시에 선사했고, 시청사에 세워져 전시되었다. 뒤러가 그린 그림 중에서 가장 훌륭한 그림으로 간주되는 뉘른베르크의 상인〈히에로니무스 홀츠슈우어〉라는 유화가 1526년에 그려졌다. 같은 해에 〈요한 클레베르거〉의 그림이 제작되었는데, 그림이 뒤러가 그린 마지막 그림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네덜란드 여행 이후로 말라리아로 고통을 받고 있던 뒤러는 1528년 4월 6일 갑작스럽게 죽음을 맞이했다. 그는 르네상스 최성기에 이탈리아에 유학하여 그 영향을 받았으나, 뒤에 독자적인 화풍을 창조하고, 북유럽적·독일적인 미의 전통을 쌓은 화가이다. 이론적 연구에도 뛰어나 및 등의 저서도 내고, 또 이상미(理想美)에 관하여도 논하였다. 수채화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였으며, 인문주의와 종교 개혁에도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주로 종교화·초상화·풍경화 등을 제재로 하였으며, 동판·목판 등 판화에도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작품으로 등이 있다. 네이버 캐스트 오늘의 인물 - 알브레히트 뒤러 뒤러의 집(Albrecht-Dürer-Haus) - 테마백과 알브레히트 뒤러 의 온라인 전시회 분류:1471년 태어남 분류:1528년 죽음 분류:르네상스 화가 분류:독일의 화가 분류:뉘른베르크 출신 분류:헝가리계 독일인 분류:독일의 로마 가톨릭교도 분류:15세기 화가 분류:16세기 화가 분류:독일의 판화가
《 소크라테스의 변론 ()》은 플라톤의 저작 가운데 대화록이 아닌 유일한 작품이다. 작품의 주제는 이미 제목이 예시 하듯이 소크라테스가 법정에서 자신의 입장을 변호하면서, 당시의 그리고 일반적으로 인간 생활에서 관찰하게 되는 사회적, 윤리적 문제점에 대한 토론이다. 플라톤의 4복음서(《소크라테스의 변론》, 《프로타고라스》, 《파이돈》, 《향연》) 중의 하나로 그의 초기 대화편(對話篇)이다. 기원전 399년 부당한 죄상으로 피소된 소크라테스의 법정(法廷) 변론이다. 소크라테스에 대한 부당한 죄상의 중요한 원인이 된 것은 무지(無知)에 대한 지(知)의 가르침이었다. 즉 사람들은 아무것도 모르면서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자기는 모르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과 같으나 모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점에서 그만큼 다른 사람에 비하여 얼마간은 지자(知者)일 것이라고 하였다. 이것이 "소크라테스가 첫째가는 현자(賢者)이다"라고 하는 델포이의 신탁(神託)에 대한 그의 해석이었다. 그리하여 소크라테스는 사람들에게 무지를 깨우치는 일이 신의 뜻에 좇는다고 생각하여 엄격한 대화를 통해서 사람의 억단(臆斷)의 꿈을 깨뜨려 나갔다. 이것이 사람들의 앙심을 사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는 사람의 무지를 자각하게 하고 알게 하는 일에만 전념한 것이 아니었다. 그는 우리들은 신의 지(知)에 대해서는 무지와 다름없으므로, 그러면 그러할수록 진지(眞知)를 사랑하고 정신을 높이지 않으면 안 된다면서 신체나 재산보다 먼저 이 일에 마음을 써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 지를 사랑하고 구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인간이 행복하게 사는 가장 큰 열쇠라고 하였다. "아테네의 시민들이여, (중략) 어떻게 하든 나는 결코 나의 행동을 바꾸지 않을 것이다. 설사 몇 번이나 죽음의 운명에 위협을 받는다 해도."라고 애지(愛知)에 대한 각오가 언급되고 있다. 결국은 사형이 선고되었으나 시종일관하여 두려움 없이 자기의 소신을 말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이제 떠날 때가 왔다. 나는 죽기 위하여, 여러분은 살기 위해서. 그러나 그 어느 것이 더 행복한가에 대해서는 신 이외에 아는 자는 없다." 이것이 이 글의 마지막 구절이다. 또한 이 책은 위대한 철학자인 소크라테스의 영혼의 서(書)이며 제자인 플라톤이 심혈을 기울여 지난날의 소크라테스를 같은 세대의 사람이나 후세에 전해 주려고 한 불후의 명저이다. 17a - 18a 머릿말 18a - 19a 변론의 주제 19a - 20c 첫째 고소에 대한 반증 * 20c - 24b 반증에 덧붙이는 이야기 24b - 28b 둘째 고소에 대한 반증 28b - 31c 첫째 반론에 대한 변론 31c - 34b 둘째 반론에 대한 변론 34b - 35d 끝맺는 말 1 * 35e - 38d 끝맺는 말 2 * 38c - 42a 끝맺는 말 3 《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파이돈》, 플라톤, 천병희 옮김, 숲, 2017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플라톤, 박종현 옮김, 서광사, 2003. 《소크라테스의 변명 - 원제 Apología Sokrátous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 18》, 강철웅(옮김), 이제이북스, 2014. R. Hackforth, The Composition of Plato s Apology, 1933 Cambridge. T. C. Brickhouse, N. D. Smith, Socrates on Trial, 1989 Oxford. E. de. Strycker, S. R. Slings, Plato s Apology of Socrates, 1994 Leiden-N.Y.-Köln. Perseus 프로젝트의 희랍어 원문 보기 Ἀπολογία Σωκράτους 분류:소크라테스의 대화법 분류:플라톤의 대화편 분류:정치학 책 분류:정치철학
2004년 이그 노벨상 시상식이 하버드 대학 샌더스 극장에서 열리다. 아테네 패럴림픽 이 현지시간 28일 밤에 폐막되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1개, 은메달 11개, 동메달 6개를 따내 종합 16위를 차지하다. 김초롱 선수가 LPGA 투어 롱스드럭스 챌린지 대회에서 생애 첫 우승을 차지하다.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가 이라크의 불법 무기 프로그램에 대한 영국의 정보에 오류가 있었음을 인정하다. 한국 청소년축구대표팀이 아시아청소년축구대회에서 이라크 대표팀에 3:0으로 패하다. 이부영 열린우리당 의장은 이명박 서울시장이 한나라당 당내 대권 경선운동을 벌이고 있다고 발언하다. 영화진흥위원회가 제77회 아카데미상 외국어영화상 부문에 《 태극기 휘날리며 》를 출품하기로 결정하다. 강의석 군이 대광고등학교의 "예배권" 약속과 함께 단식을 중단하다. 이명박 서울시장은 서울시가 행정수도 이전 반대 운동에 대해 예산을 지원할 것이라는 의사를 밝혔다. 감사원이 김선일 사건과 관련하여 정부의 협상 노력에 한계가 있었으며, 정부의 파병 입장 재천명이 불가피한 것이었다고 결론내리다. 최수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부상이 "미사일 발사 의심은 억측이다"라고 주장하다. 김용갑 국회의원이 국회 본회의 5분발언 도중 졸도하다. 대한민국 국방부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실험발사 징후를 포착하다. 성매매 특별법이 0시부터 시행되어 불법 성매매 업소들에 대한 한달간의 일제단속에 들어가다. 대구광역시 달성공원에서 농약성분이 담긴 요구르트를 마시고 노인 5명이 사망하거나 중태에 빠지다. 이부영 열린우리당 의장은 "한나라당 내에서 박근혜와 이명박 간의 권력투쟁이 일어나고 있다"고 주장하다. 한나라당이 행정수도 이전 반대당론을 확정하려 했으나 내부 반발로 무산되다. 이라크 무장단체 타우히드 왈 지하드가 또 다른 미국인 인질을 참수하다. 자이툰 부대가 주둔지인 이라크 아르빌로의 이동을 끝마쳤다. 대한올림픽위원회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체조 개인종목에서 오심으로 인해 금메달을 놓친 양태영 선수에게 자체 제작한 금메달과 함께 금메달에 상응하는 격려금도 주었다. LG텔레콤과 한국대중음악비상대책협의회는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MP3폰의 무료 MP3 파일 재생에 사용제한을 두지 않기로 합의했다. 아테네 패럴림픽 탁구 남자단식 3등급 부문에서 김영건 선수가 금메달을 따냈다. 국가보안법 폐지 논쟁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국가보안법 사수를 위해 한나라당 전 의원이 사퇴도 불사해야 한다"고 말하다. 주한미군 용산기지 이전 협상에서 외교통상부가 노무현 대통령 및 국가안전보장회의 인사들을 반미주의자로 규정하고 협상에 개입할 수 없도록 했다고 민주노동당 노회찬 의원이 밝혔다. 노무현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를 "상호 신뢰하는 포괄적 동반자 관계"로 규정하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하다. 연쇄살인 혐의를 받고 있는 유영철이 법정에서 난동을 부렸으며 자신이 자백한 범죄들 중 일부는 경찰이 "아들을 보살펴 주겠다"는 대가를 제시하여 허위자백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선일을 살해했던 이라크 무장단체 "타우히드 왈 지하드"가 미국인 인질 유진 암스트롱을 참수하는 동영상이 공개되다. 이목희 열린우리당 의원이 취중에 "SBS는 탄압대상"이라는 발언을 했다고 알려져 논란이 있었다. 프로축구팀 전북 현대가 2004년 AFC 챔피언스리그 4강에 진출하다. 열린우리당이 서울특별시에서 행정수도 이전 반대 데모를 지원했다는 주장을 제기해 이해찬 총리가 정밀조사를 지시했고 서울특별시측은 이를 부인하였으나, 열린우리당 측에서는 더 많은 증거를 내보이며 공세에 나서다. 국회 행정자치위원회가 친일진상규명특별법 개정안 관련 공청회를 열다. 국가보안법 폐지 논쟁 입장을 급선회한 박근혜 대표에 대하여 한나라당 내부의 보수중진들이 반발하여, 개인적 발언으로 당론을 혼란스럽게 했다고 비판하다. 노무현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비공식 만찬을 가지다. 아테네 패럴림픽 여성 50m 소총 3자세 종목에서 허명숙 선수가 금메달을 따냈다. 같은 종목에서 김임연 선수도 은메달을 따냈다. 연쇄살인 혐의로 기소된 유영철이 쓴 참회의 편지가 공개되다. 16일 가출하여 행방불명되었던 강의석 군이 경상남도 고성군에서 발견되다. 인도네시아 첫 직선제 대통령선거 결선투표가 실시되다. 영국 정부가 이라크에 주둔중인 영국군의 3분의 1을 감축할 것이라고 전해지다.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와 작센주 지방선거에서 신나치주의를 표방한 극우정당이 36년 만에 의회에 진출하다. 연기자 송승헌이 귀국하여 경찰의 조사를 받다. 국가보안법 폐지 논쟁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가 국가보안법 제 2조의 수정과 법 명칭의 변경에 동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노무현 대통령이 카자흐스탄과 러시아 순방에 나서다. 장쩌민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 사임 의사를 밝혔고, 후진타오 공산당 총서기 및 국가주석이 이 자리를 승계하다. 공산당 전체회의는 이를 승인하면서 폐막되다. 이란이 18일에 있었단 국제원자력기구 결의에 반발하며 유엔의 핵사찰도 거부할 것이라는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병역비리에 연루된 또 다른 연예인 한재석과 장혁이 조사를 받고 혐의를 모두 시인하다. 한국 정부가 핵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4원칙 을 밝혔다. 고교등급제를 적용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는 6개 사립대학 입학처장들이 모여 고교등급제를 시행한 적이 없다고 주장하다. 제 9회 부산국제영화제의 개막작인 영화 "2046"의 표가 4분 54초 만에 매진되다. 2004년 아테네 장애인 올림픽이 개막되다. 국제원자력기구에서 이란의 핵농축 프로그램을 중단하라고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다. 량강도 폭발 사고 이봉조 통일부 차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재 외교관들의 시찰 결과에 따라 량강도 김형직군의 대규모 폭발이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하다. 국제원자력기구 회의에서는 한국의 미신고 핵관련 실험에 대한 처리방향을 11월께 결정짓기로 하다.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서울시내 사립대들의 비강남권 차별 의혹을 조사하기로 하다. 인천광역시 서부경찰서는 왕따를 당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19차례나 불을 지른 중학교 2학년 학생 김 모군을 구속하다. 병역비리에 연루된 연예인 신승환가 조사를 받았으며 혐의를 모두 시인하다. 아테네 패럴림픽 (~9월 28일) 이라크 바그다드시 중심부에서 차량 자살폭탄테러가 발생해 최소한 13명이 숨지고 50여 명이 부상당하다.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이 "국제원자력기구의 재사찰의 조사 결과가 한국의 우라늄 관련 실험과 핵무기 개발이 무관함을 알려줄 것"이라고 외교부 브리핑에서 말하다. 이헌재 경제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화폐단위 변경문제와 관련해 "구체적인 검토의 초기 단계"에 이르러 있다고 말했다. 이는 연초에 밝혔던 이 부총리의 기존 입장과 배치된다.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왜곡 논쟁 고구려연구재단에서 주최한 "한국사 속의 고구려의 위상"을 주제로 한 학술회의가 개막되어, 중국 학자와 한국 학자들간에 논쟁이 벌어지다. 국가보안법 폐지 논쟁 서울 대한성공회 성당에서 국보법 폐지를 촉구하는 원로들의 공동선언 행사가 있었다. 또한 보수적 논객으로 알려졌던 소설가 이문열가 형법에 의해 보완된다면 국가보안법을 폐지하는 데 동의하라는 요지의 사설을 중앙일보에 기고했다.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16기 제4차 전체회의가 개막되다. 대광고등학교의 종교교육 강요에 반발하여 단식투쟁을 벌이던 강의석 군이 강제적인 단식중단과 병원후송에 반발하여 가출, 행방불명되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주최한 수학능력시험 모의고사가 치러지다. 병역비리에 연루된 연기자 송승헌이 "송구스럽고 죄송스럽다"고 입장을 표명하다. 국가보안법 폐지 논쟁 국회의원 25명이 국회 본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여야 의원 172명이 국가보안법 폐지에 합의하였다"고 발표하다. 조동만 전 한솔그룹 부회장으로부터 정치자금을 수수한 것으로 밝혀진 김한길 열린우리당 의원이 이를 시인했으며, 검찰측은 유종근 전 전라북도 도지사도 정치자금을 받은 정황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월성원자력 발전소에서 중수가 누출되어 작업자 10명이 방사능에 피폭당하는 사고가 발생하다. 폭력조직 "서방파"의 두목이었던 김태촌이 그의 재심에서 자신이 1986년에 일으킨 인천 뉴송도호텔 사장 황모씨 폭행사건은 당시 검사였던 박 모씨의 사주를 받아 행한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이미 공소시효가 지난 사건이라 재수사 가능성이 희박한데다 사실 여부도 알 수 없다. 량강도 폭발 사고 콜린 파월 미국 국무장관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측의 13일 해명에 대해 "우리가 본 것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제 59회 유엔 총회가 개막되다. 이번 회기에서 안전보장이사회의 상임이사국을 늘리는 문제가 논의되었다. 국가보안법 폐지 논쟁 여당인 열린우리당 천정배 원내대표가 양당 원내대표 회담을 제안하였으나 한나라당 김덕룡 원내대표는 "국가보안법 개정의사를 밝힌다면 받아들이겠다"며 사실상 거부하다. 량강도 폭발 사고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하여, "북한에서 대규모 공사가 있을 때마다 사전보도해왔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사전보도가 없었다"며 "북한측 발표의 사실 여부를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국제원자력기구는 18일께 추가 사찰단을 한국에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조동만이 김중권 전 청와대 비서실장 등 여권 중진들에게 수억원의 정치자금을 건넨 정황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노무현 대통령이 고등학교 선배로부터 1백만 원을 수수한 사실이 드러난 김주수 농림부 차관의 사표를 수리하기로 했다고 청와대측이 발표했다. 미국의 학자 파노스 자보스 박사가 세계 최초로 사망한 사람의 세포를 이용한 배아복제에 성공하여 그 과학적 검증을 끝마치고 저명한 학술지에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장정진이 이틀째 의식불명인 가운데 KBS는 예능 프로그램의 모든 음식 먹는 코너를 폐지하겠다고 발표하다. 김종학 프로덕션의 김종학 PD는 병역비리에 연루된 연예인 한재석을 드라마 "해신"에서 제외시키겠다고 발표하다. 또한 또 다른 연예인 송승헌에 대해서는 아직 공식적인 입장이 없다고 밝혔으나, 사실상 대체할 다른 연기자를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량강도 폭발 사고 백남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상은 9월 9일 김형직군에서 있었던 괴폭발이 수력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 산을 계획적으로 폭파시켜 발생한 것이라고 밝혔다.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이 한국의 우라늄 분리 실험과 관련히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였으며, 한국 외무부측은 이것이 원칙수준의 표현일 뿐이라고 평하면서 확대해석을 경계하였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엘바라데이 사무총장은 "1982년에 한국이 IAEA에 신고되지 않은 3개 시설 중 1개 시설에서 금속우라늄 150kg을 생산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힌 것으로 알려져 한국의 핵개발 논란이 지속되었다.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옥전리의 정신지체 보호시설 성락원 에서 수용자 중 한 명이 흉기 난동을 부려 5명이 사망하고 5명이 부상당하였다. 용의자는 도주 4시간 만에 경찰에 붙잡히다. 조갑제 대표가 9일과 11일에 노무현 정권 전복론 을 주장하며 구체적인 투쟁지침까지 적은 글을 자신의 홈페이지에 게재한 사실이 언론 보도되자 열린우리당측은 "반공교주 조갑제는 영생교 교주와 닮았다"고 논평을 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가 연세대학교의 1차 수시모집 전형 결과를 분석한 결과 연세대학교가 비강남권 학생들에 비해 강남권 학생들에게 최고 10% 이상의 가산점을 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연세대학교측은 자체개발한 방식으로 점수를 매겼을 뿐 가산점을 부여한 것은 아니라고 반박하다. 구속 수감된 김현철이 이에 항의하며 4끼째 단식투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다. 국가보안법 폐지 논쟁 김수환 추기경이 국가보안법 폐지에 관해 국론분열을 걱정한다며 밀어붙이기식 개혁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조계종 총무원장인 법장 스님도 국민 대부분의 여론이 부정적이라면 좋은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말하다. 유명 성우 장정진이 KBS2 "일요일은 101%"에 출연, 가래떡을 먹다가 기도가 막혀 의식불명 상태가 되다. 김기덕 감독이 영화 "빈 집"으로 제 61회 베니스 국제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하였다. 최고상인 황금사자상은 "베라 드레이크"(Vera Drake), 심사위원대상은 "아웃 오브 시"(Out of Sea)에 돌아갔다. "빈 집"은 이외에도 이 영화제에서 세 개의 비공식상을 받았다. 제주도에 기습적인 400mm의 폭우가 쏟아져 큰 피해를 입었다.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1부는 김현철을 조동만 전 한솔 부회장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 20억원을 수수한 혐의로 구속수감하다. 2004 광주비엔날레. (~11월 13일) 탈북자로 보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민이 베이징 소재 한국 총영사관으로 진입하려던 와중에 피격당했다고 알려졌으나, 뒤에 총영사관측에서 "총격은 없었으며, 진입하려던 네 명 중 한 명은 진입에 성공하였다"라고 밝혔다. 부상을 입은 한 명은 중국 공안측에서 공포탄을 발사하자 흉기로 자해하여 중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검찰청에서 조사를 받던 김현철이 자해였다. 김태동 금융통화위원이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디노미네이션(화폐단위 변경)에 대하여 "순진한 생각이거나 다른 불순한 목표가 있을 것"이라는 발언을 하여 물의를 빚었다. 국가보안법 폐지 논쟁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가 정부와 여당에 국가보안법 폐지 철회를 요구한 반면, 노무현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측은 국가보안법을 폐지하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확인하다. 1400여 명의 국가 원로들이 모여 "자유와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시국선언"을 발표, 국가보안법 폐지 반대를 선언하다. 한국국학진흥원의 김순석 수석연구원은 18세기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도성팔도지도에 간도와 대마도가 조선 영토로 표기되어 있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위치한 오스트레일리아 대사관 근처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하였다. 이 테러로 적어도 8명이 사망하고 100여 명이 부상당했다. 인도네시아 경찰은 이 테러를 제마 이슬라미야라는 이슬람 단체가 저지른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량강도 김형직군에서 대규모 폭발이 있었다. 지난 룡천 열차폭발 사고보다 큰 피해가 난 것으로 추정되며, 인공위성에도 포착되었는데 수력 발전소 건설을 위한 폭파가 원자력 발전소 폭파로 잘못 포착되어서 언론에 보도되다. 한국 국회의 행정자치위원회에서 친일진상규명특별법의 개정안을 상정하여 심의에 들어갔다. 이 상정안이 통과되기 바로 전에 행자위 소속 한나라당 의원들이 반발하여 집단 퇴장하였고, 이에 따라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 소속 의원들만이 투표하여 이 개정안을 상정하다.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FIFA 월드컵 예선에서 베트남 축구 대표팀과 맞붙어 2:1 역전승을 거두다. 한국 정부가 중국과의 고구려사 문제와 관련하여 간도 영유권 문제를 제기하지 않겠다는 구두 약속을 했다고 정부 당국자가 밝혔다. (참고 간도 협약) 검찰은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이 조동만 전 한솔 부회장으로부터 20여억 원의 정치자금을 받았다는 진술을 확보하다. 노무현 대통령이 MBC "시사매거진 2580"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대담을 진행하던 도중 국가보안법을 폐지해야 한다는 발언을 하다. 야구선수와 연예인들에 대한 병역비리 수사가 시작되었다. 여기서 송승헌, 한재석, 장혁 등의 연예인이 연루되었으며, 한재석은 11월 15일, 송승헌과 장혁은 11월 16일 군에 입대했다. 경기도 포천 육군 00부대에서 대전차화기 PZF-3 오발사고가 발생해 파편상을 입은 3명이 숨지고 11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러시아 북오세티야의 학교 인질극이 러시아 특수부대의 강경 진압으로 일단락되었으나, 많은 희생자를 낸 것으로 추측된다. 2000년 1월-2월에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동위원소 분리 레이저 연구장치를 이용한 우라늄 분리실험을 했으며, 이를 국제원자력기구에 알려 현재 사찰단의 조사를 받고 있다고 한국 정부가 2일 오후 발표. 실험을 통해 추출한 우라늄은 0.2g에 불과한 실험용 샘플 수준이라고 밝혔으나, 외국 언론과 미국, 일본 등은 이번 사건에 대해 여러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영훈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가 "100분 토론"에 참가하여 토론을 벌이던 중 "위안소 업소 주인의 자기 반성이 있어야 할 것"이라는 발언을 하였는데, 이것이 "위안부는 공창"이라는 발언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러시아 북오세티야공화국 베슬란 시의 한 학교에서 체첸 반군에 의한 인질 사태가 벌어지다. (~9월 3일까지) 인질 1000여 명 이상 사상.
프랜시스 크릭 (1995년) 프랜시스 크릭 (, 1916년 6월 8일 ~ 2004년 7월 29일)은 영국의 생물학자이다. 196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이다. 노샘프턴셔주에서 태어났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제2차 세계 대전 후부터는 생물학의 연구에 집중한다. 때마침 1951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캐번디시 연구소에 유학 중이던 미국의 젊은 생물학자 제임스 D. 왓슨과 교류하기 시작한다. 두 과학자는 서로의 중점 연구분야에 동의, 1953년 4월 25일 DNA의 이중 나선의 구조에 관한 논문을 과학잡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 논문은 발표 당시 학계에서 별로 주목을 받지 않았으나, 생물학이 점차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이 논문에서 제시된 DNA 구조의 중요성과 타당성이 인정되어 1962년 두 사람과 모리스 윌킨스는 노벨상을 수상한다. 지구 생명의 외계기원설(우주기원설)을 주장하기도 하였으며 의식에 대한 그의 책으로는 《놀라운 가설》이 번역되어 있다. 시각 자극에 대한 의식적 결정을 내린 한 FMRI 실험 결과. 뇌에서 주황색의 작은 구역이 의사 결정 과정과 관련된 활동의 패턴을 보여 준다. 크릭은 인간의 두뇌 기능을 탐구하는 새로운 방법의 발견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크릭의 케임브리지 대학교 시절은 그의 오랜 과학 경력의 절정이었지만, 곤빌 앤드 카이우스 칼리지 학장직을 고사하고 1977년 30년간 몸담았던 케임브리지를 떠났다. 제임스 D. 왓슨은 2003년 DNA 구조 발견 50주년을 기념하는 한 케임브리지 회의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지난 세기중 케임브리지 대학교가 취한 가장 우둔한 조치중 하나는 프랜시스 크릭이 1958년에 아서 밸푸어 유전학 교수직에 응모했을 때 거절한 것이었음은 아마 꽤 잘 유지된 비밀이다. 그때 그들은 일련의 논쟁을 거쳐 프랜시스를 거절하게 되었을지 모른다. 실제로 거기에 담긴 뜻인 즉 우리를 전선으로 밀어내지 마라는 것이었다." 겉으로 "꽤 잘 유지된 비밀"은 2002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된 소라야 드 샤다레비앙의 《생명의 설계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분자생물학》에 이미 기록되었다. 케임브리지에서 분자생물학에 미친 그의 중요한 공로는 1992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된 《케임브리지 대학교 역사》 제4권(1870년 - 1990년)에 잘 기록되어 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유전학과의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교수직 선거인단이 합의에 도달할 수 없어서 당시 대학 부총장 로드 아드리언의 절충을 요구했다. 로드 아드리언은 그 교수직을 먼저 대안 후보 귀도 폰테코르보에게 제안하자, 그는 고사했다. 그래서 그 다음에 크릭에게 교수직을 제안하자, 그도 고사했다는 것이다. 크릭은 1976년에 캘리포니아 라 호이아의 소크 연구소()에서 안식년을 보냈다. 크릭은 1960년부터 이 연구소의 비상근 연구원이었다. "나는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고향에 온 느낌이었다"고 크릭은 썼다. 안식년이 끝나자 크릭은 소크 연구소에서 계속 일하기 위해 케임브리지를 떠났다. 그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의 교수를 겸했다. 그는 신경해부학을 독학하고 신경과학의 다른 여러 분야를 공부했다. 그는 분자생물학에서 빠져 나오는 데 몇 년 걸렸다. 그는 마침내 1980년대에는 그의 새 관심사였던 의식에 전념할 수 있었다. 그의 자서전적 저서 《얼마나 미친 추구인가》는 왜 그가 분자생물학을 떠나 신경과학으로 돌아섰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크릭이 이론적 신경과학분야에 발을 들여놓았을 때 다음 몇가지는 그에게 충격적이었다 신경과학 안에 많은 하위분야가 서로 동떨어진 채 상호교류가 없었다. 행동을 연구하는 많은 사람들은 뇌를 암상자로 취급했다. 많은 신경생물학자들은 의식을 금기의 주제로 여겼다. 크릭은 자기가 의식에 관련된 여러 하위분야 전문가들 사이의 건설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신경과학의 발달을 도울 수 있기를 바랐다. 그는 퍼트리샤 처칠랜드 같은 관련 철학자들과도 협력했다. 크릭은 크리스토프 코흐와 협력관계를 맺고 1990년부터 2005년 사이에 의식에 관한 일련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크릭은 의식에 관한 자신의 이론적 연구를 우리가 사물을 보는 수백 밀리초 동안에 뇌가 어떻게 시각적 인식을 일으키는가에 초점을 맞추기로 전략적인 결정을 내렸다. 의식은 아직껏 잘 알려지지 않은 단기 메모리 과정을 포함하는 만큼 매우 신비한 것 같다고 크릭과 코흐는 인정했다. 크릭은 신경생물학이 어떻게 해서 충분히 성숙한 단계에 이르렀으며 그 결과 의식을 분자적, 세포적, 행동과학적 차원에서 연구하면서 하나의 통합된 연구과제가 될 수 있음을 밝히는 책도 출판했다. 크릭의 저서 《놀라운 가설》에서, 신경과학은 이제 뇌가 어떻게 의식이라는 경험을 일으키는지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갖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크릭은 뇌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상세한 정보 위에 세워지지 않은 인공지능형 정신기능 모형의 가치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1991년 메리트 훈장(OM) 놀라운 가설 (1994년) 분류:1916년 태어남 분류:2004년 죽음 분류:잉글랜드의 유전학자 분류:잉글랜드의 인문주의자 분류:잉글랜드의 불가지론자 분류:영국의 신경과학자 분류:생물물리학자 분류:분자생물학자 분류:종교 비평가 분류:회의주의자 분류:유물론자 분류: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분류:잉글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분류:메리트 훈장 분류:코플리 메달 수상자 분류:로열 메달 수상자 분류:노샘프턴 출신 분류:케임브리지 대학교 곤빌 앤드 카이우스 칼리지 동문 분류: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동문 분류:왕립학회 석학회원 분류: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분류:미국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분류:대장암으로 죽은 사람 분류:배종발달설 분류:DNA 분류:꿈 분류: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 교수 분류: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 수상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 (Ferdinand de Saussure, 1857년 11월 26일 ~ 1913년 2월 22일)는 스위스의 언어학자로 근대 구조주의 언어학의 시조로 불린다. 그리고 소쉬르의 이론을 받아들인 사회학에서도 구조주의 사회학이 발생하게 된다. 언어학에서 사용되는 중요 개념 중 공시 언어학(synchronic linguistics)과 통시 언어학(diachronic linguistics)을 처음 도입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 소쉬르의 제자들의 강의 노트를 바탕으로 편집하여 그의 사후(1916년)에 출판된 《 일반언어학 강의 》(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가 있다. 젊은이 문법학파의 제자였으나 그들의 이성과 존재론을 그대로 따르지 않고 전근대적인 접근 방법을 취하였다. 언어 현상을 전체로서 체계 속에서 고찰하였다. 드 소쉬르의 최초의 논문이자 가장 중요한 저작인 1878년의 Mémoire sur le système primitif des voyelles dans les langues indo-européennes (인도유럽어족 원시 모음체계에 관한 논문)가 바로 그것이다. 이 논문에서 인도유럽어족의 음성체계에는 이미 알려진 음 이외에 소멸한, 음가를 알 수 없는 한 ㅇ음이 있었다고 가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1941년 헨드릭센(Hendriksen)이 히타이트어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드 소쉬르가 언급한 바로 그 위치에서 어떤 후두음을 발견함에 따라 드 소쉬르의 이론의 정당성은 확고해졌다. 이 이론은 후두음 이론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소쉬르는 언어 세계를 랑그(langue)와 파롤(parole)로 나눈다. 파롤은 개인적인 언어 사용, 개인적인 언어 스타일을 의미한다. 자신만의 독특한 말하는 스타일이나 각 지방의 사투리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개인적 발화에 의미를 부여해 주고 발화 행위를 가능케 해주는 추상적 체계를 랑그라고 했다. 예를들어 장미라고 한다면 장미라는 단어 그 자체는 랑그이며, 붉은색을 띄며 정열을 의미하는 것은 파롤인 것이다. *기호의 자의성 기호의 자의성(arbitrary)이란 기표와 기의 간 연결 관계가 자의적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학생이라는 말이 나라마다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다는 것은 기표인 음성의 연속과 그것이 나타내는 개념과 아무런 자연적·내적 관계가 없다는 것을 드러내므로 자의적이다. 또한 기표는 시간의 선상에서 전개된다. 기표는 청각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정한 음의 길이를 가지고 있고, 이 음의 길이는 시간의 선이란 차원에서 헤아릴 수 있다. 언어 기호는 언어 연쇄의 선상에 놓이는 순서와 위치에 따라 변별적 단위가 되고 의미 변화를 가져온다. 이와 같은 언어 기호의 성질을 선조성이라고 한다. 이상과 같은 기호의 특성은 소쉬르의 『일반 언어학 강의』에서 기호의 제1의 원리와 제2의 원리로 설명된다(소두영, 1991). *언어의 가치 기호의 의미는 그 자체의 고유한 어떤 내용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단어들과의 관계속에서 차이 에 의해 규정된다. 이는 의미가 긍정적으로(positively)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다른 것이 아니다 는 관계에 의해 부정적으로(negatively) 규정된다는 것이다. 기표와 기표의 차이로 인해 기의가 구성된다. 분류:1857년 태어남 분류:1913년 죽음 분류:스위스의 언어학자 분류:스위스의 기호학자 분류:인도유럽어학자 분류:구조주의자 분류:제네바 출신 분류:제네바 대학교 동문 분류:라이프치히 대학교 동문 분류:소쉬르 가
고전역학 (古典力學은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운동의 관계를 설명하는 물리학이다. 뉴턴의 운동법칙을 만든 뉴턴의 이름을 따 " 뉴턴 역학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전역학은 다시 크게 두 분야로 나뉜다. 하나는 힘이 균형을 이루어 움직이지 않는 물체들을 다루는 정역학이며 다른 하나는 운동하는 물체를 다루는 동역학이다. (역학 참조) 고전역학은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매우 정확하게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매우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계에서는 상대성이론, 원자단위와 같은 극히 미세한 스케일의 계에서는 양자 역학에 자리를 내주었으며, 그리고 그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계에서는 양자 마당 이론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그렇지만, 고전역학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여전히 아주 유용하다. 첫째, 다른 이론들에 비해 비교적 수학적으로 간단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둘째, 대략적으로 옳은 결과를 주는 범위가 아주 넓다. 실제로 고전 역학은 다음과 같은 물체들의 운동들을 잘 설명하고 있다. # 일상생활에서 보는 물체 (팽이 나 야구공) # 천체와 같은 극히 거시적인 물체 (행성 이나 은하) # 극미한 영역의 물체 (유기분자) 고전역학은 따로 발전된 고전 전자기학, 그리고 고전 열역학과 거의 모순되지 않는 것처럼 보였으나, 19세기에 들어서 더 심각한 모순점들이 드러나 현대 물리학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별히, 고전 비상대론 전기역학은 에테르 매질에 대해 빛의 속도가 일정하리라고 예측하였다. 이 예측은 고전 역학과 융화될 수 없었고 그러한 사실이 특수상대론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고전 열역학과는 엔트로피가 잘 정의될 수 없는 양이 되는 깁스 역설과 흑체복사의 자외선 영역에서의 무한한 에너지의 예측 등의 모순을 빚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인해 양자 역학이 성장하게 되었다. 여기서 고전 역학의 기본개념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해하기 쉽게 점입자 - 즉 무시할 만큼 작은 크기를 가지는 물체 - 만 다루고자 한다. 적은 수의 맺음변수(parameter)를 가지고 점입자 의 운동을 기술할 수 있다. 그 몇몇 맺음변수는 위치, 질량, 그리고 점입자에 가해지는 힘이다. 맺음변수들 하나하나씩 살펴보기로 하자. 실제로, 고전 역학으로 기술할 수 있는 물체 중에서 어떠한 것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진짜 점입자들(ex:전자)은 양자 역학에 의해 잘 설명될 수 있다. 크기를 가지고 있는 물체들은 점입자라고 가정한 물체보다 훨씬 복잡한 운동 형태를 가진다. 왜냐하면 내부 구조 또한 다른 운동의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투수가 회전을 걸어 던진 야구공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야구공과 같은 물체를 서로 상호작용하는 수많은 입자의 집합체로 생각하여 점입자에 대해 얻은 결과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집합체 속 입자 간의 거리가 다른 물체와의 거리보다 충분히 작다면 이 집합체가 점입자처럼 행동한다는 것을 보일 수 있으며 또한 이렇게 야구공 같은 집합체를 점입자로 취급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다. 점입자의 위치 는 공간 내의 임의의 고정된 한 점, 때때로 이것을 원점 즉 O , 을 기준으로 해서 정해지며, O 에서 입자까지의 벡터 r 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점입자는 움직이거나 변화하기 때문에 r 은 t 의 함수이다. 여기서 시간은 임의의 초기시간 이후로 지나간 시간을 의미한다. 아인슈타인 이전의 상대성(알려져 있기로는 갈릴레이의 상대성)에서는 시간은 모든 기준틀에서 절대적이다. 속도 , 즉 시간에 따른 위치의 변화율, 은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 아인슈타인 이전의 상대성에서는 속도는 직접 더하고 빼기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만약 자동차 A가 60 km/h의 속도로 50 km/h의 속도로 달리는 다른 자동차B 옆을 지나간다고 하자. 이럴 때 60 km/h로 달리는 자동차A의 관점에서 보면 자동차 A는 속도60-50=10 km/h로 달리고 있는 다른 자동차 B의 옆을 지나가는 것이다. 간단한 수식을 사용해보자. 앞에서 논의한 자동차 B의 기준좌표계의 속도를 다음과 같이 정의 내린다면 벡터 u = u x ( x 는 x 방향의 단위벡터), 자동차A가 바라보는 자동차B의 속도는 다음과 같다. 가속도 (속도의 변화율) 는 . 가속도 벡터 는 속도의 크기가 변할 때, 방향이 변할 때 혹은 둘 다 변할 때 변한다. 만약 v 의 크기가 줄어든다면, 이것은 때때로 감속이라고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감속을 포함해서 속도의 어떤 변화라도 간단히 가속도라고 말할 수 있다. 좀 더 쉽게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우리가 감속이라고 표현하는 경우는 가속도가 영(0)보다 작은 경우이다. 그렇다면 가속이라고 표현하는 경우는 가속도가 영(0)보다 큰 경우가 된다. 두 개의 기준틀(Frames of Reference) S와 S 를 생각해 보자. 여기서 S 는 S에 대해 상대속도 u로 움직이고 있다. S와 S 에서 각각 바라보는 하나의 사건(event)이 있다. 두 기준틀에서 바라보는 그 사건에 대한 연관성은 다음과 같다.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면, 먼저 질량 m을 가지는 물체가 운동하고 있다고 하자. 당신은 S에 있고, 당신의 친구는 S 에 있으며 당신의 친구가 속도 u로 달리고 있다고 생각해 보자. 당신이 바라보는 물체의 속도는 v이며, 당신의 친구가 바라보는 속도는 v 이다. 이런 경우에 v와 v 의 연관성은 다음의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v = v - u (u는 기준틀 사이의 상대속도이다.) a = a (입자의 가속도는 기준틀에 상관없이 모두 같다.) F m a ) (입자에 작용하는 힘은 기준틀에 상관없이 모두 같다; 뉴턴 법칙을 참고하라.) 광속은 일정하지 않다. 맥스웰 방정식의 모양은 다른 기준틀에서 같은 모양을 유지하지 않는다. 뉴턴의 제2법칙은 한 입자의 질량과 속도와 힘(벡터양)의 관계를 설명한다. 여기서 m 은 입자의 질량 F 는 그 입자에 가해지는 모든 힘들의 벡터합(외부에서 가해진 알짜 힘)이다. 그래서 뉴턴의 제2법칙은 다음{수식(1)}과 같다. 이 양 m v 는 운동량이라 불린다. 보통 질량 m 은 시간에 대해서 일정하며 이러한 경우에 뉴턴의 법칙은 좀 더 간단한 형태 {수식(2)} 로 바뀐다. 여기서 a는 위에서 정의한 것처럼 가속도이다. 항상 질량( m )이 시간( t )에 대해 일정한 것은 아니다. 질량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예도 있다. 먼 달로 쏘아 올린 로켓을 생각해 보자. 로켓의 질량은 로켓이 멀리 날아갈수록 줄어든다. 연료를 소모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경우에는 위와 같은 간단한 형태{수식 (2)}는 틀린 것이 되며 뉴턴의 제2법칙의 완전한 형태{수식(1)}를 사용해야만 한다. 뉴턴의 두 번째 법칙만으로 한 입자의 운동을 모두 기술할 수는 없다. F 를 어떤 식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 식은 그 입자가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물리적인 상황을 고려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력을 다음과 같이 입자의 속도에 대한 함수로 모형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λ는 양의 상수라고 하자. 일단 입자에 작용하는 각 힘을 구하고 나면 그 식을 뉴턴의 두 번째 법칙에 대입하여 운동 방정식 이라고 부르는 상미분 방정식을 만들 수 있다. 앞에서 든 예를 계속 써서, 그 입자에 작용하는 힘이 마찰력뿐이라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위 식을 적분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v 0는 초기 속도를 뜻한다. 즉 이 입자의 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한다. 이 식을 다시 한 번 적분하면 입자의 위치 r 을 시간의 함수로 구할 수 있다. 대표적인 힘의 예로 중력과 전자기학에서 나오는 로렌츠 힘 등을 들 수 있다. 이 외에, 뉴턴의 셋째 법칙을 써서 입자에 작용하는 힘을 유도할 수도 있다. 어떤 입자 A가 다른 입자 B에 F 라는 힘을 작용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 B는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반작용력 - F 를 A에 대해 작용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힘 F 를 한 입자에 주게되면 입자는 변위 δ r 만큼 움직이며 이 힘에 의해 행하여진 일 은 스칼라양으로 다음과 같다. . 입자의 질량이 일정하다고 하고 그 입자에 행하여진 총 일은 δ W total 이라고 한다면, 뉴턴의 두 번째 법칙에 의해 다음과 같은 등식을 얻을 수 있다. , 여기서 T 를 운동 에너지라고 부른다. 점입자의 경우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 여러개의 입자로 구성된 물체의 운동에너지는 각각의 입자들의 운동에너지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특별한 힘의 종류인 보존력은 퍼텐셜 에너지의 스칼라 함수 V의 그라디언트 로 나타낼 수 있다. . 입자에 작용하는 모든 힘이 보존력이라 하고 V를 총 퍼텐셜 에너지라하면, 총 퍼텐셜 에너지는 입자에 작용하는 각 힘에 대응하는 퍼텐셜 에너지 의 합으로 얻어낼 수 있다. 그러면 . 이것이 에너지 보존 법칙이다. 그리고 총 에너지 는 시간에 대해서 상수이다. 우리가 보통 다루는 힘이 보존력 이기 때문에 이 법칙은 유용하게 쓰이는 경우가 많다. 뉴턴의 운동 법칙은 입자계에 대한 유용한 결과를 얻게 해준다. 참고 각운동량. 고전역학에 대응하는 두 가지의 중요한 체계가 있다. 라그랑지안 역학과 해밀토니안 역학이 그것이다. 이 둘은 뉴턴 역학과 동등하나 문제를 풀 때 더 유용한 경우가 있다. 이 둘과 현대 물리학 체계들은 보통, 힘이라는 개념을 우회해 에너지 같은 다른 물리량을 사용하여 역학계를 다룬다. 두 개의 기준틀을 생각하자, 이 중 하나는 다른 하나의 기준틀에 대해서 상대적인 속력 u로 움직이고 있다. 예를 들면, 차 한 대가 다른 차 한대에 대해서 10 km/h로 지나치는 상황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u는 10 km/h가 될 것이다. 두 기준틀 S 와 S 이며, S 은 S 에 대해서 u의 속력으로 움직이고 있다. 어떤 사건이 S 기준틀에서는 시-공간 좌표로 ( x , y , z , t ) 로 표시되고, S 에서는 ( x , y , z , t ) 로 표시된다. 갈릴레이-뉴턴 상대론에서 어떤 사건의 시-공간 좌표는 갈릴레이 변환으로 알려진 군변환에 의해서 규정된다. 시간이 어떤 기준틀에서도 절대적이라고 가정하면, x방향으로 상대속도가 u만큼 차이나는 기준틀간의 시-공간 좌표는 다음의 관계를 갖는다. ( x ut 라 하자) x = x - ut y = y z = z t = t 이 방정식 4개가 갈릴레이 변환으로 알려진 군변환을 정의한다. 자연을 지배하는 추상적인 원리가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제안한 것은 그리스인들, 그중에서도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이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추상적인 법칙을 처음으로 제안한 과학자 중 한 명인데 그는 피사의 사탑에서 대포알 두 개를 떨어뜨리는 유명한 실험을 수행한 사람이기도 하다. (이 실험에서 그는 두 개의 무게가 다른 물체가 땅에 동시에 떨어진다는 이론을 검증했다.) 아이작 뉴턴경은 프린키피아에서 3개의 운동법칙을 처음으로 제안했으며 또한 이들 세 법칙이 일상적으로 접하는 물체나 천체의 움직임을 지배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뉴턴은 또한 고전역학에서 사용되는 수학계산에 필요한 미적분학을 개발하기도 했다. 뉴턴 이후에 고전역학 분야는 더욱 수학적이며 추상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핼리 고전 역학의 혁명 과학사 * * Rosu, Haret C., " Classical Mechanics ". Physics Education. 1999. arxiv.org physics/9909035 Horbatsch, Marko, " Classical Mechanics Course Notes ". 분류:고전물리학 분류:물리학 분류:물리학의 기본 개념
아리스토텔레스 (, , , 기원전 384년 ~ 322년)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플라톤의 제자이며, 알렉산더 대왕의 스승이다. 물리학, 형이상학, 시, 생물학, 동물학, 논리학, 수사학, 정치, 윤리학, 도덕 등 다양한 주제로 책을 저술하였다. 소크라테스, 플라톤과 함께 고대 그리스의 가장 영향력 있는 학자였으며, 그리스 철학이 현재의 서양 철학의 근본을 이루는 데에 이바지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글은 도덕과 미학, 논리와 과학, 정치와 형이상학을 포함하는 서양 철학의 포괄적인 체계를 처음으로 창조하였다. 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도움으로 리케이온 학교에 도서관을 만들어 많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세계 최초의 동물원도 만들었다. 자연과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는 중세 학문에 깊은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그의 견해는 뉴턴 물리학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게 되는 르네상스 시대에 까지 영향을 끼쳤다. 동물학 연구에서 그의 관찰은 19세기까지 정설로 인정되었다. 그의 글에는 가장 이른 시기에 이루어진 논리에 대한 형식 연구가 담겨 있으며, 이러한 그의 연구는 19세기 후반에 형식 논리학으로 구체화 되었다. 형이상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800-1400년 까지의 중세시대 유대와 이슬람 전통에서 나타난 철학적이고 신학적인 사상에 깊은 영향을 주었고, 기독교 신학에서는 초대교회의 신플라톤주의(Neoplatonism)에 영향을 주었고, 특히 가톨릭 교회 전통의 스콜라 철학과 관련하여 계속해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의 윤리학은 여전히 영향력이 있는데, 현대에 이르러 덕 윤리학(virtue ethics)의 출현과 더불어 새롭게 관심을 받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모든 측면은 오늘날에서 계속해서 활동적인 학문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는 스승 플라톤이 관념론적 이상주의임에 대하여 경험론적 현실주의자로 지적되고 있으며, 예술에 관해서도 플라톤과 다른 의견을 내세우고 있다. 예술을 일종의 모방 으로 보는 점은 플라톤과 같으나, 플라톤이 모방의 모방 으로 생각하여 이데아의 참된 인식을 흐려 놓는 것으로 인정한 데 비하여,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신을 카타르시스(정화)시키는 것으로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여러 편의 품위있는 논문과 대화록을 저술했음에도(키케로는 그의 문체를 "황금이 흐르는 강"이라고 묘사하였다.) 오늘날 그가 쓴 글의 대부분은 사라진 것으로 보이며, 원래 쓴 글의 3분의 1 정도만 남아있다. 그리스 북부 칼키디케 반도에 위치한 트라키아 지방의 스타게이라에서 출생하였다. 부친 니코마코스는 마케도니아 왕 아민타스 2세의 시의(侍醫)였고, 모친인 파이스티스는 칼키스의 이민 출신이다. 왕자 필리포스의 소꿉동무로 궁정에서 자랐으나 어려서 양친을 여의어 연고자인 프록세노스가 후견인이 되었다. 17세 때(전 367) 플라톤의 아카데메이아에 입문하였다. 이후 플라톤의 사망시까지 약 20년간 그곳에서 연구에 정진, 학생 지도도 담당하였다. 이오니아 문화를 배경으로 의가(醫家)의 실증정신(實證精神) 아래 성장한 그에게 플라톤의 이데아 철학은 큰 영향을 주었다. 충실한 플라토니스트로서 출발한 그는 맹렬한 이데아 비판을 하면서도 거기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였다.그리고 죽었다. 그의 연구와 교수(敎授) 및 저작 활동은 대략 3기―아카데미아기(期)와 편력기(遍歷期)와 학두기(學頭期)―로 나눌 수 있다. 아카데미아기―저작은 기원전 360년경부터 시작된다. 먼저 플라톤의 대화편을 본떠서 ⟪그릴러스⟫ ⟪유디머스⟫ ⟪프로트렙티커스⟫(철학에의 권유) ⟪향연(饗宴)⟫ ⟪소피스트⟫ ⟪정치가⟫ ⟪메닉시너스⟫ 등 많은 대화편과 기타 글이 씌어져 간행되었다. 동시에 자연학을 비롯하여 그 밖의 연구도 시작되어 ⟪자연학⟫의 일부(제1, 2, 7권) ⟪천체론(天體論)⟫ 제1권과 ⟪정치학⟫ 제2권의 일부, ⟪데 아니마⟫ 제3권과 ⟪논리학⟫의 일부(⟪토피카⟫ 등)와 ⟪형이상학⟫(제12권) 등이 쓰여졌 편력기―플라톤이 죽기(전 347) 직전 아리스토텔레스는 참주 헤르미아스의 초청으로 아타르뉴스로 갔다. 아카데미아 학두에 취임한 스페우시포스의 수학주의(數學主義), 피타고라스주의에 만족하지 못한데다 올린토스의 함락으로 아테네에 반(反)마케도니아 운동이 일어났기 때문일 것이다. 페르시아에 대항하여 강대한 군대를 가지고 있던 참주의 보호 아래 왕의 질녀인 피티아스와 결혼하여 그 곳 가까운 아리스에 살면서 3년간을 강의와 연구로 보냈다. 학우인 에라스토스와 코리스코스도 같이 참가하였다. 여기에서 ⟪철학에 대하여⟫를 썼고 이데아나 이데아 수(數)의 비판이 시작되었다. 또 ⟪형이상학⟫ 제1, 2, 4, 5권과 ⟪에우데모스 윤리학⟫, ⟪자연학⟫ 제3-6권, ⟪천체론⟫(현재의 형태), ⟪생성소멸론⟫ 등을 썼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플라톤의 수제자 중 한 사람으로 레스보스 태생인 테오프라스토스의 알선으로 미치레네로 옮겨가게 되었는데 이곳에서는 특히 생물학에 대한 연구가 발전되어 있었다. 기원전 342년에는 마케도니아 왕 필리포스 2세의 의뢰와 헤르미아스의 추천을 받아 알렉산드로스 왕자의 가정교사로서 미에자로 갔다. 왕자를 위하여 호메로스를 가르쳐 주었고 ⟪호메로스 문제⟫를 썼다. 또 ⟪군주정치론⟫ ⟪식민정책론⟫도 저술하였다. 기타 그리스인에 관한 국가제도의 수집이나 기록을 하였다. 그 일부인 ⟪아테네인의 국제(國制)⟫의 태반이 1891년에 재발견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헬라스의 통일, 즉 그리스의 폴리스군과 마케도니아 제국의 통일에 열심인 애국자였고 이것이 필리포스 2세의 야심에 합치한 듯하나, 후년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서 융합 정책에는 동의하지를 못했다. 그러나 두 사람의 우정은 변하지 않아 알렉산드로스는 동정(東征) 중 생물학상의 표본을 위시하여 다른 선물을 보냈다고 한다. 기원전 340년 알렉산드로스는 섭정(攝政)이 되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스타게이로스로 물러가 연구생활을 계속하였다. 기원전 338년 그리스 연합군이 카이로네이아에서 패배, 기원전 336년 필리포스 왕은 암살되고 알렉산드로스가 즉위하였다. 이듬해인 기원전 335년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재차 아테네로 돌아왔다. 학두기(學頭期)―마케도니아의 총독 안티파트로스의 원조로 아테네 동쪽 교외인 아폴론 리케이오스 성역 중 일반에게 공개하는 김나시온을 빌려 학교를 설립하였다. 이 학교는 리케이온이라 불리었는데 이곳에서 12년간 강의와 연구로 세월을 보냈다. 오전에는 상급반 연구자를 위하여 논리학과 제1차 철학을 강의하였고, 오후에는 수사학, 정치학, 윤리학 공개 강의를 하였다. 현존하는 저작의 대부분은 이 학두기의 강의 초고이다.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이 전하여지자 반마케도니아 운동이 재연(再燃)되었다. 마케도니아와 관계가 깊었던 그는 불경죄로 문책을 받았다. 그러나 소크라테스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하여 사전에 모친의 고향인 칼키스로 떠났다가 이듬해 위장병으로 63세의 생애를 마쳤다. 문헌으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로도스의 안드로니코스가 기원전 1세기 후반 로마에서 편집 간행한 아리스토텔레스 전집에서 의 뒤(Meta)에 놓였기 때문에 라고 불리었다.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은 후세의 형이상학에서 의미하는 내용을 프로테 필로소피아(Prote Philosophia) (제1의 철학) 또는 테올로기케(Theologike, 신학) 라 하였으며, 존재 내지 실체란 무엇인가를 해명하는 일을 중심 과제로 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문은 의사 가문이었으므로 이러한 그의 배경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연학, 특히 생물학 영역에 관심을 갖게 하였다. 한편 플라톤의 수제자로서 이데아론의 영향 아래에 있었기 때문에 플라톤주의도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두 정신의 견제 가운데서 존재 내지 실체의 포착 방법에서도 그의 사색은 말하자면 양극 사이를 항상 크게 동요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데아론을 엄격하게 비판하면서 그의 독자적인 존재론이 형성돼 오기는 하지만 신학적인 면이 완전히 불식(拂拭)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이 정리한 4원인론에서부터 그 이전의 학설은 모두 불충분한 것으로 밀어버렸고, 특히 스승인 플라톤의 이데아론은 이재성(離在性)·초월성으로 인하여 감각물의 존재와 해명에 아무런 소용이 되지 못한다고 거부한다. 더욱이 이 이데아의 감각물로의 내재화(內在化)가 그의 생애의 과제였다고 할 수 있다. 12권의 신학에서 목적론적으로 포착된 자연의 생성과 운동의 원인인 신을 부동(不動)의 동자(動者)로서 사유(思惟)의 사유, 자기 사유라고 역설하였다. 최고의 지혜는 오로지 인식시키기 위하여 인식한다고 하는 특권을 가지며, 무릇 모든 제1 원인을 대상으로 하는 학(學), 모든 학의 왕자, 최고선을 알며 그 자신을 위해서 존재하는 유일하고 자유로운 학, 가장 신적(神的)이어서 외경될 만한 것이다. 왜냐하면 신은 모든 것에 있어서 원인의 하나이며 어떤 종류의 원리(始動因)라고 생각되며, 또 이와 같은 학은 신만이 소유할 수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제1 원리 원인의 학, 즉 제1 철학은 동시에 신학이기도 하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도덕적 행동의 습관화를 통해 도덕적 성품을 고양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에우다이모니아(Eudaimonia, 좋은 삶)를 삶의 목표로 보고 있다. 《분석론 전서》( Prior Analytics )의 편찬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식논리학의 선구자적인 위치를 점하게 되었으며 그가 창안한 개념은 19세기에 수리논리학 분야에서의 발전이 있기까지 서양 논리학의 주된 흐름으로 자리잡았다. 칸트는 그의 저서 《순수이성비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에 관한 이론이 연역 추론의 핵심적인 부분을 모두 설명하고 있다고 기술하였다. 조금 더 설명을 추가한다면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 중에서 가장 유명한 예는 ‘삼단 논법’이다. 삼단 논법은 연역적 추론에 바탕한 논증이다. 삼단 논법은 두 개의 전제로부터 결론을 이끌어 내는 추론적 방법이다. 그의 스승인 플라톤과 같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은 보편성을 향해 있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스승 플라톤이 보편성은 특정한 것에서 멀리 떨어져 존재하며, 이와 같은 보편성은 그들의 원형(原型) 또는 전형으로써 주장하였던 것과 대조적으로 특정한 것에서 보편성을 발견하였고 그것을 사물들의 본질(essence of things)이라 칭하였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철학적인 방법이란 특정한 현상에 대한 연구로부터 본질에 관한 지식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포괄하며, 이는 플라톤의 이데아 또는 형상(form)이라 불린 것에 관한 지식으로부터 이들과 유사한 형태로의 관상(contemplation), 다시 말해 인식하는 양식에 이르기까지의 하향적인 과정을 취한 플라톤의 방법과 차이를 보인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 형상(form) 은 여전히 현상에 대한 무조건적인 기초를 가리키지만 이와 동시에 특정한 사물에 구체화 되어 있다. 플라톤의 방법이 선험적인 원칙으로부터의 연역 추론에 기반해 있는 것이라면, 그의 방법은 귀납적이면서 연역적이라 할 수 있다. 그가 사용한 용어 중에 자연 철학(natural philosophy) 이라는 말은 자연계의 현상을 탐구하는 철학의 한 부분이며, 이는 현대의 물리학, 생물학 등의 분야를 포괄한다. 현대에 들어서 철학( philosophy )은 윤리학이라든지 논리가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형이상학(metaphysics)과 같은 보다 더 포괄적이고(generic) 모호한 분야에 한정되었다. 현대의 철학은 자연계에 관한 경험적인 연구를 과학적 방법이라는 용어를 활용하여 제외시키는 경향이 있는데 반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인 활동 분야는 지적 탐구(intellectual inquiry)의 모든 분야를 넘나든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4 개의 원소는 다음과 같다 뜨겁고 건조한 성질을 지닌 불 (Fire) 차갑고 건조한 성질을 지닌 흙 (Earth) 뜨겁고 습한 성질을 지닌 공기 (Air) 차갑고 습한 성질을 지닌 물 (Water) 하지만 물이 수소원자 2개와 산소원자 1개로 이루어졌는게 밝혀지고, 공기도 사실 산소, 질소 등등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고 흙도 여러 분자로 이루어졌다는 게 밝혀지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4원소설이 틀렸다는 게 증명되었다. 운동하고 변화하는 감각적 사물의 원인 연구를 자연학이라 하는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여기에 4가지 원인을 들었다(四因論). 그는 재료의 측면, 형상의 측면, 작용의 측면, 그리고 목적의 측면에서 그 원인을 답하였다. 질료인은 대상이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탁자에 대한 재료의 측면은 나무이며, 차에 대한 재료의 측면은 고무와 철이 되는 것이다. 행동을 나타내는 용어가 아니며, 어떤 특정한 것이 다른 것보다 우위에 위치하는 것 또한 아니다. 즉, 책상은 나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책상이 있는 것이다. 형상인은 그 대상이 무엇인지, 즉 정의, 형태, 특성이나 원형(原型, archetype)에 의해 결정되는 것들을 나타낸다. 기초적인 원리나 일반적인 법칙에 의거한 설명을 활용한다. 형상인은 인과관계의 필수적인 것만을 언급할 수 있을 뿐이다. 인간에 의해 만들어질, 물건이 존재하기 이전에 누군가가 가지는 청사진이 더 간단하고도 형식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즉, 책상은 책상의 형상을 띄고 있기 때문에 있는 것이다. 작용인은 변화 또는 변화의 끝이 처음 시작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언가가 만들어지게 만드는 무언가와 무언가가 변화를 겪게 만드는 변화 를 결정하며, 살아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함으로써 변화하는 것인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판단 근거로 작용한다. 인과 관계에 관한 현대적인 이해를 반영하며, 특정한 현상 또는 요인으로서의 근거에 관한 개념을 포괄한다. 즉, 책상은 어떤 목수가 이 책상을 만들었기 때문에 있는 것이다. 목적인은 사물이 있는 목적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말하는 목적은 목적성을 띄거나 그렇지 않은 것 모두를 포함한다. 목적인은 대상이 원래 쓰이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즉, 책상은 위에 누워 잠을 자는 것이 아니라 위에 책을 놓고 책을 읽기 위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개념은 또한 의지나 동기, 합리적인 것, 윤리적인 것과 같이 행동에 대한 목적을 부여하는 정신적인 원인에 관한 현대적인 개념을 포괄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질료(質料, 휠레)와 형상(形相, 에이도스)간의 상호작용이라는 생각으로 자연을 해명하려고 하였다. 질료는 아직 형태를 갖추지 못한 원소재로서 이것이 형상에 의해서 형태가 주어짐으로써 비로소 구체적인 사물이 되어서 존재한다고 생각하였으므로 그는 관찰이나 경험을 플라톤과는 달리 중요시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는 모든 분야에 이르고 있지만, 500종 이상의 동물을 관찰, 기록하고 분류하였다. 《동물지(動物誌)》 9권, 《동물 부분론》 4권, 《동물 발생론》 5권 등을 저술하고, 형상과 질료의 철학으로 설명하였다. 암컷은 재료 즉 질료를, 수컷은 계획 즉 형상을 제공하고, 생물의 성장에 따라서 형상이 완성하고 더욱이 그것은 "자연은 불필요한 일은 하지 않는다"라 하는 관점에 입각한 해부학적 구조, 발생학적인 기관 발달의 연구를 했다. 그의 날카로운 관찰은, 고래나 평활(平滑), 상어의 태생(胎生)을 발견하였고, 꿀벌의 생태나 닭의 부화 등의 정밀한 기록을 남겼다. 이와 같은 성과에 입각하여 생물의 분류를 하였고, 또 생물의 종(種)은 식물에서부터 인간에 이르기까지 완전도를 늘린다고 하고 생물의 11개의 계급을 만들었다. 이것이 자연의 계단 이라는 생각이며, 완전도는 발생학적인 기준에 의거한 것이었다. 생물학에 이어서 그는 물리학, 천문학으로 고찰을 진행시켰는데, 경험·관찰 혹은 생산 기술과의 관련은 생물학과 비교하면 훨씬 적었다. 따라서 그 성과도 역시 생물학에 비해서 뒤떨어져 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그가 파급시킨 영향은 매우 크며, 근대 과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적 학문의 부정(否定)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도 할 수 있을 정도이다. 그는 물질은 연속적이며, 허공(진공)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반(反)데모크리토스적 입장을 취하고, 모든 땅 위의 물질은 흙·물·공기·불의 4원소로 되었으며, 이것들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참된 원소인 제1질료가 열냉·건·습의 4개 기본적인 형상 2개씩을 얻어서 생성된 것이다. 제1질료가 열·습을 얻어서 기(氣)로, 건·열로 불, 건·냉으로 흙, 습·냉으로 물이 된다. 이 4원소는 그에 의하면 단일체이며, 4성질은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상호의 변환은 가능해진다. 이 이론이 연금술을 장기에 걸쳐서 밑받침하였던 것이다. 천계(天界)를 만드는 원소는 아이테르로서, 땅 위와는 다르듯이 지상과 천체의 운동도 서로 다르다. 항성과 행성은 지구를 중심으로 하여 계속해서 등속 원운동을 하고 있다. 원은 완전한 도형이며, 원운동은 완전하기 때문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지상의 물체가 갖는 운동은 본질적으로 상승이거나 낙하, 즉 직선운동이라고 보고, 천체와 지구의 운동을 마주 놓았다. 지상의 물리학을 천계에 적용시킬 순 없는 것이지만 이 생각은 결국 17세기 뉴턴에 의해 뒤집힐 때까지는 정통적(正統的) 학리로서 인정되고 있었다. 또 그의 역학에서는 자유 낙하의 속도는 무게에 비례하고 공기의 저항에 반비례하는, 즉 무거운 것일수록 빨리 낙하한다는 견해를 취하지만, 이것이 갈릴레이에 의해서 부정된 사실은 유명하다. 동시대의 철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아리스토텔레스는 몇몇 광학에 관한 뛰어난 이론의 소유자였다. 기원전 350년에 쓰여진 그의 저서 난제들 ( Problemata )에 초창기의 카메라에 해당하는 암상자에 관한 가장 오래된 설명이 담겨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성적인 생활의 영위에 교육목적을 두었다. 그는 개인이 타인과 접촉할 때 이성에 의해 모든 행위를 하도록 하는 교육체계를 요망했다. 인간의 최고기능은 사고와 행위를 이성적으로 하는 데 있다고 보고, 과학과 철학을 통한 이성의 훈련을 주장했다. 다음으로 그는 행복한 생활을 이룩하는 데에 교육의 목적을 두었다. 그는 모든 인간 행위의 궁극적 목적을 행복이라 보고, 이 행복은 중용(中庸)이란 덕과 이성적인 행동을 할 때 얻을 수 있다고 했다. 그러므로 교육은 이성을 통해서 중용의 덕을 가진 행동을 하게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한편 아리스토텔레스는 국가는 국민을 어떻게 하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성원(成員)으로 교육할 수 있는가를 중심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하고, 교육을 통하여 행복을 성취하고 국가에 유능한 인물을 양성해야 한다고 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유교육을 중요시하였다. 자유교육은 직업적(생산적) 교육이 아니고 여가를 이용하여 자유인으로서의 교양을 함양토록 하는 교육인데, 이를 위한 교육으로 읽기·쓰기·셈하기·음악·체육 등을 들었다. 그에 의하면 책을 읽는 것은 문화인의 교양을 쌓는 것이며, 음악은 한가한 시간을 유쾌하게 보내기 위한 것이고, 체육은 건전한 신체를 갖게 하여 용기를 북돋워주는 것이었다. 그의 자유교육은 신체의 노동보다 정신의 활동을 더 중요시한 것이었다. 그는 교육의 조직이나 내용은 아동의 성장형태에 일치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유아에게는 동물놀이·신체적 활동·이야기 등으로 교육시키며, 14세 이전의 아동들에게는 도덕적·신체적 교육을 중시하여 체육·음악·독서·쓰기 등을 가르치되 이론이나 법칙의 교설(敎說)을 통해서가 아니라 오직 행동을 통한 안정된 습관을 확립케 하기 위해서만 가르쳐야 한다고 하였다. 그는 또 21세가 될 때까지의 청년들은 수학·문학·천문·음악·문법·시·수사학·윤리학·정치학 등 지적인 학습을 시켜야 하며, 21세 이상의 대상자들에게 과학과 철학을 가르쳐야 한다고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방법은 자연발달에 의하여 불합리한 것에서 합리적인 것으로 지향하는 것이었다. 처음의 불합리한 신체적 교육에서 점차로 합리적인 정신적 교육을 지향하며, 정신교육에 있어서도 불합리한 욕망에서 합리적인 이성으로 옮겨져야 한다고 했다. 그리하여 신체적 교육에서 습관으로 향상하고, 다시 마지막으로 이성의 교육에 도달하게 하는 방법이 진정한 교육방법이라고 했다. 즉 체육(體育)·훈육(訓育)·교수(敎授)의 3분야로 나누었던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여성관은 중세 말기까지 그를 절대 권위로 신봉한 서양 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고로 여성사에서도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논리학 범주 명제 분석론 전서 분석론 후서 변증론 소피스트적 논박 자연학 자연학 천체에 관하여 생성과 소멸에 관하여 기상학 영혼에 관하여 자연학 논문집 * 감각과 감각 대상에 관하여 * 기억과 생각해냄에 관하여 * 잠과 깨어있음에 관하여 * 꿈에 관하여 * 잠 속의 예언에 관하여 * 장수와 단명에 관하여 * 젊음과 늙음, 삶과 죽음에 관하여 * 호흡작용에 관하여 동물 탐구 동물의 부분들에 관하여 동물의 움직임에 관하여 동물의 앞으로 움직임에 관하여 동물의 발성에 관하여 형이상학 형이상학 윤리학, 정치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대 윤리학 에우데모스 윤리학 정치학 아테네인들의 정치체제 수사학, 시학 수사학 시학 분류:기원전 384년 태어남 분류:기원전 322년 죽음 분류:고대 아테네의 철학자 분류:고대 아테네의 작가 분류: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분류:고대 그리스의 물리학자 분류:그리스의 생물학자 분류:그리스의 논리학자 분류:정치철학자 분류:자연철학자 분류:예술철학자 분류:형이상학자 분류:윤리학자 분류:기상학자 분류:인식론 학자 분류:경험론자 분류:우주론자 분류:기원전 4세기 그리스 사람 분류:기원전 4세기 철학자 분류:기원전 4세기 작가 분류:한국어 전집이 출간된 저자 분류:알렉산드로스 대왕
서양 고전 음악에서 소나타 (Sonata)는 기악을 위한 음악 형식의 하나로, 주로 노래가 동반되는 칸타타(cantata)에 대비되어 연주 만 되는 작품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소나타는 원래 16세기 초 프랑스의 세계적 성악곡인 샹송이 이탈리아에 전해져 악기로 연주된 데서 탄생하였다. 이 샹송 형식으로 된 오르간이나 기악합주용의 곡은 17세기 중엽부터 한창 작곡되어, 당시는 칸초네 또는 칸초니 다 소나레 (악기로 연주되는 노래의 뜻)라 하였으나, 이것은 몇 개의 짧은 부분으로 된 1악장 형식의 것이었다. 이후 소나타는 이탈리아의 베네치아에서 성악을 위한 칸타타와 구분하는 용어로 시작되었다. 17세기 후반, 비탈리 부자(父子)와 아르칸젤로 코렐리 등에 의하여 교회 소나타가, 그리고 프랑스나 독일을 중심으로 실내 소나타가 생겼다. 두 소나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실내 소나타 (Sonata da camera) 전주곡 + 2 ~ 4 악장 교회 소나타 (Sonata da chiesa) 4 악장 (천천히 - 빨리 - 천천히 - 빨리) 전자는 대위법적인 스타일을 가졌고, 후자는 일종의 모음곡(組曲)풍인 것으로 양쪽 다 느리게-빠르게-느리게-빠르게 의 4악장으로 되었다. 그 후 이 두 가지 소나타는 서로 영향을 받다가 하나로 융합되었다. 바로크 시대 소나타의 대부분은 트리오 소나타라는 양식으로 쓰였다. 이것은 화음반주의 낮은음부를 포함하는 독립된 3성부로 된 소나타로, 보통 높은 2성부를 2개의 바이올린으로 하고, 낮은 1성부를 첼로와 하프시코드(또는 오르간)로 연주하였다. 이 시대의 중요한 소나타 작곡가에는 영국의 퍼셀, 프랑스의 쿠프랭, 이탈리아의 비발디, 스카를라티, 독일의 쿠나우, 텔레만, 헨델, 바흐 등이 있다. 특히 바흐는 소나타를 진정 예술적인 높은 영역으로 끌어올렸다. 이 시기의 소나타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걸쳐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이 대표하는 빈 고전파의 작곡가들에 의하여 완성되었고, 낭만파에 계승된 다악장형식의 기악곡을 말한다. 소나타는 보통 빠르기나 성격을 달리하는 3~4악장으로 구성된다. # 제1악장 ― 빠르다(알레그로). 소나타 형식, 때로는 완만한 도입부를 갖는다. # 제2악장 ― 느리다(아다지오). 리드 형식, 때로는 소나타 형식 또는 변주곡 형식. # 제3악장 ― 조금 빠르다(스케르초 또는 미뉴에트). 미뉴에트-트리오-미뉴에트 또는 스케르초-트리오-스케르초의 복합 3부형식. # 제4악장(종악장) ― 빠르다(알레그로). 론도 형식 또는 소나타 형식, 때로는 론도 소나타 형식이나 변주곡 형식. 이상은 소나타의 전형적인 악장 구성이다. 그러나 고전파의 피아노 소나타나 협주곡의 대부분은 3악장제(보통 미뉴에트 악장을 생략)를 쓰며, 기타 2악장, 드물게는 1악장 또는 5악장 이상의 것도 있다. 예를 들어 월광 소나타는 느린 악장으로 시작하여 2악장으로 미뉴에트를 거쳐서 소나타 형식의 3악장으로 마친다. 이 같은 형식으로 쓴 피아노곡을 피아노 소나타라 한다. 바이올린 소나타, 첼로 소나타, 클라리넷 소나타 등의 경우는 보통 피아노 반주를 가진다. 3중주곡, 4중주곡 등도 각기 3개, 4개의 악기로 하는 기악합주를 위한 소나타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협주곡은 독주악기(또는 독주악기군)와 관현악을 위한 소나타에 지나지 않는다. 고전파의 소나타는 이탈리아의 스카를라티, 클레멘티, 만하임의 시타미츠 부자,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아들 엠마누엘 바흐, 크리스티안 바흐 들에 의하여 준비되었고, 하이든, 모차르트의 손을 거쳐 베토벤에 의하여 형식과 내용이 모두 절정에 이르렀다. 유명한 《열정 소나타》를 비롯한 32곡의 피아노 소나타는 바흐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이 음악의 구약성서 로 불리는 데 대하여 음악의 신약성서 로 불리고 있다. 낭만파 이후의 소나타에서는 형식의 발전은 없으나 독자의 개성적인 소나타가 많이 생겼다. 중요한 소나타 작곡가에는 베버, 슈베르트, 슈만, 쇼팽, 리스트, 브람스, 드보르자크, 프랑크, 생상스, 포레 등이고 현대에서는 스크랴빈, 드뷔시, 레거, 프로코피예프, 바르토크, 힌데미트, 쇼스타코비치, 스트라빈스키 등이 있다. 소나타의 대표적 악장 주기 전주가단조 앨러만드가단조 코랜트가단조 가보트가단조 코렐리, 트리오 소나타 (작품번호 4-5) 실내 소나타 그라베이가단조 푸가가단조 안단테다장조 알레그로가단조 바흐,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 제2번 가단조(바하 작품번호 1003) 교회 소나타 알레그로라장조 안단테사장조 알레그레토라장조 모차르트, 바이올린 소나타 (쾨헬번호 306) 3악장 소나타 3중주 소나타 악기구성 기본 피아노 현악 3중주 소나타 형식 소나타 론도 형식 소나티네
소피스트 (, 는 고대 그리스의 특정 종류의 교사를 일컫는 말이다. 그리스어의 원래 의미는 현자(賢者) , 알고 있는 사람 , 지식을 주고 가르치는 사람 이었으나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여 궤변가(詭辯家) 라는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었다. 소피스트는 종래의 시인들에게 이어받은 교육 문화의 전통을 깨는 일이 없이 신화를 인용하여 개성을 존중하면서 고등 교육의 촉진에 기여하였으나 기원전 4세기 이후 에우티데모스 형제처럼 아류가 되어 언론의 공정성을 무시하고 전적으로 에리스티케(문답 경기)에 열중함으로써 악명을 얻었다. 전통적으로 소피스트들은 궤변론자(詭辯論者)등으로 치부되어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는 정당하지 않다는 의견도 일부 나와 부분적으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시발점이 된 것은 조지 커퍼드의 이다. 소피스트의 출현 배경으로는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소피스트 이전의 철학자들이 우주에 대한 한 결론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여러 학파는 각자의 주장만을 고집했고, 자연 철학자들은 알맞은 결론을 도출하지 못했다. 이런 주장은 자연의 비밀을 간파하는 데 난점을 제공했으며 자연의 진리를 발견할 수 있는 인간 이성의 능력에 대한 회의주의적 분위기를 초래했다. 회의주의로 인해 철학은 새로운 방향으로 나가게 되었으며, 철학자들은 인간 지식의 문제에 집중하였다. 두 번째는 아테나의사회의 변화이다. 페르시아 전쟁(B.C 490~480)에서 아테네가 승리하게 되어 아테네 사회가 부와 권력을 가지게 되면서 그들은 소위 민주주의 사회를 이루었다. 그 후 선생으로서 소피스트가 출현(대부분 아테네 출신이 아닌 타 지역인)하게 되었고 그들은 노예 국가에 예속된 소피스트들이었으므로 아테네의 관습과 문화를 바꾸는 데 주역할을 하게 되었다. 소피스트는 주로 떠돌이 교사로서 혹은 외교관의 자격으로 아테네에 왔던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그중 대략 기원전 5세기부터 4세기까지 아테네에 출현했던 소피스트들은 서로 다른 지방에서 왔기 때문에, 아테네인의 사고 방식과 관습을 참신하게 여겼고, 그것들에 대해 탐구적인 질문을 제기할 수 있었다. 프로타고라스는 개인을 위주로 한 지식의 상대성과 전진성을 강조하였고, 덕의 교사로서는 종래의 귀족적인 덕에 대신하여 욕지(辱知)와 정의와 우애를, 민중 일반이 가르침을 받아 공유(共有)해야 할 폴리스의 덕이라고 역설하였다. 고르기아스는 존재에 대해서는 불가지론적(不可知論的), 회의주의적인 태도를 취하였으나 동시에 언어가 감정에 미치는 극적 효과를 중시하여 기만과 설득에 의하여 사람들을 시의적(時宜的)인 행동으로 유도해 가는 일에 노력하였다. 이처럼 긴장한 비극성을 아류(亞流)인 카리쿠레스와 프라시마코스에서는 기회주의적이고 배덕적인 것으로 타락시켜 힘이 즉 정의라는 논법을 펴기에 이르렀다. 기원전 5세기 후반에는 케오스의 프로디코스가 아테네를 방문하여 변론의 공연(公演)을 하여 호평을 받았다. 그는 자연에서 출발하여 언어·지식을 전달한 문명의 인위적인 발전을 강조하였는데, 특히 헤라클레스의 선택 이란 덕론(德論)이 유명하다. 백과전서적인 관심을 보였던 엘리스의 히피아스는 전반적인 지식 위에 웅변가와 정치가의 교육을 베풀어야 한다고 강조하였고, 또 자연의 법과 인위의 법의 대립을 조정하려고 하였다. 또한 그는 수학을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하였다. 프로타고라스 트라시마코스 고르기아스 프로디코스 히피아스 안티폰 크리티아스 분류:고대 그리스의 교육자 분류:철학 분류:학파
통합 자원 식별자 (, URI )는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이다. URI의 존재는 인터넷에서 요구되는 기본조건으로서 인터넷 프로토콜에 항상 붙어 다닌다. URI의 하위개념으로 URL, URN 이 있다. 일반 URI와 절대 URI 참조 문법은 RFC 2396에 처음 정의되었으며, 1998년 8월 출판되었으며, 3986로 완성되어, 2005년 1월 출판되었다. 일반 URI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나타낸다 scheme // user :password @ host :port /path ? query # fragment 다음은 2개의 예시 URI와 구성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hierarchical part ┌───────────────────┴─────────────────────┐ authority path ┌───────────────┴───────────────┐┌───┴────┐ abc://username:[email protected]:123/path/data?key=value#fragid1 └┬┘ └───────┬───────┘ └────┬────┘ └┬┘ └───┬───┘ └──┬──┘ scheme user information host port query fragment └┬┘ └──────────────┬───────────────┘ scheme path URI와 URL은 역사를 함께 공유한다. 1994년 팀 버너스 리가 하이퍼텍스트를 제안하면서 하이퍼링크의 대상이 되는 자원을 대표하는 짧은 문자열로 URL의 개념을 암묵적으로 도입하였다. 당시 사람들은 이를 "하이퍼텍스트 이름" 또는 "문서 이름"으로 불렀다. 웹사이트 URL IRI URI Schemes – IANA-maintained registry of URI Schemes 분류:인터넷 표준
그레고리력 (Gregorian calendar)은 현재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양력(陽曆)으로, 1582년에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율리우스력을 개정하여 이 역법을 시행했기 때문에 그레고리력이라고 부른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46년에 제정한 율리우스력은 4년마다 2월 29일을 추가하는 윤년을 두었는데, 율리우스력의 1년 길이는 365.25일이므로 천문학의 회귀년 365.2422일보다 0.0078일(11분 14초)이 길어서 128년마다 1일의 편차가 났다. 그레고리력은 율리우스력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역법으로, 1582년 10월 4일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율리우스력의 400년에서 3일(세 번의 윤년)을 없애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했다. 그레고리력의 1년 길이는 365.2425일이므로, 천문학의 회귀년보다 0.0003일(26초)이 길고 약 3,300년마다 1일의 편차가 난다. 그레고리력의 채택 동기는 부활절을 언제 지켜야 할 지에 대한 초대교회의 의견 차이로부터 시작되었다. 기원 후 4세기 초에 소아시아(현재의 터키)에 위치한 도시 에페소스의 주교인 폴리크라테스는 부활절의 날짜를 로마에서 공식적으로 정한 날짜와 달리 정함으로써 의견 충돌을 빚었다. 폴리크라테스 주교 역시 부활절의 날짜를 임의로 정한 것이 아니라 예수의 부활에 대한 요한 복음서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요한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가 부활한 날은 니산 14일(춘분 즈음 시작하는 달의 보름 유대인들의 광복절인 과월절 또는 유월절) 이후 첫 안식일의 다음날이었는데, 부활절을 히브리력(태음력)의 유월절에 따라 정해야 한다는 기독교 공동체들과 이에 반대하는 기독교 공동체들 간의 대립이 생겼다. 325년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에 의해 소집된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는 부활절을 모든 기독교인들의 교회력 시기로 통일하기 위해 춘분 이후 첫 보름 다음의 일요일로 정하였고, 춘분을 그 해 율리우스력에 따라 3월 21일로 확정하였다. 그러나, 율리우스력은 실질적인 장점에도 불구하고 천문학적 햇수와 날의 계산에서 작은 편차가 있었다. 즉, 율리우스력의 한 해의 길이는 정확히 365일 6시간이며, 이는 천문학적으로 계산한 1년의 길이보다 약 11분 14초가 길다. 이 편차가 제1차 니케아 공의회로부터 1,250여 년 동안 누적된 16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춘분일이 325년 당시보다 열흘이 빨라진 3월 11일 즈음이 되어 달력에 큰 오차가 생겼다.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에서 교황에게 역법 개정에 대한 권한이 부여되고 이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1582년 10월 4일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율리우스력을 개정하였고, 개정한 달력은 그의 이름을 따서 그레고리력으로 부르게 되었다.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582년 10월 4일(목) 다음날을 1582년 10월 15일(금)로 한다.(위에서 설명한 열흘의 편차를 제거함) # 4의 배수인 해를 윤년로 한다. 그러나 100으로 나눌 수 있지만 400으로 나뉘어 떨어지지 않는 해는 예외로 평년으로 한다. 그레고리력 은 1년을 365.2425일로 보아 율리우스력의 400년에서 3일을 빼야 했고, 이를 위해 400년에서 3번의 윤년을 제외시키는 방법을 썼다. 즉, 율리우스력의 윤년 중에서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평년으로 하되, 그 중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으로 두었다(예 1700년, 1800년, 1900년, 2100년, 2200년, 2300년은 윤년에 해당되지 않지만, 1600년, 2000년, 2400년은 윤년이다). 현재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그레고리력이 통용되고 있지만, 가톨릭 국가들이 그레고리력 제정 후 1년 만에 대부분 이 역법을 시행한 것에 비해, 종교적 이유 때문에 개신교 국가들은 18세기 전반까지, 정교회 국가들은 20세기 초까지도 기존의 율리우스력을 고수했다. 영국은 1752년 9월 2일 다음날을 9월 14일로, 러시아는 러시아 혁명 직후 1918년 1월 31일 다음날을 2월 14일로 하여 그레고리력을 채택하였다. 이렇게 나라마다 역법이 달랐기 때문에 역사가들은 어떤 사건이 정확히 언제 일어났는지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한 예로서 안톤 체호프가 독일의 바덴바일러에서 사망했을 때 그곳 경찰이 기록한 사망 날짜는 그레고리력에 따른 1904년 7월 15일이지만, 당시 러시아에서 쓰이던 율리우스력으로는 7월 2일이며 체호프 연구학회에서는 지금도 체호프의 사망일을 7월 2일이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1895년 10월 26일(음력 9월 9일)에 조선 정부(을미개혁, 김홍집 내각)가 같은 해 음력 11월 17일을 1896년 1월 1일로 하였고, 태양력 채택을 기념하여 연호를 건양(建陽)으로 변경하기도 하였다. 현재 대한민국도 그레고리력을 쓰고 있다. 《시간의 지도 달력》, E.G. 리처즈, 이민아 옮김, 까치, 2003. 역법 율리우스력 부활절 춘분 회귀년 윤년 분류:태양력 분류:교황 그레고리오 13세
수론에서 완전수 (完全數)는 자기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를 더했을 때 자기 자신이 되는 양의 정수를 말한다. 최초 네 개의 완전수는 6, 28, 496, 8128이다. 6 = 1 + 2 + 3 28 = 1 + 2 + 4 + 7 + 14 496 = 1 + 2 + 4 + 8 + 16 + 31 + 62 + 124 + 248 8128 = 1 + 2 + 4 + 8 + 16 + 32 + 64 + 127 + 254 + 508 + 1016 + 2032 + 4064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들 네 개의 완전수밖에는 알지 못했다. 유클리드는 이들을 에 알맞은 수를 대입해 구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n 6 n 28 n 496 n 8128 이때 은 언제나 소수이지만 이 소수라고 2 n − 1도 꼭 소수가 되지는 않는다. 2 n − 1이 소수일 때는 이를 메르센 소수라고 부른다. 마랭 메르센은 17세기에 정수론과 완전수를 연구한 수도승이었다. 즉, 짝수 완전수와 메르센 소수 사이에는 일대일 대응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모든 짝수 완전수가 꼴이므로, 모든 짝수 완전수는 연속된 자연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메르센 수가 소수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숫자는 과잉수가 된다. 그와 동시에 모두 반완전수이기도 하다. 그러한 예는 120, 2016, 32640, 130816 등이 있다. 15, 63, 255, 511 등은 모두 매르샌 수들 중에서 소수가 아닌 합성수이기 때문이다. 6 = 1 + 2 + 3 28 = 1 + 2 + 3 + 4 + 5 + 6 + 7 496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 . + 30 + 31 메르센 소수의 수가 유한한지 무한한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짝수 완전수의 수가 무한한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 홀수 완전수가 존재하는지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만약 홀수 완전수가 존재한다면 그 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2012년에 출판된 논문에 따르면 N > 101500이다. N은 105로 나누어떨어지지 않는다. N은 N≡1(mod 12)의 형태를 띤다. N 은 : :의 형태를 띠며, : q , p 1, ..., p k 는 구별된 소수이다.(Euler). : q ≡ α ≡ 1 (mod 4) (Euler). : N의 가장 작은 소인수는(2 k + 8) / 3보다 작다. : q α > 1062, 또는 어떤 j에 대해 p j 2 e j > 1062 이다. : N 4 k +1. N 의 가장 큰 소인수는 108보다 크다. 두 번째로 큰 소인수는 104보다, 세 번째로 큰 소인수는 100보다 크다. N 은 101개 이상의 소인수로 분해되며, 적어도 9개의 서로 다른 소인수를 갖는다. 3이 소인수가 아니라면 12개의 서로 다른 소인수를 갖는다. 초완전수 반완전수 준완전수 부족수 과잉수
베토벤의 《 피아노 소나타 제14번 》(작품번호 27-2)는 흔히 《 월광 (月光, Moonlight) 소나타 》로 널리 알려져 있다. 올림다단조이다. 작품27로 1801년에 작곡되었다. 작품27에는 2곡의 ‘환상곡풍 소나타’가 있는데, 그 2번째 곡을 보통 ‘월광’이라 한다. 이는 작곡자 자신이 붙인 제명은 아니며, 당시의 문필가 레일시타프(Ludwig Rellstab)가 붙인 것이다. 일설에 의하면 이 곡의 아다지오 악장은 베토벤이, 조이메라 하는 2류시인의 〈기도하는 소녀〉라는 제목의 시에 감격하여 작곡하였다고 한다. 또는, 베토벤의 애인이었던 줄리에타 기차르디 백작 영양에게 바쳐진 것으로, 이 곡은 그 연애시대의 정열로써 작곡했다고도 추측되기도 한다. # Adagio sostenuto (attacca) # Allegretto # Presto agitato Beethoven Scores + audio & MIDI. 14 분류:올림다단조 작품 분류:환상곡
중국어 () 또는 한어 (, ㄏㄢˋㄩˇ)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화어 (), 중문 () 등으로도 불린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가진 언어로, 전 세계 인구 중 12억 명 가량이 모국어로 사용한다. 그 발상지인 중국 대륙에 가장 많은 사용자가 있으며, 세계 각지의 중국계 이주민들도 쓴다. 중국어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싱가포르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UN의 6개 공용어 중 하나이다. 중국어는 단일의 언어라기보다는 방언연속체로 이루어진 제어(諸語)이며, 학자에 따라 다르나 방언은 크게 10개 내외의 범주로 나뉜다. 대표적으로 베이징 등지의 방언이며 중국의 표준어인 관화(官話; Mandarin), 상하이 등지에서 쓰이는 우어(吳語), 남부의 민어(閩語), 광동어 등을 포함하는 월어(粵語) 따위가 있다. 일반적으로 한자(漢字)라는 문자로 표기되는데, 이는 고대의 상형문자 갑골문을 기반으로 한 표어문자로서 그 수가 매우 많으며 독특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발음을 정확히 표기할 때에는 로마자를 이용한 한어 병음도 사용된다. 가장 큰 특징으로 성조가 존재한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성조에 따라 단어의 의미가 바뀌기도 한다. 문법적으로는 일반적으로 SVO 어순을 따르며, 형태소가 굴절없이 단어를 이루어 어순에 따라 문법적 역할이 결정되는 문법적 고립어이다. 인접한 언어인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등에게 어휘는 물론 음운이나 문법 등 다양한 면에 있어서 역사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다. 중국어를 역사적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상고한어 주나라와 진나라와 한나라의 한어 중고한어 남북조와 당나라의 한어 중세한어 오대십국과 송나라의 한어 근대한어 원나라, 명나라와 청나라의 한어 현대한어 오늘날중화권에서 쓰는 한어 중국어 방언 중국어방언의 특징은 중국어를 모어로 하면서 방언을 쓰는 집단사이에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각방언을 방언으로 보아다루느냐 아니면 다른 언어로 보아다르느냐 하는 데에는 논란이 있다. 다만, 한자 및 한문이라는 공통된 글말의 기반위에서는 중국어제방언을 아우르는 상호의사소통성을 유지할수있으며, 이것이 중국어제방언을 공통언어로 묶는 역할을 한다. # cmn — 관화() 또는 북방화() 중국북부와 서부에서. - 8억명 ##북경말 ##cjy — 진어() 산서성(山西省)에서. ## 동북말() # 민어() 복건성(福建省)과 중화민국에서. - 5000만명 ## cdo — 민동어(閩東語) 복건성동북쪽과 절강성(浙江省)남쪽 ## cpx — 보선어() 복건성중앙의 보전시(莆田市)와 선유현(仙遊縣)에서. ## czo — 민중어(閩中語) 복건성중앙에서. ## mnp — 민북어() 복건성북부에서. ## nan — 민남어(閩南語) 복건성남부, 광동성(廣東省)동부, 해남성(海南省) 및 대만에서. ###조주어() ### 해남어() ### 장주어(漳州語) ### 대만어(臺灣語) 대만에서. ### 아문어(廈門語) 아문시에서. ### 천주어() # gan — 감어() 강서성(江西省)에서. - 2000만명 # hak — 객가어(客家語) 광동성 북부와 해외중국인. - 3500만명 # hsn — 상어() 후난성 (湖南省)에서. - 3500만명 # wuu — 오어() 중국동부(상해, 조주따위)에서. - 9000만명 # yue — 월어(광둥어 등)(語) 홍콩, 마카오, 광동성, 광서좡족자치구의 일부 및 해외중국인. - 8000만명 # dng — 둥간어(東干語)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둥간족. # 핑어(平語) - 좡족. # czh - 후이어() - 오어나 감어의 일부로, 안휘성(安徽省)에서. 중국어는 성조어이다. 소리의 높낮이 차이가 닿소리나 홀소리와 같이 뜻을 구별하고 있다. 이것을 성조라고 한다. 예를들면 표준중국어에는 {ma}라고 하는 형태소는 경성도 포함해서 19개나 있다. 하지만 음평성(陰平聲), 양평성(陽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의 4개의 성조와 경성이 있어서 모든 것이 같은 발음은 되지 않는다. 음평성(제1성) - 妈(mā; 어머니) 양평성(제2성) - 麻(má; 마) 상성(제3성) - 马(mă; 말) 거성(제4성) - 骂(mà; 욕하다, 욕설을 퍼붓다) 경성 - 吗(ma; 의문조사) 어형변화(활용)가 일어나지않고, 어순이 의미를 해석할 때의 중요한 결정적인 근거가 되는 고립어이다. 고립적인 특징을 가진 언어로서는 그 밖에 영어 등이 있다. 기본어순은 주어-서술어-목적어형이다. 하지만, 현대북방어나 문어에서는 나 , 에 의한 목적격 표시 등이 있으며, 주어-서술어-목적어→주어-목적어-서술어 형의 문장을 만들 수가 있으며, 게다가 교착어에 가까워져 있다. 예 표준중국어의 문법 我去图书馆看书。(도서관에 가서 책을 읽다.) **상해말의 문법 我到图书馆看书。 현대중국어에서는 일본어처럼 움직씨앞뒤나 문말에 조사, 조동사가 온다. 예를 들면 了 는 동사에 붙으면 상(완료)를 나타내며, 문말에 붙으면 모댈리티를 나타낸다. 중국어에는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가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에 상은 존재하며, 동사에 (완료), 過(경험), 著(진행)을 붙이는 것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我昨天 去 了電影院。 (어제 영화관에 갔었다.) 또, 격 에 의한 어형변화는 없는 것이 고립어의 특징이다. 따라서 중국어에도 명사나 형용사에 격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격은 어순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예 1인칭단수의 인칭대명사 我 我去過中國。(주격 나는 중국에 간 적이 있다.) * 상하이어 我到中國去過個。 我媽媽讓學習。(목적격 어머니는 나에게 공부시킨다.) * 상하이어 我個媽媽讓我學習。 중국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 * * 공용어는 아니지만 중국어를 사용하는 국가 인구의 약 20~25%가 사용한다. 준중화권 국가로 보기도 한다. 인구의 약 10%가 사용한다. 인구의 약 4%가 사용한다. 주요외국어. 관광명소와 주요 교통시설의 방송언어이다. 주요외국어. 관광명소와 주요 교통시설의 방송언어이다. 주요외국어. 관광명소와 주요 교통시설의 방송언어이다. 일부지역에서 통용. 일부지역에서 통용되며, 소수중국계가 많이사용. 대도시에 사는 일부중국계주민에 의해서 사용. 대도시에 사는 일부중국계주민에 의해서 사용. 일부 차이나타운 지역에서 사용. 일부 차이나타운 지역에서 사용. 일부 중국계주민에 의해서 사용. 중국어를 표기하는 데 쓰이는 문자인 한자는 표의문자로 한국어의 표기 문자인 한글 같은 표음문자처럼 발음 그대로 표기하는데 제약이 있다. 그래서 웨인 루니, 요르기오스 사마라스 등의 외국 인명이나, 뉴욕, 시카고, 샌프란시스코 등 외국 지명, 필립스나 롯데 등 기업명은 그 지역의 원래 발음과 비슷한 한자를 가차(假借) 하여 쓰거나, 컴퓨터와 같은 것은 그 용도와 특징을 한자어로 번역하여 電腦(전뇌, 전기와 전자에 의한 뇌 라는 뜻)와 같이 쓰기도 한다. 중국여성의 해외성매매 Ethnologue report for Chinese 분류:성조어 분류:중국의 언어 분류:타이완의 언어 분류:홍콩의 언어 분류:마카오의 언어 분류:일본의 언어 분류:싱가포르의 언어 분류:베트남의 언어 분류:말레이시아의 언어 분류:몽골의 언어 분류:브루나이의 언어 분류:인도네시아의 언어 분류:중국의 상징 분류:고립어 (언어유형학)
쿠바 공화국 (República de Cuba 레뿌블리까 데 꾸바), 줄여서 쿠바 (Cuba 꾸바는 카리브 해의 카리브 제도에 있는 가장 큰 섬과 인근 섬들로 이루어진 아메리카 유일의 사회주의 국가이며, 수도는 아바나, 공용어는 에스파냐어이다. 윈드워드 해협을 사이에 두고 동쪽에는 히스파니올라 섬에 있는 아이티와 도미니카 공화국이, 케이만 해협을 사이에 두고 남쪽에는 케이만 제도와 자메이카가, 플로리다 해협을 사이에 두고 북쪽에는 미국 플로리다주가 있다. 수도는 아바나이다. 지리적으로는 북아메리카에 포함되지만, 광의의 중앙아메리카에도 포함된다.「아메리카 합중국의 뒷마당」이라고 일반적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뒷마당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를 연결하는 요로에 있다. 또한 아메리카 대륙에서 처음으로 성립한 공산주의 정권을 기념하여 「카리브에 떠오르는 붉은 섬」이라고 형용되기도 한다. 체 게바라가 참여한 쿠바 혁명으로 피델 카스트로가 집권한 이래 현재까지 공산주의 국가로서 미국의 경제 봉쇄로 경제의 어려움을 자립 경제 체제로 버티면서 미국과 대립하고 있었으나 2014년 12월 18일 국교정상화 선언을 했다. 1961년 자본주의 체제에서 공산주의 체제로 바뀌었으며, 냉전 시기인 1991년 까지 중남미의 수많은 사회주의 혁명의 주요 지원 국가였다. 쿠바 섬은 카리브해의 진주라고 불리면서 세계인들에게 동경의 섬으로 알려진 곳이다. 쿠바에는 수천 년 전에 타이노족 등 원주민이 농경 등을 영위하고 있었으나, 15세기에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쿠바에 건너온 이후 19세기까지 스페인의 식민지로 있었다. 16세기 초부터 스페인사람들은 아프리카의 흑인 노예를 수입하여 19세기까지 쿠바에 수입된 흑인 노예의 수는 100만 명에 이르렀다. 17∼18세기에는 흑인들이 여러 차례 해방투쟁을 일으켰으나 스페인의 가혹한 탄압으로 끝을 맺었다. 쿠바와 미국 간의 긴밀성은 쿠바의 역사에 매우 많은 영향을 끼쳐 미국은 끊임없이 쿠바를 지배하려고 넘보았다. 19세기에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와 호세 마르티는 각각 독립전쟁을 일으켰으나 스페인은 쿠바의 자치를 허용하지 않았고, 군사 통치자 발레리아노 웨일러(Valeriano Weyler)는 무자비하게 진압하였다. 1898년 미국의 메인 호가 아바나 항에서 정박 중에 폭발한 사고(메인호 사건)(후에 미국의 자작극으로 확인되었다.)을 구실로 미국이 일으킨 미서전쟁은 미국의 승리로 끝나고, 스페인은 쿠바를 미국에 넘겨주었다. 종전 후 3년 동안 쿠바에서는 미국 군대의 군정(軍政)이 실시되었으며, 1903년에는 관타나모에 미국 해군의 기지가 설치되고 쿠바의 중추적 기능을 미국 자본이 장악하는 등 쿠바는 미국의 사실상의 식민지가 되었다. 쿠바는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 측으로서, 명목상 선전포고는 하였으나, 실제 전투에 참가는 거의 없었다. 1930년 마차도의 쿠데타 이후로, 10여 년간 계속 군사 정권이 들어섰다. 1940년 쿠바 자유당의 바티스타는 선거로 정권을 획득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삶의 질은 향상되었으나 빈부 격차도 극심해졌다. 1952년에는 군부의 지지를 받는 바티스타가 쿠데타를 일으키고 권력을 얻어냈고 바티스타에 대항한 1956년 바르킨의 쿠데타는 실패로 끝났다. 1959년 카스트로가 정권을 장악하여 쿠바는 공산화되었다. (이 때 쿠바는 프로 야구인 큐반 리그를 없애 버렸다.) 이후, 미국은 쿠바를 침공하였으나 실패하였고,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로 미국은 쿠바를 침공하지 않겠다고 약속하였다. 쿠바 공산화 때부터 1993년까지 쿠바의 독재정권을 피하고자 120만 명의 쿠바인이 쿠바를 탈출하였다. 1970년대 쿠바는 볼리비아, 앙골라 등의 공산당 군벌들을 원조했고, 미국은 이에 대응하여 해당 국가의 정부군을 지원하였다. 1991년 소련의 붕괴로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되자 쿠바의 경제는 더욱 악화되었다. 1993년에는 일부 민간차원의 미국과의 교류를 허용하였으나 미국은 금수 조치로 쿠바에 제재를 가했다. 카스트로정권에 반대하여 수감된 양심수가 500명에 이른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등 쿠바 정부는 지난 30년 동안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로부터 인권 침해로 비난받아 왔다. 2008년, 피델 카스트로의 건강악화를 이유로 친동생 라울 카스트로가 새로운 국가평의회장직을 계승했다. 2014년 12월 18일, 쿠바는 적대적인 관계였던 미국과 국교정상화를 했다. 2016년 11월 28일에 마침내 피델 카스트로는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섬의 해변. im Valle des Vinales, Kuba.jpg|200px|왼쪽|섬네일|비냘레스 계곡의 풍경. 쿠바는 카리브 해 북쪽에 있으며 주변으로 카리브 해, 멕시코 만, 대서양에 둘러싸여 있다. 쿠바 북쪽으론 미합중국 플로리다주와 바하마, 동쪽으로는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와 아이티, 서쪽에는 멕시코의 유카탄 반도, 남쪽으로는 케이맨 제도와 자메이카와 이웃하고 있다. 쿠바는 카리브 해의 군도로, 쿠바는 주요 섬이다. 주변의 섬들을 네 가지로 분류하는데 콜로라도스 제도, 사바나 카마구에이 제도, 하르디네스 데 라 레이나 제도, 카나레오스 제도이다. 쿠바 본섬은 면적이 105,006 제곱킬로미터로 국토의 대부분을 이루며, 길이는 1,233km에 이르는 세계에서 17번째로 큰 섬이다. 쿠바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은 남서쪽의 이슬라 데 라 후벤투드(젊음의 섬)으로 그 면적은 3,056 제곱킬로미터이다. 쿠바의 총 면적은 110,860 제곱킬로미터이다. 쿠바는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받고 있어서 2050년이 되면 국토의 6%가 바다에 잠긴다는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본섬은 대부분 평탄하거나 구릉이 있는 평야이다. 섬 남동쪽 끝에는 가파른 시에라 마에스트라 산맥이 있는데, 가장 높은 곳은 피코 레알 델 투르키노 산(높이 1,975m)이다. de Humboldt National Park.jpg|200px|왼쪽|섬네일|쿠바 동부의 알레한드로 데 움볼트 국립 공원. 이 곳의 기후는 열대에 속하지만, 연중 부는 북동쪽의 무역풍으로 온화하다. 일반적으로(지역차가 있지만) 11월에서 4월까지는 건기이며, 5월부터 10월까지는 우기이다. 평균 기온은 1월에는 21 °C, 7월에는 27 °C이다. 카리브 해는 기온이 따뜻한 데다 쿠바 섬이 멕시코 만 입구에 자리잡고 있어서 허리케인 이 지나갈 때가 많다. 허리케인은 9월과 10월에 자주 일어난다. 쿠바의 가장 중요한 광물 자원은 니켈이다. 쿠바는 러시아 다음으로 니켈 매장량이 많다. 캐나다의 에너지 기업인 쉐리트 인터내셔널(Sherritt International) 사는 모아에 거대한 니켈 광산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다른 주요 자원으로는 니켈 채굴로 나오는 부산물인 코발트가 있다. 쿠바는 세계에서 정제한 코발트 생산량이 다섯 번째로 많은 나라이다. 최근 석유 탐사로 북부 쿠바 분지에서 약 46억~93억 배럴의 석유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006년 쿠바는 이곳에 시험 시추를 시작하였다. 쿠바의 정치 체제는 사회주의 공화국이다. 국가원수는 국가평의회 의장과 국무위원회 의장을 겸하며 현재 라울 카스트로(임기 5년)이다. 국가평의회는 인민 주권 민족 회의가 폐회 중일 때 입법 기능을 수행하고, 국무위원회는 행정을 담당한다. 국가평의회와 국무위원회의 구성원은 인민 주권 민족 회의(Asamblea Nacional del Poder Popular)에서 선출한다. 입법권은 5년 임기인 609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되는 인민 주권 민족 회의가 행사한다. 사법권을 행사하는 최고의 기관은 쿠바 최고 인민 법원(Tribunal Supremo Popular)이다. 쿠바에는 다양한 정당들이 존재하지만, 후보를 지명하거나 선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허락된 정당은 "쿠바 공산당"(PCC) 이외에는 없다. 쿠바의 수도는 아바나이며, 쿠바에는 14개의 주와 1개의 특별구역의 행정구역이 있다. 쿠바는 대단히 군사화 된 국가이며 국가 자원의 큰 부분을 군대의 설립과 유지를 지원하기 위하여 할애하였다. 쿠바는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등지의 전쟁을 지원하는 등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반면, 미국과는 2014년 12월 18일 1961년 국교가 단절된 이후 53년 만에 국교를 정상화하였다. 미국은 수개월 내에 쿠바의 아바나에 대사관을 재개관하기로 하고 여행, 송금 제한 완화와 미국 금융기관이 쿠바 계좌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하는 제재 수위를 낮추기로 했다. 대한민국과는 아직 수교를 맺고 있지 않았으나 현재 주 멕시코 대사관이 쿠바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2005년 KOTRA 무역관이 개관하였고, 현재 연간 5000여 명이 쿠바를 방문하는 등 민간차원에서는 차질 없는 교류를 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1960년에 수교하였다. 쿠바의 행정 구역 쿠바의 행정 구역 쿠바에는 15개 주(provincia)와 특별구역(이슬라 데 라 후벤투드)로 이루어져 있다. 과거에는 여섯 지방으로 피나르 델 리오(Pinar del Río), 아바나(Habana), 마탄사스(Matanzas), 라스 비야스(Las Villas), 카마궤이(Camagüey), 오리엔테(Oriente)로 나누었다. 현재 행정 구역은 쿠바 독립 전쟁 당시 에스파냐의 군사 지역과 매우 유사하다. 쿠바의 주는 여러 시군(municipio)으로 세분된다. 쿠바의 오일 펌프 쿠바 정부는 정부가 대규모로 통제하는 계획경제를 조직하는 데에 공산주의 정책을 고집하고 있다. 생산수단의 대부분은 정부가 소유·운영하며, 정부가 대부분의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기업의 인력 분담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1981년 공공부분이 91.8%, 사기업이 8.2%의 인력을 고용한 것에 비하여, 2006년에는 공공부분이 78%, 사기업이 22%의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자본 투자는 제한적이며 정부가 승인하여야 가능하다. 게다가, 쿠바 사람을 고용하고자 하는 기업은 쿠바 정부에 임금을 지급하고, 쿠바 정부가 다시 해당 근로자에게 쿠바 페소로 임금을 지급한다. 쿠바 정부는 이론적으로는 계급 특권을 부정하는 입장이지만, 공산당원 또는 정부에 권력을 가진 자에 대한 우대가 존재한다. 교통, 직업, 주거, 대학 교육 그리고 보다 우수한 보건 혜택을 받는 것은 정부나 또는 공산당 내에서 신분을 가져야 가능하다. 1980년대 말부터 쿠바의 국가 운영 경제에 대한 소련의 보조금이 고갈되기 시작하였다. 소련이 붕괴되기 전까지 쿠바에게 소련은 수출의 보호무역 시장이었고 많은 경제 원조의 주역이었다. 소련은 쿠바산 사탕수수를 시장보다 높은 가격에 사 주었고 석유를 시장보다 낮은 가격에 쿠바에 공급해 주었다. 한때 쿠바가 소련으로부터 받는 보조금은 60억 달러에 달하였다. 이 보조금이 사라지자 쿠바의 경제는 "페리오도 에스페시알 엔 티엠포 데 파즈"(Período especial en tiempo de paz)라 불리는 급속한 경기불황에 직면하였다. 1992년에는 미국이 쿠바에 대한 엠바고를 더욱 강화하였다. 일부에서는 이것이 쿠바 사람들의 삶의 질을 1년 내에 위기 상황으로 몰아가는 데에 일조했다고 보고 있다. 쿠바는 1인당 실질 GDP가 약 2만 달러에 달하지만, 엄청난 고환율 정책으로 인해 쿠바 페소화가 비정상적으로 자국내에선 고평가되어 있고, 국제 화폐 기준에서는 매우 저평가되어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수치이다. 전문가들은 쿠바의 1인당 명목 GDP를 약 7천 달러로 예상하며, 쿠바 내에서 생산되는 품목의 경우는 싼값에 거래되지만 수입 물품의 가격은 상상을 초월한 상태이다. 소련이 붕괴됨에 따라, 다른 공산주의·후(後)공산주의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쿠바는 소련의 원조의 종결을 벌충하여 식량, 소비재, 서비스 산업의 부족을 완화시킬 제한적인 자유 시장 수단을 취하였다. 이러한 수단들은 일부 소매와 경공업 분야에서의 자체적인 고용과 기업계에서 미국 달러 사용의 합법화, 그리고 관광 산업의 육성을 포함한다. 1996년, 관광산업은 사탕수수 산업을 제치고, 쿠바가 경화(硬貨)를 벌어들이는 가장 큰 자원이 되었다. 쿠바는 최근 10년간 카리브해 지역의 관광산업에 있어서 시장점유율을 3배나 올려놓았다. 이것은 관광산업의 인프라에 많은 투자를 한 결과이며, 이러한 성장율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쿠바의 담배 농장 쿠바의 경제에서 기본은 사탕수수 생산이다. 사탕수수 재배 면적은 부침땅의 4분의 1을 차지하며 사탕수수는 수출총액의 80~85%를 차지한다. 설탕 수출량의 4분의 3이 미국에 수출되고 있다. 사탕수수의 생산은 국민총생산의 25%를 차지한다. 아바나 시가는 세계 최고품 담배로 주요 수출품이다. 그밖에 벼, 강냉이, 콩, 땅콩, 감자, 귤, 커피, 레몬, 코코아, 파인애플, 목화, 채소류 등 다양한 농산물을 재배하고 있다. 농업협동화와 저수지건설이 힘차게 추진되고 있다. 축산물은 이 나라 농업의 2대 부문의 하나이다. 혁명 전의 플랜테이션이나 대지주 경작지는 전부 공산주의 혁명이후 정부에 의해 토지개혁이 시행되어 국유농장이나 소농(小農)의 경작지가 되었다. 1990년대 소련의 몰락과 미국의 봉쇄 정책으로 유기농업이 시작되었다. 쿠바는 사탕수수를 위주로 한 대량생산 시스템을 포기하고 소와 유기질 비료를 이용한 협동농장 중심의 친환경 농업으로 전환하였다. 주요 짐승은 닭, 소, 돼지 등이다. 수산업에서는 왕새우잡이가 유명하여 생산량이 라틴아메리카에서 첫 자리를 차지한다. 공업에서 기본을 이루고 있는 것은 사탕공업이며 기타 채취, 전력, 야금, 세멘트, 화학, 원유가공 등 중공업이 발전하고 있다. 주요지하자원은 니켈, 코발트, 철, 망간, 동, 크로뮴, 보크사이트 등이다. 주요수출품은 사탕수수, 니켈을 비롯한 광물류, 잎담배(시가)와 그 가공제품, 커피, 물고기 제품 등이며 주요수입품은 기계, 식료, 원유, 강재, 화학제품 등이다. 철도 및 자동차, 해상 운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내 총생산의 10%를 투자하는 무상교육과 7%를 투자하는 무상의료 시스템은 오직 공공선의 목적으로 굴러간다. 쿠바에는 학생이 10명 이하인 학교가 2천여 개에 달하고, 의사들의 수준은 미국에 뒤지지 않는다. 그러나 쿠바 국민은 전체가 배급 수첩을 소지하고 있으며, 매일 배급을 받는다. 과거에는 외국의 초청이 없는 한 해외로 출국할 수 없었으나 최근 여권만 있으면 출국할 수 있도록 법이 바뀌었다. 이 나라는 500여 년 전에 스페인 사람들이 원주민 인디오를 학살했기 때문에 백인 정착자와 흑인 이주민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주민의 인종 구성은 물라토가 37%, 유럽계 백인이 51% (주로 스페인계), 흑인 11%, 중국계 1% 인 것으로 추정되며 그 외에도 메스티소가 있다. 쿠바 정부는 인종별 통계는 인종차별로 연결된다는 이유로 인종별 통계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추계 값은 점차 혼혈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2002년 쿠바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쿠바의 총인구는 1117만7743명 이고 이 중 남성이 559만7233명, 여성이 558만0510명이었다. 인종별로 보면, 백인이 727만1926명, 메스티소 및 물라토가 277만8923명, 흑인이 112만6894명이었다. 인구 통계에 대한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마이애미 대학교의 쿠바와 쿠바-미국 연구소(The Institute for Cuban and Cuban-American Studies)는 62%가 흑인이라고 말한다. 반면에 2002년 인구 조사에서는 백인이 65.05%로 나타났었다. 국제 소수자 인권 연대(The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는 아프리카-쿠바 혼혈인의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는 혁명 전후의 빈약한 자료와 체계적인 연구의 결핍으로 인하여 여전히 의문인 상태라고 말한다. 쿠바의 인구에서 아프리카 출신의 후손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33.9%에서 62%로 매우 다양하다. 쿠바의 주민은 매우 복잡한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점점 흑인계의 인구증가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백인과 메스티소가 사회의 중심세력을 이루고 있다. 근래에는 다양한 종족간의 결혼도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종족의 통합을 지향하는 추세다. 백인의 선조들은 스페인 사람과 다양한 라틴 아메리카 출신들이다. 18세기, 19세기 그리고 20세기 초반에 카나리아 사람, 카탈란 사람, 안달루시아 사람, 갈리시아 사람 그 밖에 다른 스페인 사람들은 쿠바 이주의 거대한 물결을 이루었다. 그 밖에도 아일랜드인, 영국인, 프랑스인, 이탈리아인, 포르투갈인, 러시아인, 전쟁 전 이민 온 일본계 등 아시아인 등 다양한 인종들이 쿠바에서 살고 있다. 아프리카-쿠바 혼혈인들의 선조는 주로 콩고에서 건너왔다. 20세기 동안 있었던 이민은 쿠바의 인구 특징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1903년에서 1933 년 사이에 72만 명의 스페인 사람, 19만 명의 아이티 사람, 12만 명의 자메이카 사람, 기타 약간의 미국 사람, 중국 사람 등의 이민이 있었다. 1959년 쿠바 혁명을 통해 이뤄진 현 정부의 정책에 따라 라틴 아메리카 국가별, 스페인 식민 시대부터 이어져 온 인류에 기반 전통적 계급 사회는 파괴되고 많은 백인 유산 계층과 중산층이 미국 플로리다와 서유럽으로 망명했다. 쿠바는 또한 비 쿠바인의 피신처이기도 한데, 정확한 숫자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수천 명의 북부 아프리카 출신의 10대 및 소아 난민들도 존재한다. 쿠바의 출산율(2006년, 1천명 당 9.88명)은 서반구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쿠바 전체의 인구는 1961년의 약 7백만 명에서 현재의 1100만 명으로 꾸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증가율은 지난 수십 년간 둔화되었다. 그리고 2006년부터는 증가율이 낮아지기 시작하였다. 2006년의 여성 1인당 출산율은 1.43명이다. 이러한 출산율의 하락은 서반구에서는 가장 큰 것이다. 쿠바에서 이혼은 자유로우며 1996년에 1천명당 58.6명이 이혼하였다. (캐리비안 지역 평균 35명, 라틴 아메리카 평균 27명, 유럽 평균 48명과 비교된다.) 피임율은 약 79%인데, 이 수치는 서반구의 상위 1/3에 속한다. 현재 공용어는 스페인어(쿠바 방식의 스페인어)이다. 하지만 관광 산업에 주력하고 있는 미국 본토에 가까운 곳, 그리고 공교육의 보급률이 높다는 점 때문에, 호텔, 레스토랑, 그리고 도심 등에서는 영어(보통 자메이카에서 넘어온 사람도 사용한다.)가 통한다. 구 소련 해체 전에는 러시아어도 공용어로 추가되었다. 러시아어는 쿠바의 대도시에서 사용된다. 또한, 아이티에서 이주한 주민은 아이티어(아이티식의 독특한 크레올 언어.)를 사용하며, 스페인어를 구사하는 인구도 있는 편이다. 그러나, 대부분이 사용하는 언어는 스페인어로 통하며, 영어, 아이티어는 소수가 사용하기 따름이다. 카스트로는 쿠바가 미국의 반식민지가 되었던 것은 미국의 선전을 국민들이 간파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국력을 교육에 집중하였다. 1959년 쿠바혁명 이후 카스트로 정권은 교육 사회 복지 부문에 대한 투자 비율을 강화하고 관련 예산이 국가 예산의 16%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농촌의 문맹률이 크게 하락하였고 대학을 포함한 모든 교육은 무료로 제공한다. 유치원을 거쳐 예비학교 1년,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은 의무교육(obligatorio)이며 이후 고등학교, 대학교로 이어진다. 초등학교에서는 학급을 20명으로 하거나, 서브티쳐(sub-teacher)를 도입하고 있다. 고등학교 과정은 크게 직업교육을 목적으로 한 실업계고등학교, 대학교 진학을 목적으로 한 인문계고등학교, 예술고, 체육고로 나뉜다.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모두 교복을 입으며, 학년에 따라, 기숙사 여부에 따라, 전공에 따라 교복의 색과 무늬가 달라진다. 특히 농촌에서 높았던 문맹률 일소 운동을 전개하여 문맹률이 낮아졌다. 200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15세 이상 국민의 문자해독률은 99.8%이며 이는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와 함께 라틴 아메리카 최고 수준이다. 또 국민의 대다수는 고등학교를 졸업한다. 주요 고등 교육 기관으로 1728년에 개교한 아바나 대학 등이 꼽힌다. 2001~2002년 기준으로 19만 1262명의 학생이 고등 교육을 받았다. 또한 쿠바는 학교 교육에서 스포츠에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야구는 초등학교에서 대학까지 필수 과목으로 도입했고 쿠바 최고의 인기 스포츠다. 쿠바 정부는 고문, 자의적인 구금, 불공정한 재판 그리고, 사법절차에 의하지 않은 처형 {일명, 엘 파레돈("El Paredón")} 등을 포함한 수많은 인권 유린으로 지탄을 받고 있다. 휴먼 라이트 워치는 이 정권이 거의 모든 정치적인 반대를 탄압하고 표현·회합·사생활·정치적 운동의 자유와 적법절차의 원칙을 제도적으로 보장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앰네스티나 휴먼 라이트 워치 같은 인권 단체는 쿠바 양심수에 대한 보고서를 발행했다. 국경 없는 기자회는 2008년의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 쿠바를 최하위권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국경 없는 기자회는 쿠바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공동으로 "세계에서 첫 번째로 언론인을 많이 투옥하는 나라"라고 간주한다. 쿠바 반정부 단체 하얀 옷의 여자들은 2005년 유럽 의회에서 사하로프상을 수상했다. 쿠바는 수많은 반체제 인사들을 투옥하였다. 유명 인사로는 페드로 루이스 보이텔(Pedro Luis Boitel), 마르타 베아트리즈 로케(Marta Beatriz Roque), 라울 리베로(Raúl Rivero), 마누엘 바즈케즈 포르탈(Manuel Vázquez Portal), 엑토르 마세다 구티에레즈(Héctor Maseda Gutiérrez), 호세 루이즈 가르시아 페레즈(Jorge Luis García Pérez), 기에르모 파리냐스(Guillermo Fariñas)가 있다. 휴먼 라이트 워치는 투옥된 정치범의 숫자가 매우 축소되어 발표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휴먼 라이트 워치에 따르면, 정치범들은 다른 죄수들과 함께 수준 이하이며 비위생적인 조건의 감옥에 투옥되고 있다. 그 밖에도 블로그를 통해서 쿠바 소식을 생생히 전하는 요아니 산체스(Yoani Sánchez)와 같은 경우는 매우 엄격한 감시를 받고 있다. 쿠바 국민들은 정부 허가(하지만 극히 드물다) 없이는 쿠바를 떠나거나 돌아올 수 없다. 쿠바 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비슷한 광범위한 검열 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국경 없는 기자회의 2008년 언론 자유 지수에서 최하위 순위를 보였다. 검열은 쿠바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을 제한한다. 언론매체는 정부에 의해 통제된다. 쿠바의 매체는 공산당의 혁명 지도부에서 관할하며, "선전 전략을 발전시키고 협조 한다.". 당국은 인터넷을 "21세기의 큰 질병"이라 부른다. 컴퓨터 소유가 금지되어 컴퓨터 보유율이 세계에서 가장 낮다. 인터넷을 이용할 권리는 선택된 사람들에게만 허가되며, 이들도 감시받는다. 불법적인 인터넷 연결은 징역 5년형에 처해질 수 있다. 1959년 쿠바혁명 이후 쿠바에서는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의료를 시행하였다. 일차의료기관(Primary Health Care)을 중시하는 의료 제도를 채택하여 독특한 사회 복지 정책과 함께 "쿠바 모델"로 유명하다. 쿠바에는 가정의 제도 가 있어 지역 주민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등 예방진료를 담당한다. 가정 의사는 의사가 환자를 방문하여 돌보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종합의료기관(폴리클리닉)은 1차 진료기관으로 모든 진료과목과 전문의를 보유하고 있다. 최종 진료기관으로는 종합병원이 있고 이는 종합수술 및 입원이 가능한 병실 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쿠바 라틴아메리카 의과대학에서는 미국인을 포함하여 유학생을 무료로 받는다. 의사들은 의료혜택을 받지 못하는 오지에서 수년간 의료 봉사활동을 한다. 쿠바는 재해가 발생한 해외에 의사를 파견하고 있다. 이것은 마이클 무어 감독의 영화 《식코》에서 소개되기도 하였다. 베네수엘라와 의사-석유 교환 협정으로 베네수엘라의 바리오 아덴트로 미션에 의료인력과 설비를 제공하고 석유를 받고 있다. 쿠바 국민의 대부분이 스페인이나 아프리카로부터 이민을 왔기 때문에, 쿠바의 문화는 스페인과 아프리카, 특히 요루바(현재의 나이지리아)의 전통 문화로부터 영향을 받아 그것들이 혼합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국민의 영화 감상이 번성한 나라이기도 하다. 쿠바 혁명으로 공산주의 국가가 된 후 쿠바정부는 종교를 탄압했으나, 현재는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무교가 인구의 55%에 달한다. 스페인 식민의 영향으로 쿠바에서 가장 중요한 종교는 로마 가톨릭교회이고 쿠바 혁명 이전에 인구의 70% 이상이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였다.(1957년) 그러나 카스트로 정권 아래 신자 수는 약 40%까지 감소하고, 종교 활동이 반혁명 활동으로 간주되지 않을 필요성 때문에 현재도 로마 가톨릭교회의 전교는 정부의 제한을 받고 있다. 다른 종교로는 장로교등의 개신교, 여호와의 증인, 유대교, 그리고 기독교와 아프리카 요루바족의 전통종교가 섞인 혼합 종교인 산테리아(Santería)도 민중 종교로 존재한다. 동부 지역에서는 아이티에서 온 이민자의 영향으로 부두교 신자도 있다. 공산주의 국가로서는 특별하게도, 일본에서 발상된 창가학회도 존재한다. 쿠바의 국교는 전통적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이지만, 개신교도 소수 존재한다. 정부에서 허가하면 야외에서 종교 집회를 열 수 있으며, 개신교인 과 가톨릭교회 신자 모두 사실상 쿠바 공산당(1961년 결성)에 당원으로 가입할 수 있게 하는 등 종교정책은 혁명초기에 비해 많이 온건화 되었다. 이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방문과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회선교에 따른 것이다. 그 증거로 피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은 1982년 발행된 국제복음주의학생회(IFES)의 소식지《 In-Touch 》와의 인터뷰에서 쿠바의 공산당원들은 아무런 대가없이 사회선교를 실천하는 가톨릭교회 수녀들을 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가톨릭교회와 일반적인 개신교들을 제외한 교파로는 세계성공회공동체(Anglican Communion) 소속 쿠바 성공회(,)가 있다. 쿠바 음악은 스페인계와 아프리카계의 음악이 융합해 태어난 것을 기반으로 여러 요소가 서로 섞여서 만들어진 것으로서 라틴 음악의 중추적인 존재이다. 미국의 재즈 등과 함께 20세기의 대중음악에 큰 영향을 주었다. 대표적인 쿠바 음악은 스페인의 기타와 아프리카의 북을 조합한 요루바계 문화의 영향이 강한 룸바(Rumba)나 손(Son)이 있다. 그 외에도, 대중음악으로서, 트로바나 댄 손과 같이 유럽 음악의 요소가 비교적 강하게 남아 있는 것도 있다. 음악은 유로쿠바 음악, 아바네라(Habanera)와 아프로쿠바 음악인 룸바, 볼레로, 맘보, 차차차 등이 있다. 19 세기에 프랑스의 비제가 아바네라 리듬을 받아들인 때부터 쿠바 음악이 세계적으로 확대되기 시작하였는데, 쿠바 음악은 먼저 1930년에 송(son)이 미국에 소개되었고, 1930년대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세계로 확산되었다. 1959년 쿠바 혁명 후, 미국과 국교가 단절되고, 또한 경제봉쇄 때문에 쿠바 음악이 세계로 확장되는 경로가 좁아졌다. 그러나 스페인어권 국가에서는 영향력이 지속되었다. 1970년대에서 1980년대는 혁명 이후 쿠바에서 젊은 세대의 운동으로 일어난 누에바 토로바가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사회 현상이라고 할 정도의 인기와 영향력을 얻었다. 또한 아프리카풍 리듬 감각과 소련과의 연계에 의하여 고전적인 기술 체계가 반영된 재즈 연주자의 수준은 아주 높았고 1970 년대 후반에 그래미상을 받은 이라케레(Irakere), 1990년대 한 시대를 풍미했던 곤사로 루발카바, 추초 발데스(Chucho Valdés, 이라케레의 리더) 등 다양하고 수준 높은 뮤지션을 낳고 있다. 냉전 후 1990년대가 되면서, 로스 반 반(Los Van Van), 아달베르토 알바레즈 이 수 손(Adalberto Alvarez y su Son) 등 뉴욕 살사의 감각도 받아들인 그룹이 속속 등장하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유럽 등에서 강연하는 연주가도 증가하였다. 1990년대 말에는 노년의 뮤지션을 다루었던 영화(1998년의 빔 벤더스(Wim Wenders) 감독의 작품, "부에나비스타 소셜 클럽")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기도 하였고, 경제봉쇄가 계속되던 중에도, 미국계 대형 레코드 회사가 차례로 쿠바의 음악가와 계약하고, 일본에 와서 하는 공연도 증가하는 등, 쿠바 붐이라고 불려도 좋을 정도의 활황을 보이고 있다. 쿠바의 국가는 바야모 행진곡(La Bayamesa)이다.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Carlos Manuel de Céspedes)가 작곡하였으며, 공식 국가로 제정된 해는 1902년이다. 쿠바는 라틴 아메리카의 영화 대국인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에 비해 제작 편수는 적지만 열악한 제작 여건에도 불구하고 질적으로 매우 우수한 영화들을 만들어 왔다. 혁명 정부가 1959년 세운 ICAIC(쿠바 예술, 영화 위원회)의 지원, 기획하에 영화가 제작되어 왔다. 유명한 영화인으로는 《저개발의 기억》(Memorias del subdesarrollo, 1968년), 《딸기와 초콜릿》(Fresa y Chocolate, 1993년)의 토마스 구티에레스 알레아(Tomás Gutiérrez Alea) 감독, 움베르토 솔라스(Humberto Solas), 《인생은 휘파람을 부는 것》(La vida es silbar, 1998년),《아바나 조곡》(Suite Habana, 2003년)의 페르난도 페레스(Fernando Pérez)를 들 수 있다. 카리브해에 떠 있는 붉은 섬이라는 별명을 가진 쿠바는 에스파냐와 아프리카의 영향을 받은 문화를 가진 나라이다. 헤밍웨이 박물관(Museo Momerial Ernest Hemingway )은 아바나에서 멀지 않은 곳에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살았던 집에 있다. 1928년 헤밍웨이가 쿠바를 방문한 후 줄곧 머물며 노인과 바다 등의 작품을 쓴 곳으로 내부는 당시의 상태를 보존하고 있으며 노인과 바다 책이 있는 방, 타이프라이터, 동물박제, 9,000권의 장서가 보관되어 있다. 혁명 박물관(Museo de la Revol cion)은 1920∼1960년에는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현재 혁명관련 사진자료와 무기가 전시되어 있는 박물관으로 박물관 광장에는 카스트로가 반혁명파의 배를 침몰시킨 전차 Memorial Granma가 전시되어 있다. 쿠바식으로 요리한 로파 비에하라는 요리. 토마토소스와 콩, 바나나, 유카잎, 노란 쌀로 요리한다. 쿠바 요리는 스페인, 카리브해, 아프리카 영향을 다양하게 받아서 섞였다. 또한, 스페인과 미국의 영향이 강하여, 쌀, 콩, 돼지고기를 많이 사용한다. 쿠바 요리는 특이하게도 스페인과 아프리카식 요리법을 자국에 도입한 한편 타국과는 다른 독특한 향이 많이 나타나서 자국의 향취를 풍긴다. 적기는 하지만 수도 아바나를 중심으로 중국 요리의 영향이 나타난다. 역사적 이유로 오래전부터 쿠바 본섬을 비롯해 지역적으로 인구 분포는 상당히 불균형적이다. 아프리카 출신 노예들은 사탕수수 농장에서 상당 부분 기용됐지만 지금도 도시 내부에서는 소수 인구를 차지한다. 담배 플랜테이션과 땅콩 재배 인구도 많다. 쿠바요리는 멕시코 요리와 상당한 연관이 있으며 미국과 유럽 관광객이 많아서 특히 더 다양하다. 라틴 아메리카 요리와 미국 요리가 지니던 특색과는 또 다른 묘미가 있다고들 한다. 멕시코, 과테말라 등지에서 일하던 한국 농민들이 쿠바로 이주해 에네켄 농장에서 강제노동을 하였다. 그 후 한국 전쟁 때 쿠바의 경제 원조를 지원받기도 하였으나, 쿠바에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지금까지 외교관계가 없는 상태로 남아있다. 현재는 대한민국의 멕시코 주재 대사관에서 비공식적으로 쿠바와의 교류를 담당하고 있다. 반면, 비슷한 이념을 가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수교하였다. 쿠바 정부 홈페이지 주멕시코 대사관의 쿠바 설명 쿠바전문가의 쿠바 종합정보 홈페이지 분류:섬나라 분류:공화국 분류:공산주의 국가 분류:사회주의 국가 분류:유엔 회원국 분류:스페인어권 분류:미주 기구 회원국
BSD 허가서 는 자유 소프트웨어 저작권의 한 가지이다. BSD 계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많은 프로그램에서 사용한다. BSD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라이선스는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라고도 할 수 없을 만큼 미약하여, 해당 소프트웨어는 아무나 개작할 수 있고, 수정한 것을 제한 없이 배포할 수 있다. 다만 수정본의 재배포는 의무적인 사항이 아니므로 BSD 라이선스를 갖는 프로그램은 공개하지 않아도 되는 상용 소프트웨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이 GNU GPL과의 가장 큰 차이점인데, GPL은 파생된 소프트웨어도 GPL과 같은 라이선스를 갖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즉 파생물의 경우에도 소스 코드가 반드시 배포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것은 GPL을 만들어낸 리처드 스톨먼의 의지에 따른 결과이다. BSD 라이선스의 경우에는 BSD 자체가 공공기관에서 만들어낸 것이므로 공공의 몫으로 돌려주자는 의미가 강하므로 라이선스 자체에는 아무런 제한 없이 누구나 자신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GPL의 경우에는 자유 소프트웨어의 철학을 실천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BSD 라이선스는 라이선스 자체에는 소프트웨어에 국한되지않고 하드웨어등에서도 아무런 제약 없이 누구나 자신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대신 사용자의 사용으로인해 발생하는 모든 발생가능한 경우의 리스크와 손해에대해 사전인식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사용자 본인에게 책임지우고 있다는 점도 이 라이선스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고있다. + BSD 라이선스 MIT 라이선스 BSD 3-Clause License *MIT 라이선스 *(타이젠)https://www.tizen.org/ko/bsd-3-clause-license?langredirect=1 BSD 허가서 (한국저작권위원회 OLIS) BSD 허가서에 관하여 분류:자유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사용권 분류:BSD
쑨원 (, 1866년 11월 12일 ~ 1925년 3월 12일)은 중국의 외과 의사이자 정치가이며 신해혁명을 이끈 혁명가, 중국국민당(中國國民黨)의 창립자이다. 호(號)는 이셴 (, 본자(本字)는 더밍 (), 별명은 중산 () 또는 나카야마 ()다. 광둥 성 출신으로 홍콩에서 의학교를 졸업하였다. 재학 중에 혁명에 뜻을 품고 1894년 미국 하와이에서 흥중회를 조직하여 이듬해 광저우에서 최초로 거병했으나 실패했다. 그 후 일본과 유럽 등지에서 망명하면서 삼민주의를 착상, 이를 제창했다. 1905년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 화교들을 중심으로 중국혁명동맹회를 결성, 반청 혁명운동을 전개했다. 1911년 쑨원은 난징에서 신해혁명을 크게 성공시킴으로써 1912년 1월 1일 중화민국 임시대총통이 되었으나, 북양군벌의 거두 원세개와 타협, 같은 해 3월 1일 원세개에게 실권을 위임하였고 급기야는 같은 해 3월 10일 원세개에게 대총통직을 넘겨주었다. 같은 해 제2혁명 에서 실패하고, 일본으로 망명, 이듬해 중화혁명당을 결성하여 반원(反遠, 반 원세개)운동을 계속했다. 1917년 광저우에서 군정부를 수립, 대원수에 취임하고, 1919년 중화혁명당을 개조, 중국 국민당을 결성했다. 1924년 국민당대회에서 연소, 용공, 농공부조 의 3대 정책을 채택, 제1차 국공합작을 실현시켰다. 이어 북상선언 을 발표하고 국민혁명 을 제창, 국민회의를 주장했으나, 이듬해 베이징에서 병사했다. 쑨원의 묘는 난징에 있다. 오늘날 중화민국에서 국부로 추앙받고 있고,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마오쩌둥보다도 유명한 혁명 선구자로서 존경받고 있다. 쑨원은 한국의 독립 운동 지원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창립에 커다란 일조를 하기도 했다. 이러한 공로로 1962년과 1968년 두 차례에 걸쳐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중장이 추서되었다. 청나라와 일본 제국, 그리고 군벌 등의 정적들에게 평생 추적을 당하면서 중국 국내외 여행이 많았던 그는 여러 차례 가명을 사용하였으며 이 때문에 그의 호칭은 잘 알려진 쑨원(孫文)과 중산(中山) 외에도 여러 개가 있다. 잘 알려지지 않은 그의 호적상의 본명은 쑨더밍()이며 아명(兒名)은 쑨디샹()이다. 쑨원()이라는 이름은 그가 10세 무렵부터 사용한 이름이다. 자(字)는 재지()이다. 그리고 호(號)는 일신()이었는데 홍콩 서양 의학원의 중문학 스승의 권유로 일선()이라는 또다른 자(字)를 병용한다, 일신과 일선은 광둥어로 발음하면 ""으로 같은 발음이다. 잘 알려진 중산(中山)은 정식으로 만든 호가 아니라 1897년 무렵부터 사용한 "나카야마"라고 하는 일본 성씨 가명이다. 쑨원이 광저우에서 1895년 30세의 나이로 가담한 혁명이 실패한 후, 외국으로 수 년간 피신했을 시기에 일본에서 사용한 가명 中山 樵 (나카야마 키코리, 나카야마 사코노, 중산 차오, 중산 초)에서 유래한다. 이 밖에도 일본에서 망명하던 시절에 다카노 나가오 (高野長雄)라는 일본식 가명을 사용하였다. 쑨원은 1866년 11월 12일 광동성 향산현() 부근의 취형촌(翠亨村)의 빈한한 농가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쑨다청(孫達成, 아명(兒名)은 쑨관린(孫觀林), 호(號)는 다오촨(道川))은 일찍이 마카오에서 재봉 일을 하다가 그 뒤로 그 사치함을 더럽게 여겨 농촌으로 되돌아 왔다. 큰 형은 손미()이고 자는 덕창(德彰)이다. 그의 집안은 하와이주 호놀룰루에서 상업에 종사하였다. 17세의 쑨원 홍콩 서양 의학원 시절의 쑨원과 그의 친구들(왼쪽에서 2번째있는 인물이 쑨원이다. 영국·프랑스 등 열강이 무너져 가는 청조를 침략하여 이권을 차지하려는 혼란한 시기에 태어났으므로, 어려서부터 제2의 홍수전으로 자처하며 청나라의 타도를 꿈꾸었다. 집이 가난하여 배우지 못한 채 13세때 1879년 하와이 호놀룰루로 건너갔다. 그는 하와이 화교 자본가였던 큰형 쑨메이(孫眉) 의 도움으로 유학하며 미국의 민주주의를 몸소 배우고 느꼈다. 그리고 홍콩으로 돌아온 이후 1892년 홍콩 서양 의학원에서 의학을 배웠다. 이 시기에 그는 서구식 민주주의와 자연 과학적 사고 방식을 받아들여 큰 영향을 받았다. 의대를 졸업한 후 쑨원은 병원을 개업하고 잠시 개업의로 생활한다. 하지만, 서구 열강들의 침입으로 나라가 더욱 어려워지자 쑨원은 1894년 청조의 실력자 이홍장에게 편지를 보내 "사람은 그 재능을 다할 수 있어야 하고, 토지는 그 이익을 다할 수 있어야 하며, 물건은 그 쓰임을 다할 수 있어야 하고, 재화는 그 흐름이 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개혁적인 주장을 펼쳤지만 이 편지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리고, 쑨원은 1894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만주족 축출, 중화 회복, 연합정부 건설 을 강령으로 하는 흥중회를 조직하게 되었다. 1895년 1월에는 홍콩에서도 흥중회 지부를 결성했으나,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흥중회는 청나라 조정이 청일전쟁에서 패배하는 등 갈수록 그 무능함을 드러내자 오직 혁명만이 위기에 놓인 조국을 구하는 길 이라는 신념 아래 1895년 10월 광저우에서 무장봉기를 계획했다. 그러나 봉기는 가담자의 밀고로 허무하게 무산되고, 쑨원은 생명을 부지하기 위해 우선 일본으로 탈출, 망명했다. 그리고 이듬해 1896년으로 일본을 떠나 영국에 머물렀는데, 거기서 청나라 공사관에 체포되고만다. 그러나, 다행히 영국인 친구의 도움으로 무사히 풀려났다. 석방 직후 기자회견에서 영국을 격찬, 일약 유명인사로 떠올랐다. 이 사건을 계기로 쑨원은 해외 언론들의 관심을 받았고 중국 혁명의 지도자급 핵심 인물로 부상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영국 런던에 체류하면서 생활하게 되는데, 대영박물관의 도서관을 드나들며 약 9개월간 독서에 열중하면서 지낸다. 이 기간동안 쑨원은 경제학자들인 카를 마르크스와 헨리 조지 등의 저술을 탐독했고 사회 과학의 여러 분야를 연구했는데, 이때부터 그의 혁명이념인 삼민주의(민권·민족·민생) 의 윤곽이 형성되었다. 이듬해 1897년 쑨원은 다시 일본으로 돌아와 일본 우익들의 도움을 받으며 망명생활을 지내게 되는데, 이 시기 쑨원은 나카야마 쇼우 라는 가명을 쓰며 다시 혁명세력을 결집하고 다녔다. 1900년 의화단 운동으로 청나라 정국이 더욱 어수선해진 상황에서 쑨원은 오랜 망명생활 끝에 다시 조국으로 돌아와 2차 무장봉기를 준비하지만, 이 역시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하고 말았다. Yat Sen 1900.png|섬네일|200px|오른쪽|1900년 8월, 쑨원 그 후 몇 년간 쑨원은 일본, 하와이, 베트남, 시암, 미국 등지에서 화교와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혁명 사상을 전파하고, 1905년에는 필리핀, 독일, 프랑스 등의 유학생들을 규합하여 혁명단체를 조직하게 되었다. 1905년 8월에는 일본 도쿄에서 흥중회, 화흥회 등의 단체를 기반으로 중국혁명동맹회(중국 동맹회)라는 새로운 단체를 창건하고 총리에 추대되었다. 동맹회는 만주족 축출, 중화 회복, 민국 창립, 토지 조유의 균등 을 강령으로 채택했고, 쑨원은 동맹회의 기관지 《민보》(民報) 발간사를 통해 삼민주의를 발표했다. 이후 중국동맹회는 총재 쑨원의 지휘를 받으며 수십여차례 봉기를 시도했다. 그러나 봉기는 빈번이 실패로 끝나고 쑨원에게는 가혹한 질책과 비판이 뒤따랐다. 쑨원은 중국동맹회의 활동을 다른 동지에게 맡기고 출국하여 1911년 무렵까지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중국혁명의 당위성을 알리는 한편, 혁명자금과 군자금을 마련하여 동맹회의 활동을 뒤에서 도왔다. 혁명의 기회는 의외의 곳에서 찾아왔다. 당시 청나라에서는 청일전쟁 이후 민간이 스스로 주식을 발행하여 마련한 자금으로 철도를 건설하겠다는 철도 부설운동 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그런데 1911년, 청조에서는 우전부대신 성선회의 건의에 따라 이들에게 아무런 설명이나 사전 협의도 없이 철도건설을 국유화시켜 버렸다. 이러한 청조의 철도 국유화 정책으로 가장 많이 피해를 본 것은 쓰촨 성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사천보로동지회 를 결성하여 동맹휴학과 납세 거부운동을 대대적으로 펼쳐나가기 시작하였고, 각지에서 보로운동이 전개되었다. 다급해진 청조는 우창에 있던 군인들을 동원하여 이들을 진압하려 했다. 그러나 우창에서는 중국동맹회의 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이었다. 동맹회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10월 10일 우창 봉기를 일으키고 총독관청을 일시에 장악해 호북군 정부 를 조직했다. 이 소식은 빠르게 중국 전역으로 번져나갔다. 각지에서 우창 혁명에 동조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두 달이 채 안되는 기간동안 17개 성이 청조로부터 독립을 선포했다. 12월 2일 혁명군은 난징을 함락하고 난징에 임시정부를 세웠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러한 동맹회와 혁명군의 성과는 혁명운동의 지도자들도 예상 못한 일이었기 때문에, 당시 중국을 중흥할 현실적이고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있지 못했고, 강력한 영도자도 없었다. 때문에 청조로부터 요청을 받은 위안 스카이 군대에 의해 진압당할 형편이 되었다. 한편, 혁명이 일어났을 때, 쑨원은 중국 밖에 있었다. 그는 그때 외교적, 재정적 지원을 얻기 위해 서구를 돌아다니고 있었고, 우창 봉기 당시 쑨원은 혁명자금을 모금하기 위하여 미국 콜로라도 덴버에 체류중이었다. 그는 콜로라도 주 덴버에서 그곳의 신문에 보도된 기사를 보고 국내의 혁명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았다. 당시 쑨원은 혁명을 성공시키려면 서구 열강의 간섭을 사전에 막아야 한다 고 판단하였다. 즉 외교의 성패에 따라 혁명의 성공이 좌우된다고 여긴 것이다. 당시 중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는 6개국으로 미국과 프랑스는 공화정을 실시하려는 중국을 동정하는 입장이었고, 그 반대로 독일과 러시아는 혁명에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며, 일본의 재야는 중국의 혁명에 동정적이었으나 정부는 그 반대였고, 영국의 경우는 재야가 동정적이었으나 정부는 미정된 상태였다. 따라서 쑨원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나라가 영국이라 보고 급히 영국으로 달려가 교섭을 벌였다. 그는 영국 외무성과 회담하고 영국정부에 대하여 청조에 대한 일체의 차관을 중지할 것과 일본에게 청조의 지원을 중지하도록 해주고, 영국 각 속지에서 쑨원 추방령 을 취소하도록 요구하여 영국정부로부터 확약 받는 대신에 혁명정부는 청나라와 체결한 모든 조약을 인정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는 다시 프랑스로 가 똑같은 약속을 받아내고, 12월 16일 싱가포르에서 체류하다 12월 21일에 홍콩으로 돌아왔다. 이곳에서 호한민과 요중개를 만나 전후의 사정을 듣고 광둥지역을 기반으로 삼자 는 일부 인사의 주장을 거절한 채 12월 25일 상하이로 와 진기미,쑹자오런을 만나 정부조직에 관하여 의논하였다. 여기에서 쑹자오런은 내각 책임제 를 주장했고, 쑨원은 미국식 대천황중심제 를 주장하였다. Yat Sen portrait 2.jpg|섬네일|왼쪽|200px|1912년 1월경의 쑨원 12월 29일에 난징에서 각성대표회의 (17성의 45명, 화교 2명)는 총통 선거회를 열었는데, 쑨원이 16표를 얻어 초대 임시대총통에 당선되었다. 쑨원은 이 소식을 듣고 이를 받아들인다고 하였다. 1912년 1월 1일에 손문은 난징에서 영접 온 이들과 함께 열렬한 축하를 받으며 상하이를 출발하여 그 날 오후 5시에 난징에 도착하여 밤 11시에 총통부에서 취임식을 갖고 서약하였다. 이어 쑨원은 임시대총통직에 취임한 뒤 국호를 중화민국, 1912년 1월 1일을 민국 원년 으로 하였다. 이로써 그 동안 주도권 장악을 위하여 벌였던 싸움은 일단락되었고, 중국에서뿐만 아니라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민주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쑨원의 기쁨은 오래가지 못했다. 비록 임시정부를 수립하였으나 청조는 굳건히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고 이들을 무너뜨리기에 그의 세력은 너무 약했다. 쑨원은 여기서 어려운 결정을 내리는데, 바로 청조의 요청으로 혁명군 진압을 지휘하고 있던 위안 스카이와의 협상과 연합이었다. 쑨원은 위안 스카이에게 청조를 설득하여 그들을 퇴위시켜줄 것을 요청하고 만일 이 요청이 받아들여진다면 대통령의 지위를 그에게 양보하겠다. 고 약속했다. 이에 따라 위안 스카이는 청조를 설득하여 청의 마지막 황제 선통제 푸이로 하여금 2월 12일 퇴위조서를 발표하게 만들었다. 이로써 청조는 1912년에 멸망하게 되었다. 혁명정부는 청조와 위안 스카이 사이에 퇴위협약이 진행되는 동안 위안 스카이의 행동을 규제하기 위해 3월, 대통령중심제였던 임시정부 조직대강 을 수정하여 내각 중심제를 기본 틀로 한 임시약법 을 제정,발표하였다. 그리고 쑨원은 약속대로 위안 스카이에게 1912년 4월에 임시 대총통직을 물려주었다. 그리고 쑨원과 쑹자오런은 중국 동맹회를 1912년 12월에 국민당으로 개편하여 쑹자오런이 이사장 대리으로서 당수가 되었고, 쑨원을 이사장으로 추대하였다. Ching-ling Sun Yat-sen.jpg|섬네일|오른쪽|쑹칭링과 쑨원 그러나 권력을 잡은 위안 스카이의 야심은 제약할 길이 없었다. 위안 스카이는 임시약법을 무시하고 대통령 중심제로 법을 개정함으로써 완전한 독재정권을 수립하고, 서구 열강세력으로부터 막대한 차관을 받아먹는등 매국 행위와 독재 정치를 일삼았다. 아울러 그의 유력한 정적이 될 가능성이 높았던 국민당의 이사장 대리였던 쑹자오런을 암살하는 등 전횡을 서슴지 않았다. 이에 쑨원은 위안 스카이를 무력으로 타도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위안 스카이의 전횡에 반대하는 이열균(李烈均) 등이 토원군(討遠軍)을 조직하여 대항하였으나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고, 쑨원은 1913년 7월에 다시 일본으로 망명하는 신세가 되었다.(제2차 혁명) 위안 스카이의 독재정치와 욕심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그는 어용단체를 조직하고 여론을 선동하여 황제 로의 등극을 도모하기에 이르렀다. 1914년 쑨원은 일본 도쿄에서 구(舊) 혁명당원들을 모아 중화혁명당을 결성하는데, 이 중화혁명당은 뒷날 중국 국민당의 모태가 된다. 혁명당원들은 곧 국내로 들어와 위안 스카이에게 반대하는 무리들을 규합하여 토원군을 재조직하였다. 위안 스카이의 황제 등극을 저지하기 위한 투쟁이 시작되었다. 이가운데 운남 성 도독이었던 당계요가 토원군에 가담하여 이름을 호국군(護國軍)이라 개칭했다.(제3차 혁명) 이와 때를 같이하여 위안 스카이의 심복이었던 돤치루이도 위안 스카이의 황제 등극을 반대했고, 서구 열강들도 위안 스카이에게 황제 등극을 강력히 반대했다. 결국 위안 스카이는 황제 등극을 포기해야만 했다. 이에 호국군은 더욱 압박을 가해 위안 스카이의 퇴임을 요구했으나 1916년 6월, 위안 스카이가 병사함으로써 이 일은 자연스럽게 일단락되었다. 1916년 위안 스카이의 사망과 때를 같이하여 쑨원은 일본에서 귀국하였다. 1917년 위안 스카이 사후 북양 정권은 돤치루이의 수중에 떨어졌다. 돤치루이의 탄압을 피해 광둥 성지역으로 자리를 옮기고, 비상국회를 열어 서남군벌 세력과 연합하여 광저우에서 군사정부를 세우고 쑨원을 대원수로 추대했다.(호법 정부) 쑨원은 1917년 9월, 광둥 군정부 의 대원수로 임명되어 임시약법 수호를 위해 투쟁할 것을 선언했다.(첫 번째 호법 정부) 그러나, 그 조직도 실권을 잡지 못했고 같이 손잡은 군벌들의 본질을 보고 이들 군벌들과는 호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고 판단했다. 결국 다음 해 1918년에 대원수 직책을 사임하고 5월에 상하이로 망명가야했다. 이 기간동안 쑨원은 얼마간은 상황이 유리할 때는 광저우로 돌아갔다가, 상황이 불리해지면 다시 상하이로 도망치는 생활을 반복했다. 그리고 상하이에서 저술활동과 강연활동을 하고 지냈는데, 상하이에서 《쑨원학설》,《건국대강》등 중요한 저술을 발표하였는데, 이는 뒷날 국민 정부의 지도이념이며 국정의 기본 원칙이 되었다. 또, 쑨원은 상하이에 있는 동안에 《건설》잡지를 창간하고, 민지서국 (民智書局)을 세워 혁명 사상을 선전하는 활동을 전개했다. 1918년 여름무렵에 레닌과 소련 정부에 축전을 보냈다. 1919년 5.4 운동이 일어났는데, 이 운동은 쑨원에게 있어서 커다란 자극을 주었는데, 이 운동이 확산되는 것을 보고 중화혁명당에 대중성을 도입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 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래서 쑨원은 5.4 운동을 계기로 기존에 구상했던 위로부터의 혁명 노선을 버리고 아래로부터의 혁명 노선으로 선회하여 1919년 10월 10일에 중화혁명당을 중국 국민당으로 개칭하고 총부를 상하이에 두었다. 중국 국민당은 조직상에 있어서 중화혁명당과 달랐는데, 비밀당의 조직을 공개적으로 한 점과 중화 혁명당 시기에 당원이 당수에게 절대 복종해야 하는 규정을 삭제하고 당원의 등급을 폐지시킨 것 등이었다. 한편, 쑨원이 대원수 직책 사임한 이후 1918년 5월~1920년 6월까지의 광둥 정부(호법 정부)는 7인 총재정부 로 존재했다. 1920년 6월에 쑨원은 상하이에서 당소의, 오정방, 당계요 등과 함께 합작을 성명하고, 광둥 정부의 계계 군벌이 호법의 이름을 빌려 나쁜 일을 저지른다 고 비난하였다. 그리고 복건 성 남쪽에 주둔하고 있던 광둥 성 군벌 진형명에게 광둥에 자리잡고 있는 광서 성(계계) 군벌을 타도하도록 하였다. 이에 진형명은 광둥인이 광둥을 다스려야 한다 며 광둥 정부를 타도하였다. 진형명은 쑨원이 광저우로 오는 것을 원하지 않았으나 쑨원은 그를 광둥 성 군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안심시켰다. 그리고 11월 말에 국회의원들과 함께 광저우로 와 국회를 소집하였다. 여기에서 군정부가 이미 존재하지 않으므로 정식 정부를 세우자 고 하였다. 이에 따라 이듬해인 1921년 4월 광둥 성 국회에서 중화민국 정부조직 대강 이 결정되었다. 다음달 5월에는 쑨원이 광둥에서 중화민국 정식정부 의 총통에 취임했다. 이로써 중국은 북쪽에서는 북양 정부, 남쪽에서는 쑨원 중심의 광둥 정부(두 번째 호법 정부)로 양분되었다. 호법 정부가 성립된 후 쑨원은 호법(護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력으로 북양 정부와 대항하고자 국회에 북벌안 (北伐案)을 제출하여 이를 통과시켰다. 그리하여 호법 정부는 구이린에 대본영을 설치하고 대대적으로 북벌 준비에 들어갔다. 이때 쑨원은 안휘파와 봉천파와 함께 반(反) 직예파 삼각동맹 을 형성하고 있었다. 하지만, 진형명은 직예파의 오패부와 결탁하여 북벌을 반대하고, 쑨원과 가까운 광둥군 참모장 겸 제2사단장을 암살하였다. 이에 쑨원도 1922년 봄에 구이린에서 긴급 군사회의를 열어 북벌 계호기를 변경, 광둥으로 돌아와 진형명이 가지고 있던 광둥 성 성장 등의 직책을 취소하였다. 또 5월 4일에 북벌령을 내려 소관(韶關)에 대본영을 설치, 강서 성으로 북벌을 시작하였다. Yat-sen and Chiang Kai-shek.jpg|섬네일|240px|오른쪽|장제스와 쑨원. 한편 진형명은 쑨원의 이러한 조치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켜 1922년 6월에 총통부를 포위하였다. 이 때, 장제스가 황푸에서 영풍함(永豊艦)을 타고 광저우로 와 쑨원을 구하였으며, 호법 정부는 북벌군을 불러들여 진형명을 토벌하였다. 결국 호법을 위한 두 번째의 북벌도 실패로 끝났다. 그리고 쑨원도 상하이로 갔다가 1923년 초순 주변군벌의 압력에 의해 진형명의 난 이 평정되자 다시 광저우로 돌아와 세 번째 호법 정부를 조직하고 다시 북벌을 도모하였는데, 이러한 시기에 쑨원에게 접근한 것이 소련의 코뮌테른이었다. 코민테른은 1920년에 중국 공산당이 창당되었다고 해도 그 힘으로는 중국 혁명을 이끌어 낼 수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중국 안에서 협조자를 물색하였는데, 오패부와 같은 군벌도 고려되었지만 그 동안 혁명을 이끌어 온 쑨원을 지목해 관심을 가졌다. 때문에 보이틴스키는 상하이에 와서 쑨원을 만났고, 쑨원도 소련의 혁명 사정에 대하여 관심을 표명하였다. 1921년 7월, 레닌의 비서인 마링도 중국에 오자마자 쑨원과 만나 중국 국민당 개조를 촉구하고, 군사학교를 세워 혁명을 위한 무력을 키워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이때 쑨원은 소련이 실시하고 있는 신경제정책(NEP)과 자신의 실업 계획이 별차이가 없음을 밝히고, 처음에는 중국 공산당이나 코민테른과의 합작을 거부하였다. 그 이유는 당시 쑨원은 북벌을 준비하고 있어 양쯔 강을 건너지 않으면 안되었는데, 이 지역은 영국의 세력권이어서 그 방해를 받을까 우려되었고, 당시 반(反)직예파 삼각 동맹 의 안휘파나 봉천파는 모두 일본과 가까운 관계여서 소련과의 합작은 곤란하였으며, 또한 중국 공산당의 힘이 당시로서는 너무 미약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쑨원은 중국 공산당이 창당되면서 이들의 주도 아래 노동운동이 확산되고 노동자의 요구가 관철되는 모습을 목격하며, 만일 중국공산당 당원이 개인적으로 가입을 원한다면 받아들일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감지한 코민테른은 중국 공산당과 중국 국민당과의 관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결의하고, 소련은 외교가인 요페(Adolf Abramovich Joffe)를 파견하여 북양 정부와 새로운 관계를 맺는다고 하면서 베이징으로 왔다가 다시 병을 치료한다는 명분으로 남쪽으로 내려와 쑨원을 만나 중국 국민당의 개조문제, 코민테른의 중국 혁명 원조 문제 등을 협의하여 1923년 1월 16일 이른바 쑨원-요페 공동선언 을 발표하였다. 이 선언으로 쑨원은 연소용공 정책의 기본이 되었으며, 이른바 제1차 국공합작 의 기초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쑨원과 소련과의 관계가 급속도로 진행되어 1923년 1월 1일에 쑨원은 중국 국민당 개조 선언 을 발표하여 당의 개조 작업에 들어갔다. 따라서, 공산당 당원들이 개인 자격으로 중국 국민당에 입당하게 되었으며, 또 프랑스에 유학 중인 학생들로 조직된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의 단원은 단체로 중국 국민당 프랑스 지부에 입당하였다. 그리고 소련의 초청으로 8월 16일에 장제스를 단장으로 쑨원(일선) 박사 대표단 을 모스크바로 파견하여 소비에트 제도와 군사 조직을 살펴보도록 하였다. 이들은 약 4개월 동안 소련의 각 도시를 돌면서 소비에트 조직과 군사학교 등을 시찰하고 12월 15일에 귀국하였다. 소련 정부도 쑨원에게 재정 원조와 고문단을 보내기로 결정하여 정치 고문 미하일 보로딘과 군사전문가를 중국에 파견하였다. Yat-sen 1924 Guangzhou.jpg|섬네일|200px|오른쪽|1924년 1월의 쑨원 1924년 1월에는 쑨원의 주관으로 중국 국민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를 광저우에서 소집하였으며, 중국 공산당원이 참여하는 중앙통치기구를 구성하여 공산당과의 합작을 이루었다.(제1차 국공합작) 여기에서 새로운 당의 강령과 헌장을 제정하여, 1.소련과의 연합, 2.공산당과의 연합, 3.노동자·농민에 대한 원조라는 3대 정책을 확립하고, 공산당원이 참여하는 중앙 통치 기구를 구성하였다. 중국 국민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 선언에서 쑨원은 삼민주의에 반제·반봉건적 내용을 추가하였다. 중국 국민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이 소집은 쑨원의 혁명사업이 새로운 단계로 발전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일련의 투쟁을 통해 쑨원은 제국주의 타도만이 중국의 독립과 부강을 보장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국민혁명을 추진하기 위한 북벌군이 진격할 즈음, 1924년 10월 봉천파 군벌 장쭤린과 직예파 군벌인 펑위샹이 연합하여 차오쿤을 대표로 하는 군벌 정부를 전복시켰다.(베이징 정변) 이후 펑위샹, 돤치루이, 장쭤린이 쑨원에게 전문을 보내어 국정을 함께 논의할 것을 요청하였다. 쑨원은 정치교섭이 필요함을 느껴 이 요청을 받아들여 1924년 11월 광저우를 떠나 베이징으로 향했다. 그는 광저우->상하이->일본 고베->톈진->베이징 순으로 시찰하고 다녔는데, 이때 그의 몸에는 암이 번지고 있었다. 시찰 도중에 일본 고베에 들렀을 때 현립 고등여학교에서 대아시아주의 라는 제목의 연설을 하면서 일본 정부에 이같이 물었다. 이듬해 1925년 초 돤치루이의 주선으로 시국 수습을 위한 국민대표회의가 베이징에서 소집되었다. 쑨원은 동지들을 인솔하여 베이징으로 향하는 도중에 간암으로 쓰러졌다. 이해 2월 24일 아들 손과와 송자문, 공상희, 다이지타오 등을 증인으로 한 가운데 유언을 남겼다. 이는 왕징웨이가 쑨원의 구술을 받아쓰는 형식으로 이뤄졌다. 그러나 그의 첫 유언에는 부인 쑹칭링과 자식들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그는 한달 뒤 다시 첫 유언을 남길 때 참석했던 사람들 모두 모아놓고 두 번째 유언을 했다. 그는 1925년 3월 12일 간암으로 베이징에서 향년 6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모두 네 차례에 걸친 입관 끝에 장제스가 1928년 북벌에 성공한 직후인 1929년 6월 1일 난징 시외의 중산릉에 안장될 수 있었다. yatse mausoleum.jpg|섬네일|250px|오른쪽|난징에 위치한 중산릉. 청년 시절부터 쑹자수(宋嘉樹), 여우례(尤列), 양허링(楊鶴齡), 루하오둥(陸皓東), 관징량(關景良), 천사오보(陳少白)와 절친한 친구 관계였다. 친구이자 흥중회 동지인 루하오둥은 1895년 청나라 관군에 체포되어 사형 집행되었고 친구이자 장인인 쑹자수는 훗날 개신교 목사가 되었는데 쑨원이 쑹자수의 차녀인 쑹칭링과 재혼하였기 때문에 쑹자수가 쑨원의 장인이기도 하다. 옛 일본인 첩실 오쓰키 가오루(大月 薰)의 딸 미야가와 후미코(宮川 富美子)에게는 친아버지가 되나 생전에 쑨이 친권을 포기하였고 후미코가 나중에 일본을 떠나 타이완으로 건너가서 이미 죽은 쑨과 그가 남긴 중국국민당을 지지하며 쑨을 정신적 지주로 섬기었다. 1894년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만주족 축출, 중국 회복, 연합 정부 건설"을 강령으로하는 흥중회(興中會)를 조직. 1895년 홍콩 흥중회를 창설. 10월에 흥중회는 광저우에서 봉기를 모의하지만, 사전에 누설되어 실패. 해외로 망명. 1896년 영국 런던에서 청나라 공사관에 체포, 영국인 친구의 도움으로 풀려남. 1904년 일본, 하와이, 베트남, 사이암 (지금의 타일랜드), 미국 등지에서 화교와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혁명을 전파. 1905년 필리핀, 독일, 프랑스 등의 유학생들을 규합하여 혁명 단체 조직. * 8월 흥중회, 화흥회(華興會) 등의 단체를 기반으로 일본 동경에서 동맹회(同盟會)를 창건, 총리에 추대. "만주족 축출, 중화 회복, 민국 창립, 토지 소유의 균등"을 강령으로 채택. * 동맹회의 민보(民報) 발간사를 통해서 "민족(民族), 민권(民權), 민생(民生)"의 삼민주의를 발표. 1906년 - 1911년 해외의 모금 활동 등으로 중국 내의 여러 봉기를 지지. 1911년 10월 10일:무창(武昌)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신해 혁명 발발. * 미국에서 12월 하순경 귀환, 17개 성 대표자들에 의해 임시 대총통에 추대됨. 1912년 1월 1일 남경(南京)에서 임시 대총통 (中華民國 臨時 大總統) 취임을 선포하고 중화민국 임시정부를 구성. * 2월 12일 선통제(宣統帝) 푸이() 강제 퇴위. * 2월 14일 위안스카이()와의 협약에 따라서 임시 대총통직을 위안스카이(袁世凱)에게 양위하기 위해서 사임. * 3월 11일 중화민국 임시약법(中華民國 臨時約法)을 반포. * 7 - 8월 동맹회가 국민당으로 개편하여 쑨원을 이사장(理事長)으로 추대. 1913년 3월 위안스카이가 국민당 대리 이사장 쑹자오런(宋敎仁)을 암살, 쑨원은 위안스카이를 무력 타도할 것을 주장. * 7월 2차 혁명 주도, 실패. 일본으로 도피. 1914년 7월 도쿄에서 중화혁명당 (中華革命黨)을 조직. 1915년 잠시 귀국하였다가 다시 일본으로 되돌아가서 10월 25일에 동경에서 쑹칭링(宋慶齡)과 결혼. 1916년 위안스카이 사망, 단기서가 위안스카이의 뒤를 이음. 1917년 서남군벌(西南軍閥)과 연합하여 광주에서 군사정부를 세우고 대원수(海陸軍大元帥)에 추대되어 임시약법 수호 투쟁. * 10월 러시아 10월 혁명 1918년 군벌과 정치인들의 배척을 받아 5월에 대원수직을 사임, 일본을 거쳐 상해로 감. 1919년 5.4운동. * 10월 10일 중화혁명당을 국민당으로 개칭 (동맹회의 국민당 국회는 1913년에 위안스카이에 의해 해산된 바 있음). 1920년 복건성과 광동성 주둔군에 회군을 명령하여 광동에서 계계군벌(桂系軍閥) 축출. * 11월 광주에서 다시 임시약법 수호 운동. 1921년 광동 신정부 수립, 임시 대총통 취임. 1922년 6월 진형명(陳炯明)의 반란. 광주를 떠나 상하이로 옮김. * 7월 중국 공산당이 5.4운동 정신 계승과 반제국주의를 강령으로 상해에서 비밀리에 결성됨. 반란 후, 코민테른과 중국 공산당과 합작하기 위하여 이대교(李大钊) 등 유명 공산당 인사들을 개인 자격으로 국민당에 가입하게 함. 1923년 1월 1일 국민당의 개진(改進)을 발표, 제1차 국공합작 시작. * 2월 광주로 돌아가 다시 육해군 최고사령부를 창건, 대원수(海陸軍大元帥)의 이름으로 군권과 정무를 총괄. * 8월 장제스(蔣介石)를 포함한 대표단을 소련으로 파견. * 10월 소련에서 파견된 보로딘(Borodin)을 고문으로 초빙. 1924년 1월 쑨원의 주관으로 중국국민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를 광주에서 소집. 중국공산당원이 참여하는 중앙통치기구를 구성. 황푸군관학교 설립 1925년 3월 12일 향년 59세의 일기로 베이징에서 사망하였고, 유해는 2년간 베이징 벽운사(碧雲寺)에 임시 안치되었다가, 난징 중산릉으로 옮겨 장례를 치렀다. 1968년 12월 1일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지원한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받았다. 1895년 무렵부터 평생 동안 청나라에 반대하는 혁명을 주도했다. 1905년 남경에서 동맹회 (1912년의 신해혁명 후에 국민당으로 개편) 를 조직해서 삼민주의(三民主義)를 제시했고 1913년 중국국민당을 창시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기록은 쑨원 말년의 "소련, 코민테른, 중국공산당과의 합작"을 자세히 기록하면서 강조하는 면이 있다. 반면, 중화민국의 기록은 장제스가 1918년 이후로 쑨원의 휘하에서 활동하였다는 점을 감안하여서, 그리고 중화민국의 정통성을 잇는다는 점에서 쑨원에게 지극히 우호적이나, 그의 국공합작 내용이나 공산계열에 우호적이었던 활동은 다소 축소되어 기술되는 경향이 있다. 쑨원과 군벌의 관계를 말하면, 1912년 위안스카이와의 회합 후 그에게 배반을 당해 북양군에 의해서 그의 조직이 와해되고, 다시 1917년 광주 지역에서 서남군벌과 합작한 조직에서 1918년 축출되었으며, 1921년 광동에서 조직한 세력도 1922년 진형명의 반란 등으로 타격을 입는 등, 군벌 조직으로부터 많은 피해를 입었다. 실제로 그의 대표적인 수장(首長) 직위를 살펴보면 1912년 1월에 신해혁명으로 중화민국 임시 대총통(中華民國 臨時大總統)으로 있다가 2월에 위안스카이에게 자리를 넘겨주며, 1917년에 광주에서 대원수(海陸軍 大元帥)로 있다가 1918년에 축출되며, 1921년에 비상 (임시) 대총통(非常(時期)大總統)으로 있다가 진형명의 반란을 맞이한다. 중화민국의 실제적 실권을 쥐는 1923년에야 민정적 명칭인 대총통이 아닌, 군사적 성격이 강한 대원수(海陸軍大元帥)가 된다. 그는 광동 지역에 기반을 두고 국내는 물론이며, 하와이에 있던 큰 형 쑨메이() 등의 도움으로 해외의 화교와 유학생을 규합하며 해외에서도 많은 활동을 하였다. 그의 삼민주의 등의 사상은 민중의 많은 지지를 받았으며, 그가 제창한 삼민주의 정신은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양 측에서 모두 높이 인정받고 있다. 그의 중국 혁명 정신이 남긴 영향은 아직도 그의 초상화가 중국 대륙 및 타이완의 정치 행사에 자주 사용될 정도로 크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기념일인 국경절 등에는 그의 대형 초상화가 천안문 광장에 걸리며, 2004년 중화민국의 천수이볜 총통 취임식에서도 쑨원의 대형 초상화가 걸려 있었다. 중화민국의 국부(國父)로 칭송받으며, 반면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국부보다는 ‘혁명선행자’(革命先行者)로서 존경받고 있다. 삼민주의는 쑨원에 의해 제창된 지도이론으로 중국혁명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1896년~1897년 쑨원이 영국 런던에서 망명하던 중에 구상된 것으로, 멸만흥한 (滅滿興漢)에 입각한 민족주의, 수천년에 내려운 군주전제 정체의 변혁을 목표로 한 민권주의, 사회·경제의 조직 개혁을 지향하는 민생주의를 골간으로 하는 혁명 이론이다. 1905년 쑨원이 일본 도쿄에 망명하던 중 중국 혁명동맹회를 결성했는데, 동맹회 결성 후에는 삼민주의가 곧 지도이론으로 발전했다. 그리고 신해혁명 후 혁명운동의 진전에 따라 그 내용도 점점 변화되어가고 발전하게 되었다. 중요한 참고로, 삼민주의의 원형과 현대 중국 본토의 역사관은 사뭇 다름을 인지하여야 한다. 즉, 1905년 혁명동맹회에서 제시된 초기 삼민주의와 대비하여 현재의 삼민주의와 정치사상은 확인이 다름을 이해하고 인지하여야 한다. 초기의 삼민주의와 현재의 삼민주의는 같지 아니하며, 이의 변화는 중국 현대사의 흐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로서, 초기 삼민주의와 연관된 1905년 당시의 동맹회 구호는 구제달로(驅除撻虜 달로(오랑캐)를 박멸한다), 회복중화(恢復中華), 창립민국(創立民國), 평균지권(平均地權)의 4대 강령이었는데, 이 중 --- 현재로서는 그 표현이 다소 과격하기도 하고, 현대의 정치사상과 배척되는 --- 구제달로 의 민족주의 강령은 중국 통일 후 소수민족 수용을 위한 민족주의로서 소수민족을 배려하는 정치적 필요를 고려하여 현대화 수용되었으며, 현재의 민족주의는 중국내부의 한족, 만주족, 몽고족, 회족, 장족 등 여러 소수민족과 한족이 상호 평등 및 대외적으로 하나의 중국 민족 으로 본다고 중국 내부에서는 교육되고 있다. 즉, 초기 삼민주의에서 제시된 구제달로 등 과격한 구호는 현재 마땅히 표현되지는 않고 있다. 마찬가지로 현대의 민권주의는 민주 정치의 실현을 위해 국민이 선거, 파면, 창제, 복결의 4대 권리를 가짐으로써 인민의 권력과 정부의 권력이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는 현대화된 사상을 교육하고 있다. 민생주의는 국민의 생활 안정을 위한 사회주의적 성격의 주장으로서 자본의 억제와 지권의 평균을 제시하였으며 최종목적은 대동세계의 실현에 있다고 하는 현대적 해석이 주로 교육되고 있으며, 초기 삼민주의에 대해서는 애써 그 내용과 변화를 이유를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고 있다. 현대의 중국에서는, 1924년 국공합작 후 그가 주창한 삼민주의 강령에서 민족주의는 반제국주의 로 민권주의는 기본적 인권옹호 와 인민 민주 독재 로, 민생주의는 토지와 경작자에게 라는 내용으로 바뀌었다 고 현대의 변화에 의미의 중심을 두고 삼민주의를 교육한다. 쑨원은 대아시아주의자이기도 했다. 그는 1897년경부터 일본에 망명한 것을 시작으로 일본 정계인사들하고 상당히 친분이 두터웠으며 일본에 망명해 머문 기간은 총 10년에 이른다. 1924년 11월이 마지막 일본 방문이 되었다. 1924년 11월 24일에 일본 고베에 도착, 11월 30일일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그는 고베에서 11월 28일 고베여자고등학교에서 대아시아주의 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했는데, 이 강연은 쑨원의 일생에서 최후의 공식적인 강연이자, 가장 유명한 발언으로 기록되고 있다. 여기서 쑨원은 중국과 일본 중심의 아시아연합 주장 을 조건으로 내세웠다. 쑨원의 대아시아주의는 기본적인 목표가 있어서 일본의 그것과는 구별될 수 있다. 일본의 대아시아주의가 일본의 팽창을 합리화하기 위한 도구 로 등장한 것이었던 반면, 쑨원의 대아시아주의는 그 출발점을 (서양)열강의 침략에 대한 대항에 두고 있었다. 다만, 쑨원의 초기 대아시아주의는 유럽 백인종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황인종들의 단결을 주장했던 것으로, 열강의 침략을 백인종의 침략이라고 본다는 점에서 진정한 의미의 반제국주의 인식을 가지지 못한 채 황인종인 아시아인들의 단결만을 강조하고 있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쑨원은 대아시아주의를 설명한 고베 강연에서 일본의 대아시아주의가 패권주의로 경도되고 있는 것을 경계하면서 “일본은 이미 유럽 패도의 문화를 이룩했고 또 아시아 왕도의 본질도 갖고 있다. 이제부터 서구 패도의 주구(走狗)가 될 것인지, 아니면 동방 왕도의 간성(干城)이 될 것인지 일본인 스스로 잘 선택하기를 바란다.”고 지적하고, “시대 조류에 순하면 흥하고 역하면 망한다(世界潮流 浩浩蕩蕩 順之卽昌 逆之卽亡)” 고 경고하였다.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동양사 교수인 박선영은 쑨원의 고베 강연에 대해 “쑨원이 주창한 아시아 연대는 서양의 반식민지를 경험하고 있던 중국과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던 대한제국이 이미 제국주의 국가라 할 수 있는 일본과 연대하여 반제국주의 연대를 강화한다는 모순된 것이었다. 한·중·일이 각기 주창했던 ‘아시아주의’는 지향하는 목적이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아시아 제국과의 연대를 통해 구체적이고 공통적인 이해관계를 정립하기 어려운 공허함이 존재했다.” 고 평가하고 있다. Yat-Sen s House.jpg|섬네일|200px|오른쪽|상하이에 위치한 쑨원의 집이었던 곳. 이 곳은 당시 프랑스 조계지역으로 쑨원은 이곳에서 김구를 비롯한 대한민국의 많은 독립운동가들하고 친분을 쌓았다. 돤치루이 마오쩌둥 삼민주의 쑹자오런 쑹칭링 신해혁명 오권분립 위안스카이 장제스 중화민국 천중밍 중국 국민당 중국 동맹회 중화 혁명당 호법 운동 흥중회 네이버 캐스트 오늘의 인물 - 쑨원 ROC Government Biography Sun Yat-sen in Hong Kong University of Hong Kong Libraries, Digital Initiatives Contemporary views of Sun among overseas Chinese Yokohama Overseas Chinese School established by Dr. Sun Yat-sen National Dr. Sun Yat-sen Memorial Hall Official Website Dr. Sun Yat Sen Middle School 131, New York City Dr. Sun Yat Sen Museum, Penang, Malaysia Was Yung Wing Dr. Sun s supporter? The Red Dragon scheme reveals the truth! Miyazaki Toten He devoted his life and energy to the Chinese people. Sun Yat-sen Memorial Hall A place to commemorate Sun Yat-sen in Guangzhou MY GRANDFATHER, DR. SUN YAT-SEN - By Lily Sui-fong Sun 濃濃鄉情系中原—訪孫中山先生孫女孫穗芳博士 - 我的祖父是客家人 Dr. Sun Yat-Sen Foundation of Hawaii A virtual library on Dr. Sun in Hawaii including sources for six visits Who is Homer Lea? Sun s best friend. He trained Chinese soldiers and prepared the frame work for the 1911 Chinese Revolution. 분류:1866년 태어남 분류:1925년 죽음 분류:청나라의 정치인 분류:중국국민당 당원 분류:중국의 정치인 분류:중국의 혁명가 분류:중국의 철학자 분류:난징 대학 교수 분류:홍콩 대학 교수 분류:중국의 공화주의자 분류:중국의 사회민주주의자 분류:중국의 개신교도 분류:중국의 망명자 분류:광둥성 출신 분류:홍콩 대학 동문 분류:하카인 분류:반파시스트 분류:인권 운동가 분류:범아시아주의자 분류:중화민국 대총통 분류:중국동맹회의 회원 분류:6성장군 분류:사회주의 이념 이탈자 분류:중화민국 대륙 국민정부 초기 시대 인물 분류:신해혁명 관련자 분류:19세기 철학자 분류:20세기 철학자 분류:민족 해방 운동 분류:지폐의 인물 분류: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분류:중국의 의사
북경 소재 마오둔 고택 앞마당에 세워진 마오둔 동상 마오둔 마오둔의 동생 심택민(沈澤民) 심택민의 아내 장금추(张琴秋) 북경 소재 마오둔 고택 저장성 가흥 소재 마오둔 고택 저장성 가흥 소재 마오둔 고택과 붙어있는 마오둔의 모교이자 현재 마오둔의 기념관인 입지서원(立志書院) 상해 다륜로 문화명인가 마오둔의 발도장 마오둔 (茅盾, 모순, 1896년 7월 4일 - 1981년 3월 27일)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설가이자 마르크스-레닌주의 문학가, 평론가, 공산주의 문학 공작자이다. 자는 안빙(雁氷)으로, 본명은 심덕홍(沈德鴻) , 별명은 심안빙(沈雁氷) , 필명은 마오둔(茅盾, 모순)이다. 저장성 가흥(浙江省 嘉興) 출신이며, 마오쩌둥 집권기간에 중화인민공화국 문화부 부장(문화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신문학 작가이자 항미원조 혁명 문예 작가였다. 1896년 청조 저장성 가흥에서 태어났으며 1914년 중화민국 시기에 북경대학교 문과(文科) 예과반에 들어간 뒤 소설과 비평을 발표했고 1920년 5월 천두슈의 상하이 공산주의 소조를 거쳐 1921년에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였다. 1925년 프롤레타리아트 예술론 이라는 평론을 내놓았다. 1921년부터 공산당 , 소설월보 등 문예 전선에서 첫 당원으로 공산 혁명 문학 진지 확보에 나섰고 상하이 상무인서관 편집원으로 일하면서는 코민테른의 지시를 받아 직원 파업을 지도했다. 덩중샤, 취추바이 등의 당조직 주축 간부가 일하던 상하이 대학에서 교편을 잡기도 했으며 1926년에는 선전 공작의 주축으로 마오쩌둥의 비서를 맡았다. 1927년 중국 공산당의 난창봉기와 추수봉기가 실패된 후는 검거를 피하여 1928년 7월 일본 제국으로 피신했다가 1930년 4월 상하이로 귀국하였다. 랑손(郞損), 현주(玄珠), 방벽(方璧), 지경(止敬), 미명(微明), 심명보(沈明甫) 등의 여러 필명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주로 국민당 통치 지역과 조계지에서 활동하였다. 1931년 코민테른의 좌익작가 연맹에서는 취추바이 밑에서 집행 서기를 맡았으며, 이른바 국방문학(國防文學) 논전 에서는 민족 혁명 전쟁의 대중 문예 를 주장하여 중일 전쟁에 즈음해 공산당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혁명을 병진해 나가고자 하였다. 좌익 작가 연맹의 해체가 강압된 후에는 상하이, 창사, 우한, 광저우 등지의 혁명 지도 일선에서 공산당 요원으로 활동했으며 1939년 신강에 건너간 뒤 1940년에는 옌안에 세워진 루쉰 예술학원을 방문해 가르쳤다. 그 후 충칭, 홍콩 등지에서도 비밀 당원으로 활동하였다. 1946년 12월에는 소련 공산당의 대외 문화 공작자 교류의 일환으로 아내 겸 공산당원이었던 쿵더즈(孔德沚)와 함께 소비에트 연방을 방문한 후 1947년 4월 상하이로 귀국했으며 1949년 1월 국공 내전의 승리를 맞아 베이핑으로 이동하였다.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수립 후에는, 마오쩌둥의 비서 직을 다시 맡았고, 저우양, 궈모뤄 등과 함께 중화인민공화국 문학공작 노선의 주요 지도부의 구성 부분이 되어, 대약진 운동 등을 비롯한 정치적 운동에 가담하였다. 초대 중화인민공화국 문화부 부장(문화부 장관, 1949년 ~ 1965년), 초대 중국작가협회 주석(1949년 ~ 1981년) 등을 역임하였다. 1957년 마오쩌둥의 소비에트 연방 방문을 직접 수행하였다. 문화대혁명 기간에는 홍위병과 사인방의 공산당 탄압 간부 명단에서 제외되었고, 사인방의 정치적 보호를 받았다. 사망 직전에 후야오방에게 공산당 당적 회복 청원서를 제출하여, 1921년 이후로 문화대혁명 전까지의 중화인민공화국 간부로서의 경력과 활동 등을 인정받아 공산당원 당적을 회복하였다. 중국 인민들에게서 거둔 거액의 인세 수입을 중화인민공화국 문화부에 기탁하였다. 1981년 베이징에서 사망하였다. 부 심영석(沈永錫) 모 진애주(陳爱珠) * 부인 공덕지(孔德沚, 쿵더즈) - 공산당원 * 남동생 심택민(沈澤民, 선쩌민, 1900년 6월 23일 ~ 1933년 11월 20일) - 마오둔의 4살 아래 남동생으로, 중국 공산당의 초기 당원이었으며 28인의 볼셰비키로 활동하면서 1931년 1월 ~ 1931년 4월 중국공산당 중앙선전부 부장(장관)을 역임하였다. 1933년 34살의 나이로 일찍 요절했다. * 제수 장금추(张琴秋, 장친추, 1904년 11월 15일 ~ 1968년 4월 22일) - 심택민(沈澤民, 선쩌민)의 아내이다. 마오둔의 부인 공덕지(孔德沚, 쿵더즈)와는 절친사이로, 공덕지의 시동생 심택민을 알게 되어 결혼하였다. 남편을 따라 중국 공산당에 가입하여 28인의 볼셰비키로 활동하였다. 남편 사후, 1943년 중화인민공화국 위생부 부부장(차관) 소정관(蘇井觀)과 재혼하였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방직공업부 부부장(차관)을 역임하였다. 문화대혁명이 시작된 후, 장금추는 몹시 수모를 겪고 1968년 4월 22일 새벽에 투신자살하였다. 1976년 심택민과 낳은 딸 장마아(张瑪娥)도 박해를 받아 수면제를 먹고 자살했다. 문화대혁명을 주도한 사인방 실각 이후, 1979년 6월 23일 중국공산당 중앙정부는 장친추를 위해 성대한 추도대회를 열었다. 초창기 소설 작품으로 1927년의 환멸 등이 있으며, 좌익 작가 연맹 시기인 1932년 중국 농촌 혁명의 지도일환으로 쓰여진 농촌 삼부작 , 1933년에 내놓은 마르크스-레닌주의 도시 혁명 소설 자야 등이 알려졌다. 1948년에는 소련 방문 체험을 일기 형식으로 기록한 소련견문록 을 출판하였다. 중공 정부 성립 후로는 중공 혁명 문학 운동의 지도 공작에 집중하였으며, 남긴 평론으로는 1950년 재북경 문학공작자 선언 , 1958년 약진 중의 동북 , 1960년 사회주의 약진의 시대를 반영해 사회주의 시대의 약진을 추진하라 등이 있다. 마오둔 문학상은 그의 유언과 중화인민공화국의 화궈펑 이후의 정권에 의해 1977년부터의 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1982년부터 그의 이름을 딴 장편 소설 문학상 수상이 이뤄지며 초기에 선정된 장편 소설에는 항미원조(抗美援朝) 등에 관한 주제가 담긴 작품이 포함된다. 루쉰(魯迅, 노신) 궈모뤄(郭沫若, 곽말약) 마오둔(茅盾, 모순, 본명 沈德鴻, 심덕홍, 별명 沈雁氷, 심안빙) 바진(巴金, 파금, 본명 李堯棠, 이요당) 라오쉬(老舍, 노사, 본명 舒庆春, 서경춘) 차오유(曹禺, 조옹, 본명 萬家寶, 만가보) 마르크스-레닌주의 천두슈 리다자오 후스 공산주의 중국 공산당 28인의 볼셰비키 프롤레타리아트 코민테른 덩중샤 취추바이 마오쩌둥 난창봉기 추수봉기 프롤레타리아 독재 루쉰 저우양 궈모뤄 바진 사인방 후야오방 쑹칭링 라오쉬 차오유 대약진 운동 문화대혁명 중화인민공화국 문화관광부 중국작가협회 분류:1896년 태어남 분류:1981년 죽음 분류:자싱시 출신 분류: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분류:베이징 대학 동문 분류:공산주의자 분류:마오쩌둥 분류:전국인민대표대회 구성원 분류:코민테른 관련자 분류:중국의 공산주의자 분류: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구성원 분류:중국의 소설가 분류:중국의 극작가 분류:20세기 중국 사람 분류:20세기 작가 분류:심씨
논리학에서 모순 (矛盾)은 두 개의 명제가 동시에 참이 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다음은 한자 문화권에서 ‘모순’이라는 말이 유래된 중국의 고사이다. 초나라에서 무기를 파는 상인이 있었다. 그 상인은 자신의 창을 들어 보이며 그 어떤 방패도 뚫을 수 있는 창이라고 선전했고, 또 자신의 방패를 들어 보이며 그 어떤 창도 막아낼 수 있는 방패라고 선전했다. 그러자 그 모습을 본 명나라왕 신하중 한 명이 상인에게 “당신이 그 어떤 방패도 다 뚫을 수 있다고 선전하는 창으로 그 어떤 창도 막아낼 수 있다고 선전하는 방패를 찌르면 어떻게 됩니까?”하고 질문을 던지자 상인은 아무 대답도 하지 못했다. 그런데 엄밀히 말해서 이 고사의 창과 방패 이야기는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 대당 사각형에서 말하는 모순이 아니다. 왜냐하면 "이 창은 모든 방패를 뚫을 수 있다."는 문장과 "이 방패는 모든 창을 막을 수 있다."는 명제는 동시에 거짓일 수 있기 때문이다. 대당 사각형에서 모순은 동시에 참일 수도 없고 동시에 거짓일 수도 없다. 역설 귀류법 비모순율 분류:논리학
만우절 (萬愚節)은 4월 1일로, 거짓말을 하거나 장난을 쳐도 나무라지 않는다는 풍습이 있는 날이다. 절이나 공휴일은 아니지만 서양의 여러 지역에서 일종의 기념일로 여긴다. 전통적으로 몇몇 나라에서는 만우절 장난은 정오 이전에만 행하여지며 이후에는 장난임을 알린다. 이 때에 오후에도 만우절 장난을 하는 사람을 에이프릴 풀(April Fool) 이라 부른다. 다른 곳에서는 농담이 하루 종일 계속되기도 한다. 만우절에 관한 초기의 언급은 15세기에 제프리 초우서가 쓴 이야기인 〈수녀와 수도사의 이야기〉에 나온다. 만우절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것은 3월 25일에서 4월 2일의 이 시기가 봄의 춘분과 관련이 깊고, 이 때가 고대로부터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여겨왔다는 것이다. 유럽에서는 이러한 전통이 택국엣것으로 보고 있다. 1508년부터 1539년 사이의 프랑스와 네덜란드 자료들 중 만우절 농담에 대한 이야기나 사월의 첫째날을 기념하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그레고리력(양력)을 받아들이기 전인 1564년까지 사람들은 4월 1일을 새해로 규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샤를 9세에 의해 공식적으로 지금의 4월 1일에서 1월 1일로 새해의 첫날 변경하였다. 그러나 이 소식을 접하지 못한 사람들은 여전히 4월 1일에 축제를 벌였는데 이런 사람들을 사월의 물고기 ()라고 불렀으며 친구가 자는 머릿맡에 천궁좌의 하나를 상징하는 물고기를 놓는 등의 장난을 치며 조롱하는 의미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한편 네덜란드에서는 다른 이유로 이 날을 기념한다. 1572년 스페인의 왕 필립 2세에 의해 네덜란드가 통치되고 있었을 때 네덜란드인 반란군들이 1572년 4월 1일 덴 브리엘이라는 작은 바닷가 마을을 점령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것은 이후에 다른 네덜란드 지역에서 봉기가 일어 나는 계기가 되었다. 그 이후에 이 날을 유머로 기념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밖에 만우절의 유래에 대한 다른 설들도 있다. # 부활절에 상연된 기적극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예수가 4월 1일에 처형되었다는 믿음에서 나왔다. # 성경에 나오는 노아의 홍수 때 물이 빠져나가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비둘기를 보낸 날이 4월 1일이었으며, 헛된 심부름을 보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 로마 농업의 여신 케레스를 기념하던 축제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한다. # 그레고리력으로 바뀐 뒤로 프랑스 사람들이 계속 농담조로 신년의 선물을 하거나 인사를 하는 데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스파게티 나무 BBC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파노라마 가 1957년에 방영한 유명한 장난이다. 이 프로그램에서, 스위스에 있는 나무에서 스파게티를 수확하는 장면을 보여주자, 많은 사람들이 BBC에 전화를 걸어 스파게티 나무의 재배법을 알고 싶어했다. 이후로도 BBC는 거의 해마다 기발한 만우절 장난을 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타코 자유의 종 1996년 미국 회사 타코 벨이 자유의 종을 사들여 타코 자유의 종 으로 이름을 변경했다는 내용의 광고를 뉴욕 타임즈에 실었다. 사실 여부에 대한 질문에 백악관 대변인 마이클 맥커리는 링컨 기념관도 팔려, 포드 링컨 머큐리 기념관 으로 이름이 바뀔 것이라고 대답했다. 피사의 사탑 1950년대 한 네덜란드 TV에서 피사의 사탑이 무너졌다는 보도를 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충격을 받았으며, 일부는 이를 한탄하면서 방송국에 전화하기도 했다. 빌 게이츠의 암살 한 네티즌이 CNN과 똑같은 모방 사이트를 만들어 빌 게이츠가 암살 되었다고 보도한 내용을 사이트에 올렸는데 이를 보고 많은 게이츠가 암살되었다는 내용을 보도한 적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MBC와 YTN마저도 이에 속아넘어가 속보로 이를 전한 후 사과방송을 하기도 하였다. 구글의 사투리 검색 2008년 만우절에는 구글이 사투리 검색 을 새로 시작한다고 하였다. 하늘을 나는 펭귄 2008년 BBC는 하늘을 나는 펭귄이라는 페이크 동영상을 만들어서 자사 홈페이지와 유튜브에 올렸다. 블리자드사의 장난 블리자드는 매년 만우절 장난을 잘 치기로 유명하다. 주로 자사의 게임에 관한 것들인데, 진짜 같은 스크린숏까지 같이 올리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속아 넘어가며 사내에 만우절 장난을 전담하는 팀이 있다는 소문까지 있을 정도이다. 연도 게임 내용 동영상 비고 2008년 스타크래프트 2 타우렌 마린(동영상) 을 테란족의 새로운 유닛이라고 소개 유튜브 타우렌 마린 소개 2009년 테란족에서 테라트론 을 만들었다고 소개 유튜브 테라트론 소개 디아블로 3 새로운 캐릭터 "Archivist"를 소개 유튜브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새로운 영웅 "방랑시인" 및 아이템 몇 종 소개 유튜브 2010년 스타크래프트 2 은폐 잠복중인 액션 피겨를 팝니다. 잠복중인 바퀴 액션 피겨암흑기사 스태츄은신중인 유령 스태츄 2011년 종합 소식 마누제르 구라킨 의 2011년 만우절 프로젝트 소개 스타크래프트 2 위대한 리그의 탄생.스타크래프트 관측선 스태츄 한정 판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레알 서바이벌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원기 회복의 식탁 및 생선 통구이 디아블로 II 젖소방의 변신 니코니코 동화 2.0(笑) 당시 SP1 버전으로 운영되던 니코니코동화가 2008년에 만우절 이벤트인 니코니코 동화 2.0(笑)으로 하루간 변경되었다. 이벤트였지만 지적받았던 인터페이스 개선, 코멘트 역류 기능, 피자배달기능(@피자 코멘트)가 추가되는 등의 변경사항이 있었다. 참고로 업로드 서버인 스마일 비디오(smile video)도 이름이 하루간 슬라임 비디오(slime video)로 변경됐었다. 하늘을 나는 펭귄 2008년 BBC는 남극에서 하늘을 나는 펭귄 무리가 발견되었다는 가짜 뉴스를 전했다. 몇몇 펭귄들이 추위를 피하기 위해 하늘을 날아 남미까지 여행한다는 내용이었다. 여기에는 유명 코미디언 테리 존스가 직접 남극을 찾아 펭귄들의 비행 장면을 목격하는 매우 그럴듯한 영상이 곁들여져 전 세계 인터넷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이 영상의 제작 과정도 공개되었는데, 테리 존스의 스튜디오 촬영과 컴퓨터 그래픽만으로 만든 것이었다. 웹사이트들의 홈페이지 조작 2009년 싸이월드는 두벌식 한글 자판에서 cyworld를 한글 상태에서 치면 쵸재깅 이라고 나온다는 점에 착안하여 사이트 이름을 쵸재깅으로 개편하기도 하였다. 또한 파란닷컴은 90년대 PC통신이었던 하이텔(HiTEL)의 파란화면으로 개편하여 웃음을 주기도 하였다. 또한 2011년에는 네이트 홈페이지의 로고를 쵸재깅으로 바꾸고 인기리에 종영한 드라마 주인공을 소재로 한 가상 왜떴을까를 노출하였다. 한편 백괴사전에서는 2010년에는 불법정보에 대한 차단 안내를 대문으로 내걸었으며 2011년에는 만우절을 맞아 모든 링크를 거꾸로 표시하는 일이 일어났었다. 또한, 사진은 표시되지 않았다. 기타 언론사들의 거짓 보도들 이 외에도 영국의 언론 텔레그래프 가 보도한 하늘을 나는 호텔, 최초비행 시작 , 가디언지 인쇄물 서비스 종료, 모든 서비스를 트위터로 진행 , 뉴질랜드의 헤럴드 "MS의 애플인수 등 수많은 거짓 기사들을 내보냈다. 컬러 TV 흑백TV 시대인 1962년 4월 1일 스웨덴의 한 방송국 기술담당자인 스텐슨이 뉴스에 출연하여 "흑백TV 수상기를 간단하게 컬러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라고 방송을 했다. 흑백TV 화면에 나일론 스타킹을 씌우면 컬러로 방송을 볼 수 있다고 얘기를 한 것이다. 그래서 이 방송을 본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이 방법을 그대로 따라 했다는 해프닝이 일어났다고 한다. 마인크래프트 만우절 이벤트인 마인크래프트 2.0이 있다. 색유리, 석탄블록, TNT슬랩이 등장한다. 대한민국의 만우절에는 대한민국에서 주로 소방서, 경찰서나 114콜센터 등에 장난전화를 거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에 대해 대한민국 정부는 만우절 장난전화는 범죄 행위 라고 규정하고 최대 200만 원의 벌금을 부과하는 등 강력하게 조치 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8년 만우절(4월 1일)에 112나 119에 장난전화를 걸거나 허위신고를 하는 사례가 크게 줄었다. 부산소방안전본부 등의 집계를 보면 만우절 장난전화는 2010년 19건이던 것이 2011년 7건으로 감소했고, 2012년부터는 아예 없거나 1건에 그쳤다. 2016년 만우절에는 단 한 통의 장난전화도 없었다. 부산 112에 접수된 만우절 허위신고는 2014년부터 이듬해까지 매년 1건뿐이었다. 경범죄처벌법에 따라 가짜로 범죄나 재해 신고를 하면 60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 과료에 처한다. 또 정도가 심하거나 상습적으로 허위신고를 하면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가적용돼 5년 이하 징역이나 1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는다. 만우절 RFC April Fools Day On The Web The most complete listing of April Fools Day Jokes that Web Sites have run each year from 2004 all the way until the present Museum of Hoaxes Top 100 April Fools Day hoaxes of all time Top 100 April Fools Pranks and Gadgets April Fools Day Antique Romantic Themed Postcards to send from Bonza Sheila April Fools Day SMS messages Hindi April Fools Day Jokes messages 2015년 4월 1일 국내 업체들의 만우절 이벤트 정리고리 분류:4월의 기념일 분류:4월 1일
시 (詩, poetry)란 마음 속에 떠오르는 느낌을 운율이 있는 언어로 압축하여 표현한 글이다. 시는 한자어로 詩이며 이는 言(언)과 寺(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여기서 言이 의미기호, 寺가 소리기호이다. 즉 시는 言, 언어가 그 의미내용의 핵심을 이루는 이름이며, 서경(書經)의 순전(舜典)에는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시언지(詩言志, 언어로 나타낸 뜻이 곧 시)라는 구절이 나온다. 시란, 울림, 운율, 조화를 가진 운문을 말하는데, 구체적으로 시작품을 성립시키는 각 시구를 가리킨다. 기록상으로 남아 있는 한국의 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한글이 반포되기 전의 한국어시는 향찰이나 이두로 기록되었다. 향가 고려 가요 시조 - 3.4.3.4 / 3.4.3.4 / 3.5.4.3 으로 진행되는 한국어 시이다. 한시 현대시 고대 한민족은 제천 의식과 가무를 통해 시가 문학을 만들어 냈다. 서정 양식은 서정시로 대표된다. 고대 한민족은 제천 의식과 가무를 통해 문학의 창조적 싹을 틔워 왔다. 시가의 기원은 원시 고대적 공동체 사회의 제의(祭儀)에서 발생하였다. 제천 의식 때 제주(祭主)가 되는 기도사(祈禱詞)나 송축사(頌祝詞), 민족적 시조신(始祖神)이나 영웅을 칭송하는 제사(祭詞) 같은 것은 신악(神樂)이나 율동적인 무용과 아울러 종합 예술의 분위기를 형성했고, 또 이것이 민족 문학의 모체가 되어 주었다. 예컨대,《삼국지》 〈동이전〉의 기록에 고구려 민족은 가무를 좋아하며 10월 제천시 국중에 대회를 갖는데, 이를 동맹이라 했다 한다. (→고구려의 제천 행사 참조) 이러한 제의에서 불린 노래가 곧 삼국 초기의 시가 문학이다. 시가는 분화되어 악기를 연주하는 노래로 발전하고, 지금은 음악으로부터 유리된 가사만이 변천의 과정을 겪고 문자로 정착되어 있는 것이다. 《삼국유사》의 가락국기(駕洛國記)에 기록된 가야 건국 신화 속에 낀 원시 시가의 유편인 〈구지가〉, 〈황조가〉, 〈공후인〉 등이 신화·전설 속에 묻혀 오늘날까지 그 가사의 내용이 한역(漢譯)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중, 〈황조가〉는 연애 감정을 표현한 서정적인 내용의 작품으로서 집단적인 원시 문학으로부터 개인적인 고대 서정 문학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삼국은 각기 부족 연맹으로부터 세력을 키워 고대 국가로 성장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자체의 문학을 발전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이 초창기에는 아직 문화적으로 제의와 밀접히 관련된 원시의 치졸한 단계에 머물러 있던 것이 삼국 시대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집단적·제의적 성격을 탈피하여 개인적인 문학예술이 발달을 보게 된 것이다. 향가는 세련된 개인 창작시로서 남북국 시대의 문학을 대표하고 있다. 신라 유리왕 연대에 지어진 〈도솔가〉, 〈회소곡〉 등은 농업 국가를 형성한 신라 민족의 제신적인 성격에서 벗어난 비종교적인 시가이다. 향가는 신라의 삼국 통일 이후 본격적으로 발달한 시가 양식이다. 이것은 특히 경주 지방을 중심으로 한 화랑·승려 등 신라의 중앙 귀족층에 의해서 발달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제의적·민요적인 것과는 달리 개인 창작 예술로서 어디까지나 귀족 문학인 것이다. 이 향가의 완성형은 10구체이며, 그 과도기적인 형태로서 4구체와 8구체가 있다. 내용 면에서 보면, 주로 생사(生死) 등 인생의 심각한 문제를 높은 종교적인 차원으로까지 끌어올려 우아한 언어로 표현한 고상한 서정시이다. 현재 전통적인 신라 향가 14수와 균여의 불교찬가로 지어진 11수가 전하고 있다. 신라 말기에 위홍과 대구화상에 의해 향가집 〈삼대목〉이 편찬되었다고는 하나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이형기, 시란 무엇인가, 한국문연 펴냄. 시인 동시
Giustiniani Musei Capitolini MC278.jpg|섬네일|형 귀스티니아니의 아테나(Athena Giustiniani). 대리석. BC 5세기 후반의 그리스 원본의 로마시대 복제품 아테나 아테나 ()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지혜·전쟁·직물·요리·도기·문명의 여신이다. 로마 신화의 미네르바와 동일시된다. 제우스와 메티스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올림포스의 12신의 두 번째 세대에 속한다. 투구, 갑옷, 창, 메두사의 머리가 달린 방패(아이기스), 올빼미, 뱀이 대표적 상징물이다. 언제나 투구와 갑옷을 입고, 손에는 창과 방패를 든 무장한 여전사의 모습을 하고 있다. 같은 전쟁의 신인 아레스와는 달리 총명하고, 이성적이고, 순결하여 사람들에게 은혜를 많이 베풀며 영웅들을 수호한다. 그녀의 신전으로는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아테네의 수호 여신이며 ‘아테네’라는 명칭의 어원이다. 로마 신화의 미네르바에 해당한다. 아테나 문화는 사람들이 아테나를 아테네의 수호자로 생각하고,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있었던 신화가 여러 시대를 넘어 다시 기록되는 것으로 계속 이어져 왔다.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은 아테나를 이집트인들의 고대 왕조 이전 시대부터 존재했던 리비아의 전쟁의 신이자 여성 사냥꾼 신인 네이트에서 왔다고 여기었다. 아테나는 또한 철학적인 지혜의 여신으로 알려지게 되어 5세기 후와 고대 그리스의 문화에 적용되었다. 그녀는 특히 방직, 그리고 여러 기술의 수호자( Athena Ergane )이기도 하고, 전쟁에서의 전략을 맡아 지휘( Athena Promachos )하기도 한다. 무기의 제작과 관련된 금속 가공도 그녀의 가호 아래에 있기도 하다. 아테나의 지혜는 오디세우스에서 묘사된 모습처럼 메티스에게서 받은 것으로 여겨지는 교활한 지성도 포함하고 있다. 아테나의 주위에서는 올빼미가 그녀의 시중을 들며, 승리의 여신인 니케가 그녀와 종종 동행하기도 하는데, 아테나의 조각상의 손바닥 위에 종종 작은 니케의 형상이 있기도 하다. 염소가죽, 혹은 뱀가죽으로 만든 흉갑 아이기스를 입고 있는데, 이것은 아주 오래전부터 다른 문화적 정황에 연관되어 있었는데 후기의 신화에서는 그녀의 아버지 제우스가 주었다고 전해온다. 아테나는 종종 투구를 쓰고 고르곤의 머리로 장식된 방패를 들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 조각상은 그리스 초기의 여신 문화로, 파르테논의 앞부분 앞 정점에 있는 가장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그녀의 방패는 후에 페르세우스의 축원의 선물이 된다. 뱀은 종종 아테나와 함께 동행하기도 하는데, 그녀의 창 막대기로도 자주 묘사된다. 바다와 배, 말과 전차도 그녀와 연관되지만, 밀접하게 드러나는 것은 없다. 아테나는 무기를 든 전쟁의 여신이며, 그리스 신화에서 오디세우스, 이아손, 헤라클레스와 같이 많은 영웅들의 조력자로 등장한다.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에 있는 그녀의 유명한 신전도 파르테논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참고로, 아테나는 제우스의 머리에서 태어난 후 , 스틱스강에 처녀신으로 있을것임을 맹세하였다. 한번은 헤파이스토스에게 겁탈당할 뻔한 적이 있었는데, 이때 치마에 묻은 정액을 닦아서 땅에 버렸다. 이로 인해 땅의 여신 가이아가 헤파이스토스의 정액으로 수태하고, 에리크토니오스가 태어난다. 그녀의 역할이 도시의 수호자였기에, 그녀는 그리스 전역에서 아테나 폴리아스( Athena Polias )로서 숭배 받았다. 그녀는 아테네와 특별한 관계에 있는데, 여신과 도시의 이름은 어원적으로 연관되어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제우스는 자신이 아버지인 크로노스나 할아버지인 우라노스처럼 자신도 언젠가 같은 방식으로 자기 아들에게 지위를 빼앗기지는 않을까 우려하였다. 그러던 차에 장차 자신과 메티스 사이에서 태어날 아들이 올림포스의 주신 자리를 차지할 것이라는 가이아의 신탁을 듣자 몹시 불안해하였다. 그래서 그는 그 자신은 개구리로 변신하고 메티스는 파리로 변신시킨 다음, 크로노스가 자신과 자신의 남매를 그렇게 했던 것처럼 당시 임신한 상태였던 메티스를 꿀꺽 삼켜버린다. 몇달 후, 제우스에게 갑자기 격한 두통이 몰려왔다. 두통이 갈수록 심해지자 헤파이스토스가 두통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제우스의 머리를 도끼로 쪼갰다. 그러자 그 속에서 갑옷으로 완전무장한 완전한 성인 여성의 모습을 한 아테나가 소리를 지르며 튀어나왔다. 이때 하늘과 땅, 바다가 아테나의 탄생을 축하하며 성대하게 박수를 치며 환호를 보냈다고 한다. 덕분에 아테나는 늘 아버지 제우스의 총애를 받았다. 또 메티스는 이후로도 계속 제우스의 뱃속에 남겨져 임신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아들을 낳지 못하였고, 제우스는 계속 권좌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파르테논 신전 아티카 지역의 도시 아테네를 두고 아테나는 포세이돈과 누가 인간에게 더 유용한 선물을 줄 것인가로 겨룬 적이 있다. 포세이돈은 그의 삼지창으로 땅을 때려 말과 샘을 만들어 주고 아테나는 올리브 나무를 만들어 주었는데, 말이 투쟁과 슬픔을 상징하는 반면, 올리브 나무는 평화와 풍요를 상징하기에 인간들의 결정으로 아테나가 승부에서 이기게 되었다. 이로써 아테나는 그 도시를 갖게 되고 도시의 이름은 아테네가 된다.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이 위치한 아크로폴리스는 아테나 여신이 거주하는 장소로 알려진다. 파르테논 신전에는 아테나 여신상과 함께 수호신을 놓고 겨루는 승부가 조각되어 있다. 한편 승부에서 진 포세이돈이 인간들에게 보복하고자 홍수를 불러오자 인간들은 아테나에 다음 가는 지배권을 그에게 맡겨 화를 풀도록 하였다 한다. 헤파이스토스는 아테나가 무기를 만들기 위하여, 자신의 대장간을 찾아오자 아테나에게 반해 강간하려고 했다. 아테나는 헤파이스토스를 뿌리치고 허벅지에 뭍은 정액을 닦아 땅에 버렸는데, 이로 인해 대지의 여신 가이아가 수태해 에릭토니우스를 낳고만다. 아테나는 에릭토니우스를 거둔다. 아테네 왕 케크롭스의 딸인 공주 아글라우로스와 자매들에게, 아기가 담긴 바구니를 맡기며 절대 열어보지 말라 하였다. 하지만 아글라우로스와 자매들은 호기심으로 인해서 바구니를 열어 보고, 두 마리 뱀에게 감긴 에릭토니우스를 보자 실성하여 아크로폴리스의 언덕에서 자살하였다. 아테나는 에릭토니우스를 바구니에서 꺼내 파르테논 신전으로 옮기어 길렀고, 후에 에릭토니우스는 아테네의 왕이 되었다. 리디아의 염색의 명인 이드몬의 딸인 아라크네는 베짜기와 자수를 잘하였다. 그녀는 자신의 솜씨가 아테나 여신보다 뛰어나다고 실력을 뽐내며, 아테나에게 도전한다. 아라크네의 자만심에 화가 난 아테나는 할머니로 변신하여 신을 모독하지 말고 용서를 구하라고 충고했는데, 아라크네가 그녀를 무시하고 쫓아내려 하자 자신의 본래 모습으로 돌아와 그녀와 시합을 벌인다. 아테나는 자신과 포세이돈이 아테네를 두고 겨룬 승부의 광경과, 신에게 대항한 인간들이 욕을 보는 장면과, 자신의 신목이자 평화의 상징인 올리브를 수놓아 아라크네에게 경쟁을 포기하라는 경고를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라크네는 자신의 직물에, 제우스와 여러 신들의 문란한 성생활을 뛰어난 솜씨로 수놓는다. 아테나는 아라크네의 뛰어난 솜씨에는 감탄했지만, 신들을 웃음거리로 만드는 자수내용에 모욕과 분노를 느껴 북으로 직물을 찢는다. 아테나는 이 행동으로 인해 신이 인간에게 패배했다. 고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만다. 아테나는 아라크네에게 패배했다는 사실을 아라크네 스스로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북으로 아라크네의 이마를 때리며 자신의 죄와 치욕을 느끼게 하였고, 아라크네는 치욕을 참지 못하여 목을 맨다. 아라크네를 불쌍히 여긴 아테나는 그녀가 영원히 실을 잣도록 하게 만들고자 아코니트 즙을 뿌려 그녀를 거미로 만들고, 그녀의 목에 매어있던 밧줄은 거미줄이 된다. 고르곤 세 자매 중 한 명인 메두사는 다른 자매들과는 다르게 본래 아름다운 모습을 가지고 있었다. 포세이돈은 처녀신 아테나의 신전에서 메두사와 사랑을 나누었다. 이에 모욕을 느낀 아테나가 메두사에게 저주를 내린다. 저주로 인해 메두사는 뱀으로 된 머리카락과 하체를 가진 흉칙한 괴물이 되었고, 그녀의 눈 또는 머리를 본 사람은 모두 돌이 되었다. 세리포스 섬의 왕 폴리데크데스의 명령으로 메두사의 목을 가져와야 하는 페르세우스는 아테나가 준 방패를 통해 메두사의 모습을 비추어 보며 접근하여 그녀의 목을 베는 데 성공한다. 후에 메두사의 머리는 아테나에게 바쳐져 그녀의 방패에 부착되었다. 그러나 메두사는 두 아들을 낳게 되는데, 그게 크리사오르와 하늘을 날아다니는 말 페가소스였다. 원래 굉장한 미모를 갖고 태어난 메두사가 아테나에게 저주를 받아 흉칙한 괴물이 되고 나서 페르세우스에 의해 토벌당한 반면 페가소스는 태어날 때부터 축복받았으며 일생이 다하는 순간 포세이돈에 의해 별자리에 올라갔다. 헤라클레스와 아테나 기간테스 알키오네우스는 기간테스가 태어난 플레그라이 안에서는 죽지 않았다. 플레그라이에서 헤라클레스가 기간테스 알키오네우스와의 싸움에서 고전하자 아테나는 알키오네우스를 어깨에 메어 플레그라이 밖으로 끌어내라고 충고하였다. 플레그라이를 벗어난 알키오네우스는 헤라클레스의 히드라의 독이 묻은 화살에 맞아 죽는다. 아테나는 헤라클레스가 조국 테베를 구하기 위해 전쟁에 참여했을 때 그의 옆에서 함께 싸워주었으며 스튐팔로스 숲의 새를 쫓을 때는 청동으로 된 딱따기를 빌려 주었고 케르베로스를 데려오는 임무에서 케르베로스가 있는 지하 세계의 길을 안내해주기도 하였다. 카리클로는 아테나의 총애를 받던 님프로, 에베레스와의 사이에서 티레시아스를 낳았다. 사냥을 하던 티레시아스는 우연히 카리클로의 도움을 받으며 목욕을 하는 아테나의 모습을 보게 되고 분노한 아테나에 의해 눈이 멀게 되었다. 아들이 맹인이 된 것을 슬퍼하는 카리클로를 보자 아테나는 그것을 위로하고자 뱀이 티레시아스의 귀를 핥도록 하여 새의 말을 듣고 예언을 할 수 있는 능력, 7세대를 살 수 있는 생명을 부여하였다고 한다. 오디세우스는 아테나의 총애를 받던 영웅 중의 한명이었다. 아테나는 그에게 지혜로운 호의를 베푸는데, 그가 트로이에서 집으로 돌아가는 여정 동안 스스로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절제된 도움을 준다. 하지만 오디세우스의 배가 난파되어 오기기아섬의 칼립소와 7년 동안 있게 되자 보다 못한 아테나는 제우스에게 간청하여 칼립소가 오디세우스를 풀어주도록 한다. 오디세우스의 아들 텔레마코스가 아버지의 행방을 알아낼 수 있도록 오디세우스의 친구로 변신하여 필로스의 네스토르에게 찾아가는 여행을 도와주기도 한다. 오디세우스가 고향 이타카로 돌아왔을 때는 변장을 하여 그를 시험해본다. 포세이돈이 자신의 신전에서 메두사와 정을 통하자 메두사를 저주해 못생긴 괴물로 만들었고 그 외에도 아테네의 지배권을 두고 다툰 적도 있었다. 트로이 전쟁이 끝나고 귀환하는 오디세우스를 포세이돈이 방해한 반면 아테나는 오디세우스를 도와주었다. 불화의 여신 에리스는 펠레우스와 테티스의 결혼식에서 자신만 하객으로 초대받지 못한 것에 앙심을 품고 그 결혼식장에 찾아가서 황금사과에 가장 아름다운 여신에게 이 황금사과를 바칩니다. 라는 글을 써서 던졌다. 그러자 이때 헤라, 아프로디테, 아테나가 후보로 나서서 경합을 벌이게 되었고 심판은 트로이의 왕자 파리스로 결정되었다. 이에 헤라는 무소불위의 권력을, 아프로디테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을, 아테나는 끝없는 지혜를 각각 조건으로 제시하며 자신을 선택해달라고 했다. 그 결과 파리스는 황금사과를 아프로디테에게 줬다. 아테나는 헬레니즘 시대 이전부터 있던 여신으로, 뒤에 그리스의 여러 지역에서 숭배되었다. 이전의 미노아와 달리 그리스에서는 군사 경제가 발달하였기에 아테나는 초기에 알려진 직물·요리·도기에 이어 전쟁 또한 주관한다고 생각되었다. 미케네 시대 이후 아테나의 영역은 궁궐에서 도시로 확대되었는데, 아테네의 수호신이 된 것은 고대의 도시 국가가 군주제에서 민주제로 바뀜에 따라 설정된 것이었다. 도시를 위한 아테나의 활동은 식물과도 연관이 있었다. 아테나의 탄생 축제인 판아테나이나는 식물의 성장과 결부되었으며, 프로카리스테리아는 봄을 맞아 여신이 땅에서 솟아오르는 것을 축하하는 행사였다. 페이디아스는 파르테논 신전에 금과 상아로 된 아테나 파르테노스를 비롯하여 3개의 아테나 상을 조각하였으며, 아이스킬로스의 에우메니데스에서는 재판의 피고가 된 오레스테테이아에게 표결이 동수일 때는 무죄라는 선례를 남긴 것으로 묘사된다. (Carlos Parada) Athena Album Roy George, "Athena The sculptures of the goddess" Theoi.com Cult of Athena The Nashville Parthenon 분류:그리스 신화의 여신 분류:도시의 수호신 분류:전쟁의 신 분류:지혜의 신 분류:기술의 신 분류:상업의 신 분류:학문의 신 분류:올림포스 12신 분류:제우스의 자식 분류:아티케 신화 분류:처녀신 분류:아테네
박정희 (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다. 본관은 고령. 호는 중수(中樹)이다.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3년간 교사로 재직하다 만주국 육군군관학교에 입학하였다. 졸업 성적 석차 2등으로 만주국 군관학교를 졸업한 후, 성적우수자 추천을 받아,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57기로 입학한 후 1944년 성적 석차 1등으로 졸업했다.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망할 때까지 일본 제국이 수립한 만주국의 일제관동군장교로 근무하였다. 일제가 패망하고 1946년 7월에 귀국하였다. 귀국 이후 대한민국 국군 장교로 지내던중, 형인 박상희가 경찰에게 사살당하자 이재복의 권유로 복수심에 남조선로동당에 입당하여 활동하였다가 김창룡이 주도한 숙군에서 여수·순천 사건 연루 혐의로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정보국에 남조선로동당 조직과 동료들을 증언한 후, 육군본부 정보국장이었던 백선엽의 최종 면담에서 사형을 면하였다. 5·16 군사 정변을 주도하였고, 이로써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되어 정치를 시작하였다. 1963년 12월부터 1979년 10월 26일까지 제5·6·7·8·9대 대통령으로 장기집권을 하였다. 국가재건사업을 추진하여 1968년부터 경부고속도로 기공 및 개통, 서울 지하철 기공 및 개통, 농촌의 현대화 운동이었던 새마을 운동, 대규모 중화학 공업 건설 및 육성, 민둥산의 기적인 산림녹화 사업, 식량 자급자족 실현 등 조국 근대화 정책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냈고, 후진국 탈피와 경제자립으로 국가발전의 기틀을 닦았다. 3선 개헌 및 유신헌법 등의 장기 집권을 반대하던 여야 및 학생운동이 일어났다. 1979년 10월 무렵 김영삼 의원 제명 파동으로 부마항쟁이 일어났다. 1979년 10월 26일 궁정동에서 연회를 하던 도중 당시 중앙정보부장이었던 김재규가 쏜 총탄에 맞아 암살당했다. 박정희의 대통령 직무 수행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장면 내각이 수립한 국가 주도 핵심 공업 개발을 골자로 하는 불균형 개발 모델-지도받는 자본주의 체제 (제2공화국과 울프 박사의 합작인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미국이 주문한 환율 현실화 및 노동집약형 수출 경공업 개발을 비교적 충실하게 따랐다는 평가와 무리하고 비효율적인 중공업 중복 투자 및 지나친 관치 경제로 인한 금융 시장의 부실화로 한국의 경제발전을 늦추었다는 평가가 공존하고 있다. 이외에도 새마을 운동을 통해 농촌 발전에 성공했다는 긍정적 평가와 군정 시절 이래로 중농 정책, 통일벼 보급, 새마을 운동에도 불구하고 농촌과 농가 경제를 피폐하게 만들었다는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고 있으며, 그린벨트 규제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과밀을 예방하지 못했다는 부정적 평가, 의료보험 제도가 오늘날 한국 의료보험의 토대가 된 전두환 정부의 의료보험만 못하다는 부정적 평가, 개발 위주의 획일화된 정책이라는 부정적 평가 등이 뒤따르고 있다. 다만, 제1공화국과 제2공화국에서 꾸준히 실시되었던 사방 사업, 조림 사업, 산림 복원 사업 등에 관하여는 호평이 더 많은 편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존경하는 대통령을 비롯한 대통령 선호도와 공적 부문 등에서 최상위 평가를 받아오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5.16 군사 정변, 10월 유신을 통한 헌정 파괴, 노동 운동 및 야당 탄압, 군사 독재 등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한일협정을 강행한 것과 베트남 전쟁 파병에 대한 평가가 양립하고 있다. 핵무기 개발, 행정 수도 이전을 추진하기도 했다. 또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와 박근혜 대통령 탄핵의 영향으로,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도 다소 낮아져 노무현 전 대통령이나 문재인 대통령이 1위를 차지하고 박정희 전 대통령은 2위로 하락하였다. 1917년 아버지 박성빈과 어머니 백남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마루에서 굴렀다가 마루 밑에 놓인 화로에 떨어져 머리카락과 눈썹 부분에 화상을 입기도 하였다. 아버지 박성빈은 황토를 짓이겨서 박정희에게 발라주었고 이때 화상을 입어 피부가 검게 그을린 것이라 한다. 이 일 이후로 박정희는 짧은 옷을 입지 않는 버릇이 생겼다고 전해진다. 유년기에는 서당에 다니며 한학을 수학하였으며, 훗날 입학하는 구미공립보통학교의 입학 전 경력에도 한학 수학이라 기재되어 있으며 학교에 다니면서도 일요일에는 서당에 가서 한문을 배웠다고 한다. 일요일에는 교회에도 다녔고, 나머지 시간을 이용해서 서당에 다닌 것이다. 아버지는 조선 후기에 무관직 정9품 효력부위를 지냈으나 동학 접주 출신으로 연좌되어 가장으로서 경제생활을 할 수 없었고, 맏형 박동희는 독립하였으며 둘째 형 박무희와 셋째 형 박상희가 실질적인 가장으로 생계를 꾸려 나갔다. 아버지와 둘째 형은 인근 경기도 관찰사를 지낸 칠곡군의 갑부 장승원을 찾아가 그의 집안 토지의 소작농으로 생계를 유지했는데, 후일 장승원의 아들 장택상은 이를 회자화 하며 박정희를 공격했고 박정희는 이로 인해 장택상과 아주 껄끄러운 관계를 유지하게 되었다. 1926년 4월 1일에 구미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보통학교 시절, 2학년 때까지는 급장을 담임선생이 지명했으나 3학년 때부터 교칙이 바뀌어 1등을 하면 급장을 시켜주는 새로운 제도 덕분에 공부를 잘하던 박정희는 3학년 때부터 내내 급장을 맡았다. 이때 박정희의 급우 가운데 그로부터 맞아 보지 않은 아이들이 드물었다고 같은 반 동기생이었던 박승룡이 회고한 바 있다. 한편 그의 담임은 박정희에 대해 평가하기를 성적은 전 과목이 고루 우수하며 암기력이 좋아 산수, 역사, 지리 등은 언제나 만점을 받았다고 기록하였으며, 조리 있는 발표력과 예민한 사고력을 특기사항으로 기록하였다. 반 학생 중 나이가 어렸으나 급장으로서 통솔력이 탁월하고 자습시간 등에는 학우들을 지도하였으며 체육 시간에 선생이 나오기 전에 준비를 하여 기다리도록 지도를 잘한다고 평하였다. 당시 박정희는 학교 수업 외에 독서를 즐겼는데, 군인을 동경하였으며 그중 나폴레옹과 이순신의 위인전을 탐독해 읽었다고 한다. 박정희 자신의 회고에도 소년 시절에는 군인을 무척 동경했음. 그 시절 대구에 있던 일본군 보병 제80연대가 가끔 구미 지방에 와서 야외 훈련하는 것을 구경하고는 군인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을 했다. 보통학교 시절에는 일본인 교육으로 일본 역사에 나오는 위인들을 좋아하다가 5학년 때 춘원 이광수가 쓴 이순신 을 읽고 이순신 장군을 존경하게 됐고, 6학년 때 나폴레옹 전기 를 읽고 나폴레옹을 숭배하였다고 회상하였다. 소년 시절에 박정희는 친구를 따라 개신교 교회에 다녔다. 그의 동창인 한성도는 조갑제와의 인터뷰에서 이때 그가 주일학교에 다녔다고 증언하였다. 그러나 뒤에 박정희는 종교를 바꾸게 되었다. 형편상 도시락을 싸올 수 없을 때도 종종 있었다. 끼니를 거를 때도 있었지만, 한약방을 하던 집 아들인 급우 이준상과 친해지면서 도시락을 싸올 수 없는 날에는 학교에서 5분 거리인 그 친구의 집에 가서 점심을 먹기도 하였다. 이준상의 집안은 그의 아버지가 작고한 이후 가세가 급속히 기울어진 데다가 병이 있어 어렵게 살고 있었다. 박정희는 1963년 10월 15일 선거에서 제5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을 때 경주에 있다가 생가를 찾아 구미역에 도착했다. 환영 인파를 대하자 박정희는 제일 먼저 이준상을 찾아 허름한 차림의 그를 자신의 지프에 태운 뒤 생가로 이동했다. 이후 구미에서는 가난한 장애인 이준상을 아무도 업신여기지 못했다 한다. 1972년 이준상이 어릴 때 다친 다리를 또 다시 다쳐서 입원했을 때 대통령 박정희는 그의 병원치료비를 지원하기도 했다. 1932년 3월 1일에 보통학교를 제11회로 졸업한 박정희는 그해 대구사범학교에 응시했다. 총 응시자는 조선인과 일본인 합하여 모두 1,070명이었다. 당시 박정희의 집은 가난하여 학비를 댈 엄두도 못 냈고, 그의 가족들은 내심 그의 사범학교 진학을 포기했으면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구미공립보통학교의 담임과 교장이 방문하여 박정희의 부모를 설득하여 대구사범학교에 응시하게 하였다. 누나 박재희의 증언에 의하면 어머니 백남의는 박정희가 시험에서 떨어지기를 빌었다고 한다. 합격하고 진학을 못 하면 한이 생긴다고 하여 불합격을 빌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박정희는 51등으로 합격하였다. 1932년 4월 1일 박정희는 대구사범학교에 제4기생으로 진학하였다. 이때 입학정원 100명이었는데 이 중 조선인 90명, 일본인 10명이었다. 대구사범학교 진학 후 박정희는 집을 떠나 대구 시내 기숙사에서 등하교하였다. 대구사범학교 5년 중 3년간 그의 성적은 하위권이었다. 품행평가에서 양 이 네 번, 가 가 한 번이었으나, 군사 및 체육 관련 교과목의 성적은 뛰어났다. 이 성적표는 그의 집권 기간에는 공개 금지가 되기도 하였다. 1936년 4월 1일 김호남과 결혼했다. 병을 앓고 있던 아버지가 죽기 전에 막내가 결혼하는 걸 보고 싶다고 간청하여 이루어진 결혼이었다. 1937년 3월 25일 박정희는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1937년 4월 1일 문경공립보통학교 교사로 부임하여 4학년을 맡았다. 그 해 장녀 박재옥이 태어났고 1938년 9월 4일에 아버지가 67세의 일기로 사망하였다. 한편 1939년 행적에 대해 다른 견해도 있으나 만주에 있었던 것을 빼면 확인된 것은 없다. 중화인민공화국 조선족 작가 류연산에 따르면 《일송정 푸른 솔에 선구자는 없었다》에서 박정희가 신징 육군군관학교 제2기생으로 입학하기 전인 1939년 8월, 대사하 전투에 참여했고 이후 간도 조선인특설부대에 자원입대해 동북항일연군 토벌에 나섰고, 교직은 1940년 2월까지 재직하였다고 한다. 박정희의 셋째 딸 박근령은 2005년 2월, 이러한 주장을 담고 있는 서적이 부친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국내 출판사 대표인 아이필드 출판사 대표 유연식을 검찰에 고소했고 대법원 3부(주심 안대희 대법관)까지 올라갔으며 1939년, 박정희가 서명한 문경공립보통소학교 “성적통지표”와 1940년, 박정희가 교직을 의원면직했음을 보여주는 교육 당국의 서류를 제출하였는데 이와 관련된 재판에서 안대희 재판관 등 재판부는 “그의 친일 행적 여부에 대해 논란이 있고 특설부대에 근무했는지도 한국 현대사의 쟁점으로 계속 연구돼야 한다. 책에 적시된 내용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에 반한다고 하더라도 피고인이 ‘허위’임을 인식했다고 단정할 수 없어 무죄를 선고한 원심은 정당하다”는 이유를 들어 무죄를 판결했다. 이와 관련하여 데일리안은 다른 언론들이 무죄판결을 가지고 류연산의 주장을 정당화해서는 안되며, 이 판결은 무죄가 죄가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유죄임을 확증할 근거가 없다는 뜻이라고 주장했다. 대법원 3부에서는 "역사적·공적 인물의 경우 시간이 경과하면 망인과 유족의 명예보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표현의 자유가 보호돼야 하므로 사자 명예훼손죄가 성립하려면 허위 사실에 대한 고의성을 엄격히 따져야 한다"며 "박 전 대통령의 특설부대 근무설은 여러 책에 언급됐고 저자 류씨는 역사학계에서도 인지도가 있어,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유죄가 인정되지 않는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newpaper 19390331.jpg|섬네일|오른쪽|200px|박정희의 혈서가 실린 만주신문 1939년 3월 31일자 기사 박정희는 일제의 만주국의 군관으로 지원했지만 나이 초과로 1차에서 탈락했다. 만주신문 1939년 3월 31일 자를 친일행위증거로 내세운 민족문제연구소의 주장에 따르면 박정희는 만주국군에 다시 지원하면서 지원서류에 혈서와 채용을 호소하는 편지를 첨부하여 제출함으로써 반드시 만주국군에 들어가려고 했다. 박정희가 쓴 혈서에 대해 보도한 1939년 3월 31일 자 만주신문은 현재 일본 국회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다. Chung-hee, Manchu Shinmun.jpg|섬네일|왼쪽|200px|만주신문 1939년 3월 31일자 기사의 박정희의 혈서 부분 동봉된 편지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글이 첨부되어 있다. 박정희를 친일파로 분류하지 않은 친일진상규명위는 혈서에 대해 "민족문제연구소가 공개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친일 혈서를 작성했다는 만주신문 기사도 사전 발간 직전에 알게 돼 다시 거론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한편 박정희와 같이 교사생활을 한 유증선은 조갑제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박정희에게 혈서를 쓰도록 권유했으며, 그 말을 들은 박정희가 즉시 시험지에다가 핏방울로 혈서를 썼다고 증언한 바 있다. 《박정희 평전 가난에서 권력까지》를 쓴 이정식 경희대 석좌교수는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박정희 혈서에 대해 "1939년과 1940년 당시 일본군이나 그 일제의 괴뢰국인 만주국의 군대에 장교로 임관하기 위한 혈서 제출은 일종의 유행이었다"라고 말해 박정희의 친일행적을 두둔하였다. 1940년 4월 1일 박정희는 만주국육군군관학교(신징 군관학교)에 제2기생으로 입교하였다. 이때 박정희의 동기생들 가운데는 5·16에 가담한 사람이 없었으나, 간도·용정의 광명중학 출신의 선배 기수에서 5·16을 지지하게 되는 등, 이때의 인맥은 박정희의 지지 기반이 되었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1942년 3월 박정희는 만주국 신징 군관학교 2기 예과 졸업생 240명 중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이때 박정희는 수석졸업 기념으로 만주국 황제 푸이로부터 은사품으로 금시계를 하사받았다. Japan.JPG|섬네일|200px|만주국육군군관학교와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직후, 헌병 조장(曹長, 원사에 해당) 시절의 박정희, 이때의 계급은 일본 헌병 조장, 보직은 수습사관이었다. 그해 8월에 만주국 육군 소위로 임관되었다. 졸업 후 5개월 정도 현장 실습을 마친 박정희는 1942년 10월 1일, 일본 육군사관학교 제57기로 편입했다. 1944년 4월 박정희는 300명 가운데 3등의 성적으로 일본 육군사관학교 57기를 졸업했다. 그리고 수습사관 과정을 거쳐 1944년 7월 열하성(熱河省) 주둔 만주국군 보병 제8단에 배속되었다. 12월 23일 정식 만주국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이때 함께 근무했던 신현준, 이주일, 방원철 등은 훗날 5·16 군사 정변의 동지가 되었다. 박정희가 배속되었던 부대는 보병 제8사단으로 동만주 지역의 열하성이었다. 주 토벌 부대는 중국 공산당의 팔로군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좌파계열 독립군들이 팔로군에 가담하였고 박정희가 팔로군 토벌에 참여하였으므로, 독립군 토벌에도 참여한 셈이라는 주장이 있다. 언론인 겸 작가 문명자는 1972년 일본 도쿄에서 박정희의 만주국육군군관학교 동창생 두 명으로부터 만주국육군군관학교 동창생들이 박정희에 대해 "박정희는 온종일 같이 있어도 말 한마디 없는 과묵한 성격이었다. 그런데 내일 조센징 토벌에 나간다 하는 명령만 떨어지면 그렇게 말이 없던 자가 갑자기 요오시(좋다)! 토벌이다! 하고 벽력같이 고함을 치곤 했다. 그래서 우리 일본 생도들은 저거 돈 놈 아닌가 하고 쑥덕거렸던 기억이 난다."라고 증언했다. 박정희가 복무하던 시절 독립군이 만주에 있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다. 국민공통 교육과정 국사 교과서에는 1940년 이후 한국의 독립군 대부분이 광복군을 중심으로 결집하여 근거지를 중국 대륙에 위치한 충칭(重慶)으로 옮겼다고 서술되어 있다. 또한 1930년대 이후 만주지역 조선인 사회주의 독립운동가들은 일제의 공작인 ‘민생단 사건’으로 인해 최소 500여 명의 조선인 독립운동가들이 중국 공산당에 의해 숙청되거나 학살당하였고 만주 지역 내에서의 조선인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한 중국 공산당이 이를 방관함으로써 민생단 사건 이후 만주 지역에서의 조선인의 영향력은 위축되었고 조선인과 중국 공산당 간의 연대도 약화하였다. 하지만 좌파 계열 독립군 단체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복군에 합류하는걸 거부하고 중국 공산당과 협력하였다. 조선 의용군은 박정희가 복무한 1944년대에 화베이 지역의 도시와 농촌, 그리고 만주 일대의 일본군 점령 지역에서 조직 결성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고, 그 결과 여러 도시에 독립 동맹의 거점이 마련하였다. 이리하여 의용군과 독립 동맹의 존재가 널리 알려졌으며, 많은 조선인 청년들이 의용군에 입대했다. 이에 대해 2004년 동아일보가 제안한 가상토론에서는 언론인 조갑제는 박정희가 팔로군을 토벌하였으나 이는 중국 공산당의 군대이므로 독립군과는 상관이 없다고 주장하였다. 조갑제가 팔로군과 독립군이 무관하다고 주장했지만, 진중권은 팔로군에 독립운동 세력이 참여하고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성신여대 김명호 교수 또한 독립군이 "팔로군과 신사군의 지도 아래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했다", "조선의용군은 팔로군, 신사군과 긴밀한 관계를 수립했다"고 주장하였다. 오마이뉴스의 취재에서 박정희와 같이 만주국군 제8단에서 복무한 사람들의 증언에 따르면 중국인 동기생 고경인에 따르면 당시 제8단 지역은 중국 인민해방군의 전신인 팔로군 토벌을 위해 주둔하고 있었으며, 초임 소위 시절 팔로군 토벌 작전에 참가한건 사실이라고 증언한다. 하지만 2-3개월후 단장 부관으로 승진햇기 때문에 일선부대에서 빠지게 된다. 부관이 된 이후 박정희와 같이 복무하게 된 신현준, 방원철 등은 “박정희는 단장 부관으로 직접 전투보다는 놀고 술 먹을 기회가 많았다”고 증언하였다. 박정희 임시 육군 군인(군속) 계 군관학교 시절 박정희는 ‘다카기 마사오’()로 창씨개명을 하였고, 만주국육군군관학교 2기생 졸업앨범과 일본 육사 졸업앨범에서도 같은 이름을 사용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박정희의 셋째 형 박동희가 1945년 3월 박정희의 병적사항을 알리기 위해 일제 치하의 경상북도 선산군 구미면 면사무소에 제출한 병적기록부를 바탕으로 작성된 《임시육군군인군속계》에서도 박정희의 일본식 이름이 高木正雄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병적기록부의 제출자인 박정희의 셋째 형 박동희 또한 다카기 도히로(高木東熙)로 표기되어 있다. 한편 박정희가 ‘오카모토 미노루’()라는 이름으로 다시 한 번 일본식 이름으로 바꾸었다는 주장도 있다. 재미 언론가 문명자는 1999년 그의 저서 《내가 본 박정희와 김대중》에 “만주국육군군관학교 시절 박정희의 창씨명은 다카기 마사오. 그곳을 졸업하고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편입했을 때 박정희는 창씨명을 완전히 일본사람 이름처럼 보이는 오카모토 미노루로 바꾼다.”라고 서술하였다. 2005년 도쿄대학교에서 출판한 《일본 육·해군 종합사전》 2판에는 박정희가 오카모토 미노루 로 소개되었다. 조희연 교수도 자신의 저서에서 이러한 내용을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김병태 건국대학교 명예교수는 "박정희가 일본 육사를 졸업하고 관동군 23사단 72연대에 배속됐는데 거기 연대장의 이름이 오카모토였다"고 설명하였다. 《오마이뉴스》와 《한겨레》는 이에 대해 "자료로 입증된 사실이 없거나 공식 기록으로 확인된 바 없으며 다카기 마사오로 한 차례 개명한 사실만 확인되었으며 자료로 입증된 사실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에 대해 이시완 기자는 2012년 12월 5일 인터넷 매체 빅뉴스 에 올린 글에서 "이 사전은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기록이 아니라, 도쿄대학 출판부에서 출판한 개인출판물" 이며 "이 사전 초판(1991)에는 오카모토 미노루라는 이름이 없었는데, 2005년 발간된 2판에 갑자기 이 이름이 추가되었다" 고 지적했다. 또 "도쿄대학 출판부를 통해 이 사전의 저자에게 ‘오카모토 미노루’라는 이름의 근거를 확인해 본 결과, 근거 확인이 안되니 3판을 출판할 때는 오카모토 미노루라는 이름을 삭제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 고 했다. 그는 "한국의 안티 박정희 세력이 금과옥조처럼 받들어 오던 일본측 자료 의 설득력도 이것으로 없어진 셈"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오마이뉴스의 정운현 기자는 "박정희가 배속된 23사단 72연대 연대장 이름이 오카모토였다는 김병태 교수의 주장은 허구성이 있다. 박정희가 일본 육사를 졸업하고 견습사관을 거쳐 배속된 곳은 열하성 흥륭현 소재 만주국군 보병 8단이었다. 단장은 중국인 당제영이었으며, 그의 계급은 상교, 우리로 치면 대령이었다. 당시 보병 8단에는 박정희를 포함해 이주일, 방원철, 신현준 등 한국인 장교가 4명 있었다."고 주장했다. 또 "일제강점 35년간 창씨개명을 2번한 사람은 일본인이 되지 못하면 죽음을 달라 고 외치던 극렬 친일파 이영근 단 한 사람뿐이었다. 그러나 군관학교 예과를 수석으로 졸업해 일본 육사 유학 특전까지 얻은 박정희가 일본 냄새가 짙은 이름으로 다시 창씨개명을 해야 할 필요성을 찾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오카모토 미노루 가 박정희의 두 번째 창씨개명이라는 주장은 사실로 인정하기 어렵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또, 이때 박정희는 문경으로 돌아와 교사 시절 자신을 핍박하였던 일본인 군수, 서장, 교장을 불러 사과를 요구했다고 전해지는데 아래는 제자인 이순희의 증언이다. 박정희는 만주 보병 제8단에서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망할 때까지 근무하였다. 1945년 8월 15일 광복이 되자 소속 부대가 없어진 박정희는 9월 21일 동료들과 함께 베이징 쪽으로 건너가, 장교 경험자를 찾고 있던 한국광복군에 편입되어, 북경의 김학규가 지휘하는 한국광복군 제3지대 제1대대 제2중대장에 임명되어 광복군 장교로 활동하다가 1946년 5월 8일 미군 수송선을 타고 부산항으로 귀국하였다. 빈털터리 상태로 돌아온 그를 고향의 가족도 반기는 눈치가 아니었다고 한다. 셋째 형 박상희(朴相熙)는 “그냥 선생질이나 하면 좋았을 걸 괜히 고집대로 했다가 거지가 되어 돌아오지 않았느냐?”고 면박을 주었다고 한다. 해방 이후 박정희는 한국광복군에 입대하였는데 만주국군 출신이었던 박정희가 광복군에 바로 입대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서는 당시 광복군이 만주에 있던 조선인들에게 선전했던 투쟁지침과 관련짓는 주장도 있다. 비밀리에 일본군 내 조선인 장교들에게 살포된 이 선전문을 보면 일본군에 위장 침투한 한국인에게 고하는 것으로서 본문에는 “아직 전민족적으로 총궐기할 때는 아니다. 때를 기다려라. 제군들은 일군 내에서 작전을 방해하고 손상하는 게 임무다. 자신이나 동포에게 위험이 없는 범위에서 활동하라. 겉으로는 친일(활동)을 하라”는 등의 내용이 실려 있다. 1945년 8월 이전에 박정희가 독립운동에 참여했다는 증거는 없다. 비밀 선전문은 전 광복회장 김우전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박정희가 비밀광복군에 연관된 듯 알려진 ‘원전(原典)’은 1967년 박영만이 쓴 소설 ‘광복군’이었다. 당시 정황을 비교적 잘 아는 김승곤 전 광복회장은 “박영만은 청와대에서 돈을 받을 줄 알고 ‘광복군’을 썼는데, 내용을 훑어본 박 대통령은 ‘내가 어디 광복군이냐. 누가 이따위 책을 쓰라고 했냐’라며 화를 냈고, 결국 박영만은 돈 한 푼 못 받고 거창하게 준비한 출판기념회도 치르지 못했다”고 증언했다. 5·16 이후 반혁명 옥살이를 마치고 나온 박창암 전 혁명검찰부장 앞에 박정희를 지하독립운동 리더로 묘사한 책을 쓰자고 제안하였으나, 거절당했다. 실록 군인 박정희 에 따르면 1967년 박영만은 자신의 책을 박정희에게 전달했으나 환대는 커녕 호통을 들었다 는 설도 있다. 1946년 5월 8일 귀국한 그는 고향에서 넉 달간 휴식을 취하다가 그해 9월 조선경비사관학교 2기생으로 입학하여 단기 과정을 마치고 1946년 12월 조선경비사관학교를 졸업, 광복을 맞은 한국의 군대에서 다시 육군 소위로 임관해 군인 생활을 시작한다. 박정희와 2기생도들은 1946년 12월 14일에 졸업하였다. 교육 중 동기 군번 69명이 탈락하고 194명이 졸업하였고, 군번은 성적순 으로 받았다. 1등은 신재식 (육군소장, 군수기지사령관 역임)이었고, 박정희는 3등이었다. 여순사건 재판 당시 남조선 로동당을 배신한 그를 살려주었다. 소위로 임관한 박정희는 본부가 춘천에 있던 8연대로 발령받았다. 8연대는 1947년 2월, 미군이 38선 경비업무를 일부 이관하면서 다섯 곳에 경비초소를 설치하게 되었다. 당시 경비중대장은 경비사관학교 1기인 김점곤 중위가 중대장으로 있었다. 원용덕 연대장이 장교들을 소집하고 경비초소(CP)의 위치와 소대장의 배치장소를 의논하였는데 미군 고문관 브라운이 소대장의 서열에 따라 배치하면 되겠다고 말했다. 그런데 박정희는 보는 앞에서 미국놈이 왜 간섭을 하느냐며 불만을 터뜨렸다. 미국놈 이란 표현을 알아들은 브라운은 고소하였고 원용덕 연대장이 미국놈은 애칭이며 욕이 아니라고 변명해도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브라운은 타자원한테 들어서 안다며 미국놈은 욕이라 하며 박정희의 징계를 요구하였으나 원만한 원용덕이 적당히 달랬다. 이 시절 국군 초의 연대단위 기동훈련을 기안한 공로로 중위를 거치지 않고 바로 대위로 진급한다. 박정희는 육영수와 결혼하기 직전에 당시 이화여대 1학년이던 이현란(당시 24세)과 동거를 했다. 1947년 12월 경리장교였던 박경원의 결혼식에 참석했다가 처음 만났다. 두 사람은 1948년부터 1950년 초까지 약 3년가량 사실혼 관계에 있었다. 이현란과 약혼한 후 곧 이현란을 용산 관사로 데리고 와서 동거를 시작했다. 그러다가 박정희가 여순사건에 연루돼 감옥생활을 하면서 두 사람 사이에 금이 갔다. 박정희가 좌익전력으로 구속되기 서너 달 전에 이현란이 사생아 아들을 출산했다. 하지만 이현란이 낳은 아들은 태어나자마자 사망했다. 그 뒤 육군 소령으로 진급, 1948년 육군본부 작전정보국에 근무하던 중 여수·순천 사건 연루 혐의를 받았다. 여수·순천 사건 후에 시작된 대한민국 정부의 군대 내 공산주의자를 색출하는 숙군작업에서 박정희는 남조선로동당(남로당) 군부 하부조직책으로 그해 11월 11일 체포되었다. 1심에서 “파면, 급료몰수,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2심에서 “징역 10년으로 감형하며, 감형한 징역을 집행정지함” 조치를 받았다. 다음 해 1월 강제 예편되었으며 정보국 문관으로 근무하게 되었다. 1950년 6월 한국 전쟁 중 소령으로 현역에 복귀하였고 이후 육군본부 작전정보국 제1과장을 거쳐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이 감행될 때 중령으로 진급하고 대구로 올라가는 육군본부의 수송지휘관을 맡았다. 10월 육영수를 소개받았고 육군본부의 전방지휘소가 서울특별시로 이동하게 되자, 그는 서둘러 약혼식을 올렸다. 10월 25일 장도영의 추천으로 제9사단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1950년 11월에 김호남과 이혼하였다. 육종관은 딸 육영수가 박정희와 결혼하는 것을 반대하였으나 육영수와 그의 모친 이경령은 집을 나와 대구 시내에 있는 박정희의 거처 주변에 머물러 있게 되었다. 1950년 12월 12일 박정희는 대구시의 한 성당에서 육영수와 결혼식을 올렸다. 주례는 대구시장 허억(許億)이 주례를 보았고 신부의 손을 잡은 이는 육종관 대신 박정희의 대구 사범 스승 김영기였다. 이때 주례를 맡은 허억은 박정희와 육영수의 이름을 바꿔 부르는 실수를 하였다. President Park Chung-hee houses.JPG|섬네일|오른쪽|박정희의 신당동 사가(私家). 5·16 쿠데타 당시 여기에서 거주하였다. 1950년 육군 정보국 제1과장이 됐다. 1952년 피난처인 부산에서 이용문 준장의 사무실에 찾아갔다가 그로부터 시인 구상을 소개받게 된다. 그는 이후 이용문과 이승만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하고 헌병들을 동원하여 공포 분위기를 조성한 뒤에, 국회에서 개헌을 통과시키고 직선제 대통령으로 출마하려는 데 반발하여 정변을 계획하였다. 1952년 5월 군부 내에서는 이승만 축출 시도가 있었다. 이용문 등 군부의 일부는 이승만을 축출하고 장면을 추대하려는 시도를 계획, 이용문은 장면의 비서로 있다가 1952년 4월 사퇴한 선우종원을 포섭하려 하였으나 선우종원이 협조를 거부하여 무산되었다. 박정희는 이때 주동적 역할은 아니었지만, 이용문을 보좌하는 위치에 있었다. 정변 계획은 미수로 끝났고 이용문은 그 1년 뒤 의문의 비행기 추락사고로 사망했다. 1953년 11월 25일 육군 준장으로 승진하여 장군이 되었으며 1955년 7월 14일 제5사단 사단장이 되었다. 1955년 겨울 예기치 않은 폭설이 발생, 작업 중이던 여러 사단 소속 장병들이 사고를 당한 사건이 발생한 후 박정희는 문책성 인사 조처로 대기 발령되었다가 1956년 육군대학에 입교하였다. 6군단 부군단장 시절 1957년 3월 20일 육군대학을 졸업한 뒤 육군 소장 진급심의대상이 되었다. 이때 박정희의 육군 소장 진급심사위원회가 열려 22명의 심사위원이 참가하여 찬성 18표, 기권 2표, 반대 2표로 박정희의 소장 진급은 무난히 통과되는 듯하였다. 이때 경무대 행정관 곽영주(郭永周)가 나타나 박정희의 사상 문제, 결혼 문제 등을 이유로 그의 진급을 반대하고 나섰다. 당시 무소불위의 힘을 휘두르고 있던 곽영주의 반대에 부딪혀 박정희의 소장 진급 문제가 계류 중에 있을 때 김정렬이 나타나 심사위원들을 설득함으로써 박정희의 소장 진급은 무난히 통과하게 되었다. (곽영주는 5·16 군사정변 후 혁명재판에서 경무대로 몰려온 데모대를 살상한 죄로 사형되었다.) 이어 박정희는 제6군단 부군단장으로 부임하였다. 1957년 제7사단 사단장으로 부임하였다. 1959년 7월 1일 육군 제6관구사령관이 되었다. 1960년 1월 21일 부산군수기지사령부 사령관으로 발령받았다. 1960년 5월 이승만이 하야하였다. 그 뒤 허정 대통령 권한대행 겸 내각 수반의 과도내각을 거쳐 1960년 7월 민주당 정권이 집권하게 되었다. 이때 박정희는 육군본부 작전참모부 부장으로 부임하였다. 민주당 정권이 집권하자 이종찬 장군은 국무총리 장면을 찾아 박정희의 중용을 건의하였다. 그러나 장면 총리는 이 문제를 바로 답변하지 않고 주한미군 사령관 카터 매그루더 사령관을 찾아 논의하였다. 며칠 뒤 매그루더는 한국 육군본부로 박정희의 신원조회를 요청하였고 김형일 육군본부 참모차장은 박정희는 좌익이다 고 답변하였다. 매그루더는 다시 장면을 찾아 그런 사람을 어떻게 그런 요직에 앉혀뒀냐 라며 항의하였다. 육군본부 작전참모부 부장이었다가 이 일이 있었던 후 12월 15일 제2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전보되었다. 미국의 감시도 감시였지만 당시 박정희에 대한 사상문제는 한국군 내부에서도 완전히 정리되지는 않았던 모양이었다. 매그루더에게 박정희를 좌익으로 지목하였던 김형일은 이 일로 박정희와 등을 지게 되었는데, 김형일은 5·16 군사쿠데타 이후 군정에 반대하다가 참모차장에서 예편하였다. 박정희는 1961년 4월 19일 4·19 혁명 1주년 기념식을 거사일로 잡았다. 그러나 그날 아무런 시위도 집회도 없었고 박정희는 당황한다. 이때 장면 정부의 정보기관인 시국정화단에서 미리 첩보를 입수하고 1961년 4월 19일로 계획된 학생들의 데모를 매수했다는 의혹이 있다. 박정희 등을 비롯한 군인들은 4·19 혁명 1주년 기념식 때 일부 학생들이 정부에 대한 데모를 준비할 때, 이를 진압한다는 명분으로 정변을 준비하였다. 당일 학생들이 데모하지 않고 조용히 넘어가자 박정희 등은 당황한다. 군부 쿠데타 모임인 혁명 요원들은 4·19 1주년 되는 날로 거사일을 정했지만, 소문에 의하면 시국 정화 운동 본부에서 학생들을 돈으로 매수하여 데모를 못 하도록 막았다는 이야기가 들렸다. 박정희의 계획대로라면 그날 학생들의 대대적인 시위가 발생해야 했고, 군중 폭동에 자연스럽게 군부가 침투해야 거사에 성공할 수 있었다. 4·19 1주년은 아무 일이 없었고, 쿠데타를 기도하려던 군부는 일시적인 공황상태에 빠졌다. 한편 당시 시국정화단에서 학생운동권들을 돈으로 매수했다는 의혹, 금액과 내용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Chung-hee, 1961-August-21.jpg|섬네일|300px|오른쪽|주한 미군 총사령부를 방문, 멜로이 사령관과 악수하고 있다.(1961년 8월 21일) 박정희 1961년 5.16 군사정변.jpg|섬네일|250px|왼쪽|5월 20일, 장도영과 함께 중앙청 광장에서 5·16 군사정변은 1961년 5월 16일 새벽, 당시 제2군 사령부(사령관 최경록 중장)부사령관이었던 박정희 등의 주도하에 육군사관학교 5기생과 8기생 출신의 전투보병사단 중령급 대대장(오학진 등) 그리고 6군단 포병단(단장 5기생 문재준 대령과 예하8기생 중령급 대대장-신윤창 구자춘 등) 제 1공수특전단(단장 5기생 박치옥 대령 등 예하 장교 등)기타 박정희의 만군 인맥인 해병대 사령부(사령관 김성은 중장) 예하 여단(여단장 김윤근 준장과 예하 대대장 오정근 중령 등)이 일으킨 군사정변으로 뒤에는 참모총장으로 있던 장도영을 끌어들였다. 정변의 주도 세력은 5월 18일에 군사혁명위원회를 설치하고 초대 위원장에 장도영, 부위원장에 박정희가 취임하였으며 5월 20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이름을 바꾸면서 의장에 장도영, 부의장에 박정희가 취임, 입법·사법·행정의 3권을 행사하게 하였다. 정변이 발생하자 장면 총리는 카르멜 수도원에 피신하여 숨어 있다가 5월 18일 나와 하야를 선언하였다. 5월 16일 군사혁명위원회가 설치되면서 장도영이 의장에 선임되고 박정희는 부의장에 취임하였다. 5월 20일 장도영이 내각 수반이 되면서 박정희는 군사혁명위원회 의장에 취임하여 혁명위원회를 국가 재건 최고 회의로 개편한다. 첫 번째 군사내각은 5월 20일에 발표되었으며, 7월 3일 장도영이 퇴진하고 박정희가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에 취임하였다. 1962년 3월 22일 대통령 윤보선의 사퇴로 박정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기도 하였다.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민주당 윤보선 후보를 물리치고 당선되어 1963년 12월 17일, 제3공화국이 수립되면서 해체되었다. 박정희가 군사정변을 결심했던 데에는 그가 부산 군수기지 사령관을 역임하던 시절 4·19 혁명이 계기가 되었다고 알려졌다. 박정희는 부산 군수기지 사령관을 역임하면서 정변을 염두에 두고 있었던 듯하다. 그리하여 그는 1960년 5월 8일을 거사일로 정했지만, 4·19 혁명으로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1960년 부산 군수기지 사령관 역임 후 제2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면서 김종필 중령을 비롯한 지지 세력을 규합하였고, 이듬해인 1961년 5월 16일 새벽, 반공·친미·구악 일소·경제 재건 등을 명분으로 5·16 군사 정변에 참여하여 제2공화국 장면 내각을 붕괴시켰다. Posun 1.jpg|섬네일|왼쪽|200px|대통령 윤보선민주당 신파에 대한 적개심을 드러냈던 그는 군사 정변을 지지하지는 않았으나, 묵인한다. 정변이 발생하자 장면 총리는 카르멜 수도원에 피신하여 숨어 있다가 5월 18일에 나오며 하야를 선언하였다. 대통령인 윤보선은 군사 정변을 추인하였고 5월 16일 군사혁명위원회를 설치되면서 장도영이 의장에 선임되고 박정희는 부의장에 취임하였다. 5월 20일 장도영이 내각 수반이 되면서 박정희는 군사혁명위원회 의장에 취임하여 혁명위원회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편한다. 정변 당시 박정희는 유원식을 데리고 청와대로 찾아갔다. 그러나 윤보선은 혁명군을 진압하지 않고 올 것이 왔다고 하여 정변을 방관하는 태도를 보였다. 매그루더 유엔군 사령관은 정변을 주도한 군부를 인정하지 않았고 윤보선 대통령을 찾아가 진압 명령서를 들고 사인만 하시면 쿠데타군을 진압하겠다 고 하였으나 윤보선은 “우리 한국에선 며느리가 물에 빠져도 시아버지가 들어가서 안고 나오지 못한다”며 사실상 정변을 방관하였다. 그러나 매그루더 사령관은 미 합참의장에게 보내는 5월 17일 자 전문에서 “미군 방첩대(CIC)가 거리의 행인들을 상대로 여론조사를 해본 결과 10명 중 4명은 혁명을 지지했고, 2명은 지지는 하지만 시기가 빨랐다고 했으며, 나머지는 반대했다”고 보고했다. 군사정변 이후 구악 일소라는 명분으로 조리돌림 되는 이정재 외 폭력배들 또한, 정변이 발생하자마자 박정희는 이승만 정권의 비호를 받은 범죄자들을 색출해서 전원 군사재판에 회부하였다. 이 과정에서 정치깡패로 유명한 이정재, 영화와 관련된 일에 종사하면서 최무룡, 김지미 등 연예인들에게 갖은 행패를 부려왔던 폭력배 임화수, 꿀돼지라는 이름으로 폭력배들의 세계에서 유명한 신정식, 이승만 정권 당시 내무부장관 임에도 불구하고 정치깡패들을 두둔한 책임을 지게 된 최인규, 그리고 경찰관임에도 불구하고 이들 중 가장 죄질이 무거운 데다가 이승만의 비호를 받으며 못된 짓을 저지르며 특히 4·19 혁명 때 민간인에게 발포 명령을 해서 무고한 사람들을 사살한 곽영주 등을 사형에 처했는데 박정희는 이들을 사형에 처하기에 앞서 구악 일소, 즉 과거의 잘못된 점을 모두 없앤다는 명분으로 조리돌림을 실시한 후 이들의 사형을 집행했다. 정변 초기에는 일부 인사들의 지지 성명이 있었는데 장준하는 사상계 6월호에서 “과거의 방종, 무질서, 타성, 편의주의의 낡은 껍질에서 탈피하여, 일체의 구악을 뿌리 뽑고 새로운 민족적 활로를 개척할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라며 정변을 지지하였고 언론인 송건호도 제3공화국 초기까지 민족적이라고 평가하여 박정희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기도 하였다. 또한 정변 한 달 뒤, 일제강점기 당시 제암리 학살사건을 폭로한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는 1961년 6월 14일 ‘코리언 리퍼블릭’지에 ‘5·16 쿠데타에 대한 나의 견해’라는 글을 발표하였는데 그는 투고의 첫머리에서 ‘5·16 쿠데타는 필요하고도 불가피한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민주당 정권의 부정과 무능을 폭로하며 ‘한국에는 아직 진정한 민주주의가 시험된 적이 없다’고 주장하였다. 박정희는 군사정변 직후 이승만 정권에 항거하다 투옥된 독립운동가 김학규를 사면, 복권했다. 김학규가 중풍으로 쓰러져 운신을 못 할 때, 박정희는 한학자인 최서면(崔書勉)에게 김학규를 입원시키고 돌봐주도록 부탁하여 국군 병원에 입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는 병석에서 입버릇처럼 항상 박정희는 내 생명의 은인 이라고 하였다. 이후 박정희는 1962년, 김학규 장군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하였다. 5월 23일 외신기자들과 회견을 하였다. 6월 3일 오후 4시 대구매일신문 기자와 단독 회견을 가졌다. 정변 초기 기자들 사이에서 박곰보, 박코프라는 별명이 돌기도 했다. Do-young.jpg|섬네일|왼쪽|140px|계엄사령관이자 초대 최고회의 의장 장도영 박정희가 초창기부터 군사정변의 최고 지도자는 아니었다. 당일로 ‘군사 혁명 위원회’를 설치하고, 장도영을 의장으로 자신은 부의장으로 취임하였다. 거사 3일째인 5월 18일 군사 혁명 위원회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칭하고 부의장에 취임하였다. 6월 10일에는 비밀 첩보 기관이자 동시에 국민 감시 기관이었던 중앙정보부를 발족시켰다. 이후 군 일부 반혁명사건 (알래스카 토벌작전)을 일으켜 군부 내의 반대 세력을 숙청하였고 7월 3일에는 장도영마저 이에 관련지어 의장직에서 추방하고 다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에 추대되었다. 9월 9일 수출조합법을 공포하였고 9월 30일 공업표준화법을 제정하여 수출과 공업화에 대해 준비를 한다. 보리와 밀 품종개발을 시도하여 1963년 1월에 성공을 거두었다. 1961년 10월 17일에는 장면 정권 때 날림으로 만들어진 ‘구황실재산법 제4조 시행에 관한 건’의 대상을 개정·확대하여 대한제국 황족의 범위를 축소하였고 일본 마쓰사와 정신병원에 갇혀 있던 덕혜옹주를 귀국시킨 뒤 1962년 4월 10일 재개정을 통해 그 범위에 덕혜옹주를 포함시켰다. 대한제국 황실에 동정심을 품었던 박정희는 옛 황족들에게 꾸준히 생활비와 치료비를 지급하였으며 매달 순종의 계후인 순정효황후 윤 씨에게는 50만 환, 의친왕비(妃) 김 씨에게는 30만 환, 고종의 후비인 광화당 귀인 이 씨와 삼축당 귀인 김 씨에게는 각각 10만 환 등 모두 100만 환을 지급하였다. 1962년 9월 26일에는 이승만 정권의 방해로 해방 이후 귀국하지 못하다가 뇌출혈로 쓰러져 식물인간이 된 의민태자(영친왕)와 비 이방자에게 1,945달러의 치료비를 지원하였고 1963년에는 의민태자의 환국을 추진하여 그해 11월, 의민태자는 56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다. 미국은 군사정부가 들어선 뒤에도 박정희를 승인하지 않고 정권교체 의지를 분명히 표현하였으나 박정희가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윤보선을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된 뒤, 1964년 베트남 전쟁의 지원을 약속하자 미국은 일단 박정권을 향후 10년 이상 지지하겠다고 하여 정권교체 의사를 보류하기도 하였다. 한편 미국 문서에는 워싱턴의 인사들이 박정희를 파악하기 위해 정일권을 미국으로 불러들여 하버드대학교에서 만났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1961년 11월에는 독도 영유권과 국토 관리를 확고히 하기 위하여 “독도를 정확히 측량하여 토지대장에 등록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라”고 특별 지시하였으며 그에 따라 국토건설청 측량팀이 약 2개월에 걸쳐 독도의 지형을 측량하고 지형도를 작성하였다. 한편 12월 학사 고시 제도를 도입하여 12월 22일 학사 자격 국가고시를 실시하였고, 1961년 1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문맹퇴치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1963년 대장 예편한 박정희 박정희 1962년 3월 17일 수출진흥법 등 16개 법령을 공포하여 수출진흥정책을 수립하였고, 제2공화국 정부가 기획 중이었던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시행하고 울산 공업 단지를 건설하기 시작하며 경제 발전을 모색했다. 그해 3월에는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구(舊)정치인을 정죄하는 ‘구 정치인 정화법’을 발표하기도 했는데, 이에 대해 대통령 윤보선이 반발하면서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박정희는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활동하였고, 같은 해 7월부터 8월 김현철을 후임으로 임명하기 전까지는 공석인 국무총리급의 지위인 내각 수반으로도 활동했다. 그 해, 3월에는 이승만 정권에 의해 훈장 추서가 미뤄지던 김구, 안중근, 이승훈, 안창호, 김좌진, 한용운, 최익현, 조만식, 윤봉길, 신익희, 이시영, 강우규, 민영환 등 독립운동가 285명에게 건국훈장을 비롯한 독립공로훈장을 추서하였다. 그리고 1962년 7월 14일, 개인재산을 기부하여 장학재단인 5·16 장학회를 설립 하였다고 ‘박정희 기념사업회’는 밝히고 있으나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가 밝힌 바에 의하면,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었던 박정희가 중앙정보부에 지시하여 부정축재처리요강 에 의해 이병철 등 기업인 15명과 함께 구속되어 있던 부산 지역의 재력가 김지태(金智泰)를 석방하는 조건으로 부산일보, 한국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의 주식과 부일장학회 기본재산 명목의 토지 100,147평을 헌납토록 하였고, 이 재산 중 토지는 국방부에 무상으로 양도하였으며 이후 "기부받은 재산이 자꾸 유실된다"는 보고를 받고 법무부 장관 고원증에게 장학회의 설립을 지시하여 5·16 장학회를 설립했다. 이 사건은 당시 최고권력자였던 박정희 의장의 언론장악 의도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언론 자유와 사유 재산권이 최고 권력자의 자의와 중앙정보부에 의해 중대하게 침해당한 사건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에 대해 김지태의 차남인 김영우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아버지의 재산 등을 빼앗았지만, 개인적으로 착복하지 않고 장학회를 45년 동안 관리한 점은 높이 평가한다”며 “박(근혜) 전 대표만 (정수장학회 반환과 관련한)결단을 내린다면 ‘자명(김지태의 호)·정수장학회’로 이름을 바꿔 함께 운영하고 싶다”고 발언하기도 하였다. 1962년 10월에는 동해안 화진포에서 해병대 상륙작전 훈련을 참관한 후 주문진으로 이동하여 역대 지도자 중 유일하게 울릉도를 방문하였고 이후 독도 의용수비대 출신 용사들에게 훈장을 수여하기도 하였다. 1962년 12월 말에 박정희는 대통령 권한대행이 된 이후 인재등용의 하나로 전두환과 차지철 등의 부하 장교들을 정치권에 끌어들이려 시도했다. 차지철 대위는 이에 응해 국회의원이 되었지만, 전두환 대위는 군대에 남겠다며 거부했다. 이에 박정희는 몇 번이고 계속 권유했으나 전두환은 "각하, 군대에도 충성스러운 부하가 남아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라며 일축했다. 이에 박정희는 전두환의 용도가 이미 정해져 있음을 깨닫고 국회의원으로 출마하라는 권유를 중단하는 대신 전두환을 군 내부에서 특별히 총애하게 되었다. 1962년 6월 10일 통화개혁을 단행하여 구 환율을 10대 1로 축소시켰다. 통화개혁 단행의 이유로는 거액의 자금을 숨겨둔 부정 축재자들의 자금 세탁 방지와 당시 아시아 경제를 장악하고 있던 화교 세력의 한국 내에서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연이은 연계 조치를 통해 국민들의 돈을 일정 비율에 따라 증권으로 강제 전환함에 따라 중공업 육성에 사용하기 위함이었다. 실제로 화폐개혁 이후 화교들의 자본력은 상당한 타격을 입었으며 상당수의 화교들은 한국을 떠났고 자연히 외식업에 진출하는 화교가 늘어났으나 대통령 취임 뒤인 1976년에는 화교에 대한 교육권과 재산권을 박탈하여 한국 내에서의 외국인과 외국 자본의 경제 장악력을 억제하기도 하였다. 인천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1만 8000평의 차이나타운에는 한때 화교 5,000여 명이 거주했으나 박정희 정권 이후 화교의 재산권 행사를 제한하는 정책에 불만을 품고 미국, 동남아 등으로 떠나 현재는 500여 명만이 남아있다. 그러나, 당시 한국의 금융 상업적 경제 구조를 미처 파악하지 못한, 통화 개혁 정책은 예금 동결 조치를 불러왔고, 전체 공장의 45%는 가동을 중지하는 등, 사태가 악화되었다. 그러나, 예상보다 검은 돈의 규모는 크지 않았고, 궁극적 목적이었던 것은 미국에 알리지 않고 은밀히 준비해왔기 때문에 미국으로부터 철회를 강요받았으며, 자금 융통이 제약을 받아 중소기업 가동률이 50%로 떨어지는 등 경제난까지 야기하여 거두어 들이고 실패하게 된다. 1963년 3월 16일 군정연장과 함께 구정치인들의 정치활동 금지를 해제하는 3.16 성명을 발표했다. 1963년 3월 16일 오후 2시 55분, 전 대통령 윤보선, 전 국무총리 장택상, 신민당 위원장 김도연, 초대 국무총리 이범석 등과 면담하였다. 김희덕(金熙德) 최고재건회의 외무 겸 국방위원장, 유양수(柳陽洙) 재경위원장, 홍종철(洪鍾哲) 문사위원장 등이 3.16 성명을 발표하게 된 동기를 번갈아가며 설명하였다. 같은 해 4월 8일에는 국민투표를 보류한다는 4·8 선언을 했다. 4월 17일,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 공표를 지시했다. 1963년 중반, 군에 복귀한다는 이른바 혁명 공약과는 달리 강원도 철원 군탄리에 위치한 비행장에서 전역식을 갖고 예비역 육군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예편 후, 정계에 참여 1963년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여 제5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다. 구 정치인 정치정화법이 일부 해제되면서 정치활동을 재개한 구 정치인들은 군정연장이라며 박정희를 비판하였다. 이후 박정희의 정치참여를 비롯한 군정연장과 군정반대를 놓고 야당들과 갈등하게 되었다. 이 무렵 야당통합의 명분을 걸고 국민의당이 창당되었으나 윤보선과 허정, 이범석 등의 갈등으로 야당 내 대립은 격화되었다. 1963년 10월 13일 윤보선이 박정희가 과거에 남로당에 가입해 무기징역을 받았다고 폭로한 것이 호외에 실렸다. 이후 박정희는 여순사건과 관련해 공산주의자라는 의혹과 함께 일본 여자와 동거한다는 소문이 있었고, 민주당의 윤보선으로부터 좌익 활동한 과거전력에 대한 사상 공세를 당하였고, 이후 6대 대선에서도 사상 공세를 당한 바 있다. 선거 유세 당시 전 동아일보 기자 이만섭(李萬燮)을 비롯하여 민관식(閔寬植), 백남억 등이 참여하였다. 대구 지역 유세에서 박정희는 모씨가 나를 빨갱이라고 모는가 하면, 일본 여자를 데리고 산다는 허무맹랑한 모략을 퍼뜨리고 있으나 저는 여러분들이 저만큼은 알고 있으리라 믿고 구태여 해명을 않겠다 고 하였다. 1963년 여름 김준연은 박정희가 공산주의자가 아니냐며 공개적으로 의혹을 제기하여 파문을 던졌다. 윤치영 등이 박정희의 전향은 확실하며 내가 내무장관 때 사상을 보증했다고 했지만 그가 다시 박정희의 사상 의혹을 제기하면서 논란은 확산되었다. 그는 박정희에게 사상 검증을 한 바 있었다. 1963년 9월 윤보선은 공화당과 박정희 후보 측으로부터 피소당하였다. 공화당 측으로부터 고발당하자 윤보선 후보는 "그렇다고 해서 박 의장이 공산주의자라고 말한 것은 아니다" 라고 해명하곤 "하지만 그의 민주주의 신봉 여부가 의심스럽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어 윤보선은 박정희의 민주주의관을 의심했다. 그는 "박 의장의 저서 국가와 혁명과 나 라는 것을 보면 구민주주의는 대한민국에 맞지 않는다. 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또 러셀을 찬양하고 히틀러도 쓸 만한 사람이라고 했는데 이 사람이 과연 민주주의를 신봉하는 사람인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고 했다. 9월 28일 윤보선의 지지 유세를 하던 김사만(金思萬)은 박정희는 여순반란사건에 관련되어 사형 선고까지 받았던 공산주의자였다 는 발언을 인용하면서 "일제에 항거하다가 사형선고를 받았다면 몰라도, 우리의 주적인 공산당 혐의를 받았던 사람에게 어떻게 믿고 투표할 것이냐"라며 박정희를 공격했다. 이에 대하여 박정희는 9월 28일 "구석구석에 박혀 있는 용공주의 세력을 혁명으로 일소하여 대한민국의 공산화 를 막은 나를 공산주의자라고 하는 것은 당치도 않은 일"이라고 반박했다. 10월 자유민주당의 김준연은 송요찬의 녹음 연설회를 열기 위해 경남 마산으로 내려갔다. 마산에 온 그는 10월 2일 오전 10시 기자회견을 발표한다. 이 기자회견에서 그는 박정희와 김종필의 사상 의혹을 제기한다. 윤보선, 김준연 등의 사상 공세에 수세로 밀린 그는 한민당은 부패한 부자들과 변화를 거부하는 구태의연한 집단이라며 맹비난을 가한다. 그는 두 사람이 한민당 출신임을 강조하고 한민당의 후신인 민주당 장면 정권의 부패와 무능론으로 대응했다. 강원룡은 박정희의 군사 혁명을 이데올로기로서 좌익이라고 본 사람은 거의 없었고 군인들이 일으킨 혁명인 데다, 6개 혁명공약의 제1항에 ‘반공을 국시의 제일로 삼고 반공태세를 재정비 강화할 것’이라고 못박았으니 아무도 의심하지 않았는데, 차츰 그의 과거가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언론에 보도됐고 윤보선이 선거에서 이 점을 본격적으로 부각시킨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5·16 정변이 일어날 무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군사·경제적으로 상당한 역량을 갖추고 있었다. 소련, 중공과 군사동맹도 맺고 있었고, 4·19 혁명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남조선 인민들이 봉기했으니 우리가 도와야 한다’는 말까지 나왔기에 공산주의라고 하면 다들 무척 예민해질 수밖에 없었던 배경을 들어 박정희의 좌익 전력이 커다란 파문을 일으켰다고 보았다. 광복 후에는 공산주의자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의 형 박상희의 죽음으로 이에 따랐다는 견해와 박상희의 죽음 이전에 자발적으로 공산주의자가 되었다는 견해로 나뉘어 있다. 실제로 박정희는 공산주의자들이 지금까지 남한 내에서 감행했던 것 중에 가장 큰 규모였으며 가장 성공에 가까웠던 정부전복 기도사건(1947~48년 대한민국 국방경비대 침투사건)을 지도했으며, 광복 직후 남조선로동당에서 활동하면서 여수-순천 반란을 꾸미다가 적발되어 일시적으로 직급박탈을 당하였다가 복귀하기도 하였고 그 뒤 사상 전향을 하였다고 하나 정부로부터 진실된 전향인지 의심받았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직후 미국은 박정희의 남로당 행적에 관하여 그의 사상을 의심하기도 하였으며 제5대와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당시 민주당 대통령 후보였던 윤보선이 박정희에게 사상공세를 하기도 했다. 1963년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당시 원용덕은 윤보선, 송요찬, 자민당계의 박정희에 대한 사상공격은 사실무근이라고 말했다. 그는 송요찬의 주장에 대해서는 "송장군은 제주도 지방공비토벌을 맡고 있을 당시 박정희에 대해서는 나보다 아는바가 적을 것"이라고 전제하고 "박정희가 여순사건 관련자로 몬 장본인은 김창룡이었으며 그가 자기에게 순복하지 않은 장교들을 용공분자로 몰아 숙청한 사실이 있음"을 상기시켰다. 또 원용덕은 "박정희가 여순사건 당시 지리산 밑 문주리 토벌작전에서 김지회의 반란군을 격멸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고 밝혔다. 이어 "송요찬 씨도 한때 김창룡 일파에 의해 빨갱이로 몰린 사실이 있다."고 말하며 "박정희의 과거 군역은 백선엽 장군이나 김점곤 장군 등이 환하게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B 145 Bild-F019521-0013, Berlin, Staatsbesuch Präsident von Süd-Korea.jpg|1964년 빌리 브란트 서베를린 시장과 함께한 박정희 대통령 (왼쪽)|섬네일|300px 한편, 1963년 9월 25일 직업훈련기관인 직업재활원을 개원하였고 12월 6일 비행기편으로 서독에 도착하였다. 당시 서독에는 세계 최초의 고속도로인 아우토반이 있었는데 박정희는 이 때 아우토반을 보고 한국의 고속도로 건설을 계획하게 된다. 1963년 12월 독일로부터 국빈방문 초청을 받게 되었다. 에르하르트 수상을 면담할 때, 그는 박정희의 손을 잡고 한국에 지원을 약속했다. 또한 에르하르트는 ‘라인강의 기적’을 예로 들며 고속도로와 제철산업, 자동차산업, 정유산업, 조선산업 등을 할 것과 ‘한·일협정’을 맺을 것도 자문하였다. 1963년 10월 15일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84.99%의 투표율에 470만 2700여 표(유효투표의 약 46.7%)를 얻어 윤보선을 15만 표차로 꺾고 당선되었으며, 12월 제5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박정희에 대한 지지율은 빈농이미지로 도시보다 농촌에서 월등한 것(여촌야도)으로 드러났다. 이후에는 지역감정으로 인해 호남의 지지율이 떨어졌다. 박정희는 대통령 취임 직후 여운형의 동생인 여운홍을 면담하였는데 5·16 군사정변 직후 맏형 여운형의 묘소 주변 토지가 채윤혁에게 매각되자 여운홍은 변호사를 찾아 구제의 길을 찾았으나 법적으로 구제의 길이 없자 박정희를 찾아와 호소하였다. 여운홍의 참소를 들은 박정희는 여운형 묘소주변 토지의 불하를 차단해주었다. 1963년 11월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 장례식에 참석하여 조문하였다.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 1964년 미국으로부터 베트남 파병 지원 요청이 왔다. 베트남 전쟁 당시 일부 야당의 반대를 무릅쓰고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을 단행하였으며, 1964년 8월 제1이동외과병원(130명)과 태권도 교관단(10명) 파월을 시작으로 주월한국군사원조단(비둘기부대), 방공포병대대(호크유도탄부대)를 창설하고 맹호부대, 백마부대, 해병 청룡부대 등 한국군을 파견한다. (→한월 관계) 그해 8월 식량증산 7개년계획을 발표하여 65년부터 시행하였다. 이후 국토 종합 개발 계획 등을 실시하고 식량 증산 계획과 벼품종 개량 등을 시도하여 경제 부양을 시도한다. 1966년에는 미국이 원조한 1000만 달러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설립하였고 한달에 한두 번씩 연구소를 찾아 연구원들과 대화를 나누고 연구동 신축현장 인부들에게 금일봉을 지급하기도 하였으며 해외에서 뽑아온 박사들에겐 집과 대통령 자신의 몇 배의 봉급을 제공하고 당시 국내에 없던 의료보험을 미국 회사와 계약하여 가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일협정을 통해 국가 기틀을 다질 자금을 마련하려 했으나 학생과 야당의 반대에 봉착한다. 특히 1964년의 6.3항쟁은 그 정점에 달한다. 6.3항쟁의 학생시위가 수그러들지 않자 박정희는 8월 25일 저녁 중앙청 제 1회의실에서 전국 방송을 통해 특별담화를 발표하였다. 담화에서 그는 학생들이 국회해산과 조약무효를 주장하는 것과 데모 만능 풍조를 비판하였고, 시위를 독려하며 데모학생을 영웅시하는 교육자 등을 비판하였으며 구 정치인을 학생데모에 의존하여 정부를 전복하려던 반동분자라고 강경한 어조로 비판하였다. 다음날인 1965년 8월 26일 아침. 이때에도 한일협정 반대 분위기가 심했다. 박정희는 경찰력만으로는 치안유지가 불가능하다는 서울시장 윤치영의 건의를 받아들여 서울시 일원에 위수령을 선포하여 학생시위를 진압하였다. 8월 27일 시위 사태에 대한 문책성 인사로 문교부 장관 윤천주와 서울대학교 총장 신태환을 경질하고 후임에 법무부 차관 권오병과 교수 유기천을 각각 임명했다. 1965년 5월 16일 오후 수행원들을 대동하고 린든 존슨 미국 대통령이 보내준 대통령 전용기를 타고 미국을 방문하였다. 출발전 김포공항에서의 인사에서 자주, 자립을 강조하였다. 1965년 5월 17일 한미정상회담을 한 뒤 5월 18일 미국 순방을 하였다. 1965년 5월 22일 아침 피츠버그의 존스 앤드 로린 철강회사를 방문하여 군정 시절에 종합제철공장 건설을 시도하다가 좌절한 그는 공장 내부를 돌아보았다. 22일 오전 10시 20분에 피츠버그 공항에서 플로리다 주의 우주기지인 케이프 케네디에 도착하여 로켓발사 시험을 참관하고 돌아왔다. 최근 기밀해제된 미국 국무부 문서 《‘1964-68 미국의 외교관계 29편’363호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 기간동안 딘 러스크 당시 미국 국무장관은 독도 문제의 해결을 위해 한국과 일본이 독도에 등대를 설치해 공동 소유하는 방안을 제의했으나 박 대통령은“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일축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미국은 같은 해 6월 15일에도 한국과 일본 간의 외무장관 회담을 열어 독도 문제의 조속한 처리를 요구하였고 박 대통령은 “일본이 우리 입장을 받아들인다면 별도 회담 없이도 문제가 해결될 것이고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회담이 무의미하다”며 역시 거절하였다. 2005년 한일협정문서가 공개됐다. 이에 대해 박정희 정권이 대일청구권 포기말고도, 협상과정에서 일본 정부는 아예 독도를 폭파하자 고 협박까지 하며 독도 를 협상안건으로 넣으려 했다. 또한 한일어업협상을 대선에 활용하고 대일본 배상관련 개인청구권을 무시한 점도 드러났다. 당시 정부는 기존의 40마일 전관수역입장에서 후퇴, 일본 정부가 주장한 12마일 전관수역 방안을 서둘러 수용했으나 여론악화를 우려해 공개시기를 늦춘 것으로 나타났다.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 소장은 박 정권이 61년부터 한일협정을 체결한 65년 사이 5년간에 걸쳐 6개의 일본기업들로부터 민주공화당 총예산 2/3에 해당하는 6,600만 달러를 제공 받았다고 주장하였다. 일본측 외교라인은 만주인맥이었다. 한호석 통일학연구소 소장은 "독도영유권문제를 불법적으로 처리해버린 자기들의 죄상이 세상에 알려지는 것을 꺼린 한일 양국정부의 고위관리들은 밀약문서를 영원한 비밀로 묻어두기로 약속하였고, 밀약이 있었다는 사실조차 말하지 않았다. ‘한일협력’을 외쳐온 역대정권들의 은폐술에 세상이 감쪽같이 속았던 것이다. 이 때의 밀약 파기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다"고 평했다. 2007 월간중앙은 “한일협정 체결 5개월 전인 1965년 1월 11일 당시 일본의 건설장관 고노 이치로의 특명을 받아 서울을 방문한 우노 소스케 자민당 의원이 성북동 소재 박건석 범양상선 회장 자택에서 정일권 국무총리를 만나 ‘미해결의 해결’ 대원칙 아래 모두 4개항으로 된 독도 부속조항에 합의했다”고 주장했다. 내용에 의하면 일본이 독도를 자국 영토라는 주장과 상대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고 있는 게 독도밀약 때문이라고 평했다. 독도밀약은 주장만 있을 뿐 증거나 사실이 밝혀진 바는 없다. 이것을 추적 조사한 노대니얼 박사는 이것이 사실이었음을 전제로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된 이후 전두환 씨가 정국을 주도하기 시작하면서 시끄러운 문제가 될 것 같아 사본 하나 없는 독도밀약 문건을 태워 버렸다”면서 ”거기에는 서울과 도쿄를 오가는 비행기 안에서 쉬지 않고 정서한 기록들도 포함돼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 밀약때문에 이후로 맺어진 한일어업협정에 영향을 끼쳤다는 주장이 있다. 월간중앙이 주장한 독도밀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독도는 앞으로 대한민국과 일본 모두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한다. 이에 반론하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장래에 어업구역을 설정할 경우 양국이 독도를 자국 영토로 하는 선을 획정하고, 두 선이 중복되는 부분은 공동 수역으로 한다. 현재 대한민국이 점거 한 현상을 유지한다. 그러나 경비원을 증강하거나 새로운 시설의 건축이나 증축은 하지 않는다. 양국은 이 합의를 계속 지켜 나간다. 1965년 7월 19일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이승만이 사망하였다. 7월 23일 오후 3시 미 공군 수송기가 ‘고향생각’이 연주되는 가운데 이승만의 유해를 운구하여 김포공항에 도착하자 박정희는 국회의장 이효상, 대법원장 조진만, 국무총리 정일권 등 3부 요인들을 대동하고 공항으로 나가 시신을 영접하였다. 1965년 7월 20일 박정희는 이승만의 장례를 국민장으로 결정하였으나 이승만의 문중 사람들과 이승만 측근들은 정부의 국민장 결정은 이승만에 대한 홀대라고 생각했고, 4월 혁명동지회 등은 국민장은 너무 과분한 조치라며 3일간 농성을 하였다. 한편 이승만의 양자 이인수는 국민장을 거부하고 가족장을 하겠다고 응답하였고, 구 자유당측 인사들은 국민장을 거부하고 국장을 요구하였다. 1967년 9월 20일 김학규가 자택에서 별세하자, 박정희와 정부는 사회장으로 장례를 치르고 그를 국립묘지에 안장하였다 SEATO.jpg|섬네일|300px|1966년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 회의에 옵서버로 참석한 박정희 대통령(왼쪽에서 3번째) 1967년, 다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다. 5·3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의 박정희는 경제개발의 성과와 비전을 내세우면서, 이를 지속하기 위한 정치적 지지를 호소했다. 반면에 신민당의 윤보선은 쿠데타 이후에 추진된 경제개발의 폭력성과 독재성을 규탄했다. 그러나 이때에도 공산주의자 경력과 남로당 경력이 문제시되었다. 6대 대선에서는 신라 천년의 고도에서 신라 왕손을 임금으로 받들어 천년의 영광을 재현하자는 찬조연설이 지역감정으로 문제가 되기도 했다. 5·3 대통령 선거에서 윤보선은 선거 유세 중에 월남전 파병을 미국의 청부 전쟁 이라고 비판했고, 이어 윤보선을 지지하던 장준하는 "일본 천황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일본군 장교가 되어 우리 광복군의 총부리를 겨누었다"라면서 박정희의 친일 경력 의혹을 쟁점으로 꺼냈다. 또 장준하는 "우리나라 청년들을 남베트남에 팔아먹고 피를 판 돈으로 정권을 유지하고 있다."라며 베트남 파병을 비판했다. 그러나 박정희는 다시 대선에 출마한 윤보선을 116여만 표의 근소한 차로 꺾고 재선에 성공하여 12월 제6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박정희는 농촌지역의 지지를 얻은 한편 윤보선은 도시와 지식인층의 지지를 받았다. 1967년 12월 농어촌개발공사를 창립하였고 1968년 국민교육헌장을 제정한다. 1969년 2월 농업기계화 8개년 계획을 확정하고 그해 11월 1일 농어촌근대화촉진법을 승인한다. 1969년에는 3선 개헌을 골자로 한 개헌안을 국민투표를 통해 통과시켰는데 투표율 77.1%에 찬성율 65.1%로 통과되었다. 같은 해 9월에는 구미에 외국인의 투자 100%를 허용하고 5년 동안 100% 외국인 투자에 대해 법인세, 소득세, 취득세를 면제해주는 사항을 포함한 전자공업단지 조성 계획을 발표하였는데 구미 전자공업단지는 최종적으로 1973년 10월에 1,874천 평 규모로 완공되었다. 이후 8월 22일 미국 순방 때는 미국을 방문해 리처드 닉슨 당시 대통령과 만났으나 닉슨 독트린에 의거한 주한 미군 철수 문제로 갈등을 빚었다. 1970년 3월 장기종합교육계획시안을 마련 발표하였다. 이 안에 의하면 86년까지 의무교육 확대를 단계적으로 실시하고, 의무교육을 9년으로 연장하는 것과, 교육세를 신설하는 조항이 포함되었다. 1970년 4월에는 새마을 운동을 제창, 시작하였으며 그해 수출 10억 달러를 달성하였다. 같은해 8월 21일 관세청을 개청하였으며 1971년 10월 25일 내수용 생산업체에서도 수출을 의무화할 것을 지시하였다. 1971년 박정희는 대한민국의 농업을 보다 큰 규모로 확대하기 위해 아르헨티나 정부로부터 여의도의 70배나 되는 규모의 땅을 구매하였는데 이 땅에 신원 조사 등 갖가지 심사를 거쳐 엄선한 농민들을 파견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에서의 여름이 아르헨티나에서는 겨울인 것부터 시작해서 대한민국과 아르헨티나의 기후는 전혀 맞지 않는 데다가 박정희가 구매한 땅 중에는 소금기가 많은 땅이 있는가 하면 여러 종류의 황무지가 많았다. 결국 박정희의 이 프로젝트는 사실상 실패로 돌아갔으며 박정희가 구입한 땅은 아직도 대한민국 정부가 소유하지만 해마다 관리비 명목으로 대한민국 정부가 아르헨티나 정부에 세금을 내는 형국이 되거나 아르헨티나 정부에 반환하거나 현지 농민들에게 소유권을 이전했다. 1972년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실시하였고 1월 27일 제3차 인력개발 5개년 계획을 확정하였다. 2월 9일에는 녹색혁명을 추진, 통일벼를 개발하였으며 쌀의 한국 자체생산 및 완전 자급자족은 1976년에 달성한다. 1972년 7월 4일 분단 이후로 최초로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8월 3일 기업사채 동결 등 긴급 명령을 발표하였다. 1971년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김대중을 약 95만 표차로 이기고 3선에 성공했다. 1971년 대선을 앞두고 김종필은 1971년 선거에서 박정희 당선을 위해 무려 600억원이나 썼다고 밝혔다. 강창성 당시 보안사령관은 1971년 대선자금이 모두 700억 원 이었다고 밝혔다. 1971년 국가예산이 5242억여 원과 비교할 때, 예산의 1할을 넘는 액수에 해당되는 금액이었다. 1968년 1월 13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특수부대 민족보위성 정찰국 소속인 124부대 소속 31명이 조선인민군 정찰국장 김정태로부터 청와대 습격과 정부요인 암살지령을 받고, 한국군의 복장과 수류탄 및 기관단총으로 무장하고 1월 18일 자정을 기해 휴전선 군사분계선을 넘어 야간을 이용하여 수도권까지 잠입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청운동 세검정고개의 창의문을 통과하려다 비상근무 중이던 경찰의 불심검문으로 정체가 드러나자, 검문경찰들에게 수류탄을 던지고, 기관단총을 무차별 난사하였으며, 그곳을 지나던 시내버스에도 수류탄을 던져 귀가하던 많은 시민들이 사상당했다. 군·경은 즉시 비상경계태세를 확립하고 현장으로 출동, 김신조를 발견하여 생포하고 이들에 대한 소탕전에서 5명을 사살하고 경기도 일원에 걸쳐 군경합동수색전을 전개해서 1968년 1월 31일까지 28명을 사살하였다. 나머지 2명은 도주한 것으로 간주되어 작전은 종료되었다. 이 김신조 무장공비 사건으로 현장에서 비상근무를 지휘하던 종로경찰서장 최규식 총경이 총탄에 순직하였고 시민들도 인명피해를 입었음은 물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호전성이 드러나고 반공의식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다. 1963년 8월 8일 국사교육 통일방안을 선포하였다. 1968년 학자들을 초빙하여 국민교육헌장을 제정 반포하게 하여 새로운 시대를 여는 바람직한 한국인상, 국적 있는 교육의 전개를 강조하였고 이는 국민교육화되었으나 전두환 정권 때 폐지되었다. 박정희는 정치의 최우선 과제를 교육에 두었으며, 과학기술교육의 진흥을 목적으로 실업계학교 장려와 1973년부터 대덕연구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였다. 1978년에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을 설립하여 한국학 및 한국문화 연구의 본산을 조성하였다. 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 계획(1962년-1967년), 제2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 계획(1967~1971년) 등을 수립 추진하였다. 1963년 6월 26일 사립학교법을 공포하여 사립학교 운영의 기준을 세웠다. 그런가 하면 64년 1월 4일 시도 단위 교육자치제를 실시하여 시도 교육청에 교육행정권을 위임하기도 했다. 1968년 7월 15일 71년까지 중학입시시험을 폐지하는 등 입시개혁안을 발표한 반면 10월 14일 대학교 입시 예비고사제를 69년부터 실시하게 하였다. 또한 국공립중학교증설 7개년 계획과 고등학교기관확충계획을 추진하였고 1969년 11월에는 공장 근로자들을 위한 금성사 등 7개 대기업체에 회사 내에 이공계 실업학교 부설을 지시하였다. 1976년 5월 20일에는 국비 장학생을 선발하여 유학보내는 제도를 신설하였고, 1976년 7월에는 일반 영세 기업체들이 산집해 있는 공단 근로자를 위해 야간중학 개설을 지시하였다. 1972년 박정희 정권이 헌법을 개헌한 일인 10월 유신을 단행해 제3공화국 헌법을 폐기하고, 긴급 조치권, 국회의원 정수 1/3에 대한 실질적 임명권, 간선제 등 막강한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하는 6년 연임제의 제4공화국 헌법을 제정 통과시킨다. 긴급 조치 1호에서 9호를 발동하여 개헌 논의 일체를 금지하고, 정치 활동, 언론 및 표현의 자유에 제한을 가하였다. Stunt for Park Chung-hee.jpg|섬네일|왼쪽|240px|국군의 날 행사 때 박정희 초상을 나타낸 카드섹션. 1972년 10월 17일, 박정희는 유신 체제를 선포하기 직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이를 두 차례 예고하고 배경에 대해 설명을 했다. 당시 남측 대표는 북측 대표를 만나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이 김일성의 동생인 김영주 남북조절위원회 북측위원장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후락 부장은 메시지에서 "박정희 대통령과 김일성 내각 수상이 권력을 갖고 있는 동안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통일을 이룰 것"이라며 "하지만 남측 다수가 통일을 반대하고 있다. 따라서 질서가 먼저 구축돼야 한다. 박 대통령은 1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주의해서 들어야 할 중요한 선언을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 1973년 1월 중화학공업정책 육성을 선언하였고 공업진흥청을 신설하였으며 3월 중화학공업의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온산, 창원, 여수~광양, 군산~비인, 구미 등 5개 대단위공업단지 조성 계획을 수립하였다. 1973년 중반 기능공 양성정책을 수립하고 1973년 10월~1974년 12월에는 이리 수출자유지역을 착공하였다. 1972년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실시하였고 1월 27일 제3차 인력개발 5개년 계획을 확정하였다. 2월 9일에는 녹색혁명을 추진, 통일벼를 개발하였으며 쌀의 한국 자체생산 및 완전 자급자족은 1976년에 달성한다. 1972년 7월 4일 분단 이후로 최초로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1972년 8월 3일 기업사채 동결 등 긴급 명령을 발표하였다. 1974년 8월 15일 국립중앙극장에 참석하여 광복절 29주년 기념사를 하였다. 그러나 관객을 가장하여 앉아있던 문세광이 난입, 연단을 향해 권총을 저격하였고 대통령 박정희를 쏘려 하였다. 그러나 귀빈석에 앉아있던 영부인 육영수가 문세광이 쏜 권총 두 발을 맞아 사망했다. 연설대 아래로 피했던 박정희는 다시 나타나 광복절 29주년 기념사를 계속하였다. 범인인 재일교포 문세광은 현장에서 체포되었고, 문세광의 대한민국 입국과 총기 입수를 도운 일본인 전직 경찰관이 공범으로 체포되었다. 1967년 12월 1일에 박정희는 농어촌개발공사를 설치했다. 1973년부터 새마을운동을 전국민적 운동으로 확산시켰다. 유신 선포후인 1973년 1월 16일 박정희는 대통령령 6458호로 내무부에 새마을 담당관실을 설치하고 그 산하에 4개의 과를 두었으며 3월 7일 대통령 비서실에 새마을 담당관실을 설치했다. 이후 새마을 운동과 관련된 교육을 강화했다. 72년 3월에는 서울시와 경기도 일대의 마을을 순방하며 새마을운동을 시찰하였고 이후 현장을 직접 시찰하며 새마을운동을 관리 감독하였다. 1973년 5월 31일 경기도 수원에 새마을지도자 연수원을 신설 건립하여, 이전까지 농협 대학에서 개설하여 운영하는 독농가연구원에서 실시해 오던 새마을 운동을 위한 농촌 지도자 교육과 양성 등을 맡게 하였다. 1972년 1490명, 1973년 4354명으로 피교육자 수가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로 매년 6천 명 이상이 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1973년부터 지원금을 대폭 늘려 71년 41억 원, 72년 33억 원에서 격증하여 1973년 215억 원, 1974년 308억 원, 1979년에는 4252억 원까지 정부 예산 지원을 늘렸다. 또한 민간단체의 지원과 성금도 꾸준히 들어와 1972년 17억 원에서 1979년 2032억 원의 지원금이 들어왔다. 박정희가 만든 새마을노래 는 방송매체를 통해 아침, 저녁에 방영되었고 국민운동화된 새마을 운동의 성공 사례는 일간신문에 소개되기도 하였다. 비슷한 것으로 잘 살아 보세라는 노래도 있다. 1973년 9월 21일 경제 4단체는 새마을운동을 생산직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공장에 도입하는 방안을 토의하였으며 11월 21일 제1차 새마을 지도자 대회가 열려, 운동을 범국민적으로 확산시킬 것을 결의하는 등의 노력이 지속되었다. 반면 새마을 운동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새마을 운동이 일제의 농촌진흥운동을 모방한 것으로 파시즘 체제 유지를 위한 도구였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새마을 운동은 미신타파를 명분으로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탄압도 자행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을 이용해 농촌 가옥을 개량한 것에 대해서도 비판받는다. 만년의 박정희는 탈모현상으로 아침 샤워할 때마다 머리카락이 빠졌고, 좌골신경통을 앓고 있어 통증이 심할 때는 의자에 앉지도 못하고 서서 서류결재하였으며, 또한 9대 대통령 임기를 다 채우지 않고 임기 1년전에 사퇴할 뜻을 가지고 있었다는 주장이 있다. 이와 관련해 유신헌법 개정안 초안 작업을 전 중앙정보부장 신직수에게 지시했다는 주장도 있다. 남덕우 전 총리에게는 “내가 봐도 유신헌법의 대통령 선출 방법은 엉터리야. 그러고서야 어떻게 국민의 지지를 얻을 수 있어? 헌법을 개정하고 나는 물러날 거야.” 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후계자로서는 김종필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1974년, 육영수 여사가 문세광에 의해 암살당한 지 1년 뒤인 1975년 8월 6일에는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저도에 위치한 청해대에서 ‘일수’(一首)라는 시(詩)를 썼는데 아내인 육영수 여사와 함께 거닐던 곳에 혼자 와 보니 아내에 대한 그리움이 더욱 간절해진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가 쓴 이 시는 2004년, 가수 남상규가 ‘임과 함께 놀던 곳에’라는 제목의 음반으로 출시되기도 했다. 아래는 박정희가 쓴 시인 일수(一首)의 전문이다. 박정희는 이외에도 한 송이 흰 목련이 바람에 지듯이 와 추억의 흰 목련 , 제야(除夜) 등 많은 시를 지었는데 대부분 육영수 여사에 대한 그리움과 인생의 회한을 나타낸 시들이며 이외에도 많은 그림들과 휘호를 남겼다. 또한 독도와 간도의 영유권 확보에도 관심을 기울였는데, 1975년 9월에는 국회에서 발간한 《간도 영유권 관계 발췌문서》에 특별예산을 지원하였으며 1978년에는 독도를 종합 연구하는 데 거액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이후 10여명의 학자들이 7년 동안 연구하여 박정희 사후인 1984년, 독도 영유권에 관한 자료들을 수록한 《독도 연구》를 발간하였다. 그러나 1975년 10월 8일 신민당의 김옥선 의원은 국회 대정부 질의장에서 그가 안보 논리로 공안정국을 조성했다고 비난하였고 이는 여야간의 싸움으로 비화되려다가, 공화당과 유정회에 의해 김옥선이 의원직에서 제명당하는 사태로까지 치닫게 된다. Forces Day of South Korea (1973) 1.jpg|오른쪽|섬네일|1973년 제 25주년 국군의 날 행사에서 행진에 참가한 박정희 박정희는 집권 초기부터 자주국방 정책을 추진하였다. 박정희는 미군이 우리의 국방을 맡아주고 있다는 생각을 국민들이 가지고 있는 한 시위에 따른 안보상의 불안에 대해서는 책임있게 판단하지 않고 함부로 행동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자주국방을 하지 못하면 진정한 독립국가도, 책임 있는 국민도 될 수 없다"고 말하곤 했었다. 1962년 5월 5일 해양경찰을 발족하고 1968년 1월에는 기동타격대를 창설 1968년 4월 향토 예비군, 1975년 전투상비군부대를 창설하였다. 1965년 4월 3일 초음속 전투기를 도입하였으며, 동해안 등에 기지를 설치하였다. 1969년 1월 7개 시군의 고교생과 대학생에 군사훈련 실시를 시범적으로 정하였고, 71년 12월 전국에서 첫 민방공훈련을 실시하였다. 병기 개발에도 노력을 들였으며 1975년 11월 함대함미사일 시험 발사에 성공하였다. 1977년 1월 핵무기와 전투기를 제외한 모든 무기를 국산화하고 있음을 천명하였고 1978년 9월 26일 세계 7번째로 국산장거리 유도탄 등과 다연발로켓 시험 발사에 성공하였다. 박정희는 1970년대에 핵개발 추진을 시도하였다. 일부의 의견으로는 박정희 정부가 핵개발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를 반대하던 강대국에 의해 피살되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박정희는 핵개발 시도는 내외부적인 상황 때문에 좌절한 것으로 추정되나 이해당사자들이 생존해 있으므로 지금 현재로서는 파악이 어렵다. 저도 앞바다에서 휴양 중인 박정희(1976년 7월) 박정희 정권은 안정적인 세원확보와 거래의 투명화를 통한 소비세의 증가를 위해 부가가치세법을 추진하였는데 이 법은 1971년, 세제 심의회에서 장기세제 방향으로 종합소득세 도입과 부가가치세 도입을 결정하면서 준비가 진행되었고 1976년 12월, 국회에서 통과되어 다음 해 7월에 시행되었다. 그러나 부가가치세법의 시행으로 인해 비자금 마련이 어려워진 대기업들과 박정희 정권의 지지기반인 서민 자영업자들이 등을 돌리게 되었고 결국 이로 인해 1978년 12월 시행된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이 신민당과 통일당을 비롯한 야당에게 참패하면서 박정희 정권의 기반이 흔들리게 되었다. 일각에서는 박정희 정권의 붕괴원인을 부가가치세에서 찾기도 한다. 이러한 박정희 정권의 부가가치세 도입에 대해 일부 학자들은 박정희 정부의 결단이 있었기에 한국 정부는 안정적인 세입확보를 할 수 있어 결국 1997년 외환위기 때도 대응할 수 있는 재정여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인권문제는 박정희 유신정권의 존립을 뒤흔드는 문제였고, 박정희는 권력을 강화하고자 미국에 대한 로비를 진행했다. 박정희는 기업인 박동선을 시켜 미국 상·하원 의원들에게 로비를 했다. 1977년 10월 15일 워싱턴포스트는 한국 정부가 박동선을 내세워 의원들에게 거액의 자금을 제공한 기사를 보도했다. 박동선은 도주했고, 미국 의회와 국무부는 박정희에게 박동선 송환을 요구하였으나 박정희는 1977년 청와대에 도청장치가 발견된 것을 들어, 미국 측이 청와대를 도청한 사실을 문제로 삼아 송환을 거절했다. 그 후 여러 차례의 회담과 조율을 거쳐 12월 31일 한, 미 양국은 박동선이 미국 정부로부터 전면사면권을 받는 조건으로 증언에 응할 것이라는 합의를 보고, 공동성명을 냈다. 1978년 2월 23일 박동선은 미국으로 건너가 2월 23일과 4월에 미 국무부와 상하원에서 증언을 하기도 했다. 이후 몇명의 미국 민주당의원 몇 명만 징계를 받고 사건은 종결되었다. 박정희가 미국 정치인을 상대로 로비를 하게 된 배경은 지미 카터와의 갈등이었다. 박정희의 인권탄압이 카터의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된 한미갈등의 원인이었다. 미국 의회와 행정부 사이에서 한국의 인권문제 때문에 군사원조를 중단해야 하는 사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일 때도 한국 정부는 인권문제 때문이라는 단서만 빼준다면 더 많은 군사원조 삭감도 받아들일 수 있다고 제시했다. 육영수를 피격으로 잃은 직후 박정희는 인의 장막을 쳐놓고 소수의 인사들과만 접촉하였고, 간혹 유흥을 즐겼다. 한편으로는 관제 반미 시위를 암암리에 조장했다는 시각도 있다. 1978년에는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한 간접선거로 제9대 대통령 선거에 당선되어 5선에 성공했다. 취임선서를 한 때는 12월 27일이었다. 박정희는 그날을 임시공휴일로 하고 통행금지를 하루 해제하며 고궁을 무료로 개방함과 아울러 1302명의 수감자를 가석방하는 등 선심조치를 취했으며 전임 일본 수상 기시 노부스케가 이끄는 일본인 12인이 방한하였고 글라이스틴 미 대사 등 국내외 3000여 명의 인사가 참석하였다. 1979년 8월 9일 YH 무역회사의 여공들이 신민당사를 점거, 농성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8월 10일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등이 참석한 대책회의에서 강제진압 결정이 났고 박정희가 이를 재가했다. 8월 11일 경찰은 강제로 신민당사에 들어가 여공들을 진압했고 이 과정에서 노동자 김경숙이 추락해 사망하고, 이에 항의하던 신민당 당수 김영삼은 가택연금, 고은 시인, 인명진 목사 등 7명은 구속되었다. 김영삼은 이 사건과 박정희 정권의 탄압을 강도높게 비판했고, 박정희는 이를 계기로 김영삼을 제거하기로 하여 김영삼 의원 제명 파동이 발생, 이는 부마 항쟁의 원인이 되었다. 한편 박정희는 김영삼을 위선자로 보고 경멸하였고 독재정권을 혼내준다며 미국의 세계전략에도 불리한 주한미군 철수 정책을 들고 나온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와도 갈등을 빚었다. 임기 말에는 핵개발 등의 문제와 인권 문제 등으로 미국과 마찰을 빚었으며 인권 외교를 내세운 미국 카터 행정부와의 갈등 등으로 정권의 기반은 더욱 흔들렸다. 박정희는 1979년에 들어와서는 카터와 김영삼에 대한 이런 경멸감을 정책으로 표현하면서 갈등은 심화되었고, 카터의 방한을 앞두고는 통역을 담당할 의전수석 최광수에게 인권 좋아하시네 를 영어로 어떻게 통역할지에 대해서 미리 생각을 해두라는 지시를 사전에 내리기도 했다. Carter April 1980.jpg|섬네일|180px|지미 카터 당시 미국 대통령 이러한 두 사람의 관계는 1979년 6월 29일에 성사된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더욱 악화되었는데, 도쿄에서 선진 7개국 경제정상회담을 마치고 방한한 카터 대통령은 방한 이후 영빈관에 머물러 달라는 박 대통령의 성의를 무시하고 주한 미군 내에 숙소를 정하는 등 노골적으로 박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웠다. 이에 박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45분간 주한미군이 한국의 방위뿐 아니라 동아시아와 자유세계의 방어를 위해서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 하는 점을 카터 대통령에게 일방적으로 ‘강의’했다. 결국 이로 인해 카터 행정부는 주한 미군의 감축 규모를 3000명가량 감축하는 선에서 마무리지었다. 박동진 전 외무부 장관은 박 대통령이 카터 대통령의 방한 기간 동안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회고했다. 박정희가 김영삼을 국회의원에서 제명하고 의원직을 박탈하자 지미 카터는 한국 내에 있던 CIA 요원과 주한미국 대사관 직원 일부를 소환하였다. 박상범 전 청와대 경호실장의 증언에 의하면 박 대통령은 유신 말기에 이르러 개헌을 통한 하야를 고려했다고 한다. 박 전 실장은 "남덕우 전 국무총리가 회고록에서 1978년 경제특보 재임 당시 유신 헌법의 대통령 선출방식은 내가 봐도 엉터리야. 그러고서야 어떻게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겠어. 라며, 개헌 후에 물러나겠다는 박 전 대통령의 육성을 기록한 것을 들어본 적이 있느냐 라는 질문에 1~2년 뒤에는 내가 하야를 해야 하지 않겠나 하는 말을 사석에서 했던 걸로 기억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박 전 대통령의 지시로 유신헌법 개정안 초안 작업을 하던 신직수 법률특보가 10·26 이후 관련 자료를 폐기했다는 증언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박 전 대통령은 1~2년 뒤에 하야하려는 생각을 확실하게 갖고 있었다"라고 주장하였다. 이시기 박 전대통령은 활동성 간염 진단을 받아 치료를 시작하였다. 한편 말년까지도 미국의 의구심은 여전했던 듯하다. 남로당 출신 박갑동의 증언에 의하면 국민에게는 독재자 소리를 듣고, 미국한테는 공산주의자로 의심받고, 북조선에게는 친일파로 매도되어 완전히 사면초가에 몰렸다고 하며 조갑제의 주장에 의하면 박정희는 나라를 위해 심혈을 기울여 일해도 국민이 알아주질 않아 일종의 배신감을 느끼기도 하였다 고 한다. 10월 16일부터 부산에서 시작된 부산마산 민주항쟁은 마산, 창원 등으로 확산되었다. 10월 16일 오전 한강을 가로지르는 성수대교의 개통식에 참석하였고, 싱가포르의 리콴유 수상이 내한하여 정상회담을 갖기도 하였다. 10월 18일 새벽 0시 박정희는 부산직할시 일원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사태가 악화되자 1979년 10월 20일, 계엄령을 선포하여 부마 사태를 무력으로 진압하게 하였다. 1979년 10월 26일 오전에는 충청남도 당진의 삽교천방조제 준공식에 참석한 후 귀경하였다. 10월 26일 오후 7시경 궁정동 안가에서 경호실장 차지철, 비서실장 김계원,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와 함께 가수 심수봉, 한양대생 신재순을 불러 연회를 하던 도중 김재규의 총에 저격당하여 김계원 비서실장에 의해 국군서울지구병원으로 후송되었으나 61세로 사망하였다(10.26 사건). 김재규는 재판 과정에서 "유신 개헌으로 민주주의가 무너졌다. 유신 체제는 민주주의를 위한 것이 아니라 박정희 개인의 영달을 위한 것이다. 나는 자유민주주의를 회복하고 국민의 희생을 막기 위해 박정희를 저격했다"고 진술했다. 그러나 미국의 개입 의혹이 제기되었다. 미국이 박정희의 죽음에 개입했다는 주장은 김재규가 10·26 사건 며칠 전에 로버트 브루스터 미국 CIA 한국지부장을 만난 것이 확인되면서 제기되기 시작했다. 김재규는 재판에서 사상 최악에 이른 한미관계의 개선을 자신의 거사의 한 이유로 들었지만 미국의 개입은 부정했다. 그러나 김재규의 증언을 입수한 글라이스틴 주한미국대사는 쓰레기 같은 소리 라고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다. 김재규의 진술에도 불구하고 당시에 이 사건을 두고 많은 설이 있었으나, 부마 항쟁을 두고 박정권의 내부에서 김재규가 강경파 차지철과 정치적 갈등으로 빚어졌다는 설이 유력하다. 그 외에는 박정권의 핵개발과 관련된 것, 그리고 박동선의 코리아게이트 사건 등으로 한미 관계가 악화된 점 때문에 미국정부가 박정희의 암살을 은밀히 조장했다는 설도 있으나, 근거는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박정희는 인권 문제로 미국과 갈등했다. 그러나 겉으로 드러난 인권 문제보다 박정희의 핵개발이 미국을 더 자극했다는 주장도 있다. 소설가 김진명은 이 설을 전체 스토리의 뼈대로 잡고 《한반도》라는 장편소설을 쓰기도 했다. 1979년 6월, 지미 카터의 방한 때 같이 왔던 미국 중앙정보국(CIA) 요원 250명은 박정희가 죽을 때까지 한국에 남아 있었다. 김영삼의 제명에 미국은 주한미대사 글라이스틴을 본국으로 소환하는 강력한 조치를 취했다. 미국은 늦어도 1976년부터 한국 권력층과 사회저명인사들을 대상으로 박정희가 없는 한국 에 대한 각계의 의견을 듣는 작업을 시작했다. 이는 질문을 받은 사람들이 미국은 박정희의 통치를 더이상 원치 않는다 라고 느끼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박정희가 죽었을 때, 한국에서 근무한 적이 있던 한 일본인 외교관이 자신의 저서에서 대일본제국 최후의 군인이 죽었다고 평하였다. 최규하는 박정희 대통령 국장 당시 추도사를 작성하였다. 박정희의 암살 배경에 관해서는 미국과 CIA가 사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 현재 미국 등의 개입에 대해 확실하게 입증된 것은 없다. 1979년 10월 10.26 사태가 있기 며칠 전 김재규는 로버트 브루스터 미국 CIA 한국지부장을 면담하였다. 이 일로 미국이 박정희의 죽음에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김재규는 군사재판에서 사상 최악에 이른 한미관계의 개선을 자신의 거사의 한 이유로 들었지만 미국의 직접적인 개입은 부정하였다. 당시 주한미국대사 글라이스틴은 김재규의 한미관계 발언을 쓰레기 같은 소리 라고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의혹이 풀리지는 않고 있다. 핵개발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박정희의 죽음이 미국과 어떤 관계가 있다고 믿고 있다. 지금도 그 때의 일에 대해 입을 열면 미국에게서 무슨 일을 당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 박정희는 미국의 경고에도 1978년 이후로도 계속 핵무기 개발을 시도했고, 미국에 의한 암살 의혹은 계속 증폭되었고, 이는 소설과 희곡 등의 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10월 27일 새벽 국무총리 최규하는 긴급히 국무회의를 소집하여 대통령 유고 문제를 물었고 27일 아침에야 박정희가 서거하였다는 사실이 공식 보도되었다. 이후 박정희의 장례식은 9일장으로 결정되었고 국장으로 치러졌다. 국장 장례식은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최규하에 의해 진행되고 11월 3일까지 장례식이 진행되었다. 시신은 석관에 안치되어 운구차로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의 육영수 묘소 옆에 안장되었다. 식량자급자족을 위한 식량증산 정책을 추진했고, 벼의 품종을 개량하여 바람에 불면 날아가는 점과 수확량이 낮은 것을 개선케 하여 통일벼 품종을 선보이기도 했다. 장기불황으로 대학 졸업후 미취직자들의 구제를 위한 국토 건설 개발을 추진하였다. 또한 저소득층 미취직자의 취업과 근로여건 개선을 위한 직업훈련원 개설을 추진, 지원하였고, 후처 육영수가 정수직업훈련원을 설립한 것을 필두로 확산 장려시켰다. 1972년부터는 각 회사의 회장, 사장단에게 회사 내에 야간학교를 설치할 것을 권고하였다. 경제불황이 지속되면서 1972년 8월 3일에는 8.3 조치를 발표하여 각 기업체를 재정지원하고 채무를 탕감해주기도 했다. 1974년 초 한일합섬 회장 김한수(金翰壽)가 회사 내에 한일여자고등실업학교를 설립했고, 이는 76년 9월 7일 경제 각단체장의 월간경제동향 보고에서 공장새마을운동의 성공한 사례로 보고되었다. 여기에 고무받은 박정희는 국무회의에서 저소득층으로 미취학, 미진학 청소년들을 위한 야학 결성을 지시하여, 야학 설립을 추진하고, 각 기업체 회장 등을 면담 설득하여 공장단지 내에 야간학교 설립, 국공립 학교 내 야간반 설립 등을 실시하게 했다. 1977년 7월 22일 정부·여당 연석회의에서 공단에서 일하는 근로자 중 배움에 뜻이 있는 근로자들이 중등학교 졸업장을 취득할 수 있도록 야간학교 개설 방안을 강구하고, 기능직·기술직 근로자를 우대하는 정책을 수립할 것을 지시했다. 박정희 정부는 저곡가 정책을 통해 도시화를 진행시키고, 산업 용지를 적극적으로 개발 및 공급하였다. 1960년대의 강남 개발은 이러한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1963년 지금의 강남 지역이 서울에 편입됐다. 1966년 김현옥 당시 서울시장은 서울 기본도시계획을 통해 강남권 개발을 추진했다. 1967년 11월에는 경부고속도로 건설 계획이 완료됐고 강남 일대 900만 평이 토지계획지구(영동지구)로 지정됐다. 그러나 당시 북한보다 1인당 국민생산이 뒤쳐진 상태여서 개발자금이 부족했고, 정부는 체비지(개발 비용 충당을 위한 판매용 토지) 사업을 통해 자금을 충당했다. 강병기 전 국토계획학회 회장에 따르면, 당시 강남의 사유지 소유자들은 부가가치를 위해 당시 허허벌판이었던 강남 땅에 학교, 공원 등의 시설을 짓고, 그 대금으로 토지를 공공용지로 바쳤다. 이들 중 일부는 체비지로 설정되어 재산가들에게 팔렸고, 이렇게 모인 자금으로 경부고속도로 등 도시기반시설 사업이 진행됐다. 체비지가 매각되지 않으면 개발자금이 모이지 않고 개발이 진행되지 않기에, 정부는 적극적으로 체비지 매각에 힘썼다. 그 결과 경부고속도로로 수용된 토지를 중심으로 집값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말을 먹이고 쉬어가던 거리라는 뜻의 말죽거리가 그 대명사다. 1966년 초 평당 200원에 불과했던 말죽거리의 가격은 순식간에 2~3천원으로 수직상승했고, 68년 말에는 평당 6천 원에 이르렀다. 체비지를 구입한 재산가들과 원래 사유지 소유자들의 재산은 순식간에 불어났다. 이것이 제 1차 부동산 투기 붐이다. 이렇게 부동산 붐이 조성되자 정부는 1967년 11월 29일 을 제정했다. 이를 통해 서울, 부산 및 그 인접 지역의 토지에 한하여 토지양도 및 보유로 인해 발생하는 소득의 50%를 과세하며, 공지로서 2년 이상 방치하면 과세 대상이 되도록 했다. 건물이 정착된 토지 면적이 건축물 면적의 10배를 넘는 경우에도 과세 대상이 됐다. 그러나 이런 높은 과세에도 불구하고 땅값이 몇 배로 오르는 부동산 붐을 막을 수는 없었다. 박정희 정부는 강남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1973년 영동지구를 개발촉진지구로 지정했다. 이 과정인 72년에 제정된 에 따르면, 개발촉진지구에 땅을 구입해 주택 등을 지으면 이후 부동산 판매시 1967년에 제정한 투기억제세를 면제해 주었으며, 기타 재산세, 면허세, 도시계획세 등을 면제해 줬다. 강북 지역의 신규 유흥 시설 등의 설립을 금지하는 반면, 영동지구에는 허용했다. 당시 인구 희소지역이었던 강남을 관통하는 지하철 2호선을 개통하였고, 경기고, 경기여고, 휘문고, 서울고 등 전통의 명문 고등학교를 강남 지역으로 옮겼다. 1976년에는 고속버스터미널을 강남으로 이전했다. 또한 1974년에는 330만 평 부지에 25만 인구를 수용한다는 잠실 뉴타운 계획을 수립했다. 이러한 정책에 따라 1973년 5만 명에 불과했던 영동지구의 인구는 1978년 21만 명으로 급성장할 수 있었다. 강남구 학동(현 논현동)의 경우, 1970년 평당 2천 원에 불과했던 지가가 1~2년 사이에 10배가 뛰었다. 1974년에는 8만원까지 뛰었고, 이는 3년 만에 다시 두 배가 됐다. 79년에는 평당 40만원에 이르게 된다. 1963~1979년 동안 압구정동의 지가는 875배, 신사동의 지가는 1000배 상승했다. 부동산 규제책이 있었지만 시장의 움직임을 막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박정희 정부는 이러한 경향을 막기 위해 을 발표했다. 한국은행 에 따르면 이 대책은 “부동산투기를 효율적으로 규제하고 장기적으로 지가의 안정을 도모하여 토지이용의 적정화를 기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는 토지거래에 대한 허가 및 신고제의 도입, 기준지가 고사, 부동산소개업 허가제, 양도 소득세 강화, 토지개발공사 설립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러한 강력한 규제 정책 덕분에 78년 135%에 달하던 서울의 지가변동률은 1979~1982년 동안 3~13%로 진정됐다. 70년대 말의 오일쇼크로 인한 경기침체 역시 지가 하락에 기여했다. B 145 Bild-F019521-0007, Berlin, Staatsbesuch Präsident von Süd-Korea.jpg|섬네일|280px|박정희 대통령과 브란트 서베를린 시장 박정희의 통일관은 선(先) 개발 후(後) 통일이었다. 경제개발을 통해 국력을 신장시켜 북한과의 체제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한 뒤 통일하자는 것이었다. 조갑제에 의하면 박정희는 집권 3년째인 1963년에 쓴 저서『국가와 혁명과 나』에서 피력한 조국 근대화란 목표와 자조→자립→자주→통일의 단계적 방법론을 죽을 때까지 견지하였다. 고 평가하기도 했다. 미국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닉슨 독트린 정책으로 베트남 전쟁의 포기와 중화인민공화국(중공)과의 관계개선, 주한 미군의 부분적 철수및 동아시아에서 냉전기류의 해체경향의 영향을 받아 남북간의 관계를 모색하고 경제적 현실을 고려하여 선건설 후통일 정책에서 평화통일 3원칙을 통해 북한의 실체를 인정하고, 남북간 경직된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선평화 후통일 정책으로 바꾸어 현재까지 통일정책의 기본원칙이 되고 있다. 7·4 남북 공동 성명 남북 간 합의문서를 발표하였다. 이를 계기로 국내외적인 평화 분위기가 조성되었지만, 곧 박정희 정부는 10월 유신을 선포하여 장기 집권을 꾀하였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도 주체사상 헌법을 개정하여 유일 지도 체제를 더욱 강화하였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71년 사이에 핵개발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박정희 정부가 핵무기 개발 계획을 처음으로 구상하기 시작한 것은 닉슨 미 대통령이 1969년에 괌(Guam) 독트린을 선언하고 1년 뒤인 1970년 7월 초 로저스 미 국무장관이 한국정부에 주한미군 2만 명의 철수를 통고한 직후였다. 예정대로 미국은 1971년 3월 주한미군 7사단을 철수시켰다. 박정희 대통령은 이러한 미국의 일방적인 주한미군 철수결정에 대해 심한 배신감을 느낀 것으로 알려졌다. 이때부터 그는 자주국방정책의 일환으로 극비리에 핵무기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박정희 정부의 핵개발 계획은 1971년에 설립된 청와대 제2경제수석실이 총괄하고 국방과학연구소와 무기개발위원회에서 실제적인 개발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1970년 당시의 박정희는 한국의 군수 산업 발전에 몰두했다. 1970년 무기개발위원회(WEC)를 창설했다. 박정희가 1970년에 창설한 무기개발위원회(WEC)는 70년대 초반에 만장일치로 핵무기 개발을 결정하고 박정희에게 진언했다. 박정희는 1971년 말이나 72년 초에 그 권고를 실행에 옮기는 것을 결심했다고 전해진다. 1970년초 닉슨 대통령은 데탕트를 추진, 1972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광둥 성을 방문하여 냉전 화해모드를 조성했다. 동시에 아시아 문제에 대한 군사개입을 철회할 것을 주장하여 각국의 반발을 샀는데, 박정희 정부는 핵개발의 정당화를 북한의 침략 위협으로 고정하였다. 1975년 베트남 공화국이 멸망의 길을 걷자 박정희는 자신의 핵 개발의 정당성을 부여하였다. 박정희는 1973년 11월 24일 한국 최초의 원자력발전소인 월성 1호기 건설계획을 확정짓고 사흘 뒤인 11월 27일 원자로 구매의 향서를 캐나다에 발송했다. 그가 캐나다에서 도입하려는 캔두형 원자로는 플루토늄 추출이 용이한 중수로이다. 중수로에서 타고 남은 핵연료를 재처리시설에서 재처리하면 핵폭탄의 원료가 되는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 있다. 박정희가 프랑스에서는 재처리시설을, 캐나다에서는 중수형 원자로를 도입하려 한 것은 플루토늄의 군사적 이용을 염두에 두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박정희 정부가 캐나다로부터 중수로와 함께 순도 높은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는 3만kW짜리 연구용 원자로(NRX)를 도입하려고 하였으나, 플루토늄의 군사적 이용을 우려한 미국의 반대로 연구용 원자로 도입은 실패했다. 75년 3월 미국은 직접 개입하여, 한국정부에 대해서 핵개발 계획을 중지하도록 강요했다. 키신저는 박정희에게 핵무기 개발을 고집한다면 미국은 한국에 대한 안보지원을 중지한다고 하였다. 이후 박정희는 비밀리에 스웨덴, 프랑스, 캐나다로부터 플루토늄 중수로 도입을 추진했다. 닉슨독트린 이후 주한미군 제7보병사단을 한국에서 철수한다고 발표한 것에 대응한 결정이다. 한국에는 미국의 제2보병사단이 주둔하고 600에서 700개 핵무기가 배치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핵개발 결정은 내려졌다. 뒤이어 대통령에 취임한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 역시 아시아 문제 불개입과 미군 감축, 철수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박정희의 핵 개발 첩보가 CIA를 통해 미국 내에 전해지면서 미국에서는 한반도의 상공위성사진 촬영 등을 시도했고, 핵시설을 찾아내지 못한 미국은 박정희에게 핵개발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계속 핵개발을 시도할 경우 미군 철수를 시사하며 강경하게 맞대응했다. 카터 정권 아래서도 미국과 한국은 핵무기 문제에 관한 갈등을 빚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카터가 제창한 주한미군 철수계획을 뒤집어엎기 위한 캠페인의 일환으로 만약 미국이 계획대로 철수하면 한국은 핵개발로 나아간다는 것이 한국정부의 입장이었고, 박정희는 핵개발을 추진하던 것이다. 미국은 인도가 1974년에 핵무기 실험에 성공한 것을 계기로 해서 한국의 핵무장 계획을 경계하게 되었다. 1978년 11월 4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1974년 인도정부의 충격적인 핵폭발 실험을 계기로 여타 국가들의 핵무기 개발계획을 탐지해내기 위해 특별정보반을 설치했다"고 한다. 이 특별 정보반의 운영과정에서 한국이 핵무기 개발 계획을 비밀리에 추친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한국이 프랑스에서 재처리시설을 구입하려는 교섭은 1972년부터 계속되었다. 1975년 가을과 겨울에 걸쳐 주한미국대사를 지낸 필립 하비브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함병춘 주미한국대사에게 한국이 프랑스와 체결한 핵무기 관련 계약을 취소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박정희에게 보고되었고, 박정희 정부는 물론 거절했다. 미국은 계약을 취소할 경우, 한미과학기술협정의 체결을 통한 미국의 추가 기술 제공 등 여러 가지 대가를 제공하겠다고 제의했지만, 그것 역시 소용이 없었다. 포드 행정부는 최후의 수단을 사용하기로 하고 하비브와 리처드 스나이더 주한미국대사를 통해, 박정희에게 만약 한국이 핵무기 개발을 계속 진행할 경우 전반적인 한·미 안보관계에 심각한 훼손을 초래할 것이라는 일종의 최후통첩을 보내는 것이었다. 결국 박정희는 1975년 8월 25일부터 8월 28일까지 미 국방장관 슐레진저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 핵무기 포기 각서를 써주었다. 1975년 박정희는 공식적으로 핵개발 추진 포기를 선언하였으나, 비밀리에 프랑스와 스웨덴으로부터 플루토늄 구매를 시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의 압력으로 프랑스는 1975년 말에 재처리시설 계약 취소를 요구하였다. 1976년 6월 도널드 럼즈펠드 미국 국방장관도 한국 국방장관에게 만일 한국이 핵무기 개발을 계속 고집한다면, 미국은 안보와 경제협력관계들을 포함한 한미관계 전반에 대해 재검토할 것이라고 단도직입적으로 위협했다. 미국의 강력하고도 끈질긴 반대와 위협에 직면한 박정희는 심각하게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 박정희는 프랑스와 체결한 플루토늄 수입과 원자로 도입계약을 취소했다. 박정희는 프랑스와 맺은 계약을 취소할 수밖에 없었고, 결국 76년 1월 23일 계약은 취소되었다. 1977년 1월 28일 박정희는 한국은 핵무기를 개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선언하였다. 또한 핵무기개발을 통한 자주국방의 조속한 달성으로 대한민국을 진정한 의미의 주권국가로 당당하게 일어서게 만들겠다는 박정희의 웅대한 꿈과 그것의 실현을 위한 집요한 집념, 그리고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현실적으로 포기될 수 밖에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1978년에는 미국이 대한민국 청와대를 도청하다가 박정희 측에 의해 발각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 와중에 대한민국 국내에 체류중이던 학자가 갑자기 실종, 공황상태가 되어 미국에서 발견되었고, 다른 물리학자인 김희규, 진영선 등이 연이어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나면서 핵개발에 관련된 의혹을 증폭시켰다. 박정희의 독자적 핵무기 개발은 70년대 말 한미 관계를 위기로 몰아넣었다. 이 점에서 박정희는 분명히 반미적이었다. 하지만 70년대 말 주한미군 철수와 핵무기 개발을 둘러싼 논쟁은 미국측의 철군 주장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된 자주 국방이 나중에 민족 자주권으로 확장된 것으로 보는 시각이 있다. 핵무기 개발로 표현되는 박정희의 반미는 지미 카터의 인권 정책과 철군 정책에 쐐기를 박기 위한 대응 수단이었다. 박정희와 미국의 갈등에서 비롯되는 박정희의 반미주의는 박정희 정권을 지지해주지 않는 미국에 대한 반발이었을 뿐이 라는 의견도 있다. 박정희의 핵무기 개발 역시 그의 자주국방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써 미국의 정책 전환을 이끌어내서 자신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강화하려는 구상에서 비롯된 것이라 는 주장도 있다. 미국의 압력으로 핵개발 포기 선언을 하였지만 이후에도 박정희 정부는 집요하게 핵개발을 추진하였다. 박정희 정부 당국자들이 핵개발을 위해서 비밀리에 캐나다로부터 9백 메가와트급 캔두형 중수로 4기를 신설하기로 하였다. 이 계획은 한국과 캐나다가 합작해서 9백 메가 와트급 원자로 4기를 짓는다는 뜻에서 KC-49 사업으로 불렸다. 이후에도 박정희는 비밀리에 핵개발을 추진했고, 1979년 2월 박정희는 1979년 현재 핵개발이 88% 이상 완성되었다며 1983년에는 핵 미사일의 완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보았으나 그는 그해 10월에 암살당하였다. 한편 그가 베트남 전쟁에 한국군을 파병하여 벌어들인 돈이 1970년대의 경제 개발의 배경이 됐다는 견해도 있다. 그에 의하면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집권한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을 케네디 대통령은 별로 달가워하지 않았으나 한국 정부가 베트남 파병을 3200명으로 확대하면서 이에 베트남에 한국군을 파병하겠다는 제안을 받아들여 베트남전 파병이 이루어졌다. 이후 1964년부터 파견된 베트남전쟁 파병으로 향후 한국경제 발전의 원동력에 가속화가 되었다. 1965년부터 1973년까지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 기간에 파병 국군장병이 해외근무 수당으로 벌어들인 수입은 총 2억 3556만 달러였다. 이 중 82.8%에 달하는 1억 9511만 달러가 국내로 송금되었고, 이 돈으로 경부고속도로 건설 등에 기여되었다. 전쟁에 조달할 군수물자 납품과 용역사업 투입 등으로 한국 기업들은 베트남전 특수(特需)를 톡톡히 누렸다. 국군의 파병 대가로 들어온 외화 송금에 힘입어 당시 내수산업과 수출이 성장하여 호황을 누리게 되었다. 전투병 파병 직전인 1964년 한국의 1인당 국민총생산(GNP)은 103달러에서 한국군 철수가 끝난 1974년엔 5배가 넘는 541달러로 국민 소득을 향상시켰다. 베트남 파병은 한국 경제의 활로를 트고 군을 현대화하는 데 기여하였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베트남 파병이 국군의 목숨을 담보로 한 미국의 용병일 뿐이었다는 비판도 있다. 국가기록원의 박정희의 공식 종교는 불교이다. 하지만 일부에선 주장하기를, 박정희는 종교가 없으며, 외부에 불교로 알려진 것은 불교신도인 부인 육영수 여사의 영향을 받아 친불교 행보를 보여서라는 주장도 있다. 1970년대에 일부 기독교 교회가 반정부 투쟁에 앞장서자 박정희는 서구적인 가치관을 추종하는 풍조를 지적, 기독교계를 비판하며 국적 있는 종교 로서의 신라 불교 정신을 여러 번 강조했다. 이 때문에 박정희를 불교 신도로 생각한 사람도 많았다. 1974년 12월 11일 박정희는 청와대 참모들 앞에서 천주교계에 대해서 불평을 털어놓은 뒤에 "교회에서 정치에 간섭하면 우리도 교회에 간섭할까?"라는 농담을 했다.(민청학련 사건으로 지학순 주교가 구속된 계기로 천주교 사제들이 정의구현전국사제단이 결성된 후 신부들을 연행과 구속이 되는 일이 있었다.) 1972년 지폐 도안을 놓고 기독교 등 종교계와 갈등하기도 했다. 만원권 지폐가 처음 도안됐는데 한국은행에서는 만원의 주인공으로 석굴암의 불상(앞면), 뒷면이 불국사로 정하였고, 박정희의 친필 서명까지 하였다. 새로 발행된 만원은 그의 재가를 얻어 발행공고까지 냈다. 그러나 기독교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이에 만원권의 주인공은 세종대왕으로 교체되었다. 목사 강원룡의 증언에 의하면 정변 직후 박정희의 군사 혁명을 이데올로기로서 좌익이라고 본 사람은 거의 없었고 군인들이 일으킨 혁명인 데다, 6개 혁명공약의 제1항에 ‘반공을 국시의 제일로 삼고 반공태세를 재정비 강화할 것’이라고 못박았으니 아무도 의심하지 않았는데, 차츰 그의 과거가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언론에 보도됐고 윤보선이 선거에서 이 점을 본격적으로 부각시킨 것이라고 한다. 당시 5·16 정변이 일어날 무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군사·경제적으로 상당한 역량을 갖추고 있었다. 소련, 중공과 군사동맹도 맺고 있었고, 4·19 혁명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남조선 인민들이 봉기했으니 우리가 도와야 한다’는 말까지 나왔기에 공산주의라고 하면 다들 무척 예민해질 수밖에 없었던 배경을 들어 박정희의 좌익 전력이 커다란 파문을 일으켰다고 보았다. 광복 후에는 남조선로동당에서 활동했다. 그의 형 박상희의 죽음으로 이에 따랐다는 견해와 박상희의 죽음 이전에 자발적으로 사회주의자가 되었다는 견해로 나뉘어 있다. 실제로 박정희는 공산주의자들이 지금까지 남한내에서 감행했던 것 중에 가장 큰 규모였으며 가장 성공에 가까웠던 정부전복 기도사건(1947~48년 대한민국 국방경비대 침투사건)을 지도했으며., 광복 직후 남조선로동당에서 활동하면서 여수-순천 반란에 연루되어 일시적으로 직급을 박탈당하였다가 복귀하였고 그 뒤 사상 전향을 하였다고 하나 정부로부터 진실된 전향인지 의심되었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직후 미국은 박정희의 남로당 행적에 관하여 그의 사상을 의심하였으며 제5대,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당시 민주당 대통령 후보였던 윤보선에게 사상공세를 당했다. 박정희 정권 때 산업화 노력에 주력한 세대는 대한민국의 산업화세대 로 불리기도 한다. 박정희 정권을 개발독재 라는 표현도 쓰이고 있다. 국가주도의 산업화 과정에서 한국 사회에 재벌 계층이 등장했으며, IMF 구제금융사건이후 재벌, 관치금융, 정경유착에 대한 비판이 등장했다. 한일회담의 과거사문제 등으로 이후에도 한일 외교관계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그린벨트 정비와 새마을운동 정책으로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인구집중을 방지하는 한편 환경보전에 긍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이후 2008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방안 이라는 명칭으로 그린벨트가 훼손되기 시작하였고, 그 이후 시민의 권익증진을 우선하는 정책이 경쟁적으로 나오면서 환경보전 정책은 더욱 후퇴되었고 무분별한 개발로 농촌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국무총리로 재임 중이었던 최규하는 박정희 사후 1979년 12월 6일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민주주의에 대한 기대로 서울의 봄을 맞이하였으나, 육군 소장인 전두환이 12·12 군사 반란을 일으키고 집권 후에는 박정희와 차별을 두었다. 전두환은 차별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헌법에서 소위 "5·16 혁명정신"에 관련된 사항을 삭제하였으며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폐지하고 하나회 계열에 부정적인 공화당 실세들을 권력형 비리 혐의와 연관하여 제거하였고, 박정희의 시대를 부정과 부패, 비리의 시대로 규정하고, 자신들은 정의사회 구현을 추구한다고 선언하였다. 1972년, 여의도에 조성한 5·16 광장의 명칭을 여의도 광장(지금의 여의도 공원)으로 바꾼 것 또한 이 때의 일이다. 백지계획은 10·26사태로 백지화되었으며, 전두환 정부는 핵개발 포기선언 , 노태우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 선언 을 했다. 월남전 파병에 대한 논란이 있다. 한국군 현대화의 긍정적 평가도 있는 반면 미국의 패배로 끝난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을 파병하여 ‘경제개발을 대가로 피를 헐값에 팔아 넘겼다’는 비판도 있다. 구 공화당과 유신정우회 출신 중 일부는 부정축재혐의로 제거되었으나, 일부 정치금지법에 제한되지 않은 구 공화당과 유정회 인사들은 1981년 1월 한국국민당을 창당하여 박정희 정권의 경제성장을 정치적 유산으로 삼아 명맥을 이어갔다. 원내 제1당을 목표로 한 국민당은 몰락했으나 1987년 전두환 정권에 반발하여 6월 항쟁이 일어난 후, 노태우 민주정의당 대표의 6·29 선언으로 대통령 직선제가 다시 실시되었고, 전두환 정권에 의해 정치활동금지법에 묶였던 일부 공화당계 인사들이 풀려나면서 김종필의 신민주공화당을 중심으로 다시 결집하였으나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했다. 1990년 3당 합당을 통해 거대 여당인 민주자유당으로 탄생되었으나, 당내의 통일민주당의 김영삼계 정치인들과의 갈등으로 탈당한 인사들은, 또 다시 공화계 주축으로 독립된 자유민주연합을 창당하였다. 이후 자유민주연합은‘DJP연합’으로 국민의 정부를 탄생시켰으나, 2006년 자유민주연합은 해체되고 일부는 한나라당에 흡수되었다. 박정희의 친딸인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 역시 박정희 사후 육영재단과 정수장학회 등을 운영하다가 1998년 한나라당 국회의원으로 정치를 시작하여, 한나라당의 유력 대선후보로서 정치계의 주목받는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후 친이명박계와의 갈등으로 이후 친박연대를 창당한 인사들의 지지를 받았다. 이후 2012년 12월 19일 실시된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51.6%의 득표율로 대한민국의 제18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부녀 대통령으로 기록되었다. 한편 박정희의 셋째 딸인 박서영 역시 1997년 한나라당에 입당했고 2008년부터 한나라당 충북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을 지내는 등의 행보를 보이고 있다. 새로 창립된 민주공화당의 총재 허경영은 자신이 박정희의 비밀 정책보좌관이었다고 주장하며 제2의 박정희 를 자칭하였다. 그러나 그는 공직선거법위반, 명예훼손 혐의 등으로 구속 기소되어 1년 6개월의 형기를 마치고 지난 2009년 7월 출소했다. 2007년, 17대 대통령 선거 당시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후보는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과학기술입국을 과학기술강국의 시대로 이끌어내겠다"는 발언을 하였는데 이외에도 "박 전 대통령이 독재하고 억압했지만 미래 먹거리와 관련해 고민했던 것만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박 전 대통령이 씨뿌리고 가꾼 것을 토대로 다음 단계로 도약해야 한다"는 발언을 통해 박정희 대통령 지지자들에게 자신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였다. 노무현 정부는 지방분권정책을 추진하면서 신행정수도 이전을 강조하였는데 이와 관련해 2005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70년대 후반에 박 대통령이 계획하고 입안했던 것을 이제와서 실천하고 있는 것”이라며 “적어도 행정도시에 관한 한 박정희 정부의 업적을 제가 충실히 계승하고 있다고 생각하니까 느낌이 좀 묘하다”고 발언하였다. 이명박 대통령이 발표한 세종시 수정안 을 둘러싸고 한나라당의 친이계와 친박계가 충돌했다. 친이계와 김영삼은 연일 영남지역주의와 박정희 집권기를 비판하며 친박계를 공격했고, 대구경북을 비롯한 한나라당 지역 정치권과 친박계는 반발했다. 박근혜가 세종시 원안 고수를 강력히 주창하는 데는 행정수도 이전과 지역균형 발전이라는 ‘선친의 유훈(遺訓)’의 영향이 있을것이며, 세종시 문제는 이명박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의 충돌이라는 평가도 있다. 1917년 11월 14일 - 박성빈과 백남의의 5남 2녀 중 5남으로로 출생 1926년 - 구미공립보통학교 입학 1932년 - 구미공립보통학교 졸업, 대구사범학교 입학. 1936년 - 3년 연하의 김호남과 결혼 1937년 - 대구사범학교 졸업, 문경보통학교 교사 부임 1937년 - 장녀 재옥 출생 1938년 - 부친 박성빈 사망 1940년 -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제2기 입학 1942년 - 신징 군관학교를 졸업, 일본 육군사관학교 57기로 편입학 1944년 - 일본 육군사관학교 졸업, 만주국군 보병 제8단에 소위로 임관 1945년 - 한국 광복군 제3지대 제1대대 제2중대장 1946년 - 9월 조선경비사관학교(현 육군 사관학교의 전신) 2기생으로 입학. 12월 졸업, 소위 임관 1946년 - 10월 대구폭동 중 셋째 형 박상희 사망 1948년 - 여순 14연대 반란사건에 연루되어 체포 1949년 - 육군본부 전투정보과장 1949년 - 모친 백남의 사망 1950년 - 한국전쟁 발발 이후 육군소령으로 복직 1950년 - 11월 김호남과 이혼 1950년 - 12월 육영수와 결혼 1955년 - 제5사단 사단장 1957년 - 육군대학교 졸업, 제7사단 사단장 1959년 - 육군 제6관구 사령관을 지냄 1960년 - 1월에는 부산 군수기지 사령관, 12월에는 제2군사령부 부사령관 역임, 둘째 형 박무희 사망 1961년 5월 16일 - 5·16 군사 정변을 일으켜 장면 정권을 실각시킴 1961년 5월 18일 - 군사혁명위원회 부의장(20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명) 1961년 7월 -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1962년 - 3월 22일 윤보선의 사퇴로 대통령 권한대행, 7월 겸임 내각 수반 1962년 - 아르헨티나와 외교 시작 1963년 - 윤보선을 15만 표 차로 누르고 대통령 당선,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취임 1963년 - 제2대 민주공화당 총재, 문화재보수 5개년 계획 수립 1963년 - 서독에 광부와 간호사를 보내 임금을 담보로 1억4000만 마르크를 빌림 1965년 - 일본과의 외교관계를 정상화하는 한일협정 타결 1965년 - 미국 대통령 린든 B. 존슨과의 합의에 의해 배틀 머모리얼 대학과 자매기관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설립 1967년 - 윤보선을 다시 누르고 6대 대통령으로 재선, 산림청 개청 1968년 - 1·21사태 한국군복장을 한 북한공비 31명 국내 잠입. 수류탄을 던지고, 기관단총을 무차별 난사, 청와대 습격과 정부요인 암살시도. 1968년 - 여운형 추모회 고문. 1969년 - 3선 개헌을 통과시킨 후 1971년 김대중을 95만 표차로 이기고 3선에 성공, 베트남 전쟁에 한국군 파병 1970년 - 경부 고속도로 준공식, 수출 10억 달러 달성, 국방과학연구소 설립, 새마을 운동 제창 1971년 - 국고로 아르헨티나의 국토 중 일부 구매 후 농민을 엄선하여 파견함 1971년 - 서울 홍릉에 한국과학기술원의 전신, 한국과학원 설립 1972년 - 7월 4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통일관련 공동성명 발표 (7.4 남북 공동 성명) 1972년 10월 17일 - 국회 해산 및 계엄령 선포, 1차 유신헌법 찬반 국민투표 실시 91.5% 찬성표를 얻었으며 그해 12월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10월 유신), 남북공동성명 발표 1973년 8월 8일 - 김대중 납치사건 1974년 8월 15일 - 광복절 기념식에서 재일동포 문세광의 저격 시도로 영부인 육영수 사망(육영수 저격사건) 1975년 4월 9일 - 인혁당 재건 사건으로 사법살인 자행 1975년 1월 22일 - 2차 유신헌법 찬반 재신임 투표에서 73.1% 찬성표를 받아 재신임을 받음 1976년 8월 - 칠백의총 주변 기념관, 주차장, 관리사무소 등 기타시설 건립 지시 1977년 - 1인당 국민소득 1,000달러 돌파, 수출 100억달러 달성, 부가가치세 시행 1977년 12월 - 78년부터 서울을 제외한 전국 국민학교 학생에게 교과서를 무상으로 지급하는 제도를 확정 1978년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개관(68년 박종홍의 건의를 받아들여 추진) 1978년 12월 27일 - 9대 대통령에 선출, 세계에서 7번째로 국산장거리 지대지유도탄 및 중거리유도탄, 다연발로켓 시험 발사 성공 1979년 10월 - 남민전(남조선민주주의민족전선) 관련자 검거, 크리스찬아카데미 관련자 검거 1979년 10월 26일 오후 8시경 - 서울 궁정동 안가에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총격(10·26 사건)을 받고 병원에 옮겨졌으나 사망 1979년 11월 3일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여 1932년 구미보통학교 졸업 1937년 대구사범학교 졸업 1942년 신징 군관학교 2기 졸업 1944년 일본 육군사관학교 57기 졸업 1946년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2기 졸업 1947년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1952년 미국 육군포병학교 졸업 1957년 육군대학 졸업 만주국 육군 소위 만주국 육군 중위 조선국방경비대 소위 조선국방경비대 대위 조선국방경비대 소령 100px 100px 100px 100px 100px 1944년 12월 23일 1945년 7월 1일 1946년 12월 14일 1947년 9월 27일 1948년 8월 1일 대한민국 육군 중령 대한민국 육군 대령 대한민국 육군 준장 대한민국 육군 소장 대한민국 육군 중장 대한민국 육군 대장 100px 100px 100px 100px 100px 100px 1950년 9월 15일 1951년 4월 15일 1953년 11월 25일 1958년 3월 1일 1961년 8월 11일 1961년 11월 1일 박정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주석 김일성으로부터 증금강산 선녀도와 동봉된 김일성 친필 명함, 청자목문(靑磁牧文) 항아리를 선물로 받았다. 이 선물들은 2009년 1월 공개되었다. 경상북도 구미시가 박정희 기념 행사를 열어 논란을 일으켰다. 하순봉 전 국회의원은 박정희가 대한민국의 핵무기 개발에 주력하였다고 주장하였다. 2016년에는 우정사업본부가 2017년 9월 15일에 박정희 대통령 탄생 100주년 기념 우표 60만장을 발행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그러나 독재자를 미화하고 우상화한다는 점,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에 논란이 있기 때문에 기념우표 발행은 적절치 않다는 점, 우정사업본부의 《우표류 발행업무 처리 세칙》에서는 정치적·종교적·학술적 논쟁의 소지가 있는 소재의 경우에는 기념우표를 발행할 수 없다는 점으로 인해 강력한 반대 여론에 부딪혔고 우정사업본부는 2017년 7월 12일에 서울중앙우체국에서 열린 우표발행심의위원회 회의를 통해 발행 계획을 철회했다. 한국에서 근무한 적이 있던 한 일본인 외교관이 자신의 저서에서 대일본제국 최후의 군인이 죽었다고 평하였다. 박정희는 집안의 강요에 의해 김호남과 결혼했으나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이혼했고 그 이후 육영수와 결혼했다. 이 당시 박정희의 슬하에는 14살의 딸 박재옥이 있었다. 박정희는 육영수와 결혼하기 직전에 이화여대생(원산 루시여고 출신)인 이현란과 약 3년간(48년~50년 초) 동거하는 사실혼 관계였다. 박정희가 여순사건에 연루되어 감옥생활을 하는 사이에 둘 사이가 멀어졌다. 둘 사이에는 아들이 있었으나 얼마 안되어 죽었다. 이현란은 바로 재혼하고 김호남 역시 재혼하였다. 그는 집권 당시 드라마에 강력한 규제를 내렸으며, 대체로 검열 대상이 된 것은 왜색이 짙은 것, 퇴폐적인 것, 저속한 것이었다. 1960년대 이후로 자유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미국의 팝 음악과 미니스커트, 장발 문화, 일본 만화에 대해 정권 차원의 대대적인 단속이 이루어졌다. 1973년 경범죄처벌법 개정으로 단속을 위한 법적 근거를 갖추었으며, 이는 1988년이 되어서야 개정되었다.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비고 제5대 대선 대통령 5대 민주공화당 46.6% 4,702,640표 1위 25px 제6대 대선 대통령 6대 민주공화당 51.4% 5,688,666표 1위 25px 제7대 대선 대통령 7대 민주공화당 53.2% 6,342,828표 1위 25px 제8대 대선 대통령 8대 민주공화당 100% 2357표 1위 25px 단독후보 제9대 대선 대통령 9대 민주공화당 100% 2377표 1위 25px 단독후보 아버지 박성빈 (朴成彬, 1871년 6월 6일 ~ 1938년 9월 4일) 어머니 백남의 (白南義, 1872년 9월 22일 ~ 1949년 8월 12일) * 배우자 김호남 (金好南, 1920년 ~ 1991년) ** 장녀 박재옥 (朴在玉, 1937년 11월 24일 ~ ) ** 사위 한병기 (韓丙起, 1931년 6월 8일 ~ 2017년 4월 21일 ) * 배우자 육영수 (陸英修, 1925년 11월 29일 ~ 1974년 8월 15일) ** 차녀 박근혜 (朴槿惠, 1952년 2월 2일 ~ ),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 3녀 박근령 (朴槿令, 1954년 6월 30일 ~ ) ** 사위 신동욱 (1968년 1월 16일 ~ ) ** 장남 박지만 (朴志晩, 1958년 12월 15일 ~ ) ** 자부 서향희 (1974년 6월 30일 ~ ) 조갑제,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박정희 일대기 형식 이인화, 《인간의 길》 김진명,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백무현, 《만화 박정희》, 박정희에 대한 만화 허경영, 《무궁화 꽃은 지지 않았다》 괄호 안은 박정희를 연기한 배우이다. 1987년 - 《욕망의 문》, KBS2 (이진수) 1989년 - 《무풍지대》, KBS2 (신종섭) 1989년 - 《제2공화국》, MBC (이진수) 1990년 - 《야망의 세월》, KBS (정욱) 1990년 - 《여명의 그날》, KBS(백준기) 1993년 - 《제3공화국》, MBC, 김상민 - 소년 박정희 역 1993년 - 《제3공화국》, MBC, 홍경인 - 청소년 박정희 역 1993년 - 《제3공화국》, MBC, 이창환 - 청년 박정희 역 1993년 - 《제3공화국》, MBC, 이진수 - 장년 박정희 역 1995년 - 《전쟁과 사랑》, MBC, 이진수 1995년 - 《제4공화국》, MBC (이창환) 1995년 - 《코리아게이트》, SBS (독고영재) 1998년 - 《삼김시대》, SBS (이창환) 1998년 - 《야망의 전설》, KBS (정욱) 2003년 - 《야인시대》, SBS (이창환) 2004년 - 《영웅시대》, MBC (독고영재) 2005년 - 《제5공화국》, MBC (이창환) 2009년 - 《김수환 추기경에 관한 마지막 보고서》, 평화방송 드라마 (이창환) 2013년 - 《대한민국 정치비사》, MBN (이창환) 2014년 - 《불꽃 속으로》, TV조선 (독고영재) 괄호 안은 박정희를 연기한 배우이다. 1995년 -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이균식) 2004년 - 효자동 이발사, (조영진) 2005년 - 그때 그 사람들, (송재호) 2006년 - 잘 살아보세, (이창환) 민족과 운명, (김윤홍) 2013년 - 다큐극장, (이창환) 제3공화국 제3공화국 (드라마) 제4공화국 제4공화국 (드라마) 5·16 군사 정변 10월 유신 10·26 사건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토종합개발계획 국민교육헌장 그린 벨트 독도밀약 새마을 운동 대한민국 제2공화국 오노 반보쿠 오원철 육영수 허먼 칸( Herman Kahn) - 박정희 대통령의 미래학 교사 윤보선 친일파 좌파 파시즘 차지철 최규하 전두환 민주공화당 정수장학회 여순반란 남로당 만주국 김영삼 의원제명 파동 김옥선 파동 부마민중항쟁 김학규 김성진 육인수 이석제 유원식 지미 카터 박종규 박동선 사건(코리아게이트) 제2차 세계대전 김종필 김대중 김영삼 김정렴 유원식 윤치영 이한빈 박상희 한국 전쟁 박근혜 송요찬 장경순 린든 B. 존슨 존 F. 케네디 장제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윤필용 이승만 이후락 장도영 장준하 장면 조갑제 지만원 김재규 정구영 황태성 기시 노부스케 세지마 류조 고다마 요시오 마치이 히사유키 사사카와 료이치 미군 위안부 박근혜 《우리 민족이 나아갈 길》 《민족의 저력》 《민족중흥의 길》 《국가와 혁명과 나》 《조국 근대화의 지표》 《지도자의 길》 《한국 국민에게 고함》 《연설문집》 《수기집-나의 어린 시절》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1960년대편 1권》,《한국 현대사 산책 1970년대편 1권》(인물과사상사, 2004) 김정렴, 《아, 박정희 - 김정렴 정치 회고록》(중앙M&B, 1997) 김성진, 《박정희 시대》(조선일보사, 1994) 김일영, 《건국과 부국 이승만 박정희 시대의 재조명》(도서출판 기파랑, 2010) 김종신, 《박정희 대통령과 주변사람들 》(한국논단, 1997) 김종신, 《영시의 횃불 박정희 대통령 수행기자 7년의 기록》(도서출판 기파랑, 2011) 김형아, 《박정희의 양날의 선택》(일조각, 2005) 박봉현, 《박정권 19년을 해부한다》(고려출판사, 1991) 박정희, 《한국 국민에게 고함》(동서문화사, 2005), 《국가와 혁명과 나》(향문사, 1963),《하면 된다! 떨쳐 일어나자》(동서문화사, 2005),《나라가 위급할때 어찌 목숨을 아끼리》(동서문화사, 2005) 심융택 《백곰 하늘로 솟아오르다 박정희 대통령의 핵개발 비화》(도서출판 기파랑, 2013) 안병훈 《사진과 함께 읽는 대통령 박정희》(도서출판 기파랑, 2012) 오원철,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 강국 만들었나》(동서문화사, 2006) 유원식, 《5·16 비록 혁명은 어디로 갔나》(인물연구소, 1987) 이경준 《민둥산을 금수강산으로 박정희가 이룬 기적》(도서출판 기파랑, 2010) 이근미 《역사를 바꾼 대통령 박정희》(도서출판 기파랑, 2013) 이상무 《만화 박정희》(도서출판 기파랑, 2011) 이석제, 《각하,우리 혁명합시다》(1995, 서적포) 이한빈, 《일하며 생각하며:이한빈회고록》(조선일보사, 1996) 전재호, 《반동적 근대주의자 박정희》(책세상, 2000) 정재경, 《한민족의 중흥사상-박정희 대통령의 정치철학》(신라출판사, 1979), 《박정희 사상 서설:휘호를 중심으로》(집문당, 1991), 《박정희 실기-행적초록》(집문당, 1994) 조갑제,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1 초인의 노래》(조선일보사, 1998),《박정희의 마지막 하루》 (월간조선, 2006) 조갑제 《박정희의 결정적 순간들 62년 생애의 62개 장면 》(도서출판 기파랑, 2009) 홍하상, 《주식회사 대한민국 CEO 박정희》(2005, 국일미디어) 조희연, 《박정희와 개발독재시대》(역사비평사, 2007) 진중권, 《네 무덤에 침을 뱉으마 1, 2》(개마고원, 1998) 최상천, 《알몸 박정희》(사람나라, 2001) 허경영, 《무궁화 꽃은 지지 않았다》(한강사, 2000) 전인권, 《박정희 평전:박정희의 정치사상과 행동에 관한 전기적 연구》 (이학사, 2006) 이만섭, 《5·16과 10.26 박정희 김재규 그리고 나》 (나남, 2009) 박정희 대통령 기념관 박정희 전자도서관 분류:1917년 태어남 분류:1979년 죽음 분류:대한민국의 대통령 분류: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후보 분류: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후보 분류: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후보 분류:대한민국 제8대 대통령 후보 분류:대한민국 제9대 대통령 후보 분류:대한민국 육군 대장 분류:대한민국의 반란자 분류:5·16 군사 정변 관련자 분류:쿠데타로 집권한 지도자 분류:친위 쿠데타를 한 지도자 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 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사 분류:관동군 관련자 분류:만주국의 군인 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분류: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관련자 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 분류:구미시 출신 분류:고령 박씨 분류:대구사범학교 (1923년) 동문 분류:구미초등학교 (경북) 동문 분류:일본 육군사관학교 동문 분류:육군사관학교 동문 분류:조선경비보병학교 동문 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 분류:미국 육군포병학교 동문 분류:육군대학교 동문 분류:경북대학교 동문 분류:대한민국 제2공화국 분류:대한민국 제3공화국 분류:대한민국 제4공화국 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분류:화기에 죽은 사람 분류:암살된 정부수반 분류:암살된 국가원수 분류:대한민국의 암살된 정치인 분류:암살 미수 생존자 분류:박근혜 분류:박성빈 가 분류: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분류:대한민국의 극우 정치
고건 (髙建, 1938년 1월 2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고건은 1938년 1월 2일에 서울에서 아버지 고형곤과 어머니 장정자 사이에서 3남 2녀 중 3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고형곤은 학술원 회원을 역임한 철학자로 이승만 정권과 박정희 정권 당시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한 탓에 내사와 탄압을 받기도 했다. 큰형 고석윤은 행시와 사시에 모두 합격했고 이후 상공부 상역국장을 지내다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하던 아버지가 검찰의 내사를 받자 공직을 사퇴한 후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작은 형 고경윤은 일찍 사망했다. 서울에서 태어났으나 본적지는 전라북도 군산이며, 본관은 제주이다. 학창 시절 내내 서울에서 거주하였으며 경기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정치학과에 진학한다. 대학 재학 중 1959년 서울대 총학생회장을 지냈으며, 서울대를 졸업하고 1961년 제13회 고등고시 행정과에 합격하였다. 고시에 합격한 아들에게 아버지 고형곤은 공무원으로 지켜야 할 3계명을 줬다. "줄서지 마라, 돈받지 마라, 술 잘 먹는다는 소문을 내지 마라."이다. 후일 고건은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아버님의 말씀대로 살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술은 어쩔 수 없었다."고 회상했다. 지방행정사무관에 임용된 뒤 1962년 내무부 수습사무관, 이후 여러 보직을 거쳐 1965년 내무부 행정과 기획계장, 1968년 서기관으로 승진, 전라북도청 식산국장과 내무국장을 거쳐, 1971년부터 1973년까지 내무부 지방국 지역개발담당관, 새마을담당관 등을 지냈다. 행정관리관으로 승진, 1973년 강원도 부지사, 내무부 지방국장, 1975년 전남지사를 거쳐 1979년 대통령 정무제2수석비서관,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다. 1980년 국토개발연구원 고문에 선임되었으나, 1980년 5월 17일 신군부가 비상계엄 확대조치를 내리자 5.17을 군정으로 간주하고, 군정하에서 일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생각해 사표를 냈다. 1980년 9월 전두환 정권이 들어선 후 고건은 교통부 장관과 이듬해 농수산부 장관을 지내고, 미국으로 유학, 1983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연구원으로 있다가 이듬해 1984년 미국 M.I.T. 국제문제연구소 객원교수로 임명되었으나 곧 귀국한다. 1985년 민주정의당 소속 국회의원으로 당선됐으며, 민정당 지방자치제특별위원회 위원장, 1987년 민주정의당 전북도 지부장, 내무부 장관을 지냈다. 내무부 장관에서 하야한 뒤 서울 종로에 사무실을 하나 열고 칩거하던 중 1988년 민정당 군산지구당 위원장, 민정당 전라북도 지부장에 임명되고, 1988년부터 1990년까지 서울시 관선 시장을 지내고 뒤이어 1991년부터 공동체의식개혁국민협의회 공동대표와 명지대학교 총장직에 있다가 1995년 한국그린크로스 공동의장, 1996년부터 1997년까지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를 거쳐, 문민정부의 마지막 국무총리를 지냈다. 1998년 3월 3일 퇴임 다음날 대통령 취임일 각료제청권을 재청하고 물러나는 진기록을 세웠다. 이는 김종필 총리 서리가 인준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해 6월 새정치국민회의 공천으로 서울시장 선거에 당선되어 4년간 시정을 이끌었다. 1998년 4월 그는 명지대학교 석좌교수에 특별 임용되었다. 고건은 2001년 한국상하수도협회 초대회장, 2002년 국제투명성기구 대한민국지부 회장에 선출되었다. 2003년 다시 입각제의를 받고 입각, 고건은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 첫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직무를 수행하던 중 2004년 3월 12일 대한민국 국회가 193대 2로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안을 의결하여 노무현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되면서 헌법에 의거하여 대통령의 권한을 대행했다. 탄핵 소추되었을 무렵의 노무현 대통령 고건이 대통령의 권한을 대행하게 되자 외신, 특히 미국계 외신은 특별한 기대와 관심을 보여왔다. 미국 AP통신은 12일(현지시간) 고 총리가 과거 군사정권과 김영삼, 김대중 정부에서도 활동했던 인물이라면서 보수와 진보 성향의 정권 모두로부터 신뢰를 받아왔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한국에서 국무총리는 통상 의전적인 역할만을 맡아왔지만 고총리가 정치적 격변기를 맞아 자신의 경력에서 가장 큰 고비에 직면했다면서 탄핵안을 주도한 야당조차도 "고총리가 있기 때문에 국정 운영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NYT)는 고 총리가 지난 97~98년 외환위기 당시 총리를 지냈던 경험을 살려 헌법재판소가 탄핵심판 결정을 내리기까지 임시 수반으로서의 역할을 해낼 것이라면서 정치 분석가들은 고총리의 풍부한 행정 경험, 격동의 시기에 안정적인 스타일의 리더쉽을 발휘해온 점을 평가하고 있다 고 발표했다. 영국 BBC는 고 총리를 한국의 안정적인 리더(South Korea"s "steady" leader)라는 제하의 기사에서 비교적 자세히 논평을 실었다. 요지는 세 번의 장관, 두 번의 서울 시장에 이어 국무총리도 두 번째로 역임하는 등 요직을 두루 거치면서 정국을 안정시키고 원활히 돌아가도록 하는 역할을 잘 해 온 인물이었다는 것. BBC 역시 고 총리를 "미스터 안정(Mr.stability)" "행정의 달인(Master Administrator)"으로 지칭했다. BBC는 고 총리가 핵심 요직에 있을 때마다 나라를 뒤흔들 만한 대형 사건이 많았다면서 그가 특히 보수파들에게 어필하면서 노대통령을 잘 보좌해 왔다고 평가했다. BBC는 대미관계에 있어 비굴한 아부는 하지 않겠다며 대선 당시부터 마찰을 빚어왔던 노대통령과 달리 고 총리는 미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데 있어 신중한 태도를 보여 왔다는 점을 강조했다. 미국 언론의 관심 이후 외신들의 특별한 관심 속에 대통령 권한대행에 취임했다. 고건은 2개월 동안 이라크 파병문제나 경제문제, 특히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의 공정한 관리라는 역할을 무리 없이 수행했다는 평을 받는다. 노무현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한 후 자동으로 대통령의 권한대행을 종료하고 5월 24일 국무총리직에서 물러났다. 노무현의 대통령 탄핵기간 중 고건은 민심과 여의도 국회의 분노를 수습하는 등 무난한 수습 노력을 보였다는 평가가 있다. 그러나 대통령직에 복귀한 노무현은 그를 총리로 기용한 것은 인사실패라고 비판하여 설전을 벌였다. 2006년 12월 15일 광주 전남방문에서 그는 "정부가 할 일은 안 하고, 해서는 안 될 일을 하면서 남의 탓만 하고 있다"든가 "임기를 못 채울 수도 있다는 무책임한 충격 발언으로 국민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며 대통령과 참여정부를 비판했다. 노무현은 12월 21일 민주평통 상임위원회 에서 고 전 총리 기용에 대해 "중간에 선 사람이 양쪽을 끌어 당기질 못하고 스스로 고립되는 그런 결과가 되기도 했다"며 " 하여튼 실패한 인사다. 결과적으로 실패해 버린 인사다"라고 말했다. 이어 "오히려 나와 정부에 참여한 사람들이 다 왕따가 됐다. 결과적으로 실패한 인사였다" 고 하여 노무현은 고건의 기용을 인사 실패라고 규정했다. 고건 측에서는 평가는 국민의 몫 이라고 즉각 반박했다. 고건의 한 측근은 그 날 "(그가) 사상 초유의 탄핵사태를 맞아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로서 위기를 원만하게 수습한 고 전총리에 대한 평가는 국민의 몫이다"라고 말했다. 인사실패 발언이 일파만파로 커지자 고건은 12월 22일 언론에 성명을 발표했다 22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발언은 한마디로 자가당착이며 자기부정"이라며 자신의 총리 기용을 `인사 실패 로 규정한 노 대통령의 전날 발언을 정면 비판했다. 이어 그는 노무현 대통령 등의 고립에 대해 "따돌림 당한 것은 오만과 독선, 무능력탓"이라고 정면 반박했다. 고건은 또 "노 대통령과 참여정부가 국민으로부터 따돌림을 당했다면 상생과 협력의 정치를 외면하고, 오만과 독선에 빠져 국정을 전단(專斷)한 당연한 결과"라며 반박했다. 덧붙여 "노 대통령이 스스로 인정하는 `고립 은 국민을 적과 아군으로 구분하는 편가르기, 민생문제도 챙기지 못한 무능력, `나누기 정치 로 일관한 정치력 부재의 자연스런 귀결"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내가 총리직에서 물러난 뒤에는 여당이 원내 제1당이었음에도 국정운영은 난맥을 거듭했다"면서 노 대통령의 발언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내가 총리로 재직하는 동안은 집권당인 열린우리당 의석이 46석에 불과한 여소야대 정국이었다"며 "총리 주재로 4당 정책위의장과 원내대표가 참여하는 국정협의회를 정례화해 국가적 현안과제들을 정치권과 조율을 통해 원만히 해결해 나감으로써 큰 차질없이 국정을 운영한 바 있다"고 말했다. 고건은 또 "참여정부 초대 총리직을 제의받았을 때 많이 망설였고, 또 고뇌했다"며 "그러나 안정속의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는 많은 사람들의 권유와 종용에 따라 이를 수락했다"며 억울함을 내비쳤다. 이어 그는 "헌정사상 초유의 대통령 탄핵사태를 맞아 권한대행으로서 국민의 협조를 얻어 국가적 위기를 원만하게 수습한 데 대한 평가는 국민의 몫"이라며 "국가 최고지도자의 언행은 신중하고, 절제돼야 한다."고 반박했다. 비판 성명 발표 이후 성명 내용이 강경하다. 는 한 언론의 질문에 대해 고건은“그런 것 아니다. 내가 늘 해오던 얘기 중에서 지금 상황에 맞는 말을 모은 것 뿐이다.”라고 응답했다. 일각에선 "고 전 총리가 노 대통령을 비롯한 참여정부와의 인연을 완전하게끊는 계기로 삼을 것 같다"는 분석도 제기되었었다. 이후 그의 한 측근은 "참여정부 초대 총리라는 타이틀이 오히려 부담이 되는 상황이었다"며 "노 대통령의 발언 때문에 이제 부담없이 `이혼도장`을 찍을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후 그는 17대 대통령 선거의 유력한 대선주자와 대선 후보로 거론됐으며 통합민주신당 영입설, 민주당 영입설, 한나라당 영입설 등이 나타났으나 2007년 1월 16일 언론에 대통령 불출마 선언을 발표했다. 2009년 대통령 소속의 사회통합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는데, 고건이 초대 위원장으로 위촉됐다. 1972년 홍조근정훈장 1982년 청조근정훈장 1998년 국제투명성기구(TI) 세계청렴인 상 2001년 3월 국제투명성기구(TI) 올해의 세계청렴인상 2002년 9월 몽골국 북극성훈장 2005년 암창 상(賞) 《행정도 예술이다》 (2002년) 1994년 지방자치에 대응하는 지방정부의 쇄신과제 1995년 지방화시대의 행정개혁 전략 할아버지 고병소 (髙炳韶) 할머니 창녕 조씨 (曺氏) * 아버지 고형곤 (高亨坤, 1906년 4월 16일 ~ 2004년 6월 25일) * 어머니 장정자 (張貞子, 1914년 ~ 2001년 5월 13일) ** 형 고석윤 (髙錫尹, 1928년 ~ ) ** 형 고경 (髙敬, 1936년 ~ 사망(년도는 불명)) ** 여동생 고혜경 (高惠敬, 1945년 ~ ) ** 여동생 고혜련 (高惠蓮, 1951년 ~ 2013년 5월 1일) ** 배우자 조현숙 (趙賢淑, 1938년 ~ ) *** 장남 고진 (1961년 10월 11일 ~ ) *** 차남 고휘 (1962년 ~ ) *** 3남 고위 (1967년 ~ ) 1956년 경기고등학교 졸업 1960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1978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학과 공학석사 1998년 원광대학교 명예법학 박사 2000년 시라큐스 대학교 명예법학 박사 고건은 행정의 달인, 유능한 관료, 물러설 때와 나설 때를 아는 현명한 관료라는 평가가 있다. 사실상 새마을운동을 기획한 주무책임자로서 농촌부흥운동을 진두지휘했다. 새마을운동 성공이 그를 최연소 도지사(전남·37)로 만든 것이다. 세계 5대 지하철 교통망 구축, 난지도 생태공원 조성, 서울 도시고속도로건설, 한옥마을 복원 등이 업적으로 거론된다. “청렴은 사명감 이전에 나의 생존법칙이다”고 고백했다. 그의 고백이 아니더라도 그의 청렴성은 브랜드화됐다. 그는 오랜 공직생활 속에서도 스캔들이나 부정부패에 단 한 번도 연루된 일이 없다. 그가 행정의 달인이 된 배경에도 청렴성이 자리잡고 있다. 그는 1990년 2월 초 한보 수서택지분양 때 도덕성과 자리를 바꿨다. 청와대 등으로부터 여러 차례 수서택지분양 수의계약 압력을 받았으나 끝내 이를 거부했다. 이 사건이 서울시장(관선) 자리에서 물러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는 게 고 전 총리의 설명이다. 당시 수서특혜분양수사 결과 많은 사람이 구속됐으나 서울시 공무원은 단 한 명도 연루되지 않았다. 이로써 ‘클린 서울’의 명성을 얻었다. 그의 청렴성은 국제적으로 공인받기도 했다. 국제투명성기구는 1998년 그에게 세계청렴인상을 주었다. 일부에선 고 총리가 "예스맨"이란 닉네임으로 불릴 만큼 근성이나 열정이 없다 는 비판도 있다. 처세술의 달인이라는 부정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고건은 생맥주를 즐겨 마시지만 가까운 사람과는 맥주에 소주와 토마토주스, 후춧가루 등을 혼합한 독특한 칵테일을 돌려 마신다. 고건은 인맥 관리로도 유명하였다. 그의 인맥은 오랜 관료생활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는 부임하는 곳, 만나는 사람마다 모임을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료모임, 자문 교수모임은 물론 심지어 부임하는 부처의 출입기자와도 모임을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심지어 김영삼 정권과 김대중간의 갈등을 중재했다 한다. YS정권 말기 DJ와 갈등을 빚을 때도 두 세력에 동시에 인맥을 구축할 정도로 고 전 총리는 인맥관리의 달인이다. 그리고 공직에서 퇴임 후에도 대학총장은 물론 각종 시민단체 등으로 넘나들며 인맥을 구축했다. 여기에는 본인 특유의 부지런함도 작용했다. 한편 격동의 순간마다 잠적하여 위기를 모면했다는 의혹이 있다. 고건은 1979년 10월 박정희 대통령 피습 서거 당시 3일 간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고, 1980년 5월 5·17 비상계엄확대 조치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으로 1주일 간 잠적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특히 이 부분은 2003년 2월 국무총리 인사청문회에서 집중적으로 의혹이 부각됐다. 그 의혹의 제기의 속내는 “당시 국가위기 때 처신은 국가지도자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12대 총선 국회의원(전북 군산시·옥구군) 12대 민주정의당 49.7% 67,179표 1위 옥구군 국회의원 당선 제13대 총선 국회의원(전북 군산시) 13대 민주정의당 35.5% 28,118표 2위 낙선 제2회 지방 선거 서울특별시장 32대 (민선 2기) 새정치국민회의 53.5% 1,838,348표 1위 서울특별시장 당선 분류:1938년 태어남 분류:살아있는 사람 분류:제주 고씨 분류:서울특별시 출신 분류:경기고등학교 동문 분류: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 분류:5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 분류:대한민국의 대학 총장 분류:대한민국의 정치학자 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분류:대한민국의 국무총리 분류:대한민국의 대통령 권한대행 분류:대한민국의 교통부 장관 분류:대한민국의 내무부 장관 분류:대한민국의 농수산부 장관 분류:대한민국의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 분류:전두환 정부의 국무위원 분류: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 분류:민주정의당 분류:민주자유당 당원 분류:새정치국민회의 분류:새천년민주당 당원 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 분류:명지대학교 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미국 국가표준 협회 로고 미국 국가표준 협회 (, ANSI)는 미국에서 제품, 서비스, 과정, 시스템, 인력관리 분야에서 표준을 개발하는 것을 감독하는 비영리 민간 기구로서, 미국을 대표하여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 가입하였다. 이 협회는 미국의 제품이 전세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미국의 표준을 국제표준에 맞추는 활동도 한다. 이 협회는 다른 표준화 기구나 정부 기관, 소비자 단체, 회사 등이 개발한 표준을 승인하기도 한다. 그럼으로써 용어를 통일하고, 제품의 특성, 성능, 테스트 방법 등에서 일관성을 유지한다. 이 협회는 제품이나 인력의 인증 기구가 국제표준에서 정의된 기준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승인하기도 한다. 이 협회가 제정한 표준을 "ANSI"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미국 내 표준이지만, 국제 표준화 기구의 ISO 표준보다 먼저 제정되는 경우도 많으며, ANSI 표준이 ISO 표준이 되기도 한다. 1918년 이전에 다음의 5개 학회는 공학 학회 연합(United Engineering Society, UES)을 구성하고 있었다. 미국 전기 기술자 협회(Americ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AIEE) - 지금의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미국 기계 학회(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SME) 미국 토목 학회(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SCE) 미국 광업 학회(American Institute of Mining Engineers, AIME) - 지금의 미국 광업 야금 석유기술 연구소(American Institute of Mining, Metallurgical, and Petroleum Engineers) 미국 시험 재료 학회(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 지금의 국제 재료 시험 학회(ASTM International) 이들 5개 학회는 1918년 전쟁부, 해군, 상무부라는 3개 정부기관과 함께 국가표준 기구 설립을 추진했고, 그 결과 미국 공학표준 위원회(American Engineering Standards Committee, AESC)가 발족했다. 이 위원회는 1928년 미국 표준 협회(American Standards Association, ASA)가 되었고, 1931년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의 미국 위원회와 제휴를 맺었다. 그 후 명칭과 조직에서 몇번의 변화를 거치는데, 1966년 미합중국 표준 협회(United States of America Standards Institute, USASI)가 되었으며, 1969년에 지금의 미국 국가표준 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 협회는 정부 기관, 각종 기구와 회사, 학회, 국제 조직, 개인 등을 회원으로 보유하고 있고, 27만개가 넘는 회사, 3천만명이 넘는 전문가들의 이익을 대변하고 있다. 이 협회 자체가 표준을 개발하지는 않지만, 이 협회는 표준을 개발하는 기구들의 절차를 인증함으로써 표준의 개발과 사용을 감독한다. 표준을 개발하는 기구들이 사용하는 절차가 이 협회의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개방성, 균형, 합의, 그리고 적절한 절차라는 요구사항에 부합해야 한다. 이 협회는 어떤 표준이 개발된 환경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공평하고, 그들이 접근할 수 있고, 그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그것을 미국 국가표준(American National Standards, ANS)으로 지정한다. 만약 자발적인 합의로 표준이 되었다면, 그 제품이 소비자 보호를 위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확인됨으로써 시장이 급속히 받아들인 것이다. 이 협회가 미국 국가표준으로 지정한 것은 대략 9,500개 정도이다. 미국 국가표준으로 지정되는 과정은 다음의 원칙을 준수한다. 모든 이해관계 단체의 대표자들에게 개방된 집단이 합의한다. 표준 초안에 대해 폭넓은 공개 검토와 지적을 허용한다. 그런 지적을 고려하고 그에 대해 응답한다. 동일한 합의 요구에 충족하는 변경이 제출되면, 그것을 표준 초안에 통합한다. 표준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이들 원칙이 존중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참여자는 문제 제기를 할 수 있다. 이 협회는 산업계에 소속된 기술자 그룹들과 함께 일하며, 국제 표준화 기구(ISO),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등의 일원이다. 이 협회가 제정한 컴퓨터 관련 표준 중 대표적인 것으로 ASCII 코드가 있다. 미국 정보 교환 표준 부호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ASCII) 국제 표준화 기구(ISO) 개방형 표준 분류:표준화 기구
대한민국 대통령 (大韓民國 大統領은 대한민국의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으로서 임기는 5년이며 연임과 중임이 불가능하다. 대통령은 국회와 더불어 국민의 대표기관이다. 대한민국의 정치체제는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되는 대통령의 권한이 막강하고, 다른 나라의 수상에 해당하는 국무총리도 직접 임명할 수 있다. 단, 국무총리 임명은 국회로부터의 임명동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대통령의 휘장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의 지위에 있다. 이를 대한민국 헌법은 “국가의 원수이며 외국에 대하여 국가를 대표한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 국가의 원수라 함은 국내법상 국가의 통일성과 항구성을 상징하며, 국내에서는 최고의 통치권을 행사하고 대외적으로는 국가를 대표하는 자격을 가진 국가기관을 말한다. 대통령이 헌법에 의하여 조약을 체결·비준하고 외교사절을 신임·접수 또는 파견하며, 선전포고와 강화를 할 외교에 관한 권한을 가지는 것은 국가 원수로서의 지위에 따른 것이다. 대통령은 정부수반으로서의 지위에 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66조 제4항에 “행정권은 대통령을 수반으로 하는 정부에 속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에 의해 대통령은 행정수반의 지위를 가지는 것이며, 이것은 정부가 그에 의하여 조직되고 영도되는 것을 말한다. 대통령은 정부조직권과 행정각부 장의 임명권, 감사원의 조직과 통할권을 가진 기관인 동시에, 국무회의의 의장으로서의 지위 및 행정각부를 통할하는 행정의 최고지휘자의 지위 등을 갖고 있다. 이는 대통령의 행정수반으로서의 지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일정한 직무를 행하는 공무원에 대한 임명권과 영전수여권, 등을 가진다. 그리고 국군통수권은 국방부가 행정부에 속해있기 때문에 행정부의 수반으로써 가지는 권한이다. 대한민국 헌법은 제66조 제2항과 제3항에 “대통령은 국가의 독립, 영토의 보전, 국가의 계속성과 헌법을 수호할 책무를 진다. 대통령은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성실한 의무를 진다.”라고 규정하고 있어 대통령의 국가와 헌법의 수호자로서의 지위와 한반도 통일 책무자로서의 지위를 명시하고 있다. 대통령으로 선출될 수 있는 자는 국회의원의 피선거권이 있고, 선거일 현재 40살에 달하여야 한다. 대통령의 선거 시기는 임기가 만료된 때와 궐위된 때로 나누어 규정하고 있다.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되는 때에는 임기만료 70일 내지 40일 전에 후임자를 선거한다. 대통령이 궐위된 때 또는 대통령 당선자가 사망하거나 판결 기타의 사유로 그 자격을 상실한 때에는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한다. 대통령은 국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 선거를 통해 가장 많은 득표를 얻은 사람으로 정하며, 선거에서 최고득표자가 두 명 이상일 때에는 국회의 재적인원 과반수가 출석한 공개회의에서 다수표를 얻은 자를 당선자로 한다. 따라서 득표율의 제한 없이 최다수득표자가 당선자가 된다. 대통령 후보자가 한 사람일 때에는 그 득표자가 총 선거권자의 3분의 1 이상을 득표하지 않으면 대통령으로 당선될 수 없다.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며 중임할 수 없고 단임제다. 또한 대통령의 임기를 연장하거나 중임으로 변경하는 개헌은 그 개정안 제안 당시의 대통령에 대해서는 효력이 없다. 이는 과거의 정권이 그 정권을 연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헌을 추진했던 것에 대한 반성에서 비롯한 것이다. 대통령은 임기 개시일 0시에 취임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은 시간적 의미에서 업무가 시작되는 것을 말한다. 취임식은 대개 임기 개시 이후에 진행하게 되므로, 취임식은 취임의 요건이 아니다. 제17대 이명박 대통령은 0시에 상징적인 의미로 업무를 시작한 바 있다. 1987년 헌법 개정으로 1988년 이후부터 임기가 5년 단임으로 고정되어 재직 일수는 1826일 또는 1827일(5년)이 되었다. 이외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이승만 4273일 (11년 8개월 11일) 윤보선 588일 (1년 7개월 10일) 박정희 5793일 (15년 10개월 9일) 최규하 255일 (8개월 10일) 전두환 2733일 (7년 5개월 23일) 박근혜 1475일 (4년 14일) 대통령은 취임에 즈음하여 다음 선서를 한다. 대통령의 직무상 의무는 아래와 같다. # 헌법 수호 의무 # 대통령은 헌법을 수호하고 이를 실현할 의무를 진다. # 국가의 독립·보전의무 # 대통령은 국가가 주권적으로 독립하고 계속적으로 존속할 수 있도록 직무를 수행하여야 할 책임과 의무를 진다. # 직무 수행 의무 # 겸직 금지 의무 # 대통령은 국무총리·국무위원·행정각부의 장 기타 법률이 정하는 공사의 직을 겸할 수 없다. # 평화 통일 노력 의무 # 대통령은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성실한 의무를 진다. 대통령은 형사상 특권을 갖고 있다. 헌법 제84조는 “대통령은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직중 형사상의 소추를 받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대통령의 헌법상 지위에 따르는 권위를 유지하면서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대통령은 재직 중에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하지 않는 이상 재직 중에는 형사 피고인으로 재판을 받지 않는다. 다만 이는 재직 중의 민사·행정상의 임과 퇴직 이후의 형사상의 소추까지 면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대통령이 민·형사상의 재판에서 증인으로 출석하는 것까지 막는 것은 아니다. 대통령을 증인으로 출석시켜 신문하는 것과 이를 거부하는 경우에 법원이 강제 구인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는 일반적으로 긍정하고 있다.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한 경우에 소추되는 것은, 이러한 행위가 헌법수호자의 지위를 스스로 부정하여 헌법질서와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죄를 범한 시점은 취임 이전이나 이후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죄 이외에는 법원의 재판권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법원은 공소기각의 판결(형사소송법 제327조 제1호)을 한다. 다만 재직시에 기소되지 않더라도, 퇴임시까지는 공소시효의 진행이 정지된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수사기관이 수사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주장과 현실적으로 기소도 할 수 없는데 수사를 하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이유로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대립하고 있다. 대통령이 직무를 수행하면서 행하는 적법한 모든 행위에 대하여는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는다. 대통령의 판단 오류 등으로 인한 정책집행의 오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위법한 행위나 범죄행위에 대해서는 법적인 책임을 진다. 전직 대통령의 신분과 예우에 관하여는 법률로 정한다는 헌법 제85조의 규정에 따라 전직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있다. 동법에 따라 전직 대통령이 재직 중에 탄핵 결정을 받아 퇴임하거나 금고 이상의 형이 확정된 경우, 형사처분을 회피할 목적으로 외국 정부에 대하여 도피처 또는 보호를 요청하는 경우, 대한민국의 국적을 상실한 경우 등에는 경호 이외의 예우는 하지 않는다. 헌법 제90조 제2항에 따라 국가원로자문회의를 두는 경우에는 전직대통령 가운데 직전 대통령은 국가원로자문회의의 의장이 된다. 1989년 3월 의장을 위해 국회의장에 준하는 예우를 규정한 국가원로자문회의법이 폐되었고, 1995년 12월 전직 대통령들을 원로위원으로 모신 전직 대통령 예우법 해당 규정은 폐기되었다. 이후 법으로는 국가원로자문회의 규정은 존재하나, 설치되지 않고 있다. 현재 생존하고 있는 전직 대통령은 전두환, 노태우,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으로 총 4명이지만, 이명박 전 대통령을 제외하고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가 박탈되었다. 대통령은 국가장법에 따라 서거한 경우에는 유족 등의 의견을 고려하여 행정자치부 장관의 제청으로 국무회의의 심의를 마친 후 대통령이 결정하는 바에 따라 국가장으로 할 수 있다. 또,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립서울현충원 및 국립대전현충원 안장 대상자가 된다. 또한, 국립묘지에 안장되지 않더라도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보존묘지로 지정될 수 있다. 이승만 (1965년 7월 19일 사망, 같은 해 7월 27일 가족장)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283-18 (국립서울현충원 독립묘역) 박정희 (1979년 10월 26일 서거, 같은 해 11월 3일 국장)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290-7 (국립서울현충원 독립묘역) 윤보선 (1990년 7월 18일 서거, 같은 해 7월 23일 가족장)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동천리 산34-2 (사설묘지) 최규하 (2006년 10월 22일 서거, 같은 해 10월 26일 국민장) *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 111-27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원수묘역 1호) 노무현 (2009년 5월 23일 서거, 같은 해 5월 29일 국민장)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본산리 21-7 (사설묘지, 국가보존묘지 1호) 김대중 (2009년 8월 18일 서거, 같은 해 8월 23일 국장)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299-13 (국립서울현충원 독립묘역) 김영삼 (2015년 11월 22일 서거, 같은 해 11월 26일 국가장)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222-4 (국립서울현충원 독립묘역) 대통령은 그 지위에 따라 일정한 권한을 갖는다. 대통령은 국가의 대표로서의 조약을 체결·비준한다(헌법 제73조). 또한 대통령은 외교사절의 신임·접수·파견권(헌법 제73조), 선전포고와 강화에 관한 권한(헌법 제73조), 국군을 외국에 파견하는 권한(헌법 제60조 제2항)을 가진다. 다만 외교에 관한 권한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야 하며(헌법 제89조 제2호~제6호), 국무총리와 관계 국무위원이 부서한 문서로써 하여야 한다(헌법 제82조). 또한 일정한 조약을 체결·비준하거나 외국 군대를 대한민국에 주둔시키기 위해서는 국회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헌법 제60조 제1항 및 제2항). 대통령은 국가의 대표로서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훈장 기타의 영전을 수여한다(헌법 제80조).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군을 통수한다(헌법 제74조). 다만 군사에 관한 중요사항의 경우 국가안전보장회의의 자문과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국무총리와 관계 국무위원이 부서한 문서로 하여야 하며(헌법 제91조, 제89조 제6호, 제82조), 선전포고나 국군의 외국 파견 등에는 국회의 사전 동의를 필요로 한다(헌법 제60조 제2항). “대통령은 국가의 안위에 관계되는 중대한 교전상태에 있어서 국가를 보위하기 위하여 긴급한 조치가 필요하고 국회의 집회가 불가능한 때에 한하여 법률의 효력을 가지는 긴급명령을 발할 수 있다”(헌법 제76조 제2항). “대통령은 내우·외환·천재·지변 또는 중대한 재정·경제상의 위기에 있어서 국가의 안전보장 또는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긴급한 조치가 필요하고 국회의 집회를 기다릴 여유가 없을 때에 한하여 최소한으로 필요한 재정·경제상의 처분을 하거나 이에 관하여 법률의 효력을 가지는 명령을 발할 수 있다.”(헌법 제76조 제1항) “대통령은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에 있어서 병력으로써 군사상의 필요에 응하거나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계엄을 선포할 수 있다.”(헌법 제77조 제1항) 대통령은 국가와 헌법의 수호자로서 위헌정당해산제소권을 갖는다(헌법 제8조 제4항). 대통령은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헌법 제89조 제3호) 헌법개정안을 발안할 수 있다(헌법 제128조 제1항). “대통령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외교·국방·통일·기타 국가 안위에 관한 중요정책을 국민투표에 붙일 수 있다”(헌법 제72조). 이는 대한민국 헌법이 채택하고 있는 간접민주제의 예외인 직접민주제에 대한 규정이며,정종섭, 《헌법학원론》, 2006년. 헌법개정안에 대한 국민투표가 필수적인 것과 달리 임의적 국민투표이다. 특히 헌법개정안의 경우 국회의 의결을 통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헌법 제130조 제2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제72조의 국민투표를 통하여 국회의 의결을 거치지 않고 헌법개정안을 확정하려고 하는 시도는 헌법에 명백히 위배된다.구병삭, 《신헌법원론》, 박영사, 1990년.;강경근, 《헌법》, 법문사, 2004년.;정종섭, 앞의 책. 뿐만 아니라 헌법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책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하는 것도 허용되지 않는다. 국민투표를 통하여 국회를 해산한 후 총선거를 실시하도록 하는 것에 대하여는 일부 긍정하는 견해도 있지만,강경근, 앞의 책. 이러한 견해는 유신헌법의 이론적 구성에 기초한 것으로 현재의 권력분립과 민주적 법치국가를 형성하고 있는 현행 헌법에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통설이다. 다만 이러한 국민투표의 효력에 대해서는 법적 구속력을 긍정하는 견해도 있으나, 법적 구속력은 없으며 다만 민주주의 국가에서 매우 강한 정치적이고도 사실적인 효과를 가진다는 견해가 다수설이다.정종섭, 앞의 책.;김선택, 앞의 책, 926~927쪽. 법률안 제출권 :대통령은 입법에 관여할 권한을 갖는다. 정부는 법률안을 제출할 수 있으며(제52조), 국회에서 의결되어 정부에 이송되어 온 법률안은 대통령이 이를 공포하며(제53조 제1항), 만약 법률안에 이의가 있는 경우에는 국회에 환부하여 재의를 요구할 수 있다(제53조 제2항). :대통령은 법률에서 구체적으로 범위를 정하여 위임받은 사항과 법률을 집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관하여 대통령령을 발할 수 있다(제75조). 헌법은 이와 같이 대통령에게 일종의 준입법권을 부여하고 있는데, 이것을 위임입법이라 한다. :대통령은 국회의 임시회 소집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통령은 집회요구의 기간과 이유를 명시하여야 한다(제47조 제3항). 헌법 제79조 제1항은 “대통령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사면·감형 또는 복권을 명할 수 있다”고 하여 대통령의 사면권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면법이 정해져 있다. 사면은 좁은 의미로 형사소송법이나 그 밖의 형사법규의 절차에 의하지 않고 형의 선고의 효과나 공소권을 소멸시키거나, 형의 집행을 면제시키는 국가 원수의 행위를 말한다. 헌법에서 대통령에게 부여한 사면권은 이러한 좁은 의미의 사면과 함께 감형 및 복권에 대한 권한도 부여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사면권에 대하여 한계를 규정한 조문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다음 사항을 사면권의 한계로 들고 있다.권영성, 앞의 책, 955쪽.홍성방, 앞의 책, 841쪽. # 국가이익과 국민화합의 차원에서 행사되어야 하고, 정치적 기타의 이유로 남용할 수 없다. # 권력분립의 원칙상 사법권의 본질을 침해할 수 없다. # 탄핵 등의 정치적 책임을 질 사람에 대하여 공소권의 소멸이나 탄핵소추권 소멸을 해서는 안 된다. # 사면의 결정에 사법부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 # 국회는 일반사면에 대한 동의 여부를 심리함에 대통령이 제안하지 않은 죄의 종류를 추가할 수 없다. 국회출석 발언권 :대통령은 국회에 출석하여 발언하거나 서면으로 의사를 표시할 수 있으며(제81조), 이는 정부수반으로서의 대통령이 국정의 원활한 수행을 할 수 있도록 부여한 것이며, 그의 발언이나 서신은 국회에 대하여 법적인 구속력을 가지지 못한다. 대통령은 헌법기관 구성자로서의 지위에서 헌법기관을 구성할 권한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감사원장과 감사위원의 임명권(헌법 제98조 제2항 및 제3항), 대법원장 및 대법관의 임명권(헌법 제104조 제1항 및 제2항), 헌법재판소장과 헌법재판소 재판관의 임명권(헌법 제111조 제2항 및 제4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가운데 3인에 대한 임명권(헌법 제114조 제2항)을 갖는다. 이 가운데 감사원장과 대법원장 및 대법관, 헌법재판소장의 임명에 대하여는 국회의 동의를 요한다. 행정부의 수반이라 함은 행정부의 조직자로서 집행에 관한 최고 결정권과 지휘감독권을 행사함을 의미한다. 대통령은 탄핵소추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국회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아니한다. 법률안 거부권이란 국회에서 의결하여 정부로 이송된 법률안에 대해서 대통령이 이의가 있을 때 재의를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을 말한다. 미국 대통령제 헌법에서 유래된 것이다. 현대복지국가 사회국가에 있어서는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사항이 증대되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기 때문에 국회가 권리의무에 관한 모든 사항을 법률로 규정하기가 어렵게 되었으며 법률로 구체적인 범위를 정하여 입법권을 행정부에 위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행정부에 의하여 만들어진 법을 행정입법이라 한다. 대통령은 법률에서 구체적으로 범위를 정하여 위임받은 사항과 법률을 집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관하여 대통령령(=시행령)을 발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행정부의 수반으로서 행정부의 각 부서와 기관을 조직할 수 있다. 즉, 새로운 부서나 기관을 만들 수 있고 또는 폐지할수도 있다. 그리고 각 부서와 기관을 책임질 장인 장관이나 기관장을 임명 할 수 있다. 또한, 청와대 내부의 인사나 조직들도 대통령이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국무총리, 대법원장, 감사원장, 헌법재판소장, 대법관, 국회에서 선출하는 헌법재판소 재판관 및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은 국회로부터의 동의가 필요하다.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공무원을 임면한다. 대통령은 국무총리, 국무위원, 행정각부의 장을 임면할 권한이 있다. 국무회의의 심의 :대통령은 그의 권한을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서 행사한다. 대통령은 국정의 기본계획과 정부의 일반정책, 중요한 대외정책, 헌법개정안, 재정에 관한 중요사항, 국회해산 등 일정한 사항에 관해서는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제 89조). 국무회의의 심의는 절차상 반드시 필요하지만 대통령은 그 심의결과에 귀숙되는 것은 아니다. 국회의 동의 또는 승인 :대통령이 그 권한을 행사하는데 국무회의의 심의 외에 국회의 동의나 승인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즉 일정한 조약의 체결과 비준, 선전포고, 국군해외파견, 외국군 국내주류에 대한 국회의 동의(제60조), 일반사면(제79조 제2항), 국무총리(제86조 제1항)와 감사원장(제98조 제2항), 대법원장(제104조 제1항)의 임명에서 국회의 동의, 긴급재정경제처분명령권 및 긴급명령권에 대한 국회의 사후승인(제76조 제3항), 예비비 지출에 대한 차기국회의 승인(제55조 제2항 후단) 등이 그것이다. 부서 :대통령의 국법상의 행위는 문서로써 하며, 이 문서에는 국무총리와 관계 국무위원이 부서하도록 하고 있다(제82조). 부서(副署)란 대통령의 권한행사에 대한 일종의 제약으로서, 한편으로는 국무총리와 국무위원에게 책임소재를 분명히 하기 위한 것이다. 자문 :대통령은 국정의 중요한 사항에 관한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하여 국가원로로 구성되는 국가원로자문회의를 둘 수 있으며(제90조), 평화통일정책의 수립에 관한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하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제92조)를 둘 수 있다. 또 대통령은 국가안전보장에 관련되는 대외정책·군사정책과 국내정책의 수립에 관하여 국무회의의 심의에 앞서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하여 국가안전보장회의를 둔다(제91조). 이러한 자문기관의 조직·직무범위 기타 필요한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제90조 제3항, 제91조 제3항, 제92조 제2항). 대통령의 선거중립의무 준수요청 조치 사건(2007헌마700)은 대통령의 선거중립의무 준수요청 등 조치 취소에 대한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 판례이다. 현직 대통령인 청구인이 대통령 선거에 즈음하여 강연, 특강, 기념사, 대담 등에서 공직선거법상의 선거중립을 해치는 내용의 발언을 거듭하자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발언을 자제해 줄 것을 촉구하는 내용의 ‘대통령의 선거중립의무 준수’ 조치를 취하자 청구인은 위 조치가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면서 헌법소원을 청구하였다. 제9조 (공무원의 중립의무 등) (1) 공무원 기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하는 자(기관, 단체를 포함한다)는 선거에 대한 부당한 영향력의 행사 기타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위 법률조항은 선거영역에서의 특별법으로서 일반법인 국가공무원법 조항에 우선하여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 사건 법률조항의 행위는 공직자가 공직상 부여되는 정치적 비중과 영향력을 국민 모두에 대하여 봉사하고 책임을 지는 그의 과제와 부합하지 않는 방법으로 사용하여 선거에서의 득표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말한다. 공무원의 중립의무를 정한 공직선거법 제9조는 입법목적과 입법경위, 수범자의 범위 및 선거과정의 특징을 고려할 때 명확성의 원칙에 반하지 않으며, 공명선거의 책무는 우선적으로 국정츼 책임자인 대통령에게 있으므로 대통령의 정치인으로서의 지위가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선거활동에 관하여는 선거중립의무가 우선되어야 하며, 이 사건 법률조항은 단지 선거가 임박한 시기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법으로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만을 제한적으로 금하고 있으므로 과잉금지원칙에 위반되어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이 사건 법률조항은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 대한민국의 대통령 권한대행 (大韓民國大統領權限代行)은 대한민국 정부에서 대통령 직위가 유고 시에 부통령이나 국무총리 및 총리 서리 겸 내각수반 혹은 국회의장이 대통령 자리를 대신한 직위를 뜻한다. 이 직위는 대한민국 헌법 제71조 "대통령이 궐위되거나 사고 로 인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국무총리, 법률이 정한 국무위원의 순서로 권한을 대행한다."에 규정되어 있다. 대통령이 궐위되거나 사고나 유고로 인하여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1차적으로 국무총리가 그 권한을 대행하고, 2차적으로는 법률이 정한 국무위원의 순위에 따라 기획재정부 장관 겸 경제부총리와 교육부 장관 겸 사회부총리 순으로 그 권한을 대행한다(제71조). 이때 궐위란 대통령의 사망, 탄핵결정에 의한 파면, 피선거자격의 상실, 사임 등으로 대통령이 없게 된 경우를 말하고, 사고란 대통령이 재임하면서도 신병·해외여행/순방 등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탄핵소추의결로 탄핵결정이 있을 때까지 권한행사가 정지된 경우 등이다. 허정 - 대행기간 1960년 4월 27일 ~ 1960년 6월 15일 곽상훈 - 대행기간 1960년 6월 16일 ~ 1960년 6월 23일 허정 - 대행기간 1960년 6월 23일 ~ 1960년 8월 7일 백낙준 - 대행기간 1960년 8월 8일 ~ 1960년 8월 12일 박정희 - 대행기간 1962년 3월 23일 ~ 1963년 12월 16일 최규하 - 대행기간 1979년 10월 26일 ~ 1979년 12월 6일 박충훈 - 대행기간 1980년 8월 16일 ~ 1980년 9월 1일 고건 - 대행기간 2004년 3월 12일 ~ 2004년 5월 14일 황교안 - 대행기간 2016년 12월 9일 ~ 2017년 5월 10일 내용주 참조주 헌법재판소결정 2007헌마700, 2008.01.17, 법률신문 p 77-120, 정태호, 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운동에 관한 행정지도와 기본권구제 헌재 2008년 1월 17일 2007헌마700 결정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법준수촉구조치의 공권력성 인정의 함의 분석을 중심으로, 憲法學硏究, 2011. 중앙선거관리위가 헌재에 보낸 답변서 뷰스앤뉴스 2007-07-12 황도수, 2008년 분야별 중요판례분석 (2) 헌법, 법률신문 "대통령은 정치활동 자유보다 선거중립의무 우선” 헌재, 노 대통령 헌법소원 기각, 법률신문, 2008.01.21 대한민국의 대통령 목록 대한민국의 부통령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대한민국의 부총리